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1의 정전용량 1*10^-3[C]으로 제일 적으므로 가장 먼저 파괴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
동일한 금속 도선의 두 점간에 온도차를 주고, 고온쪽에서 저온쪽으로 전류를 흘리면, 줄열 이외에 도선속에서 열이 발생하거나 흡수가 일어나는 현상을 지칭하는 것은?
1.
지벡 효과
2.
톰슨효과
3.
펠티에 효과
4.
볼타 효과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지벡 효과 : 두 금속의 접점에 온도차를 주면 열기전력발생, 전류 발생 펠티어 효과 : 지벡이랑 반대로 기전력, 전류 공급하면 열흡수/발생 톰슨 효과 : 도체 온도차에 의해 기전력이 발생 핀치 효과 : 도체에 전류를 흘리면 전자력에 의해 도체가 수축/끊어짐 홀효과 : 전류가 흐를 때 직각방향으로 자계 → 기전력 발생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12.
등자위면의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등자위면은 자력선과 직교한다.
2.
자계 중에서 같은 자위의 점으로 이루어진 면이다.
3.
자계 중에 있는 물체의 표면은 항상 등자위면이다.
4.
서로 다른 등자위면은 교차하지 않는다.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등자위면은 동일한 자위의 크기로 이루어진 면을 의미한다 자계 중에 있는 물체의 표면은 항상 등자위면이 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저 같은 비전공자를 위한 추가해설 문제 풀이에 필요한 공식 2가지 1. RC = ρε >> R = ρε / C 2. V = IR >> R = V/I
이항정리 후 1번의 R 자리에 V/I 를 대입 정리하면 V/I = ρε / C 여기서 구하고자 하는 누설전류 I를 남기고 우변으로 넘기면 I = VC / ρε 가 나오고 그대로 대입하면 I= 500*10^3 * 200*10^-6 / 10^11 * 8.85*10^-12 * 2.2 I = 51.361[A] 3번
16.
자유공간 중에서 x=-2, y=4[m]를 통과하고 z축과 평행인 무한장 직선도체에 +z축 방향으로 직류전류 I[A]가 흐를때 점 (2,4,0)[m] 에서의 자계 H[A/m]는?
1.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앙페르 법칙을 적용하면 자계의 세기 H = I / 2*pi*r 이 됩니다. 이 때 직선도체와 (2,4,0)사이의 거리 r = 4가 되고, +z를 전류방향으로하여 오른나사법칙을 적용하면 크기는 I/8*pi이고 방향은 +y 방향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으뉴]
17.
환상 철심에 권수 1000회의 A코일과 권수 N회의 B 코일이 감겨져 있다. A코일의 자기 인덕턴스가 100[mH]이고, 두 코일 사이의 상호 인덕턴스가 20[mH], 결합 계수가 1일 때 B코일의 권수 N은?
공극이 있는 환상 솔레노이드에 권수는 1000회, 철심의 길이 ℓ은 10cm, 공극의 길이 ℓg 는 2mm, 단면적은 3cm2, 철심의 비투자율은 800, 전류는 10A라 했을 때, 이 솔레노이드의 자속은 약 몇 [Wb]인가? (단, 누설자속은 없다고 한다.)
1.
3×10-2
2.
1.89×10-3
3.
1.77×10-3
4.
2.89×10-3
정답 : [
3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N * I = R * 자속 이므로 자속 = N*I/R 이 됩니다. 자기저항 R = l/투자율*S 이므로 철심내에서와 공극 각각의 경우에서의 자기저항을 구한후에 대입하시면 3번이 나옵니다. 이 때 철심 내에세는 비투자율을 고려해주고 공극은 공기중에서이므로 비유전율을 1로 하여 자기저항을 구하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으뉴]
<문제 해설> 환상선로의 단락 보호에 사용되는 계전기 : 1. 방향 거리 계전 방식 2. 방향 단락 계전 방식
cf. > 전원이 2군데 이상 환상선로의 단락 보호 : 방향거리계전방식 (DZ) 전원이 2군데 이상 방사상선로의 단락 보호 : 방향단락계전기(DS)와 과전류계전기(OC)의 조합 [해설작성자 : 피카츄]
36.
고압 배전선로의 중간에 승압기를 설치하는 주목적은?
1.
부하의 불평형 방지
2.
말단의 전압강하 방지
3.
전력손실의 감소
4.
