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행동에 관한 레윈(Lewin)의 식, B = f( PㆍE )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인간의 개성(P)에는 연령과 지능이 포함되지 않는다.
2.
인간의 행동(B)은 개인의 능력과 관련이 있으며, 환경과는 무관하다.
3.
인간의 행동(B)은 개인의 자질과 심리학적 환경과의 상호 함수관계에 있다.
4.
B는 행동, P는 개성, E는 기술을 의미하며 행동은 능력을 기반으로 하는 개성에 따라 나타나는 함수 관계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B(behavior = 행동) P(person = 연령, 경험, 심신상태, 성격, 지능, 기타) E(environment = 환경) F(function = 적성, 기타 영향을 주는 조건) [해설작성자 : 자격광]
f(function) : 특정하는 단어는 없고 함수상태인것을 나타내는 단어입니다. [해설작성자 : 팥빵]
2.
다음 중 부주의의 현상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의식의 단절
2.
의식수준 지속
3.
의식의 과잉
4.
의식의 우회
정답 : [
2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부주의의 현상 4가지 : 의식의 단절, 의식의 우회, 의식 수준 저하, 의식 수준 과잉) [해설작성자 : 자격광]
3.
다음 중 통계에 의한 재해원인 분석방법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파레토도
2.
위험분포도
3.
특성요인도
4.
크로스분석
정답 : [
2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파레토도: 사고의 위험, 기인물 등 분류항목을 "큰순서대로 도표화"한다 2.특성요인도 : 특성과 요인관계를 도표로하여 어골상 세분화한것. 3.크로스분석:2개이상의 문제 관계를 분석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 데이터를 집계하고 표로 표시하여 요인별 결과내역을 교차한 크로스 그림을 작성항 분석한다. [해설작성자 : 이태원동존잘러]
4.
A 사업장에서 58건의 경상해가 발생하였다면 하인리히의 재해구성비율을 적용할 때 이 사업장의 재해구성 비율을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단, 구성은 중상해 : 경상해 : 무상해 순서이다.)
1.
2 : 58 : 600
2.
3 : 58 : 660
3.
6 : 58 : 330
4.
10 : 58 : 600
정답 : [
1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1:29:300 58=2*29 So, 2:58:600=2*(1:29:300) [해설작성자 : 이태원동존잘러]
5.
안전조직 중 직계-참모(line-staff)형 조직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안전스탭은 안전에 관한 기획ㆍ입안ㆍ조사ㆍ검토 및 연구를 행한다.
2.
500인 미만의 중규모 사업장에 적합하다.
3.
명령과 보고가 상하관계뿐이므로 간단명료하다.
4.
생산부문은 안전에 대한 책임과 권한이 없다.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①라인형과 스탭형의 장점을 취한 절충식 조직형태이다. ②안전업무를 전문으로 담당하는 스탭부문을 두고, 생산라인의각 층에도 안전 담당자를 두어 안전대책은 스탭부문에서 기획하고 이것을 라인을 통하여실시하도록 한 조직방식이다,. ③안전스탭은 안전에 관한 기획, 입안, 조사, 검토 및 연구를한다. ④라인의 관리, 감독자에게도 안전에 관한 책임과 권한이 부여된다. ⑤대규모(1,000명 이상) 사업장에 적용 [해설작성자 : 전설]
안전관리조직의 종류 종류 라인(Line)형,직계형 스태프(Staff)형,참모형 라인-스태프(Line-Staff)형,직계참모형 규모 소규모사업장(100명이하) 중규모사업장(100~1000명) 대규모사업장(1000명 이상) 장점 - 명령 및 지시가 빠르고 정확 - 안전정보 수집이 용이 - 라인형과 스태프형의 장점을 취한 조직 - 안전과 생산 통합관리
단점 안전정보가 불충분 안전과 생산 별개 취급 명령계통과 스태프간 충돌 [해설작성자 : 김툴툴]
<문제 해설> 기억과정은 기명, 파지, 재생, 재인의 단계를 거쳐서 비로소 기억이 되는 것이며, 도중에 재생이나 재인이 안 될 떄는 망각을 의미 [해설작성자 : 유기사]
8.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안전관리자를 정수 이상으로 증원하거나 교체하여 임명할 것을 명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중대재해가 연간 5건 발생한 경우
2.
