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537134)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가) 시대의 생활 모습으로 옳은 것은? [1점](2023년 08월)

   

     1. 반달 돌칼로 벼를 수확하였다.
     2. 주로 동굴이나 막집에서 살았다.
     3. 반량전, 명도전 등 화폐를 사용하였다.
     4. 빗살무늬 토기를 만들어 식량을 저장하였다.
     5. 가락바퀴와 뼈바늘을 이용하여 옷을 만들었다.

     정답 : []
     정답률 : 94%
     <문제 해설>
뗀석기 라는것으로 보아서 구석기시대라는것을 알 수 있음
1. 청동기
2. 구석기
3. 철기
4. 신석기
5. 신석기
[해설작성자 : xmax]

2. 밑줄 그은 ‘이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2014년 05월)

   

     1. 김해 지역을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2. 읍군과 삼로라는 지배자가 있었다.
     3. 1책 12번이라는 엄격한 법이 있었다.
     4. 단궁, 과하마, 반어피 등을 생산하였다.
     5. 10월에 무천이라는 제천 행사를 열었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가야에 대한 설명입니다.

2. 동예
3. 부여, 고구려
4. 동예
5. 동예
[해설작성자 : 회사에서 공부중]

2. 옥저, 동예
3. 1책 12법
[해설작성자 : 울산공고]

3. (가) 국가의 경제 생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2016년 05월)

   

     1. 수도에 동시전을 설치하였다.
     2. 집집마다 부경이라는 창고가 있었다.
     3. 낙랑, 왜 등과 활발하게 교역하였다.
     4. 빈민을 구제하기 위해 진대법을 시행하였다.
     5. 단궁, 과하마, 반어피 등의 특산물이 있었다.

     정답 : []
     정답률 : 92%
     <문제 해설>
3.낙랑,왜 등과 활발하게 교역하였다(가야연맹)
[해설작성자 : 의리]

가야에 대한 설명이다.
1.신라 지증왕
2.고구려 부경(약탈창고)
3.가야
4.고구려 고국천왕(을파소의 건의)
5.동예
[해설작성자 : 공무워너]

4.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2점](2013년 08월)

   

     1. 안승을 보덕국의 왕으로 세웠다.
     2. 김흠돌의 모역 사건을 진압하였다.
     3. 당과 연합하여 백제를 멸망시켰다.
     4. 불교를 공인하여 왕권을 강화하였다.
     5. 기벌포 전투에서 당의 수군을 물리쳤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태종무열왕(김춘추)

1.문무왕
2.신문왕
4.법흥왕
5.문무왕
[해설작성자 : 죽창맨]

5. 다음 유물들이 발견된 발해 고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점](2010년 05월)

   

     1. 문왕의 딸인 정효 공주 묘이다.
     2. 중국 길림성 화룡현 용두산에 위치하고 있다.
     3. 힘찬 기상을 표현한 돌사자상이 출토되었다.
     4. 묘지명에‘황상(皇上)’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
     5. 고구려 계통의 모줄임 천장 구조를 계승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혜공주(문왕 둘째) : 육정산 고분군 (동모산 인근) / 고구려식 돌방무덤(모줄임천정) / 돌사자상 / 묘지석
정효공주(문왕 넷째) : 용두산 고분군 (중경 인근) / 당나라식 벽돌무덤 / 벽화(12명의 인물도) / 묘지석

사진은 정효공주무덤이므로 3,5번이 오답
[해설작성자 : 아이하눔]

[오류신고 반론]
정효공주묘 당나라식 벽돌무덤과 고구려 계통의 모줄임 천장 구조가 결합되어있다고 하네요

[오류신고 반론]
정혜공주묘 모줄임 천장구조(고구려 영향)
정효공주묘 평행고임 천장구조(고구려 영향)
[해설작성자 : 홍장군]

[오류신고 반론]
보기는 정효공주묘에 그려진 벽화. 그리고 정효공주묘지병서.

1.문왕 넷째딸 정효공주묘 맞다.
2.길림성 용두산에 있다.
4.묘지명에 황상이란 칭호를 사용한 사실은 그당시 발해왕이 황제적 지위를 누리고 있음을 보여준다.
5.정효공주묘에는 당나라 벽돌무덤양식 + 돌로 공간을 줄여나가면서 천장을 쌓는 고구려양식인 모줄임양식이 결합되어있다.

3.돌사자상은 정혜공주묘 앞에 있었떤 두개의 석상이다.

6. (가)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2022년 02월)

   

     1. 유식의 교의를 담은 해심밀경소를 저술하였다.
     2. 외교 문서 작성에 능하여 청방인문표를 작성하였다.
     3. 한자의 음훈을 빌려 우리말을 표기한 이두를 정리하였다.
     4. 신라 말의 사회상을 보여주는 해인사 묘길상탑기를 남겼다.
     5. 종파 간의 사상적 대립을 해소하기 위해 십문화쟁론을 지었다.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시무책 10여 조 - 최치원

1. 해심밀경소 - 승려 '원측'
2. 청방인문표 - '강수'
3. 이두 정리 - '설총'
4. 해인사 묘길상탑기 - '최치원' (O)
5. 십문화쟁론 - '원효'
[해설작성자 : 57회 79점ㅋㅋ]

7. (가)에 해당하는 국가유산으로 옳은 것은? [2점](2024년 08월)

   

     1.
     2.
     3.
     4.
     5.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 화엄사 사사자 삼층 석탑 : 통일 신라
2. 정림사지 오층 석탑 : 백제(7세기 백제 무왕)
3. 분황사 모전 석탑 : 신라(선덕 여왕 때 건립한 가장 오래된 탑)
4. 영광탑 : 발해
5. 불국사 삼층 석탑(석가탑) : 통일 신라(무구정광대다라니경, 금동풀상, 사리 보관함)
[해설작성자 : 한국사어렵다]

8. (가) 종파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2025년 05월)

   