역률 개선
정답 : [
2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고압 배전선로의 중간에 승압기를 설치하는 주목적 고압 배전 선로의 길이가 길어서 전압강하가 너무 클 경우에 주상 변압기의 탭 조정만으로는 전압을 유지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긴다. 따라서, 고압 배전선로 중간에 승압기를 설치해서 말단의 전압 강하를 보상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Jacky]
37.
전력계통의 주파수 변동의 원인 중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1.
변압기의 탭 조정
2.
스팀 터빈 발전기의 거버너 밸브 열고 닫기
3.
발전기의 자동전압 조정기(AVR)의 동작
4.
송전선로에 병렬 콘덴서의 투입
정답 : [
2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유효전력변동 -> 주파수 변동 무효전력변동 -> 전압변동 스팀터빈 발전기의 거버너 밸브를 조정해 출력, 주파수 변화시킴 [해설작성자 : 된장민]
38.
직접 접지방식이 초고압 송전선에 채용되는 이유 중 가장 적당한 것은?
1.
지락 고장시 병행 통신선에 유기되는 유도 전압이 적기때문에
2.
지락시의 지락 전류가 적으므로
3.
계통의 절연을 낮게 할 수 있으므로
4.
송전선의 안정도가 높으므로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직접접지방식 - 1선 지락시 전위상승이 가장 낮음 - 선로 및 기기의 절연레벨을 경감 - 기기값이 저렴 - 보호계전기 동작이 신속, 확실 - 1선 지락 시 지락전류가 최대 - 영상분 전류로 인한 유도장해가 가장 큼 - 대용량 차단기 필요 - 과도안정도 저하
39.
단락점까지의 전선 한 가닥의 임피던스가 Z=6+j8[Ω](전원포함), 단락 전의 단락점 전압이 22.9[kV]인 단상 2선식 전선로의 단락용량은 몇 [kVA]인가? (단, 부하전류는 무시한다.)
1.
13110
2.
26220
3.
39330
4.
52440
정답 : [
2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단락전류)Is[A] = E / Z ▶ 22900 / 2 * √( 6^2 + 8^2 ) = 1145[A] 단락용량)Pr[kVA] = E * Is ▶ 22900 * 1145 * 10^-3 = 26220.5[kVA]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40.
각 수용가의 수용설비용량이 50[kW], 100[kW], 80[kW], 60[kW], 150[kW]이며, 각각의 수용률이 0.6, 0.6, 0.5, 0.5, 0.4일 때 부하의 부등률이 1.3이라면 변압기의 용량은 약 몇 [kVA]가 필요한가? (단, 평균 부하 역률은 80%라고 한다.)
[오류신고 반론] V1=a*V2=(6300/110)*120=6872.727 약 6900[V]입니다 [해설작성자 : JS]
[추가 오류 신고] 위 문제 답은 5775가 맞습니다. 실제 전기기사 문제는"2차측 전압 120[V]였다면 2차측 전압을 110[V]로 바꿀 때 1차측 탭을 몇[V]로 해야하는가?" 가 맞습니다. 120 과 110을 반대로 쓰심 [해설작성자 : 공겹취준]
[추가 오류 신고] 답 없습니다.5775V로 나와요. 간단하게 생각해 봅시다. 1차측 전압은 한전에서 보내는 겁니다. 변함이 없다는 것이죠. 2차측 권수비는 당연 변화 없습니다. 그럼 변화하는건 1차측 탭전압괴ㅡ 2차측 전압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풀어보시면 5775가 나옵니다. 이해합시다. 공식 암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로니콜먼 라잇웨잇]
[추가 오류 신고] 문제 입력을 잘못하신듯, 120과 110을 바꿔서 문제를 정정해주세요^^ 그러면 4번답이 맞습니다만, 지금 문제로 계산하면 5775가 맞음.
어서 문제를 수정해주세요 ^^ [해설작성자 : 십전팔기]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탭전압 조정이라는건 1차전압 일정한 상태에서 1차 권수를 조정하여 2차측 전압을 조정하는 겁니다. 2차측 권수를 건드는게 아니라는 겁니다. 그냥 일반적인 권수비 = 전압비 문제가 아니라는 소립니다. 즉 1차측 탭전압과 2차측 전압이 반비례 관계입니다. (1차측 전압과 2차측 권수가 일정하기 때문에) 문제보시면 2차측 전압을 증가하고싶어하죠? 그럼 1차측 탭전압을 낮춰야 합니다. 절대로 1차측 탭전압을 높히면 2차즉 전압을 높힐수가 없습니다. 계산을 하지 않아도 정답은 6300보다 낮아야 하는건 자명한 얘기라는 겁니다. 6300 X (110/120) = 5775 가 정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크흠]
[오류신고 반론] 같은 필기에서도 전기기기 과목에서와 전력공학 과목에서의 계산이 다릅니다. 즉, 전기기에서는 1차 전압의 탭이 변하는 경우.. 즉, 1차측 전압이 6300V에서 6900V로 변하는 경우에 변압기 2차측 전압을 묻는 것으로 이해해 주시기 바라며.. 전력공학, 혹은 실기에서는 1차측 입력 전압이 일정할 때, 1차측의 탭값을 바꾸어 2차측 전압을 변경시키는 것입니다. [해설작성자 : 어렵다 어려워]
42.