안전관리자가 질병으로 인하여 3개월 동안 직무를 수행할 수 없게 된 경우
3.
안전관리자가 질병 외의 사유로 인하여 6개월 동안 직무를 수행할 수 없게 된 경우
4.
해당 사업장의 연간재해율이 전체 평균재해율 이상인 경우
정답 : [
4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4.해당 사업장의 연간 재해율이 같은 업종의 평균재해율의 2배이상인 경우 -중대재해가 연간 3건이상 발생 --->1번 -관리자가 질병이나 그 밖의 사유로 3개월 이상 직무를 수행 할 수 없데 된 경우 -직업성 질병자가 연간 3명 이상 발생한 경우 [해설작성자 : 이태원동 존잘러]
-해당 사업장의 연간재해율이 같은 업종의 평균재해율의 2배 이상인 경우 -중대재해가 연간 2건 이상 발생한 경우 (업장의 전년도 사망만인율이 같은 업종의 평균 사망만인율 이하인 경우는 제외) -관리자가 질병이나 그 밖의 사유로 3개월 이상 직무를 수행할 수 없게 된 경우 -직업성 질병자가 연간 3명 이상 발생한 경우 산업안전보건법 2019.12.26 개정
9.
다음 중 위험예지훈련에 있어 브레인스토밍법의 원칙으로 적절하지 않는 것은?
1.
무엇이든 좋으니 많이 발언 한다.
2.
지정된 사람에 한하여 발언의 기회가 부여된다.
3.
타인의 의견을 수정하거나 덧붙여서 말하여도 좋다.
4.
타인의 의견에 대하여 좋고 나쁨을 비평하지 않는다.
정답 : [
2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잠재의식을 일깨워 자유로이 아이디어를 개발 하자는 것 1. 비판금지, 2. 자유분방, 3. 대량발언, 4. 수정발언 [해설작성자 : 아반떼]
10.
다음 중 안전점검의 목적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사고원인을 찾아 재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2.
작업자의 잘못된 부분을 점검하여 책임을 부여하기 위함이다.
3.
재해의 재발을 방지하여 사전대책을 세우기 위함이다
4.
현장의 불안전 요인을 찾아 계획에 적절히 반영시키기 위함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안전 점검의 목적 1. 결함이나 불안전 조건의 제거 2. 기계 설비의 본래 성능 유지 3. 합리적인 생산관리 [해설작성자 : 뚜루미]
11.
산업안전보건법상 사업 내 안전ㆍ보건교육 중 근로자 정기안전ㆍ보건교육의 내용이 아닌 것은?
1.
산업안전 및 사고예방에 관한 사항
2.
산업보건 및 직업병예방에 관한 사항
3.
유해ㆍ위험 작업환경 관리에 관한 사항
4.
작업공정의 유해ㆍ위험과 재해 예방대책에 관한사항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근로자 정기 안전 보건교육의 내용 -산업안전 및 사고 예방에 관한 사항 -산업보건 및 직업병 예방에 관한 사항 -건강증진 및 질병 예방에 관한 사항 -유해,위험 작업환경 관리에 관한 사항 [해설작성자 : 이태원동존잘러]
12.
참가자 다수인 경우에 전원을 토의에 참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소집단을 구성하여 회의를 진행 시키는데 일명 6-6회의라고도 하는 것은?
1.
Symposium
2.
Buzz session
3.
Forum
4.
Panel discussion
정답 : [
2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심포지엄: 전문가에 의하여 과정 관한 견해 발표 나오면 답 버즈세션: 소집단 구성 및 6-6회의 나오면 답 포럼: 새로운 자료 교재 제시 나오면 답 패널 디스커션: 패널 멤버가 피교육자 앞에서 자유로이 토론 후 피교육자 참가 사회자 나오면답 [해설작성자 : 하기]
13.