     1. 하늘에 제사 지내는 초제를 거행하였다.
     2. 참선과 수행을 통한 깨달음을 강조하였다.
     3. 시경, 서경, 역경 등을 주요 경전으로 삼았다.
     4. 신선 사상을 기반으로 불로장생을 추구하였다.
     5. 인내천 사상을 내세워 인간 평등을 주장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가지산문 + 승탑 + 9세기 > 불교 선종
선종 > 참선과 수행 강조

1. 도교
2. 정답
3. 유교
4. 도교
5. 동학(천도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다음 검색창에 들어갈 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점](2018년 02월)

   

     1. 인안이라는 독자적 연호를 사용하였다.
     2. 장문휴를 보내 당의 등주를 공격하였다.
     3. 수도를 중경 현덕부에서 상경 용천부로 옮겼다.
     4. 대문예로 하여금 흑수 말갈을 정벌하게 하였다.
     5. 고구려 유민을 이끌고 동모산에서 나라를 세웠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다음 문제는 발해에 대한 내용이다. 발해는 우리나라의 중요한 역사의 한 부분이다. 중국이 자주 주장하는 헛소리로 발해는 중국의 과거 지방 정권 역사라고 말한다. 우리는 아니라는 것을 인식시키기 위해 자주 출제되는 문제가 발해이다. 그 증거 중에 하나가 바로 지방 정권이 아닌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고 그 연호와 관련하여 묻는 문제가 자주 출제된다.

->보기 자료는 발해의 왕 문왕(대흠무)를 말한다.
->존호 대흥보력효감금륜성법대왕 이라는 존호는 문왕의 딸 정효공주묘지 비문에 문황~ 대흥보력효감금륜성법대왕 이라고 적혀 있기 때문에 자체연호를 쓰는 황제국임을 밝히고 있다. 그래서 연호는 주로 대흥 보력 이라고 말한다. (일본에 보낸 국서에도 황제국이며 천손이라고 표현도 했다.)
->문왕의 자녀는 정혜공주 정효공주가 가장 많이 나오는 내용으로 주로 자녀들의 무덤에 관련하여 문제가 자주 출제되고 있다.

보기 해설
① 인안이라는 독자적 연호를 사용한 왕은 무왕을 말한다. 대외정복을 많이 하였다.
② 장문휴(발해장군)를 보내 당의 등주를 공격하라고 지시한 왕은 무왕으로 연호 인안을 쓰고 있다.
③ 수도를 중경 현덕부에서 상경 용천부로 옮긴 왕으로 문왕 대흠무를 말한다. 수도를 자주 옮긴 왕이다. 중경 현덕부 -> 상경 용천부(문왕755년)
④ 대문예를 보내 흑수 말갈을 정벌하게 시킨 왕은 무왕(연호:인안)을 말한다. 피지배계층인 말갈인 중에 말 안 듣는 흑수말갈을 정벌하기 위해서
무왕의 동생인 대문예를 보낸다. (대문예는 무왕의 동생이며 대조영(고왕, 연호: 천통)의 아들이다.
⑤ 고구려가 망하자 고구려 유민을 이끌고 만주 동모산에서 발해를 건국한 왕은 고왕으로 대조영을 말 한다.

발행의 주요 왕 순서와 연호-> 고왕<대조영>(천통), 무왕<대무예>(인안,) 문왕<대흠무>(대흥,보력), 성왕<대화여>(중흥,) 선왕<대인수>(건흥),
정도만 외워주면 문제를 쉽게 접근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미친 타이거 (티거루)]

10. 교사의 질문에 대한 학생의 답변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2점](2016년 05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가)는 백제 웅진시대 무덤 양식이며 (나)는 고구려 후기의 굴식 동방무덤입니다.
때문에 (가)는 중국 남조의 영향을 받았고 벽화가 있으며 금제관장식이 출토되었고 (나)는 중국의 영향을 받으며 구조상 도굴이 쉽고 껴묻거리가 출토되며 벽화가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수도공고학생]

ㄴ- 무덤의 돌레돌에 12지 신상을 조각한 것은 신라의 굴식 돌방무덤 양식
ㄹ- 고구려 후기 굴식 돌방무덤은 도굴용이하며 시신 추가 매장 가능하며 모줄임 천장이나, 신라의 돌무지 덧널무덤 양식은 도굴이 어려움
[해설작성자 : 알면 알수록 재밌다]

11. (가) 국가의 경제 상황으로 옳은 것은? [1점](2024년 05월)

    

     1. 특산품으로 솔빈부의 말이 유명하였다.
     2. 풍흉에 따라 9등급으로 전세를 거두었다.
     3. 감자, 고구마 등의 작물이 널리 재배되었다.
     4. 경시서의 관리들이 시전의 상행위를 감독하였다.
     5. 설점수세제를 시행하여 민간의 광산 개발을 허용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가):고려

1. 발해
2. 조선전기(세종 연분 9등법)
3. 조선후기
4. 정답
5, 조선후기
[해설작성자 : 생갈치1호의행방불명]

12. 다음 자료에 나오는 왕의 정책으로 옳은 것은? [3점](2010년 08월)

    

     1. 박위를 보내 대마도를 정벌하였다.
     2. 서경에 대화궁을 짓고 유신을 선포하였다.
     3. 화통도감을 설치하여 화약과 화포를 제작하였다.
     4. 북방 민족의 침입에 대비하여 천리장성을 쌓았다.
     5. 몽골 풍속을 금지하고 철령 이북의 땅을 수복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여기서 왕은 공민왕이다.
공민왕의 업적은 몽골풍, 변발 금지. 정동행성 이문소 폐지, 쌍성총관부 무력수복 등이다.
[해설작성자 : 클래식]

13. 다음 사건이 일어난 시기를 연표에서 옳게 고른 것은? [2점](2018년 10월)

    

     1. (가)
     2. (나)
     3. (다)
     4. (라)
     5. (마)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무신정권기 농민과 천민의 봉기

- 망이·망소이의 난
- 김사미·효심의 난
- 만적의 난
- 최광수의 난
- 이연년 형제의 난

[추가 해설]
위 두사건은 김사미,효심의 난과 최광수의 난으로 고려후기 무신정권에 일어난 봉기이다.
그러므로 무신정변과 개경환도 사이에 있는 (라)가 정답!!
[해설작성자 : 태태정꾸]