정격이 같은 2대의 단상 변압기 1000[kVA]의 임피던스 전압은 각각 8[%]와 7[%]이다. 이것을 병렬로 하면 몇[kVA]의 부하를 걸 수가 있는가?
1.
1865
2.
1870
3.
1875
4.
1880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정격이 같으므로 p/z가 다 같아야 함 그리고 임피던스가 작은 변압기 즉, (kva)가 큰 부하를 분담하므로 이것이 100까지 부하를 걸 수 있다. 그러므로 1000 x 15/8 =1875 [해설작성자 : 밍밍]
p0=(7/8+1)x1000 = 1875 [해설작성자 : 전기는 피카츄]
%Z가 작은 변압기에 부하분담이 더 크므로 %Z(a) = 7[%]인 변압기는 100[%]의 전력인 P(a) = 1,000[kVA]를 공급 또한 P(a)/P(b)={P(A)/P(B)}*{%Z(b)/%Z(a)}이므로 %Z(b) = 8[%]인 변압기는 P(b) = {P(B)P(a)/P(A)}*{%Z(a)/%Z(b)} = 1,000*(7/8) = 875[kVA]를 공급 따라서 총 공급량은 1,875[kVA] [해설작성자 : 홀홀홀]
정답은 1번 맞습니다 정답이 페이저 형태라서 그렇습니다 페이저형태에서 크기는 rms값입니다
79.
단자 a, b간에 25[V]의 전압을 가할 때, 5[A]의 전류가 흐른다. 저항 r1, r2에 흐르는 전류비가 1 : 3일 때 r1, r2의 값은?
1.
r1=12, r2=4
2.
r1=4, r2=12
3.
r1=6, r2=2
4.
r1=2, r2=6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전류비가 1:3 이므로 저항비는 3:1.따라서 r1:r2를 3r2:r2 로 놓고 전제합성저항을 구하면 R=2+(3/4×r2)가 됨. R=V/I 에 대입하면. 2+(3/4×r2)=5. 따라서 r2=4. 저항비 r1:r2 = 3:1 이므로 r1=3×4=12 가 됩니다. [해설작성자 : modelship]
80.
테브낭 정리를 사용하여 그림 (a)의 회로를 그림 (b)와 같이 등가회로를 만들고자 할 때 V[V]와 R[Ω]의 값은?
1.
V=5[V], R=0.6[Ω]
2.
V=2[V], R=2[Ω]
3.
V=6[V], R=2.2[Ω]
4.
V=4[V], R=2.2[Ω]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V = [R2/(R1+R2)]*E = [2/(2+3)]*10 = 4[V] R = 1+(3*2/3+2) = 2.2[Ω] 따라서, V=4[V], R=2.2[Ω] [해설작성자 : Jacky]
81.
사용전압이 35kV 이하인 특고압 가공전선과 가공 약전류 전선 등을 동일 지지물에 시설하는 경우, 특고압 가공 전선로는 어떤 종류의 보안공사로 하여야 하는가?
1.
제 1종 특고압 보안공사
2.
제 2종 특고압 보안공사
3.
제 3종 특고압 보안공사
4.
고압 보안공사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특고압 가공전선과 가공 약전류전선 등의 공가(판단기준 제202조) 사용전압이 35kV 이하인 특고압 가공전선과 가공약전류 전선 등(전력보안 통신선 및 전기철도의 전용부지 안에 시설하는 전기철도용 통신선을 제외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을 동일 지지물에 시설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 호에 따라야 한다. 1. 특고압 가공전선로는 제2종 특고압 보안공사에 의할 것. 2. 특고압 가공전선은 가공약전류 전선 등의 위로하고 별개의 완금류에 시설할 것. 3. 특고압 가공전선은 케이블인 경우 이외에는 인장강도 21.67kN 이상의 연선 또는 단면적이 55mm^2 이상인 경동연선일 것. [해설작성자 : Jacky]
동일지지물 시설 → 병가 OR 공가 → 제 2종 특고압 보안공사 [해설작성자 : 된장민]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021년 규정바뀜 접지공사삭제 [해설작성자 : ㅇㅇ]
[오류신고 반론] 보안공사는 그대로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2.