1000명의 근로자가 근무하는 금속제품 제조업체에서 연간 100건의 재해가 발생하였다. 이 가운데 근로자들이 질병, 기타 사유로 인하여 총근로시간 중 3%가 결근하였다면 이 업체의 도수율은 약 얼마인가? (단, 근로자는 주당 48시간, 연간 50주를 근무하였다)
<문제 해설> 착오요인은 크게 3가지 인지과정착오- 정서불안정 감각차단 판단과정착오- 정보부족 능력부족 합리화 조치과정의착오 [해설작성자 : 이태원동존잘러]
19.
AE형 또는 ABE형 안전모에 있어 내전압성이란 얼마 이하의 전압에 견디는 것을 말하는가?
1.
750V
2.
1000V
3.
3000V
4.
7000V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내 전압성이란? 전압에 견디는 힘을 말 하며 그 견딤의 정도는 특고압에서도 작업이 가능 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아반떼]
20.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ㆍ보건표지의 색채와 색도 기준이 잘못 연결된 것은?
1.
빨간색 - 7.5R 4/14
2.
노란색 - 5Y 8.5/12
3.
파란색 - 2.5PB 4/10
4.
흰색 - N0.5
정답 : [
4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흰색 N 9.5
2과목 :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21.
다음 중 예비위험분석(PHA)의 목적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시스템의 구상단계에서 시스템 고유의 위험상태를 식별하여 예상되는 위험수준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2.
시스템에서 사고위험성이 정해진 수준이하에 있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3.
시스템내의 사고의 발생을 허용레벨까지 줄이고 어떠한 안전상에 필요사항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4.
시스템의 모든 사용단계에서 모든 작업에 사용되는 인원 및 설비 등에 관한 위험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설계단계 시초에 이루어지는 것이며 시스템 전체와 각 성분(구성부품)을 채용해 조산한다. 시스템 또는 서브시스템의 성분을 끄집어내어 고장에 의한 위험을 조사하고, 또 발생하는 위험과 거기에 미치는 위험의 정도나 개선방법을 조사한다. 또한 위험상태에 관해서는 사고의 발생형태 등을 고려해서 빠짐없이 예측하는 것이 필요하다.
22.
결함수분석(FTA)에 의한 재해사례의 연구 순서가 다음과 같을 때 올바른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④ → ⑤ → ③ → ① → ②
2.
② → ④ → ③ → ⑤ → ①
3.
③ → ④ → ① → ⑤ → ②
4.
⑤ → ③ → ② → ① → ④
정답 : [
3
] 정답률 : 77%
23.
다음 중 절대적 식별 능력이 가장 좋은 감각 기관은?
1.
시각
2.
청각
3.
촉각
4.
후각
정답 : [
4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인간의 후각 은 수많은 냄새의 미묘한 차이 식별가능 [해설작성자 : 하기]
24.
인력 물자 취급 작업 중 발생되는 재해비중은 요통이 가장 많다. 특히 인양 작업시 발생빈도가 높은데 이러한 인양 작업시 요통재해 예방을 위하여 고려할 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작업대상물 하중의 수직 위치
2.
작업대상물의 인양 높이
3.
인양 방법 및 빈도
4.
크기, 모양 등 작업대상물의 특성
정답 : [
1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화물을 당길 때 아래쪽으로 중력 가속도 작용해 많은 힘이 필요해 요통발생 [해설작성자 : 하기]
수직위치 x 수직거리 O [해설작성자 : ㅇㅗㅏㅇ]
25.
소음원으로 부터의 거리와 음압수준은 역비례한다. 동일한 소음원에서 거리가 2배 증가하면 음압수준은 몇 dB정도 감소하는가?
1.
2dB
2.
3dB
3.
6dB
4.
9dB
정답 : [
3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Db2=Db1-20*log(t2/t1) So, Db2-Db1=-20*log(2)=6.02 [해설작성자 : 이태원동존잘러]
26.
다음 중 최소 컷셋(Minimal cut sets)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컷셋 중에 타 컷셋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배제하고 남은 컷셋들을 의미한다.
2.
어느 고장이나 에러를 일으키지 않으면 재해가 일어나지 않는 시스템의 신뢰성이다.
3.
