<문제 해설> 연료의 압력을 높이기 위해 연료를 가득 채우는것은 상관이없다 [해설작성자 : 쉽다쉬워]
4.
기관 과열의 원인이 아닌 것은?
가.
라디에이터 막힘
나.
냉각장치 내부에 물때가 끼었을 때
다.
냉각수의 부족
라.
오일의 압력 과다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압력이 있는거랑 상관없음 [해설작성자 : 상욱]
5.
기관에서 출력저하의 원인이 아닌 것은?
가.
분사시기 늦음
나.
배기계통 막힘
다.
흡기계통 막힘
라.
압력계 작동 이상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계가 들어가면 측정 장치이므로 즉 압력측정은 출력과 무관하다 [해설작성자 : S대학]
6.
엔진오일이 많이 소비되는 원인이 아닌 것은?
가.
피스톤링의 마모가 심할 때
나.
실린더의 마모가 심할 때
다.
기관의 압축 압력이 높을 때
라.
밸브가이드의 마모가 심할 때
정답 : [
3
] 정답률 : 71%
7.
기관의 오일 압력이 낮은 경우와 관계없는 것은?
가.
아래 크랭크 케이스에 오일이 적다.
나.
크랭크축 오일 틈새가 크다.
다.
오일펌프가 불량하다.
라.
오일 릴리프밸브가 막혔다.
정답 : [
4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릴리프밸브는 압력이 고압이 되면 작동하는 밸브이다. 릴리프밸브는 압력이 낮을 때는 작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압력이 낮을 경우는 오일 릴리프밸프와 상관이 없다. [해설작성자 : 인평]
8.
디젤기관 연료장치의 분사펌프에서 프라이밍 펌프는 어느 때 사용하는가?
가.
출력을 증가시키고자 할 때
나.
연료계통에 공기를 배출 할 때
다.
연료의 양을 가감할 때
라.
연료의 분사압력을 측정할 때
정답 : [
2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엔진이 정지되었을 때 연료 탱크의 연료를 연료 분사 펌프까지 공급하거나 연료 라인 내의 공기 빼기 등에 사용한다. 디젤 엔진은 연료 라인에 공기가 있으면 시동이 되지 않으므로, 프라이밍 펌프를 작동시키면서 연료 공급 펌프→연료 여과기→분사 펌프의 순서로 에어 브리더 스크루를 이용하여 공기를 빼낸다. 그 후 기동 전동기를 작동시키면서 각 실린더의 분사 노출 입구 커넥터로부터 공기를 빼낸다.{출처 네이버지식백과) [해설작성자 : nossam]
9.
기관의 맥동적인 회전 관성력을 원활한 회전으로 바꾸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은
가.
크랭크축
나.
피스톤
다.
플라이휠
라.
커넥팅로드
정답 : [
3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크랭크축: 커넥팅로드의 수직 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바꿔주는 역할 커넥팅로드: 피스톤의 수직운동을 크랭크축으로 전달해주는 역할 [해설작성자 : 임용수]
10.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의 간극이 너무 클 때 일어나는 현상은?
가.
엔진의 출력 증대
나.
압축압력 증가
다.
실린더 소결
라.
엔진 오일의 소비증가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크랭크축이 회전을 하며 실린더에 오일이 묻게 되고 피스톤링 역할 중 오일을 긁어서 내리는 역할도 있는데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의 간극이 너무 크면 한계치를 넘게 되고 잔여 오일이 연소실에 올라오게 되고 연소가 됨 이러하여 오일의 소비가 증가됨 [해설작성자 : 쉽다쉬워]
11.
건설기계 기관에서 사용되는 여과장치가 아닌 것은?
가.
공기청정기
나.
오일필터
다.
오일 스트레이너
라.
인젝션 타이머
정답 : [
4
] 정답률 : 83%
12.
디젤엔진이 잘 시동 되지 않거나 시동이 되더라도 출력이 약한 원인으로 맞는 것은?
가.
연료탱크 상부에 공기가 들어 있을 때
나.
플라이휠이 마모되었을 때
다.
연료분사펌프의 기능이 불량할 때
라.
냉각수 온도가 100℃ 정도 되었을 때
정답 : [
3
] 정답률 : 63%
13.
교류(AC)발전기에서 전류가 발생되는 곳은 어느 부분인가?
가.
정류자
나.
로터
다.
전기자
라.
스테이터
정답 : [
4
] 정답률 : 39%
14.
실드빔식 전조등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가.
대기조건에 따라 반사경이 흐려지지 않는다.
나.
