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류신고 반론] 기자력 F=NI=R파이 파이 = NI/R 여기서 문제를 잘 읽으면 선ACD 고로 합성저항 = R1+(R2R3/R2+R3) 먼저 R2와 R3에 대한 병렬 합성저항을 구하고 R23의 합성저항과 R1의 저항의 직렬 합성저항을 구하면 되요 0.32는 분자에서 R1+R2R3 을 해버려 나온 값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0.22 맞습니다.]
5.
6.28 A가 흐르는 무한장 직선 도선상에서 1m 떨어진 점의 자계의 세기[A/m]는?
가.
0.5
나.
1
다.
2
라.
3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자계의 세기=I/2πr= 6.28/2π=1 [해설작성자 : 전기끄아앙]
6.
유전율 E, 투자율 μ인 매질 중을 주파수 f[hz]의 전자파가 전파되어 나갈 때의 파장은 몇 m인가?
가.
나.
다.
라.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속도 v = 1/√(εμ) = 주파수 f * 파장 λ [해설작성자 : 200613 산기 수험생]
7.
정전용량 6[㎌], 극간거리 2mm의 평판 콘덴서에 300[μC]의 전하를 주었을 때 극판간의 전계는 몇 V/mm 인가?
# 코로나 현상 : 공기의 절연이 국부적으로 파괴되어, 대기중에 방전하는 현상 [해설작성자 : KET]
35.
차단기의 개폐에 의한 이상전압의 크기는 대부분의 경우 송전선 대지 전압의 최고 몇 배 정도인가?
가.
2배
나.
4배
다.
6배
라.
8배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개폐기 개방 시 전로가 개방되어 부하임피던스가 ∞가 되므로 이론상 게폐기 양단에 발생하는 전압은 2배이지만 접점의 반복적인 개방, 폐로로 인하여 약 4~6배 정도까지의 전압이 발생한다. [해설작성자 : sansa1004]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개폐 이상 전압 크기는 4배 ~ 6배인데 그러면 최대 6배 아닌가요 ??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해설작성자 : 라고 할뻔~]
[오류신고 반론] 개폐서지로 인하여 3.5배~4배를 넘는경우는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바삭붕어빵]
36.
선로의 작용 정전용량 0.008㎌/㎞, 선로의 길이 100㎞, 전압 37000V이고, 주파수 60㎐일 때, 한상에 흐르는 충전전류는 약 몇 A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
6.7
나.
8.7
다.
11.2
라.
14.2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정답이 없는듯 합니다.IC= wc*상전압*L 위의 문제에서 말이없으므로 선간전압이고, 계산하면 377*0.008*10(-6승)*37000/루트3*100=6.44A 나오네요 물론 위의 37000을 상전압이라고 가정하고 풀면 11.2A 맞는 답이지만 [해설작성자 : 플레그쉽]
충전전류 Ic =2πfClE = 2π*60*0.008*10^-6*100*37000 = 11.16[A] [해설작성자 : Jacky]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식에서 전압 37000V라고 하였는데 대게 아무말없으면 선간전압이므로 선간전압이라고 가정 시 6.4A 상전압이라고 가정시 11.16A 임. 이 문제는 문제 출제자의 선간전압 상전압을 제대로 주어지지않았고 답도 약 몇A라 하였으니 1번과 3번 둘다 맞다고 하여야 함. [해설작성자 : 무슨 이딴문제가;]
37.
송전선로의 단락보호 계전방식이 아닌 것은?
가.
과전류 계전방식
나.
방향단락 계전방식
다.
거리 계전방식
라.
과전압 계전방식
정답 : [
4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과전압 계전방식은 존재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반팔인생]
단락은 전류가 무한대이므로, 전류에 의한 보호를 해야함. 따라서 과전압 계전방식은 단락보호에 적합하지 않음. [해설작성자 : 공부중]
38.
동일 전력을 동일 선간전압, 동일 역률로 동일 거리에 보낼 때, 사용하는 전선의 총중량이 같으면, 단상 2선식과 3상 3선식의 전력 손실비(3상 3선식/단상 2선식)는?
<문제 해설> 해설까진 아니고, 쉽게 푸는 팁? 문제 식을 계산기에 그대로 입력하시면 됩니다 I1 = 6+j8 , I2 = 8+j6 I = 14+j14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정확히 쓰자면 삼각함수법을 사용해야 함. I1=I1(cos세타 + j sin세타) 이런식으로 해야함. 이때 계산기로 아크 탄젠트 4/3, 3/4의 값을 갖는 각도 각각 구하면 53, 36~ 도 나오면 각각 대입해서 더해주면 됨. 여기서 루트 씌우고 제곱하지 않는 이유는 식에서 허수부를 그대로 납두었기 때문. -> 만약 허수값이 없으면 루트 씌워서 제곱해서 더해주면 됨,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2전력계법으로 평형 3상 전력을 측정하였더니 각각의 전력계가 500W, 300W를 지시하였다면 전 전력[W]은?
가.
200
나.
300
다.
500
라.
800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2전력계 유효전력 P1+P2 로 하면 800이에요. [해설작성자 : narla95]
76.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a-b 양단간의 전압은 몇 V인가?
가.
80
나.
90
다.
120
라.
150
정답 : [
4
] 정답률 : 26%
<문제 해설> 회로의 구성이 커패시터 20과 나머지 셋 묶어서 병렬 연결된 형태다. 일단 계산하기 쉽게 몽땅 허수로 바꿔준다. 즉 100볼트의 전압이 병렬연결 회로인 -j20과 j5+j5-j20에 "똑같이 걸린다." 거기서 j5-j20의 부분의 전압을 구해야 되니 100V전압을 j5와 -j15에 나눠 걸어준다.
따라서 전압 = 100 * (-j15 / -j10) = 150 [해설작성자 : 반팔인생]
77.
역률이 60%이고, 1상의 임피던스가 60Ω인 유도부하를 △로 결선하고 여기에 병렬로 저항 20Ω을 Y결선으로 하여 3상 선간전압 200V를 가할 때의 소비전력[W]은?
P[kW] = √3 * V * I * cosθ ▶ I[A] = P / √3 * V * cosθ ▶ 10 * 10^3 / √3 * 200 * 0.8 = 36.98439[A]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81.
저압전로에서 그 전로에 지락이 생겼을 경우 0.5초 이내에 자동적으로 전로를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하는 경우에는 제3종 접지 공사의 접지저항 값을 몇 Ω까지 허용할 수 있는가? (단, 자동 차단기의 정격감도전류는 30mA이다.)(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345kV의 송전선을 사람이 쉽게 들어갈 수 없는 산지에 시설하는 경우 전선의 지표상 높이는 몇 m 이상이어야 하는가?
가.
7.28
나.
8.28
다.
7.85
라.
8.85
정답 : [
1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60 초과 단수 x0.12 345-160 =18.5 19로 계산 19x0.12 + 산지(5m) [해설작성자 : Los Orz]
산지 7.28 평지 8.28 외우셈 그냥 [해설작성자 : ㅇㅇ]
87.
전기설비기술기준에서 정하는 15kV이상, 25kV 미만인 특고압 가공전선과 그 지지물, 완금류, 지주 또는 지선 사이의 이격거리는 몇 cm 이상이어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