기본사상이 일어났을 때 정상사상(Top event)을 일으키는 기본사상의 집합이다.
4.
기본사상이 일어나지 않을 때 정상사상(Top event)이 일어나지 않는 기본사상의 집합이다.
<문제 해설> 인강공학이란, 인간 물자 컴퓨터 기계 환경 으로 이루어진 시스템을 설계함에 있어 연구 [해설작성자 : 이태원동존잘러]
인간공학은 기계와 그 기계조작 및 환경조건을 인간의 특성에 맞추어 설계하기 위한 수단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해설작성자 : ㅇㅇ]
39.
다음 중 Fitts의 법칙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표적이 크고 이동거리가 길수록 이동시간이 증가한다.
2.
표적이 작고 이동거리가 길수록 이동시간이 증가한다.
3.
표적이 크고 이동거리가 작을수록 이동시간이 증가한다.
4.
표적이 작고 이동거리가 작을수록 이동시간이 증가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표적을 사과라고 생각하면 사과가 작고 멀리있으면 사과에 조준하는 시간이 길어질테고 멀리있으니까 화살이 사과를 맞추는데 가까이 있을 때 보다 시간이 더 걸림. 반대로, 사과가 크고 가까이 있으면 조준하는 시간이 짧아지고 거리도 짧으니 이동시간이 짧아짐. 따라서 2번이 정답. [해설작성자 : 공부하기실타]
40.
열압박 지수 중 실효 온도(effective temperature) 지수 개발시 고려한 인체에 미치는 열효과의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롤러의 가드 설치방법에서 안전한 작업공간에서 사고를 일으키는 공간함정(trap)을 막기 위해 신체부위와 최소틈새가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다리 : 500mm
2.
발 : 300mm
3.
손목 : 200mm
4.
손가락 : 25mm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몸 500 다리 180 발&팔 120 손목 100 손가락 25 [해설작성자 : 이태원동존잘러]
55.
공기압축기에서 공기탱크내의 압력이 최고사용압력에 달하면 압송을 정지하고, 소정의 압력까지 강하하면 다시 압송작업을 하는 밸브는?
1.
감압 밸브
2.
언로드 밸브
3.
릴리프 밸브
4.
시퀸스 밸브
정답 : [
2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1. 감압 밸브 : 사용목적보다 유체의 압력이 높을 때 감압하고,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밸브 2. 언로드 밸브 : 일정한 조건하에서 펌프를 무부하(無負荷)로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밸브 3. 릴리프 밸브 : 압력을 분출하는 밸브 또는 안전밸브로, 압력용기나 보일러 등에서 압력이 소정 압력 이상이 되었을 때 가스를 탱크 외부로 분출하는 밸브 4. 시퀸스 밸브 : 2개 이상의 분기(分岐) 회로를 가지는 회로 중에서 그 작동 순서를 회로의 압력에 의하여 제어하는 밸브 [해설작성자 : ㄱㅌ]
56.
완전 회전식 클러치 기구가 있는 프레스의 양수 기동식 방호장치에서 SPM(Stroke Per Minute)이 150, 확동 클러치 봉합 개소 수 4개 인 경우 방호장치의 최소 안전거리는?
1.
48mm
2.
250mm
3.
360mm
4.
480mm
정답 : [
4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Dm=1.6Tm Tm=(1/클러치+1/2)*60000/매분행정수 [해설작성자 : forza milan]
57.
사전에 회전축의 재질, 형상 등에 상응하는 종류의 비파괴검사를 실시해야 하는 고속회전체는?
1.
회전축의 중량이 1톤을 초과하고, 원주속도가 100m/s 이상인 것
2.
회전축의 중량이 1톤을 초과하고, 원주속도가 120m/s 이상인 것
3.
회전축의 중량이 0.5톤을 초과하고, 원주속도가 100m/s 이상인 것
4.
회전축의 중량이 0.5톤을 초과하고, 원주속도가 120m/s 이상인 것
정답 : [
2
] 정답률 : 70%
58.
초음파 탐상법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반사식
2.
투과식
3.
공진식
4.