내부에 불활성 가스가 들어있다.
다.
사용에 따른 광도의 변화가 적다.
라.
필라멘트를 갈아 끼울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실드빔식 전조등은 수리를 할 수가 없기때문에 자체를 교환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고등학생]
15.
퓨즈의 용량 표기가 맞는 것은?
가.
M
나.
A
다.
E
라.
V
정답 : [
2
] 정답률 : 70%
16.
기동 전동기의 피니언이 링기어에 물리는 방식이 아닌 것은?
가.
스팔라인식
나.
벤딕스식
다.
전기자 섭동식
라.
피니언 섭동식
정답 : [
1
] 정답률 : 35%
17.
축전지를 교환 및 장착할 때 연결 순서로 맞는 것은?
가.
(+)나 (-)선 중 편리한 것부터 연결하면 된다.
나.
축전기의 (-)선을 먼저 부착하고, (+)선을 나중에 부착한다.
다.
축전지의 (+), (-)선을 동시에 부착한다.
라.
축전기의 (+)선을 먼저 부착하고, (-)선을 나중에 부착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전하는 -극에서 +극으로 이동하므로 안전을 위해서 +극을 먼저 부착하고 -극선을 나중에 부착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인평]
18.
납산용 일반축전지가 방전되었을 때 보충전시 주의하여야 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가.
충전시 전해액 온도를 45℃ 이하로 유지할 것
나.
충전시 가스발생이 되므로 화기에 주의할 것
다.
충전시 벤트플러그를 모두 열 것
라.
충전시 배터리 용량보다 높은 전압으로 충전 할 것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충전시 배터리 용량보다 높은 전압으로 충전하면 안됩니다. 배터리 용량이 60Ah라고 하면 60V로 충전하는 것이 아니고 승용차 배터리 12V라면 최고 24V까지 충전 가능 (약2배의 전압은 괜찮음) [해설작성자 : 필달(인평)]
19.
로더의 작업 방법으로 맞는 것은?
가.
굴삭 작업시는 버킷을 올려 세우고 작업을 하며 적재시는 전경각 35도를 유지해야 한다.
나.
굴삭 작업 시는 버킷을 수평 또는 약 5도정도 앞으로 기울이는 것이 좋다.
다.
작업시는 변속기의 단수를 높이면 작업 효율이 좋아진다.
라.
단단한 땅을 굴삭시에는 그라인더로 버킷을 날카롭게 만든 후 작업을 하며 굴삭시에는 후 경각 45도를 유지해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2%
20.
트랙장치에서 유동륜의 작용은?
가.
트랙의 회전을 원활히 한다.
나.
동력을 트랙으로 전달한다.
다.
트랙의 장력을 조정하면서 트랙의 진행방향을 유도한다.
라.
차체의 파손을 방지하고 원활한 운전을 하게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3번은 아이들러에 대한 내용 [해설작성자 : 참치캔]
아이들러(Idler wheel)유동륜은 트랙 앞쪽에 있음 트랙의 장력을 조절해서 너무 느슨하거나 당겨지지 않게 함 트랙의 방향을 유도해서 안정적으로 진행하게 함 1. 회전을 원활히 하는 것은 구동륜의 역할 2. 동력을 트랙으로 전달 , 구동륜의 역할 4. 직접적인 역할은 아님 [해설작성자 : 슬공주]
21.
지게차의 마스트를 기울일 때 갑자기 시동이 정지되면 무슨 밸브가작동하여 그 상태를 유지하는가?
가.
틸트록 밸브
나.
스로틀 밸브
다.
리프트 밸브
라.
틸트 밸브
정답 : [
1
] 정답률 : 51%
22.
기중기 작업에서 안전사항으로 적합한 것은?
가.
측면으로 하며 비스듬히 끌어 올린다.
나.
저속으로 천천히 감아올리고 와이어로프가 인장력을 받기 시작할 때는 빨리 당긴다.
다.
지면과 약 30cm 떨어진 지점에서 정지한 후 안전을 확인하고 상승한다.
라.
가벼운 화물을 들어 올릴 때는 붐 각을 안전각도 이하로 작업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1%
23.
브레이크 오일이 비등하여 송유 압력의 전달 작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현상은?
가.
페이드 현상
나.
베이퍼 록 현상
다.
사이클링 현상
라.
브레이크 록 현상
정답 : [
2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브레이크액에 기포가 발생하여 브레이크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현상 [해설작성자 : Moses]
베이퍼 록 현상은 브레이크 액 내에 기포가 차는 현상으로, 이는 패드나 슈의 과열로 인해 브레이크 회로 내에 공기 기포가 차게 되어, 브레이크 회로내에 공기가 유입되어 브레이크가 듣지 않는 것 같은 상태가 되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필달(인평)]
24.