버스 덕트 공사에 덕트를 조영재에 붙이는 경우 지지점간의 거리는?
1.
2m 이하
2.
3m 이하
3.
4m 이하
4.
5m 이하
정답 : [
2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버스 덕트 공사(판단기준 제188조) 1. 덕트 상호 간 및 전선 상호 간은 견고하고 또한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할 것. 2. 덕트를 조영재에 붙이는 경우에는 덕트의 지지점 간의 거리를 3m(취급자 이외의 자가 출입할 수 없도록 설비한 곳에서 수직으로 붙이는 경우에는 6m) 이하로 하고 또한 견고하게 붙일 것. 3. 덕트(환기형의 것을 제외한다)의 끝부분은 막을 것. 4. 덕트(환기형의 것을 제외한다)의 내부에 먼지가 침입하지 아니하도록 할 것. 5. 저압 옥내배선의 사용전압이 400V 미만인 경우에는 덕트에 제3종 접지공사를 할 것. 6. 저압 옥내배선의 사용전압이 400V 이상인 경우에는 덕트에 특별 제3종 접지공사를 할 것. 다만,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는 경우에는 제3종 접지공사에 의할 수 있다. 7. 습기가 많은 장소 또는 물기가 있는 장소에 시설하는 경우에는 옥외용 버스 덕트를 사용하고 버스 덕트 내부에 물이 침입하여 고이지 아니하도록 할 것. [해설작성자 : Jacky]
KEC 232.61.1 시설조건 2. 덕트를 조영재에 붙이는 경우에는 덕트의 지지점 간의 거리를 3m(취급자 이외의 자가 출입할 수 없도록 설비한 곳에서 수직으로 붙이는 경우에는 6m)이하로 하고 또한 견고하게 붙일 것. [해설작성자 : 송전팔라딘]
83.
폭연성 분진 또는 화약류의 분말이 전기설비가 발화원이 되어 폭발할 우려가 있는 곳의 저압 옥내 전기설비는 어느 공사에 의하는가?
1.
캡타이어 케이블 공사
2.
합성 수지관 공사
3.
애자사용 공사
4.
금속관 공사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폭연성 분진이나 화약류 분말 있는 곳 배선 -> 금속관 공사 or 케이블 공사 캡타이어 케이블은 제외임. [해설작성자 : 된장민]
84.
고압 가공인입선의 높이는 그 아래에 위험표시를 하였을 경우에 지표상 몇 [m] 까지로 감할 수 있는가?
1.
2.5
2.
3
3.
3.5
4.
4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판단기준 제102조 (고압 인입선 등의 시설)
전선 - 인장강도 8.01kN 이상의 특고압 및 고압절연전선, 지름 5mm 이상의 경동선
고압 가공인입선의 높이는 지표상 3.5m 까지로 감할 수 있다. 케이블 이외의 것은 전선의 아래쪽에 위험 표시를 해야한다.
85.
가공 전선로에 사용하는 지지물의 강도 계산에 적용하는 풍압하중 중 병종풍압하중은 갑종풍압하중에 대한 얼마의 풍압을 기초로 하여 계산한 것인가?
1.
1/2
2.
1/3
3.
2/3
4.
1/4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한국설비규정 331.6(풍압하중의 종별과 적용) 병종 풍압하중:갑종 풍압하중의 2분의 1을 기초로 하여 계산한 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6.
고압 가공전선이 케이블인 경우 가공전선과 안테나 사이의 이격거리는 몇 [cm] 이상인가?
1.
40
2.
80
3.
120
4.
160
정답 : [
1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가공 전선과 안테나 사이의 이격거리(가섭선에 의하여 시설하는 안테나에 있어서는 수평 이격거리)는 저압은 60cm(전선이 고압 절연 전선, 특별 고압 절연 전선 또는 케이블인 경우에는 30cm)이상, 고압은 80cm(전선이 케이블인 경우에는 40cm)이상일 것. [해설작성자 : 소리벗고 팬티질러]
87.