침투식
정답 : [
4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펄스'반사'법, 투과법, 공진법3가지가 있으며 펄스반사가 가장 많이 쓰임 [해설작성자 : 이태원동존잘러]
<참고> 선반의 안전작업 방법 1. 베드에는 공구를 올려놓지 말 것 2. 칩 제거는 운전 정지 후 브러시를 이용할 것 3. 양센터 작업시에는 심압대에 윤활유를 자주 주입 할 것 4. 공작물의 길이가 직경의 12~20배 이상일 때에는 방진구 사용하여 재료를 고정 할 것 5. 바이트는 끝을 짧게 할 것 6. 시동 전에 척 핸들을 빼둘 것 7. 반드시 보안경을 착용 8. 장갑은 착용금지 [해설작성자 : ㅇㅇ]
60.
산업안전 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정의하고 있는 동력을 사용하여 사람이나 화물을 운반하는 것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리프트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승강용 리프트
2.
건설작업용 리프트
3.
일반작업용 리프트
4.
간이 리프트
정답 : [
1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1. 이삿짐운반용 리프트 [해설작성자 : 하기]
리프트의 종류 건설작업용 리프트 : 화물운반설비, 건설현장에서 사용
일반작업용 리프트 : 화물운반설비, 건설현장외의 장소에서 사용
간이리프트 : 소형화물 운반을 주목적. 운반구의 바닥면적이 1제곱미터 이하, 천장높이가 1.2미터 이하 or 자동차정비용 리프트
이삿짐운반용 리프트 : 이삿짐 운반 등에 사용 [해설작성자 : ㅇㅇ]
4과목 : 전기위험방지기술
61.
1[C]을 갖는 2개의 전하가 공기 중에서 1[m]의 거리에 있을 때 이들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력은?
1.
8.854×10-12[N]
2.
1.0[N]
3.
3×103[N]
4.
9×109[N]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쿨롱의 법칙 F = k * q1 * q2 / r^2 - F : 두 전하가 반발 혹은 당기는 힘 단위는 [N] - q1 : 첫번째 전하량으로 단위는 [C] - q2 : 두번째 전하량으로 단위는 [C] - r : 두 전하 사이의 거리로 단위는 [m] - k : 비례 상수로 약 9 * 10^9 계산은 F = (9 * 10^9)* 1 * 1 * /1 = 9*10^9[N] [해설작성자 : kyle]
62.
대전이 큰 엷은 층상의 부도체를 박리할 때 또는 엷은 층상의 대전된 부도체의 뒷면에 밀접한 접지체가 있을 때 표면에 연한 수지상의 발광을 수반하여 발생하는 방전은?
1.
불꽃 방전
2.
스트리머 방전
3.
코로나 방전
4.
연면 방전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연면방전 - 큰 출력의 도전용 벨트, 항공기의 플라스틱창 등 기계적 마찰에 의하여 큰 표면에 높은 전하밀도가 조성될 때 발생됨 - 액체,고체절연제와 기체 사이의 경계에 따른 방전 [해설작성자 : 양평사나이]
63.
정전기 재해의 방지대책에 대한 관리 시스템이 아닌 것은?
1.
발생 전하량 예측
2.
정전기 축적 정전용량 증대
3.
대전 물체의 전하 축적 메커니즘 규명
4.
위험성 방전을 발생하는 물리적 조건 파악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정전기 재해 방지 관리 시스템 1. 발생 전하량 예측 2. 대전 물체의 전하 파악 3. 위험성 방전을 발생하는 물리적 조건 파악 [해설작성자 : ㅇㅇ]
64.
전기기기, 설비 및 전선로 등의 충전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장비는 어느 것인가?
1.
위상 검출기
2.
디스콘 스위치
3.
COS
4.
저압 및 고압용 검전기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검전기 : 전원의 충전여부 확인하는 장비 [해설작성자 : 이태원동존잘러]
65.
감전자에 대한 중요한 관찰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1.
인체를 통과한 전류의 크기가 50mA를 넘었는지 알아본다.
2.
골절된 곳이 있는지 살펴본다.
3.
출혈이 있는지 살펴본다.
4.