14. (가) ~(마)는 대몽 항쟁이 이루어진 지역이다. 이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점](2011년 05월)

    

     1. (가) - 박서의 부대가 몽골군을 물리쳤다.
     2. (나) - 김윤후가 몽골 장수 살리타를 사살하였다.
     3. (다) - 노군과 잡류가 몽골군과 싸워 이겼다.
     4. (라) - 황룡사 9층 목탑이 불타 버렸다.
     5. (마) - 배중손이 삼별초의 항쟁을 지휘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황룡사 9층 목탑이 불탄 곳은 경주입니다.
[해설작성자 : Myles Kennedy]

15. 밑줄 그은 '왕'의 재위 기간에 볼 수 잇는 모습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점](2023년 08월)

    

     1. 초량 왜관에서 교역하는 상인
     2. 내의원에서 동의보감을 읽는 상인
     3. 주자감에서 유학을 공부하는 학생
     4. 전민변정도감에 억울함을 호소하는 농민
     5. 황룡사 구층 목탑의 건립에 참여하는 장인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쌍성총관부 무력 수복, 기철 숙청은 원 간섭기에 공민왕이 반원자주정책으로 펼친 일이다.
또한 공민왕은 전민병정도감을 설치해 권문세족의 대농장을 몰수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6. 밑줄 그은 ‘이 역사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점](2015년 08월)

    

     1. 유교 사관에 기초하여 기전체 형식으로 서술하였다.
     2. 자주적 입장에서 단군의 건국 이야기를 수록하였다.
     3. 사초, 시정기 등을 바탕으로 실록청에서 편찬하였다.
     4. 불교사를 중심으로 고대의 민간 설화 등을 수록하였다.
     5. 고구려 건국 시조의 일대기를 서사시 형태로 서술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김부식의 삼국사기입니다.
[해설작성자 : 삼국사기]

1번 삼국사기
2번 제왕운기
3번 조선왕조실록
4번 삼국유사
5번 동명왕편
[해설작성자 : 천재지니어스]

17.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2점](2019년 08월)

    

     1. ㄱ,ㄴ
     2. ㄱ,ㄷ
     3. ㄴ,ㄷ
     4. ㄴ,ㄹ
     5. ㄷ,ㄹ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직지심체요절이 간행되고 사천대가 축조된 시기는 '고려'입니다. 따라서 고려와 관련된 선택지를 택하면 됩니다.

ㄱ. 기기도설을 참고해 거중기를 제작한 인물은 정약용이며, 조선 후기 정조 시절에 활동한 인물입니다.(X)
ㄴ. 최무선이 설치한 화통도감은 화약과 화포를 제작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왜구를 격퇴하였습니다.(O)
ㄷ. 향약구급방은 현재 가장 오래된 의서로, 무신정권(최우 집권)때 편찬되었습니다. 조선 초기 세종 때 편찬된 향약집성방과는 구분해야 합니다.(O)
ㄹ. 임원경제지는 서유구가 동물학ㆍ식물학ㆍ지질학 등을 기록한 일종의 백과사전이라고 보면 되는데, 조선 후기에 만들어졌습니다.(X)

정답은 3(ㄴ,ㄷ)입니다.
[해설작성자 : 존시나]

ㄷ. 고려 고종(최우 집권기)

18. (가), (나) 사이의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2점](2022년 08월)

    

     1. 최윤덕이 4군을 개척하였다.
     2. 일본 원정을 위해 정동행성이 설치되었다.
     3. 몽골 사신 저고여가 귀국길에 피살되었다.
     4. 철령위 설치 문제로 요동 정벌이 추진되었다.
     5. 서희가 외교 담판으로 강동 6주를 획득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쌍성총관부 설치 (1258)
쌍성총관부 수복 (1356) - 공민왕

1. 4군 6진 - 조선 세종
2. 정동행성 설치 (1280)
3. 저고여 피살 (1225)
4. 명의 철령위 설치 통고(1388)
5. 서희 외교담판 (993)
[해설작성자 : 장원석]

19. (가) 왕의 재위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2점](2022년 12월)

    

     1. 최무선의 건의로 화통도감이 설치되었다.
     2. 조선의 기본 법전인 경국대전이 완성되었다.
     3. 국방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비변사가 설치되었다.
     4. 세계 지도인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가 제작되었다.
     5. 한양을 기준으로 한 역법서인 칠정산이 간행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왕자의 난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태종 이방원이라는 것을 알 수 있음.
여기서 정답은 4번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이나 모르더라도 조선초기임을 기억하고
소거법으로 제거하면 됨.

1. 최무선 화통도감 : 고려말
2. 경국대전 완성 : 조선 성종(경국대전 제작은 세조때부터 시작되었다는 것도 기억해두자)
3. 비변사 : 조선 중기 ~ 후기
4. [정답]
5. 칠정산 : 세종(갑인자, 훈민정음, 삼강행실도, 4군6진, 계해약조, 농사직설, 대마도정벌 등...)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애]

20. (가) 왕의 재위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2점](2025년 05월)

    

     1. 간경도감이 설치되었다.
     2. 조선경국전이 편찬되었다.
     3. 국조오례의가 완성되었다.
     4. 부민고소금지법이 제정되었다.
     5.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가 제작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이시애의 난 > 세조

1. 정답
2. 조선 태조, 정도전
3. 조선 성종
4. 조선 세종
5. 조선 태종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1. (가), (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2019년 01월)

    

     1. (가)-단안(壇案)이라는 명부에 등재되었다.
     2. (가)-지방의 행정ㆍ사법ㆍ군사권을 행사하였다.
     3. (나)-감사, 도백으로도 불렸다.
     4. (나)-장례원(章隷院)을 통해 국가의 관리를 받았다.
     5. (가), (나)-잡과를 통해 선발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가.수령 - 8도의 부,목,군,현에 파견
     관찰사 - 8도에 파견
[해설작성자 : Tzone]

가 : 수령=지방관=목민관 : 8도의 부,목,군,현에 파견
나 : 향리


[추가 해설]
가: 8도의 ‘부 목 군 현’에 파견된다는 것으로 보아 => 수령(관찰사는 8도에 파견)
나: 행정 실무를 담당, 외역전을 받지 못한다=> 향리

1. (나)향리
3. 관찰사. 관찰사는 감찰권, 행정권, 군사권, 사법권을 행사할 수 있다.
4. 노비
5. 전문기술관 뽑는 것으로 둘 다 아님
[해설작성자 : 왜 아무도 보기는 해설 안 해줘...]