고압 지중전선이 지중 약전류전선 등과 접근하거나 교차하는 경우에 상호의 이격거리가 몇 [cm] 이하인 때에는 두전선이 직접 접촉하지 아니하도록 조치하여야 하는가?
1.
15
2.
20
3.
30
4.
40
정답 : [
3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고압 지중 전선이 지중 약전류 전선과 접근교차하는 경우 상호의 이격거리가 30cm 이하인 경에는 지중전선과 관과의 사이에 견고한 내화성의 격벽을 시설하여야 한다. (판단기준 제141조)
88.
저압 옥내간선의 전원 측 전로에는 그 저압 옥내간선을 보호할 목적으로 어느 것을 시설하여야 하는가?
1.
접지선
2.
과전류 차단기
3.
방전 장치
4.
단로기
정답 : [
2
] 정답률 : 66%
89.
제 2종 접지공사를 시설하여야 하는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특고압 계기용 변압기의 2차측 전로
2.
변압기로 특고압 선로에 결합되는 고압 전로의 방전장치
3.
특고압 가공전선이 도로 등과 교차하는 경우 시설하는 보호망
4.
특고압 전로 또는 고압 전로와 저압 전로를 결합하는 변압기의 저압측 중성점
정답 : [
4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제 1종 접지 공사 - 특고압 계기용 변성기 2차측 - 고압 기계기구 외함 - 피뢰기 / 보호망/ 금속체 - 케이블을 넣는 방호장치 금속체 - 변압기 안정권선 / 내장권선
특별 3종접지 공사 - 400V 이상의 저압 기계 기구의 외함, 철대 [해설작성자 : ㅅㅅㅅ]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021 개정 후 삭제된 내용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0.
옥내전로에 대지전압에 대한 규정으로 주택의 전로 인입구에 절연변압기를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없이 시설하는 경우 정격용량이 몇 [kVA] 이하일 때 인체 보호용 누전차단기를 시설하지 않아도 되는가?
1.
2
2.
3
3.
5
4.
10
정답 : [
2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옥내전로의 대지 전압의 제한(판단기준 제166조) 1. 사용전압은 400V 미만일 것. 2. 주택의 전로 인입구에는 인체감전보호용 누전차단기를 시설할 것. 다만, 전로의 전원측에 정격용량이 3kVA 이하인 절연변압기(1차 전압이 저압이고 2차 전압이 300V 이하인 것에 한한다)를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고 또한 그 절연변압기의 부하측 전로를 접지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3. 누전차단기를 건축법에 의한 재해관리구역 안의 지하주택에 시설하는 경우에는 침수시 위험의 우려가 없도록 지상에 시설할 것. 4. 전기기계기구 및 옥내의 전선은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할 것. 5. 백열전등의 전구소켓은 키나 그 밖의 점멸기구가 없는 것일 것. 6. 정격 소비 전력 3kW 이상의 전기기계기구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로에는 전용의 개폐기 및 과전류 차단기를 시설하고 그 전로의 옥내배선과 직접 접속하거나 적정 용량의 전용콘센트를 시설할 것. [해설작성자 : Jacky]
91.
철주를 강관에 의하여 구성되는 사각형의 것일 때 갑종 풍압하중을 계산하려 한다. 수직 투영면적 1[m2]에 대한 풍압하중은 몇 [Pa]를 기초하여 계산하는가?
1.
588
2.
882
3.
1117
4.
1255
정답 : [
3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사각형의 것이라고 했기에 1117이 정답이 맞다 [해설작성자 : 이상민]
목주 - 588 (철주) 원형 588, 삼각형 또는 마름모 1412, 강관에 의해 구성된 사각형 1117 [해설작성자 : 된장민]
철탑 강관 1255 철주 강관 1117
92.
최대 사용전압 15[V]를 넘고 30[V] 이하인 소세력 회로에 사용하는 절연변압기의 2차 단락전류 값이 제한을 받지 않을 경우는 2차측에 시설하는 과전류 차단기의 용량이 몇 [A] 이하일 경우인가?
1.
0.5
2.
1.5
3.
3.0
4.