입술과 피부의 색깔, 체온의 상태, 전기출입부의 상태 등을 알아본다.
정답 : [
1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인체가 버틸 수 있는 최대 전류는 100mA입니다. [해설작성자 : 레오22]
66.
동판이나 접지봉을 땅속에 묻어 접지 저항값이 규정값에 도달하지 않을 때 이를 저하시키는 방법 중 잘못된 것은?
1.
심타법
2.
병렬법
3.
약품법
4.
직렬법
정답 : [
4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물리적 접지극 병렬접속 개수 증대(병렬법), 접지봉 깊게 설치(심타법), 접지극 매설 깊이, 매쉬(mesh)공법, 매설지선 및 평판 접지극 공법 이용 -화학적 접지극 주변 토양 개량, 접지저항 저감제(약품법) 사용 [해설작성자 : 내가 해설작성 자라니]
67.
활선작업용 기구 중에서 충전중 고압 컷 아웃 등을 개폐할 때 아크에 의한 화상의 재해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은?
1.
검전기
2.
활선장선기
3.
배전선용 후크봉(C.O.S 조작봉)
4.
고압활선용 jumper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 조작용 훅봉(배전선용 훅봉, 디스콘 봉) : 충전중인 고압의 컷 아웃 스위치 등을 개폐할 때 사용 - 절연봉(핫스틱) : 충전중인 고압의 전선 등을 조작할 때 사용 [해설작성자 : ㅇㅇ]
+추가내용 활선시메라 : 충전중인 고,저압전선을 장선하는 작업 등에 사용 [해설작성자 : 오름오름]
68.
공기의 파괴전계는 주어진 여건에 따라 정해지나 이상적인 경우로 가정할 경우 대기압 공기의 절연내력은 몇 [kV/cm] 정도인가?
1.
평행판전극 30kV/cm
2.
평행판전극 3kV/cm
3.
평행판전극 10kV/cm
4.
평행판전극 5kV/cm
정답 : [
1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대기압 공기의 절연내력은 평행판전극에서 약 30kV/cm 정도이다 [해설작성자 : ㅇㅇ]
69.
인화성 가스 또는 인화성 액체의 용기류가 부식, 열화 등으로 파손되어 가스 또는 액체가 누출 할 염려가 있는 경우의 방폭지역은?
1.
0종 장소
2.
1종 장소
3.
2종 장소
4.
비방폭지역
정답 : [
3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0종 장소 : 장치 및 기기들이 정상 가동되는 경우에 폭발성가스가 항상 존재하는 장소이다. 1종장소 : 장치 및 기기들이 정상 가동 상태에서 폭발성가스가 가끔 누출되어 위험분위기가 존재하는 장소이다. 2종장소 : 작업자의 조작상 실수나 이상운전으로 폭발성 가스가 누출되거나 유출된 가스가 체류하여 폭발을 일으킬 우려가 있는 장소이다. [해설작성자 : 산안기빡세]
70.
전기설비를 방폭구조로 하는 이유 중 가장 타당한 것은?
1.
노동 안전 위생법에 화재 폭발의 위험성이 있는 곳에는 전기설비를 방폭화 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2.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화재 폭발의 점화원으로서는 전기설비에 의한 것이 대단히 많으므로
3.
전기설비는 방폭화하면 접지 설비를 생략해도 되므로
4.
사업장에 있어서 자동화설비에 드는 비용이 가장 크므로 화재 폭발에 의한 어떤 사고에서도 전기 설비만은 보호하기 위해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인화성,가연성 물질이 화재 폭발을 발생시킬 수 있는 농도로 대기 중에 존재할 때 전기설비가 점화원이 되지 않게 하기 위해 방폭구조를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양평사나이]
71.
방폭지역 0종 장소로 결정해야 할 곳으로 틀린 것은?
1.
인화성 또는 가연성 물질을 취급하는 설비의 내부
2.
인화성 또는 가연성 액체가 존재하는 피트 등의 내부
3.
인화성 또는 가연성 가스가 장기간 체류하는 곳
4.