(가): 수령
(나): 향리

1. 단안 등재 : 향리
2. 지방 행정,사법,군사권 행사 : 수령
3. 감사, 도백 : 관찰사
4. 장례원으로 관리 받음 : 노비
5. 잡과를 통해 선발 : 중인(기술직 관리)
[해설작성자 : 태태정꾸]

22. (가)에 들어갈 그림으로 옳은 것은? [1점](2018년 08월)

    

     1.
     2.
     3.
     4.
     5.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정선의 육상묘도 / 정선의 금강전도

1. 정선, 인왕제색도
2. 강세황, 영통동구도
3. 안견, 몽유도원도
4. 김정희, 세한도
5. 강희안, 고사관수도
[해설작성자 : 가시연]

겸제=정선의 호
[해설작성자 : 한국사만점기원]

23. 다음 제도를 실시한 왕의 업적으로 옳은 것은? [1점](2015년 05월)

    

     1. 경국대전을 편찬하여 법령을 정비하였다.
     2. 대동법을 경기도에 시범적으로 시행하였다.
     3. 나선 정벌을 위해 조총 부대를 파견하였다.
     4. 금위영을 설치하여 5군영 체제를 완성하였다.
     5. 붕당 정치의 폐해를 경계하고자 탕평비를 건립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영조 - 균역법

1.성종
2.광해군
3.효종
4.숙종
[해설작성자 : 죽창맨]

24. 밑줄 그은 '이 성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점](2022년 12월)

    

     1. 개국 초기 정도전 등이 설계하였다.
     2. 도성조축도감이 축조를 관장하였다.
     3. 후금의 침입에 맞서 정봉수가 항전한 곳이다.
     4. 조선 시대 축성 기술의 변화 과정이 잘 나타나 있다.
     5. 일제 강점기 도시 정비 계획을 구실로 크게 훼손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한양도성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을 고르는 문제.
3번 정봉수가 항전한 곳은 "용골산성"임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애]

25. 밑줄 그은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2018년 02월)

    

     1. 양명학을 연구하여 강화 학파를 형성하였다.
     2. 서얼 출신으로 규장각 검서관에 임명되었다.
     3. 양반전에서 양반의 위선과 무능을 지적하였다.
     4. 의산문답에서 중국 중심의 세계관을 비판하였다.
     5. 우서에서 사농공상의 직업적 평등과 전문화를 내세웠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 하곡 정제두
2. 박제가, 이덕무, 유득공 등
3. 연암 박지원
4. 담헌 홍대용
5. 유수원
[해설작성자 : 탕탕평평실]

연암이라는 호를 쓰는 사람은 박지원입니다.
박지원의 저서 중에 <열하일기>라는 책이 있죠.
[해설작성자 : 얼떨결에 맞춤 ]

26. (가) 군사 조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2018년 02월)

    

     1. 수원 화성에 외영을 두었다.
     2. 국경 지대인 양계에 설치되었다.
     3. 후금과의 항쟁 과정에서 창설되었다.
     4. 급료를 받는 상비군이 주축을 이루었다.
     5. 응양군과 용호군으로 구성된 친위 부대였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 수원은 정조. 장용영
2. 양계는 고려
3. 수어청. 정묘호란
4. 훈련도감. 임진왜란
5. 2군 6위 고려.
[해설작성자 : 탕탕평평실]

본문 내용 중 '명의 군대만을 바라보며~' 라는 구절을 통해 임진왜란과 관련된 내용임을 알 수 있습니다.
임진왜란중에 훈련도감이 만들어졌죠.
[해설작성자 : 짜요]

27. 다음 글을 쓴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2019년 01월)

    

     1. 지전설과 무한우주론을 주장하였다.
     2. 남북국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였다.
     3. 북한산비가 진흥왕 순수비임을 고증하였다.
     4. 서얼 출신으로 규장각 검서관에 등용되었다.
     5. 여전론을 통해 마을 단위 토지 분배와 공동 경작을 주장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의산문답 - 홍대용 - 지전설, 무한우주론
[해설작성자 : 1년뒤다까먹음]

2. 유득공<발해고>
3. 김정희(추사체)
4. 박제가
5. 정약용
[해설작성자 : 합격할꺼야]

28. (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2016년 10월)

    

     1. 청과의 후시 무역을 주도하였다.
     2. 전국에 송방이라는 지점을 설치하였다.
     3. 주로 왜관을 중심으로 무역 활동을 하였다.
     4. 포구에서의 중개·금융·숙박업에 주력하였다.
     5. 상권 수호를 위해 황국 중앙 총상회를 조직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한성부를 관할구역의 난전을 단속하게 하는것은 시전상인이므로 (가)는 시전상인.

1번 청과 후시 무역주도                     -만상
2번 송방이라는 지점 설치                 -송상
3번 왜관을 주심으로 무역 활동         -내상
4번 중개,금융,숙박업 주력                -객주,여각
5번 황국 중앙 총상회                        -시전상인
[해설작성자 : LEE.C.M]

29. 밑줄 그은‘이 사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점](2010년 08월)

    

     1. 1870년경 - 박규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2. 1881년 - 조사 시찰단의 일원으로 참여하였다.
     3. 1884년 - 갑신정변 실패 후 일본으로 망명하였다.
     4. 1880년대 중반 - 중립화론을 제기하였다.
     5. 1895년 - 서유견문을 출간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3-김옥균
1,2,4,5-유길준