5.0
정답 : [
3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소세력 회로의 시설(판단기준 제244조) 1. 전자 개폐기의 조작회로 또는 초인벨․경보벨 등에 접속하는 전로로서 최대 사용전압이 60V 이하인 것 (최대 사용전류가, 최대 사용전압이 15V 이하인 것은 5A 이하, 최대 사용전압이 15V를 초과하고 30V 이하인 것은 3A 이하, 최대 사용전압이 30V를 초과하는 것은 1.5A 이하인 것에 한한다)으로 대지전압이 300 V 이하인 강 전류 전기의 전송에 사용하는 전로와 변압기로 결합되는 것은 다음 각 호에 따라 시설 하여야 한다. 가. 소세력 회로(少勢力回路)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변압기는 절연 변압기일 것. 나. 제1호의 절연변압기의 2차 단락전류는 표 244-1에서 정한 값 이하의 것일 것. 다만, 그 변압기의 2차측 전로에 과전류 차단기를 시설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2. 소세력 회로의 전선을 조영재에 붙여 시설하는 경우에는 다음에 의하여 시설할 것. 가. 전선은 케이블(통신용 케이블을 포함한다)인 경우 이외에는 공칭단면적 1.0 mm2 이상의 연동선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세기 및 굵기의 것일 것. 나. 전선은 코드․캡타이어 케이블 또는 케이블 일 것. 다만, 절연전선이나 통신용 케이블로서 다음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는 경우 또는 건조한 조영재에 시설하는 최대 사용전압이 30V 이하인 소세력 회로의 전선에 피복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해설작성자 : Jacky]
소세력회로(小勢力回路)(KEC241.14) 전자 개폐기의 조작회로 또는 초인벨·경보벨 등에 접속하는 전로로서 최대 사용전압이 60 V 이하인 것. (최대사용전류가, 최대 사용전압이 15 V이하인 것은 5 A 이하, 최대 사용전압이 15 V를 초과하고 30 V 이하인 것은 3 A 이하, 최대 사용전압이 30 V를 초과하는 것은 1.5 A 이하인 것에 한한다) [해설작성자 : 홀홀홀]
93.
가공공동지선에 의한 제2종 접지공사에 있어 가공공동지선과 대지간의 합성 전기저항 값은 몇[m]를 지름으로하는 지역마다 규정하는 접지 저항값을 가지는 것으로 하여야 하는가?
1.
400
2.
600
3.
800
4.
1000
정답 : [
4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고압 또는 특고압과 저압의 혼촉에 의한 위험 방지 - 가공 공동 지선과 대지간의 합성 전기 저항값은 1km를 지름으로 하는 지역마다 제 2종 접지 공사의 접지 저항 값을 가지는 것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ㅅㅅㅅ]
94.
옥내에 시설되는 전동기가 소손될 우려가 있는 경우 과전류가 생겼을 때 자동으로 차단하거나 경보를 발생하는 장치를 시설하여야 한다. 이 규정에 적용되는 전동기 정격 출력의 최소값은?
1.
150W 초과
2.
200W 초과
3.
250W 초과
4.
300W 초과
정답 : [
2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전동기의 과부하 보호 장치의 시설(판단기준 제174조) 옥내에 시설하는 전동기(정격 출력이 0.2㎾ 이하인 것을 제외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에는 전동기가 손상될 우려가 있는 과전류가 생겼을 때에 자동적으로 이를 저지하거나 이를 경보하는 장치를 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Jacky]
95.
제 1종 특고압 보안공사에 의해서 시설하는 전선로의 지지물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철탑
2.
B종 철주
3.
B종 철근 콘크리트주
4.
A종 철근 콘크리트주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특고압 전선로의 지지물 시설 - B종(B종 철주, B종 콘크리트 주) 및 철탑 [해설작성자 : 해설작성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021년 규정바뀜 접지공사삭제 [해설작성자 : ㅇㅇ]
[추가 오류 신고] 접지 보안공사는 삭제 아닙니다. [해설작성자 : 공부좀 똑바로하자]
96.
변압기 1차측 3300[V], 2차측 220[V]의 변압기 전로의 절연내력시험 전압은 각각 몇 [V]에서 10분간 견디어야 하는가?
1.
1차측 4950[V], 2차측 500[V]
2.
1차측 4500[V], 2차측 400[V]
3.
1차측 4125[V], 2차측 500[V]
4.
1차측 3300[V], 2차측 400[V]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변압기 및 회전기(회전변류기 제외) 절연내력시험 (변압기 : 충전부-대지 간 시험, 회전기 : 권선-대지 간 시험) 7000V 이하 : 1.5배 (최소 500V) 7000V 초과 : 1.25배 (최소 10,500V)
cf) 회전변류기 절연시험 : 권선-대지 간 시험, 직류 측 최대 사용전압의 1배 ( 최저 500V) [해설작성자 : 해설작성자]
97.
도로에 시설하는 가공 직류 전차선로의 경간은 몇 [m]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