굴삭기를 트레일러에 상차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는 것은?
가.
가급적 경사대를 사용한다.
나.
트레일러로 운반 시 작업 장치를 반드시 앞쪽으로 한다.
다.
경사대는 10~15° 정도 경사시키는 것이 좋다.
라.
붐을 이용하여 버킷으로 차체를 들어 올려 탑재하는 방법도 이용되지만 전복의 위험이 있어 특히 주의를 요하는 방법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작업장치는 뒤로 향하게 해야합니다. [해설작성자 : 현대남]
25.
종감속비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가.
종감속비는 링기어 잇수를 구동피니언 잇수로 나눈 값이다.
나.
종감속비가 크면 가속 성능이 향상된다.
다.
종감속비가 적으면 등판능력이 향상된다.
라.
종감속비는 나누어서 떨어지지 않는 값으로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종감속비 가 커지면 가변기어비 감소 토크는 증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종감속비 = 좋은거 종감속비가 높으면 좋아져야함 [해설작성자 : ㅇㅇㅍ]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문제 해설> 법안이 바뀌어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 원 이하의 벌금] 입니다. [해설작성자 : 60 up]
1년이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입니다 2024년5월달에 배웠어요
32.
승차인원ㆍ적재중량에 관하여 안전기준을 넘어서 운행하고자 하는 경우 누구에게 허가를 받아야 하는가?
가.
출발지를 관할하는 경찰서장
나.
시ㆍ도지사
다.
절대 운행 불가
라.
국토해양부장관
정답 : [
1
] 정답률 : 68%
33.
정차라 함은 주차 외의 정지 상태로서 몇 분을 초과하지 아니하고 차를 정지 시키는 것을 말하는가?
가.
3분
나.
5분
다.
7분
라.
10분
정답 : [
2
] 정답률 : 73%
34.
다음 중 건설기계 특별표지판을 부착하지 않아도 되는 건설기계는?
가.
길이가 17미터인 굴삭기
나.
너비가 4미터인 기중기
다.
총중량이 15톤인 지게차
라.
최소 회전반경이 14미터인 모터그레이더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길이 16.7m초과 너비 2.5m초과 높이 4.0m초과 회전반경 12m초과 총중량 40톤초과 건설기계 [해설작성자 : 못난개구리]
35.
다음 중 최고속도 15km/h 미만의 타이어식 건설기계가 필히 갖추어야 할 조명장치는?
가.
후미등
나.
방향지시등
다.
후부반사기
라.
번호등
정답 : [
3
] 정답률 : 50%
36.
보도와 차도가 구분된 도로에서 중앙선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차마의 통행방법으로 옳은 것은?
가.
중앙선 좌측
나.
중앙선 우측
다.
좌?우측 모두
라.
보도의 좌측
정답 : [
2
] 정답률 : 73%
37.
유압회로 내에서 서지압(surge pressure) 이란?
가.
과도하게 발생하는 이상 압력의 최대값
나.
정상적으로 발생하는 압력의 최대값
다.
정상적으로 발생하는 압력의 최소값
라.
과도하게 발생하는 이상 압력의 최소값
정답 : [
1
] 정답률 : 57%
38.
필터의 여과 입도수(mesh)가 너무 높을 때 발생할 수 있는 현상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가.
블로바이 현상
나.
맥동 현상
다.
베이퍼록 현상
라.
캐비테이션 현상
정답 : [
4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블로바이 현상 :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로 압축 또는 폭발 가스가 새는 것 베이퍼 :자동차의 경우에 연료 압송 파이프에 공기가 들어가 압송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 주로 브레이크 관련 현상 캐비테이션(cavitation)이란 유체의 속도 변화에 의한 압력변화로인해 유체 내에 공동이 생기는 현
39.
유압유의 압력이 상승하지 않을 때의 원인을 점검하는 것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가.
펌프의 오일 토출 점검
나.
유압회로를 점검
다.
릴리프 밸브를 점검
라.
펌프 설치 고정 볼트 강도 점검
정답 : [
4
] 정답률 : 66%
40.
유압장치에서 두 개의 펌프를 사용하는데 있어 펌프의 전체 송출량을 필요로 하지 않을 경우, 동력의 절감과 유온 상승을 방지하는 것은?
가.
압력 스위치(pressure switch)
나.
카운트 밸런스 밸브(count balance valve)
다.