[추가 해설]
유길준은 갑신정변때 해외 유학중이였고 85년 국내 돌아오니 갑신정변 주동자들과 친하다는 이유로 체포되어 죽을뻔한것을
한규설의 도움으로 연금상태로 지내게 된다.
이때 심심했는지 서유견문 외 여러 책들을 1885년부터 집필하다가 을미개혁때 출판하게 됩니다.
그리고 1885~1887년에는 거문도점령 사건이 있었는데 조선중립화론을 발표했지만 정치적 영향력이나 연금상태로 지내기 때문에
깔끔하게 무시 당해버립니다.
이후 갑오개혁때 군국기무처 내무협판을 담당하면서 갑오개혁의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며
을미사변 이후 사건의 뒷수습을 위해 을미개혁에 참가하여 단발령을 강행하기도 하였습니다.
일심회와 연결하여 쿠데타를 시도하였으나 실패하고 일본 정부에 의해 오가사와라섬으로 유배가기도 합니다.
이후 고종폐위 뒤 흥사단 부단장 한성 부민회 회장을 역임하고
1909년 국어문법서인 대한문전을 저술하기도 하였습니다.

서유견문 대한문전 구당시초 노동야학독본 전부 유길준 작품이며
1971년에는 유길준전서 5권이 간행되었습니다.

이렇게 적는 이유는 대한문전,내무협판,일심회 쿠데타,흥사단을 한꺼번에 물어보고 유길준 업적이 아닌것을 고르라는 문제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30. (가)에 들어갈 세시 풍속으로 옳은 것은? [2점](2019년 10월)

    

     1. 동지
     2. 한식
     3. 칠석
     4. 유두
     5. 삼짇날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저도 이 문제 처음 볼 때 ?? 했는데 나머지 답을 소거하니까 답이 하나 남아요
1. 동지 = 팥죽 먹는날 = 12월쯤
2. 한식 = 음식 차갑게 먹는날
3. 칠석 = 사실 이거랑 많이 헷갈렸는데 칠석이 7월 7일이고 견우랑 직녀 관련된 이야기가 안 나와서 4번 골랐습니당
4. 유두 = 사진 속 내용
5. 삼짇날 = 꽃잎으로 전 만들어 먹는 날
[해설작성자 : 용주에요]

삼짇날은 음력 3월 3일로 강남에 갔던 제비가 돌아오는 날입니다!
[해설작성자 : 50회 어려우면 어떡하지]

31. (가) 인물이 추진한 정책으로 옳은 것은? [2점](2019년 05월)

    

     1. 나선 정벌을 위해 조총 부대를 파견하였다.
     2. 청과의 경계를 정한 백두산정계비를 세웠다.
     3. 신유박해로 수많은 천주교인들을 처형하였다.
     4. 대전통편을 편찬하여 통치 체제를 정비하였다.
     5. 환곡의 폐단을 시정하고자 사창제를 실시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서원철폐 - 흥선대원군
         1.    나선 정벌을 위해 조총 부대를 파견하였다. - 효종
         2.    청과의 경계를 정한 백두산정계비를 세웠다. -숙종
         3.    신유박해로 수많은 천주교인들을 처형하였다. -순조
         4.    대전통편을 편찬하여 통치 체제를 정비하였다. -정조
         5.    환곡의 폐단을 시정하고자 사창제를 실시하였다. -고종,흥선대원군
[해설작성자 : 조조]

순조때 있었던 일은 신유박해 공노비해방 홍경래의 난 이 정도만 아시면 순조 문제는 다 맞을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스피커]

4. 정조 - 대전통편 // 흥선대원군 - 대전회통, 육전조례
[해설작성자 : 한국사레전드]

32. 다음 자료에 나타난 사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2018년 05월)

    

     1. 최익현, 민종식 등이 주도하였다.
     2. 한성 조약이 체결되는 계기가 되었다.
     3. 보국안민, 제폭구민을 기치로 내걸었다.
     4. 구식 군인에 대한 차별 대우가 발단이 되었다.
     5. 사건의 수습을 위해 박규수가 안핵사로 파견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우정국 개국 축하연과 민영익이 칼에 맞은 점을 보아 급진 개화파에 의한 갑신정변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갑신정변의 결과로는 한성조약(일본과 조선 간의 조약)과 톈진조약(일본과 청나라 간의 조약)로 볼 수 있다.
[해설작성자 : ㅋㅋㅋ]

1. 을사의병
2. 갑신정변
3. 동학농민운동
4. 임오군란
5. 임술농민봉기
[해설작성자 : 3일남았닥]

33. (가)~(다) 학생이 발표한 내용을 일어난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2점](2022년 02월)

    

     1. (가) - (나) - (다)
     2. (가) - (다) - (나)
     3. (나) - (가) - (다)
     4. (나) - (다) - (가)
     5. (다) - (나) - (가)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가: 창의토적소 1906
나: 지부복궐척화의소 1876
다: 1895
[해설작성자 : 평생작심삼일]

가: 을사의병
나: 강화도 조약이 배경
다: 갑오개혁이 배경
[해설작성자 : 0.0]

단발령- 을미개혁
[해설작성자 : ㅇㅇ]

34. (가)~(다) 주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점](2016년 05월)

    

     1. (가)-이항로와 기정진 등이 대표적인 인물이다.
     2. (가)-흥선 대원군의 통상 수교 거부 정책을 뒷받침하였다.
     3. (나)-강화도 조약의 체결에 반대하였다.
     4. (나)-단발령과 을미사변을 계기로 제기되었다.
     5. (다)-조선책략의 유포로 인해 일어났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 위정척사운동의 시대적 변천

(가) 1860년대: 천주교가 유포되고 서양 세력의 통상 요구가 거세어지자 유생들은 외국과의 교역에 의한 국내 산업의 피폐, 천주교의 확산에 따른 미풍양속의 파괴 등을 들며 통상 반대론을 내세웠다. 병인양요(1866)가 일어나자 기정진, 이항로 등은 서양의 무력 침략에 맞서 싸우자는 척화주전론(서양과 화친을 배척하고 싸울 것을 주장)을 내세웠다. 이러한 주장은 유생들의 광범위한 호응을 얻었으며 흥선 대원군의 통상수교거부 정책을 뒷받침하였다.