인화성 또는 가연성 증기의 순환통로를 설치한 내부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O종 장소는 위험 분위기가 지속적으로 또는 장기간 존재한 장소로 용기 내부, 장치 및 배관의 내부 등이 이에 속한다
72.
고압 및 특고압의 전로에 시설하는 피뢰기에 접지공사를 할 때 접지저항은 몇 [Ω] 이하이어야 하는가?
1.
150
2.
100
3.
20
4.
10
정답 : [
4
] 정답률 : 68%
73.
인체에 전기 저항을 500Ω이라 한다면, 심실세동을 일으키는 위험 한계 에너지는 약 몇 [J] 인가? (단, 심실세동전류값 그림참조 [mA]의 Dalziel의 식을 이용하며, 통전시간은 1초로 한다.)
불꽃이나 아크 등이 발생하지 않는 기기의 경우 기기의 표면온도를 낮게 유지하여 고온으로 인한 착화의 우려를 없애고 또 기계적, 전기적으로 안정성을 높게 한 방폭구조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유입 방폭구조
2.
압력 방폭구조
3.
내압 방폭구조
4.
안전증 방폭구조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 유입방폭 : 전기 불꽃, 아크 또는 고온이 발생하는 부분을 기름 속에 넣고, 기름면 위에 존재하는 폭발성 가스 또는 증기에 인화되지 않도록 한 구조(점화원격리) 2. 압력방폭 : 용기 내부에 보호가스(신선한 공기 또는 불연성 기체)를 압입하여 내부압력을 유지함으로써 폭발성 가스 또는 증기가 내부로 유입하지 않도록 된 구조(점화원격리) 3. 내압방폭 : 용기 내부에 폭발성 가스 및 증기가 폭발하였을 때 용기가 그 압력에 견디며 또한 접하면, 개구부 등을 통해서 외부의 폭발성 가스, 증기에 인화되지 않도록 한 구조(점화원격리) 4. 안전증방폭 : 정상운전 중에 폭발성 가스 또는 증기에 점화원이 될 전기불꽃, 아크 또는 고온 부분 등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계적, 전기적 구조상 또는 온도상승에 대해서 특히 안전도를 증가시킨 구조(점화원격리와 무관, 전기설비의 안전도 증강) [해설작성자 : ㄱㅌ]
79.
전기화재 발생원인의 3요건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발화원
2.
내화물
3.
착화물
4.
출화의 경과
정답 : [
2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내화물은 불을 안나게 해주는거임 [해설작성자 : 띵띵]
80.
내압 방폭구조의 주요 시험항목이 아닌 것은?
1.
폭발강도
2.
인화온도
3.
절연시험
4.
기계적 강도시험
정답 : [
3
] 정답률 : 56%
5과목 : 화학설비위험방지기술
81.
다음 중 분진폭발의 특징을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연소속도가 가스폭발보다 크다.
2.
안전 연소로 가스중독의 위험은 적다.
3.
가스 폭발보다 연소시간은 짧고, 발생에너지는 적다.
4.
화염의 파급속도보다 압력의 파급속도가 크다.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분진폭발은 연소속도와 폭발압력이 낮고 파괴력과 중독피해 위험이 크며 파급속도와 발생에너지가 크고 화염의 파급속도보가 압력의 파급속도가 크다 [해설작성자 : ㅇㅇ]
82.
메탄(CH4) 70vol%, 부탄(C4H10) 30vol% 혼합가스의 25℃, 대기압에서의 공기 중 폭발하한계(vol%)는 약 얼마인가? (단, 각 물질의 폭발하한계는 다음 식을 이용하여 추정, 계산한다.)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정한 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대상 업종이 아닌 사업장으로서 유해ㆍ위험물질의 1일 취급량이 염소 10000kg, 수소 20000kg 인 경우 공정안전보고서 제출대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R값은 얼마인가? (단, 유해ㆍ위험물질의 규정수량은 다음 [표]를 참고한다.)
1.
0.9
2.
1.2
3.
1.5
4.
1.8
정답 : [
1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안전도=(취급량/규정수량)의 총합 따라서 (10,000/20,000)+(20,000/50,000)=0.9 [해설작성자 : 이태원동존잘러]
88.
