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가-부여.나-고구려.다-옥저.라-동예.마-삼한. 천군과 소도에서 삼한 인을 알 수 있다. [해설작성자 : 귀찮아요]
3.
다음 특별전에 전시될 문화유산으로 옳지 않은 것은? [2점]
1.
2.
3.
4.
5.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진한의 사로국에서 출발한 나라. 백제를 설명하고 있다. [해설작성자 : 귀찮아요]
진한의 사로국에서 출발한 나라는 신라입니다. 백제는 마한의 목지국에서 출발했습니다. 2번 칠지도는 백제의 문화유산입니다. 그리고 그외 1번 3번 4번 5번은 모두 신라의 문화유산입니다. [해설작성자 : B.A.P 방용국 야시시 대박나자!!!]
+ 칠지도는 백제가 일본한테 선물로 준 것임 (우리나라 칼은 이렇게 멋있는데 너희 나라엔 이런거 없지? 하면서 하나 줌) [해설작성자 : GLaDOS]
4.
다음 다큐멘터리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1.
고구려 부흥 운동, 금마저에 잠든 꿈
2.
후삼국 통일, 민족의 분열에서 통일로
3.
나·당 전쟁, 당의 야욕에 맞선 신라의 승부수
4.
발해 건국, 만주에 다시 울려 퍼진 고구려의 함성
5.
백제 부흥 운동, 스러져간 700년 역사의 마지막 투혼
정답 : [
5
] 정답률 : 70%
5.
밑줄 그은‘불상’으로 옳은 것은? [3점]
1.
2.
3.
4.
5.
정답 : [
2
] 정답률 : 79%
6.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3점]
1.
관찰사가 지방 행정을 총괄하였다.
2.
수령이 파견되지 않은 속현이 주현보다 많았다.
3.
지방 세력 견제를 위해 상수리 제도가 실시되었다.
4.
국경 지역에 병마사가 파견되어 외침에 대비하였다.
5.
수령 보좌와 향리 감찰을 위한 유향소가 설치되었다.
정답 : [
3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통일신라는 삼국의 영역에서 각각 3개의 주를 두어 총9주를 설치했다 상수리제도는 지방세력을 통제하기 위해 통일신라 때 시행한 제도이다. [해설작성자 : 미모의 여대생]
7.
다음 만화의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1.
화엄종을 도입하였다.
2.
수선사를 조직하였다.
3.
유불일치설을 주장하였다.
4.
불교 대중화에 공헌하였다.
5.
왕오천축국전을 저술하였다.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그림은 통일신라 중대의 원효에 대해 설명.
1번 통일신라 중대의 의상 2번 무신정권기의 지눌 3번 무신정권기의 혜심 4번 정답 5번 통일신라 중대의 혜초 [해설작성자 : 새우]
8.
다음 지역에 도읍하였던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1.
동맹, 서옥제 등의 풍습이 있었다.
2.
골품제를 통해 신분을 엄격히 차별하였다.
3.
연맹 왕국으로 발전하지 못하고 멸망하였다.
4.
왕 아래에 마가, 우가, 구가, 저가 등이 있었다.
5.
화백 회의를 통해 국가의 중대사를 결정하였다.
정답 : [
1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1: 고구려 2: 신라 3: 동예 옥저 4: 부여 5: 신라
9.
교사의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 옳은 것은? [2점]
1.
국학을 설립하였어요.
2.
22담로를 지방에 설치하였어요.
3.
수도를 웅진에서 사비로 옮겼어요.
4.
철을 낙랑과 왜 등에 수출하였어요.
5.
화랑도를 국가적인 조직으로 정비하였어요.
정답 : [
4
] 정답률 : 88%
10.
(가)에 들어갈 인물이 활동한 시기를 연표에서 옳게 고른 것은? [1점]
1.
(가)
2.
(나)
3.
(다)
4.
(라)
5.
(마)
정답 : [
5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완산주에 도읍이면 후백제를 세운 견훤이죠? 잘 알려져있는지는 모르겠지만 견훤의 아들이 배신(?)을 때려서 견훤은 고려의 왕건에게 항복하고 자신의 나라를 없애달라고 함 그래서 후백제가 멸망하는데 이때, 신라도 같이 항복해서 후삼국 통일함 (발해는 그 전에 멸망하고 - 732년 보이죠?) 그러니 후삼국 통일 전인 (마)가 답임 [해설작성자 : GLaDOS]
11.
밑줄 그은‘왕’의 재위 기간에 있었던 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2점]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 : [
5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고려 인종 [해설작성자 : 창녕]
12.
다음 자료로 알 수 있는 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점]
1.
상평창에서 운영을 전담하였다.
2.
고려 시대 조운 제도를 토대로 하였다.
3.
조창에 모은 조세를 경창으로 운송하였다.
4.
평안도의 조세는 해당 지역에서 사용하였다.
5.
현물로 받은 조세를 운반하기 위한 제도였다.
정답 : [
1
] 정답률 : 39%
13.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 : [
1
] 정답률 : 54%
14.
다음 글을 쓴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1.
호락논쟁을 주도하였다.
2.
현량과 실시를 건의하였다.
3.
십만 양병설을 주장하였다.
4.
일본 성리학 발전에 영향을 주었다.
5.
불씨잡변을 저술하여 불교의 폐단을 지적하였다.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성학십도-이황(주리론) -특징: 인간의 심정, 도덕적, 이상적 -저서: 성학십도, 주자서절요 -영향: 일본 성리학 발전에 영향, 영남학파 형성(남인계열)
<문제 해설> 유엔 소총회의 결의-1948년 2월 ->남한만의 총선거 결정 김구가 이에 반대해서 '삼천만 동포에게 읍고함'성명 발표, 김구 김규식의 남북협상 제의(1948.2)
1.2.4.5. 모두 유엔 소총회의 전에 있던 일 [해설작성자 : 고급하다가 어려워서 중급]
47.
(가)~(라)를 일어난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1점]
1.
(가) - (나) - (다) - (라)
2.
(가) - (나) - (라) - (다)
3.
(나) - (가) - (다) - (라)
4.
(나) - (가) - (라) - (다)
5.
(다) - (나) - (가) - (라)
정답 : [
1
] 정답률 : 51%
48.
다음 자료와 관련된 정부의 정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점]
1.
교복 자율화가 시행되었다.
2.
언론사 통폐합이 추진되었다.
3.
야간 통행금지가 해제되었다.
4.
해외여행 자유화가 이루어졌다.
5.
금융 실명제가 전면 실시되었다.
정답 : [
5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지문과 옳은 답들은 모두 전두환 정부입니다. 틀린 5번은 김영삼 정부 입니다.
49.
다음 선언에 따라 추진된 통일 노력으로 옳지 않은 것은? [3점]
1.
경의선 복구 사업 실시
2.
남북 면회소 설치 합의
3.
남북 이산가족 서신 교환
4.
개성 공단 건설 사업 추진
5.
남북한 유엔 동시 가입 추진
정답 : [
5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딱 보니까 김대중네요 업적: 경의선 복구, 남북 면회소 설치, 남북 이산가족 상봉, 개성 공단 건설 남북한 유엔 동시 '가입' 그런데 여기서 어마어마한 함정이 있습니다! (순간 저도 낚임) 남북한 유엔 동시 가입 '추진'은 박정희 때 입니다! 정확히는 6.23 평화통일선언 때 였죠 (역시 3점답네요...) [해설작성자 : GLaD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