(나) 1870년대: 일본이 조선에 개항을 요구하자 최익현을 비롯한 유생들은 일본과의 수교를 반대하는 개항 반대론을 주장하였다. 일본이 서양에게 이미 문호를 개방하였으므로 서양 세력과 다를 것이 없다는 왜양일체론을 주장하며 강화도 조약(1876.1) 체결에 반대하였다.

(다) 1880년대: 정부가 개화 정책을 추진하면서 ‘조선책략’을 유포하고 미국과 통상 조약을 체결하려 하자 유생들은 집단 상소를 올려 반발하였다. 이만손을 중심으로 한 영남 유생들은 ‘만인소’를 올려 ‘조선책략(러시아를 막기 위한 미.일과의 연대’의 내용을 조목조목 비판하면서 김홍집의 처벌을 요구하였다. 이를 계기로 전국적인 상소 운동이 전개되었다. 강원도 유생 홍재학은 정부의 개화 정책을 비판하였을 뿐만 아니라 국왕까지 규탄하였다가 처형당하였다.

④ 1890년대 이후: 1890년대 이후에는 을미사변과 단발령 실시에 항거하여 대대적으로 유인석(제천), 이소응(춘천) 등이 의병(을미의병, 1895~1896)을 일으키며 일본의 침략에 저항하는 의병 운동으로 이어졌다.
[해설작성자 : 부엉이]

35. 다음 가상 대화가 이루어진 시기 이후에 볼 수 있는 모습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2025년 02월)

    

     1. 척화비를 세우기 위해 돌을 다듬는 석공
     2. 거문도를 불법 점령하고 있는 영국 군인
     3. 연무당에서 일본과 조약을 체결하는 관리
     4. 보빙사의 일원으로 미국에 파견되는 역관
     5. 경부선 철도 개통식을 취재하는 신문 기자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전차: 갑오개혁 이후 세워짐
1. 척화비: 신미양요 이후
2. 영국 거문도 불법 정령: 갑오개혁 이전
3. 연무당 일본 조약: 강화도조약
4. 보빙사: 조미수호통상조약
5. 경부선 개통: 전차 개통 이후
[해설작성자 : 최태성완강]

영국의 거문도 불법점령은 1885~1887 입니다!!
[해설작성자 : ㅎㅇ]

36. (가) 운동의 배경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점](2025년 08월)

    

     1. 간도 참변으로 민간인이 학살되었다.
     2. 민영익을 대표로 한 보빙사가 파견되었다.
     3. 대한 제국의 마지막 황제 순종이 서거하였다.
     4. 언론사의 주도로 브나로드 운동이 전개되었다.
     5. 미국 대통령 윌슨이 민족 자결주의를 제창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민족자결주의 = 각 민족은 정치적 운명을 스스로 결정할 권리가 있으며, 다른 민족의 간섭을 받을 수 없다(1918.1)

1. 간도참변 (1920.10)
2. 보빙사파견(1883.7)
3. 순종 서거(1926)
4. 브나로드 운동(1930년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7. (가)~(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2023년 06월)

    

     1. (가) -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 신문이 간행되었다.
     2. (나) - 고종의 황제 즉위식이 거행된 장소이다.
     3. (다) - 백동화가 주조되었다.
     4. (라) - 을사늑약이 체결되었다.
     5. (마) - 나운규의 아리랑이 처음 상영된 곳이다.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가) 기기창 : 기기창은 1887년,조 조선 정부가 근대식 무기를 제조하기 위하여 건립한 기기국 소속 무기공장이다. / 최초의 근대 신문이 간행된 곳은 박문국이다.
(나) 제중원 터 : 제중원은 미국 선교의사 알렌과 조선 정부가 1885년에 최초로 설립한 서양식 병원이며, 조선 정부가 최초로 설립한 교육병원이다. / 고종의 황제 즉위식은 환구단에서 거행되었다.
(다) 박문국 터 : 박문국은 1883년 설치된 한국 최초의 근대적 인쇄소로, 이곳에서 한성순보를 발간했다. / 1892년 고종이 백동화를 발행한 곳은 전환국이다.
(라) 중명전 : 덕수궁 중명전은 1905년 11월, 일본에 의해 을사늑약이 강제로 체결된 장소이다.
(마) 원각사 터 : 원각사는 최초로 신연극<은세계>를 선보인 사설극장이다. / 1926년 나운규의 아리랑이 개봉한 곳은 단성사이다.
[해설작성자 : 한번에 붙고 싶어요]

38. (가) 단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2023년 08월)

    

     1. 중일 전쟁 발발 직후에 결성되었다.
     2. 군대식 조직을 갖춘 비밀 결사였다.
     3. 파리 강화 회의에 대표를 파견하였다.
     4. 일제가 꾸며낸 105인 사건으로 와해되었다.
     5. 만민 공동회를 열어 열강의 이권 침탈을 비판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박상진 대한광복회
1. 1937년
4. 신민회
5. 만민공동회 독립협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신한청년당 (대표 김규식)
[해설작성자 : 셋쟝]

39. 다음 자료의 단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2점](2010년 05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ㄱ, ㄴ, ㄷ
     5.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21%
     <문제 해설>
공화정체의 국민 국가 수립을 지향하였다. - 대한광복회
[해설작성자 : 문채리]

대한자강회에 대한 문제

구한말 애국계몽운동 단체중
공화정체 국민국가 수립을 지향한 단체는    신민회

나머지 설명인 ㄴ ㄷ ㄹ 은 다 대한자강회에 대한 설명이 맞습니다

사진은 대한자강회 월보 한국사관련 교과서나 수험서에 그림 있음.