다음 정의에 해당하는 물질의 명칭으로 옳은 것은?
1.
흄(fume)
2.
분진(dust)
3.
미스트(mist)
4.
스모크(smoke)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미스트: 액체의 미세한 입자가 공기중 부유 분진: 기계적 작용에의해 발생 고체 미립자가 공기중 부유 스모크: 유기물의 불완전 연소에 의해 생긴 미립자 [해설작성자 : tjsgkr2002]
89.
다음 중 반응기를 조작방식에 따라 분류할 때 이에 해당 하지 않는 것은?
1.
회분식 반응기
2.
반회분식 반응기
3.
연속식 반응기
4.
관형식 반응기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반응기 분류는 조작방식과 구조방식이 있으며 관형식은 구조방식분류 [해설작성자 : 이태원동존잘러]
반응기의 구조에 의한 분류 -관형,탑형,교반기형,유동층형 [해설작성자 : 부자아빠]
90.
다음 중 연소 후에 재가 거의 없는 화재로 인화성 액체 등에 발생하는 화재의 급수는?
1.
A급
2.
B급
3.
C급
4.
D급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A 일반 B 유류 및 가스 C 전기 D 금속 K 주방 [해설작성자 : 쩡우야]
[오류신고 반론] 연소열은 반응 후에서 반응 전 열 빼주는 것이 맞습니다 답 -300.1 맞아요 [해설작성자 : 산안기쌉고수]
[오류신고 반론] C2H2의 표준반응열(생성열)이 54.194이므로 이를 역반응을 취해줘야 C2H2가 반응식의 왼쪽에 위치해있을수있습니다. 따라서 단순히 54.194가 아닌 -54.194를 통해 답을 구해야합니다. -54.194-2*94.052-57.598=-300.1 입니다. [해설작성자 : 연두]
[추가 해설] 강관비계 설치기준 변경시행 띠장방향 1.85M 이하로 2020년 1월 16일 로 변경시행하게 되었습니다.
* 추가로 띠장 설치간격은 첫단 2.0m이하 그외 1.5M이하에서>>>>> 첫단,그외 2.0M 이하로 개정되었습니다.
115.
다음 중 근로자의 추락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난간의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부난간대는 바닥면ㆍ발판 또는 경사로의 표면으로 부터 90cm 이상 120cm 이하에 설치하고, 중간난간 대는 상부난간대와 바닥면 등의 중간에 설치할 것
2.
발끝막이판은 바닥면 등으로부터 20cm 이하의 높이를 유지할 것
3.
난간대는 지름 2.7cm 이상의 금속제파이프나 그 이상의 강도를 가진 재료일 것
4.
안전난간은 임의의 점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움직이는 100kg이상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튼튼한 구조일 것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발끝막이판 10cm이상의 높이를 유지 [해설작성자 : forza milan]
116.
사업주는 높이가 3m를 초과하는 계단에는 높이 3m 이내마다 최소 얼마 이상의 너비를 가진 계단참을 설치하여야 하는가?
1.
3.5m
2.
2.5m
3.
1.2m
4.
1.0m
정답 : [
3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높이가 3m를 초과하는 계단에는 높이 3m이내마다 너비 1.2미터 이상의 계단참 설치
<참고> 계단의 설치 1. 계단 및 계단참의 강도는 500kg/m2 이상, 안전율은 4이상 2. 계단의폭은 1미터 이상 3. 높이가 3m를 초과시 높이 3m이내마다 너비 1.2미터 이상의 계단참 설치 4. 바닥면으로부터 높이 2미터 이내의 공간에 장애물이 없도록 해야함 5. 높이 1미터 이상인 계단의 개방된 측면에 안전난간 설치 [해설작성자 : ㅇㅇ ]
117.
다음 중 백호우(Backhoe)의 운행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경사로나 연약지반에서는 무한궤도식 보다는 타이어식이 안전하다.
2.
작업계획서를 작성하고 계획에 따라 작업을 실시하여야 한다.
3.
작업장소의 지형 및 지반상태 등에 적합한 제한속도를 정하고 운전자로 하여금 이를 준수하도록 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