감압 밸브(pressure reducing valve)
라.
무부하 밸브(unloading valve)
정답 : [
4
] 정답률 : 40%
41.
압력의 단위가 아닌 것은?
가.
Pa
나.
bar
다.
GPM
라.
kgf/cm2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gallon per minute 분당 몇 갤런이 나오느냐를 이야기 하는겁니다. 영국식 gpm
우리나라는 대부분 liter per minute 분당 몇 리터 이냐 로 많이들 이야기 합니다. 미국식 lpm [해설작성자 : Moses]
42.
유압장치에서 방향제어밸브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가.
유체의 흐름 방향을 변환한다.
나.
유체의 흐름 방향을 한쪽으로만 허용한다.
다.
액추에이터의 속도를 제어한다.
라.
유압실린더나 유압모터의 작동 방향을 바꾸는데 사용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52%
43.
유압 실린더의 구성부품이 아닌 것은?
가.
피스톤로드
나.
피스톤
다.
실린더
라.
커넥팅로드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커넥팅로든 엔진실린더에서 폭발때 (열에너지--> 운동에너지) 구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해설작성자 : 필달(인평)]
44.
건설기계에서 사용하는 작동유의 정상 작동 온도 범위로 가장 적합한 것은?
가.
10℃~30℃
나.
40℃~60℃
다.
90℃~110℃
라.
120℃~150℃
정답 : [
2
] 정답률 : 68%
45.
유압장치에서 작동 유압 에너지에 의해 연속적으로 회전운동을 함으로서 기계적인 일을 하는 것은?
가.
유압모터
나.
유압실린더
다.
유압제어밸브
라.
유압탱크
정답 : [
1
] 정답률 : 79%
46.
그림과 같은 실린더의 명칭은?
가.
단동 실린더
나.
단동 다단 실린더
다.
복동 실린더
라.
복동 다단 실린더
정답 : [
3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1. 단동 실린더 - 전진은 Air를 사용하고 복귀는 스프링의 힘으로 하게 된다. 이때, 공기압을 공급하는 배관으로 다시 배출이 되며, 배관 끝에 솔레노이드 밸브(Sol V/V)를 달아서 제어를 한다. - 전기 신호를 주면 Air 공급, 전기 신호가 없으면 자연배기로 운영하며, 반대도 가능하다
2. 복동 실린더 - 전/후진 모두 공압으로 동작을 한다. 이 때도,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하게 되는데 솔레노이드 밸브도 단동/복동으로 구분 된다. 단동은 A포트 / B포트 / P배출로 구분하며, 신호가 있으면 A포트 공급, B포트는 닫음, B포트로 연결된 실린더 측은 P로 배출 신호가 없으면 A포트 닫음, B포트는 열림, A포트로 연결된 실린더 측은 P로 배출 즉, A또는 B로 항상 공급이 되며, 공급되는 반대측은 배출이 된다. [해설작성자 : 필달(인평)]
47.
자연적 재해가 아닌 것은?
가.
지진
나.
태풍
다.
홍수
라.
방화
정답 : [
4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방화는 나쁜 사람이 일부러 화재를 일으킨 경우이므로 자연적 재해가 아니다. [해설작성자 : 필달(인평)]
48.
금속 표면에 거칠거나 각진 부분에 다칠 우려가 있어 매끄럽게 다듬질하고자 한다. 적합한 수공구는?
가.
끌
나.
줄
다.
대패
라.
쇠톱
정답 : [
2
] 정답률 : 63%
49.
안전?보건표지의 종류별 용도?사용장소?형태 및 색채에서 바탕은 흰색, 기본모형은 빨간색, 관련부호 및 그림은 검정색으로 된 표지는?
가.
보조표지
나.
지시표지
다.
주의표지
라.
금지표지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빨간색은 무조건 금지 [해설작성자 : 그럴싸한데]
50.
다음 중 물건을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운반할 때의 안전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가.
명령과 지시는 한사람이 한다.
나.
최소한 한손으로는 물건을 받친다.
다.
앞쪽에 있는 사람이 부하를 적게 담당한다.
라.
긴 화물은 같은 쪽의 어깨에 올려서 운반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최소한 한손" 단어에 주의 하시고, 운반시 앞을 보기 힘든 뒷사람에게 부하가 적게 걸리게 해야 합니다.
[추가 해설]
2인일때는 앞사람이든 뒷사람이든 공평하게 나눠서 들어야 하며 3명 이상일 경우는 앞사람이 부하를 더 담당해야함. [해설작성자 : 필달(인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