[해설작성자 : 1]

40. (가), (나) 사이의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3점](2022년 04월)

    

     1. 좌우 합작 위원회가 출범하였다.
     2. 여수 순천 10·19 사건이 일어났다.
     3. 미국 의회에서 트루먼 독트린이 발표되었다.
     4. 베트남 파병에 관한 브라운 각서가 체결되었다.
     5. 거제도 포로 수용소에 있던 반공 포로가 석방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조선건국준비위원회(여운형,안재홍,조선건국동맹)-모스크바 삼국 외상 회의-1차 미소공동위원회-정읍 발언(이승만)-좌우합작위원회(여운형,김규식)-유엔상정(트루먼 독트린)-김구 단독정부 반대-제주 4.3-납북협상(김구,김규식)-5.10총선거-제헌헌법-대한민국 정부수립-여수.순천 10.19사건

애치슨선언-북한군 남침(낙동강 방어선)-유엔군 참전-인천상륙작전(맥아더, 서울수복)-중국군 개입-흥남 철수-1.4후퇴(서울 뺏김)-서울 재탈환-정전회담-국민 방위군 사건(군인 아사)-거제 포로 석방-정전 체결(개성 판문점)-한미 상호방위 조약체결-삼백 산업 발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브라운각서-박정희 정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가) - 애치슨 선언
(나) - 한미상호방위조약
그러므로 위의 순서에 따라 답은 5번
[해설작성자 : 문계훈]

41. (가) 단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2025년 08월)

    

     1. 최초로 한글에 띄어쓰기를 도입하였다.
     2. 국어 문법서인 대한문전을 편찬하였다.
     3. 태극 서관을 설립하여 서적을 보급하였다.
     4. 조선말(우리말) 큰 사전 편찬을 추진하였다.
     5. 국문 연구소를 두어 한글을 체계적으로 연구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조선어학회>에 대한 설명입니다. <한글 맞춤법 통일안>, <조선어 표준말 모음>, <외래어 표기법 통일안> 등을 공표했으며, 조선어 사전 편찬 중 조선어학회사건을 겪기도 했습니다.

1. 띄어쓰기: 중국에서 활동하던 스코틀랜드 국교회 선교사 '존 로스'가 편찬한 <한국어 첫걸음(1877)>에서 첫 도입됨
2. 대한문전: 안악면학회에서 1908년 발행
3. 태극 서관: 신민회가 설립한, 서적 출판 및 보급을 위한 기관
5. 국문 연구소: 1907년 대한제국 정부가 학부 안에 설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2. 밑줄 그은 ‘시기’에 볼 수 있는 모습으로 적절한 것은? [2점](2021년 04월)

    

     1. 원산 총파업에 참여하는 노동자
     2. 조선 태형령 실시를 관보에 게재하는 직원
     3. 조선어 학회 사건으로 탄압받는 한글 학자
     4. 조선 민립 대학 기성회 창립 총회에 참석하는 교사
     5. 경성 제국 대학 설립 업무를 수행하는 조선 총독부 관리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밑줄 그인시기는 1930년대 민족말살시기이다

1910년대 무단정치
1920년대 문화정치    
1930년대이후 민족말살시기를 구별

1. 문화정치
2. 무단정치
3. 정답
4. 문화정치
5. 문화정치
정답은 3번
[해설작성자 : 양양]

43. 다음 작품을 남긴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 에서 모두 고른 것은? [2점](2009년 05월)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4. ㄱ, ㄷ, ㄹ
     5.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문제의 작품은 추사 김정희의 '부작란'이다.
ㄱ과 ㄴ은 김정희에 대한 내용이 맞고,
ㄷ은 '정선'의 그림에 대한 설명이며,
ㄹ은 '이익'의 역사관에 대한 설명이다.
[해설작성자 : 15학번 공민구]

44. 다음과 같은 남북 합의 사항의 결과로 옳은 것은? [2점](2012년 01월)

    

     1. 개성 공업 단지가 조성되었다.
     2. 남북 조절 위원회가 구성되었다.
     3. 남북이 동시에 유엔 회원국이 되었다.
     4. 한반도 비핵화 공동 선언이 채택되었다.
     5. 최초의 이산가족 교환 방문이 실현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 6.15 공동선언

1998년에 김대중 정부가 들어선 이후 정부와 민간 차원의 교류가 크게 확대되었다. 마침내 평양에서 정상 회담이 이루어져 6·15 남북 공동 선언이 발표되었다(2000).

이후 합의 사항인 개성 공단 건설, 금강산 관광과 경의선 연결, 남북 이산 가족 상봉 등이 실현되어 남북 간의 긴장 완화와 화해 협력이 진전되고 있다.
[해설작성자 : 부엉이]

1. 6.15남북공동선언 - 김대중
2. 7.4남북공동성명 - 박정희
3. 노태우 - un동시가입 , 남북 기본 합의서, 한반도 비핵화선언 순서입니다.
4. 노태우
5. 전두환 - 3저호황(저유가 저금리 저달러), 이산가족 최초상봉
[해설작성자 : 합격하세요]

45. 밑줄 그은 '이 사건'이 일어난 시기를 연표에서 옳게 고른 것은? [3점](2022년 06월)

    

     1. (가)
     2. (나)
     3. (다)
     4. (라)
     5. (마)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진보당사건
1958년 7월 조봉암을 비롯 진보당 간부들을 국가변란 간첩죄로 체포 사형
[해설작성자 : 3수]

46. (가) 단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점](2016년 05월)

    

     1. 조선 혁명 선언을 활동 지침으로 하였다.
     2. 비밀 행정 조직으로 연통제를 실시하였다.
     3. 고종의 밀지를 받아 결성된 비밀 단체이다.
     4. 일제가 꾸며낸 105인 사건으로 해체되었다.
     5. 단원인 이봉창이 일왕의 행렬에 폭탄을 던졌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 김상옥 열사가 활동한 의열단

의열단은 1919년 11월 만주 지린성에서 조직된 항일 무력독립운동 단체로서, 김원봉, 윤세주 등이 이끌었다. 당시 만주와 중국 본토에서 조직된 독립운동단체들이 미온적이고 온건하다고 본 의열단은 직접적 투쟁방법인 암살과 파괴·테러라는 과격한 방법을 통해 독립운동을 해나기로 했다.

1923년 1월에 발표한 조선혁명선언(일명 의열단 선언) 신채호는 일체의 타협주의를 배격하고 오직 폭력적 민중혁명에 의한 일제의 타도라는 전술을 내걸었다.

이에 따른 김상옥(1923, 종로경찰서 폭탄 투척), 김익상(1921, 조선총독부 폭탄 투척), 나석주(1926, 동.척과 식산은행 폭탄 투척) 등의 의거가 대표적이다.

김원봉은 이러한 개인 의거 활동의 한계를 느끼고 1925년 몸소 중국 황포 군관학교에 입교하였다. 이 학교에 포진된 공산주의 교수진의 영향을 받아 점차 김원봉과 의열단 지도부는 이후 노선을 바꿔 조선혁명간부학교(1932)를 세워 훈련시키고, 정당 조직(후일 1935년 민족혁명당 결성)과 군사 조직(후일 1938년 조선 의용대 결성) 형성의 방향으로 나아가게 되었다

② 초기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비밀행정조직망으로 연통제와 교통국을 이용하였다.

③ 최익현의 제자 임병찬이 1912년 조직한 독립의군부는 고종의 밀지에 따라 의병을 모으고, 총독부에 국권반환요구서를 제출하고자 하며 대한제국을 재건하고자 하는 복벽주의를 추구하였다.

④ 비밀결사 애국계몽운동 단체 신민회(1907~1911)는 국내에서 문화.경제적 실력양성 운동을 전개하며 점차 국외 독립기지 건설 등 군사적 실력양성을 꾀하였으나, 일제가 조작한 105인 사건으로 해체되었다.

⑤ 1920년대 후반 이후 침체기에 빠진 임시정부에 활기를 불어 넣기 위해 김구는 1931년 한인 애국단을 결성하여 1932년 이봉창(일왕 폭탄 투척), 윤봉길의 의거(상해 홍구 공원 폭탄 투척)를 이루어내어 중국 국민당의 지원을 받게 되었다.
[해설작성자 : 부엉이]

1.의열단
2.임시정부
3.독립의군부
4.신민회
5.한인애국단
[해설작성자 : 진월동 꿀주먹]

47. 밑줄 그은‘이것’을 두는 위치와 그 명칭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2점](2012년 01월)

    

     1. (ㄱ) - 용마루
     2. (ㄴ) - 추녀마루
     3. (ㄴ) - 내림마루
     4. (ㄷ) - 추녀마루
     5. (ㄷ) - 내림마루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 조선 궁궐 건축물 지붕의 추녀마루 장식(잡상)

한국의 전통적 지붕 모양은 오래 된 형식으로 우진각지붕·팔작지붕·맞배지붕 등이 있다.

특히 제시된 자료인 팔작지붕에는 용마루, 내림마루, 추녀마루가 아주 명확히 드러나는데, 가장 위의 용마루 끝에는 취두(鷲頭)가 설치되었고, 그 양끝에서 건물 측면의 양모서리로 각각의 추녀마루를 만들어 용마루와 연속되는 경사진 지붕마루를 구성하고 있으며(내림마루), 추녀마루 위에는 용두(龍頭)와 잡상(雜像)이 설치되었다.
[해설작성자 : 부엉이]

48. (가), (나) 사이의 시기에 있었던 경제 상황으로 옳은 것은? [2점](2015년 10월)

    

     1.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에 가입하였다.
     2. 칠레와 자유 무역 협정(FTA)을 체결하였다.
     3. 미국의 경제 원조로 소비재 산업이 발달하였다.
     4. 제3차 경제 개발 계획으로 중화학 공업이 육성되었다.
     5. 개성 공단 건설을 통해 남북 간 경제 교류가 이루어졌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가)는 저금리, 저유가, 저달러 3저 호황으로 전두환 정부(1980년대)를 찾아낼 수 있어야합니다.
(나)는 국제통화기금을 통해 대규모 금융지원을 받은 정부는 김영삼 정부(1997)입니다. 이후 김대중 정부로 이어져 금모으기 운동 등이 전개되었죠.

1. OECD에 가입한 년도는 1996년으로 정답이 됩니다.
2. 칠레와 자유무역을 체결한 년도는 2004년, 노무현 정부 때 입니다.
3. 미국의 원조로 소비재 산업이 발달한 것은 이승만 정부 때 입니다.
4. 3차 경제 개발(1972~1976)은 박정희 정부 때 입니다.
5. 개성공단은 6.15 남북공동선언 이후, 추진되었죠.
[해설작성자 : 냠냠]

49. 다음 문서가 작성된 이후의 사실로 옳은 것은? [2점](2021년 04월)

    

     1. 전국 민주 노동조합 총연맹이 창립되었다.
     2. 저유가, 저금리, 저달러의 3저 호황이 있었다.
     3. 제2차 석유 파동으로 경제 불황이 심화되었다.
     4. 대통령 긴급 명령으로 금융 실명제가 실시되었다.
     5. 대통령 직속 자문 기구인 노사정 위원회가 구성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김영삼-oecd 가입, 지나친 해외투자 벌이기로 외화 부족→정권 말에 imf 외환위기 발생

→다음 해에 김대중 당선(15대)되고 노사정 위원회 설립(실직 등 고용 문제 해결하기 위해), 금 모으기 운동
[해설작성자 : misfits]

자료의 내용은 "IMF 외환위기"로 인하여 국제통화기금 차관을 요청하는 자료로 1997년 김영삼 정부시기의 사실이다.
1997년 이후의 사실을 고르면 되는 문제로 상당히 어려운 문제라고 본다. 2번과 3번, 4번은 공부를 하였으면 쉽게 선택지를 지울 수 있지만, 1번과 5번으로 답이 압축되어서 1번과 5번의 시기를 정확하게 알아야 풀수 있는 고난이도 문제이다.

1. 전국 민주 노동조합 총연맹(이하 민노총)은 1995년 김영삼 정부 시기의 사실이다. 1997년 IMF보다 이전의 사실이다.
2. 3저 호황은 전두환 정부 시기의 사실이다.
3. 제2차 석유파동은 1970년대 중반 박정희 정부 시기의 사실이다.
4. 금융실명제는 1993년 김영삼 정부 시기의 사실로, 1997년 IMF보다 이전의 사실이다.
5. 노사정 위원회는 IMF 사태 이후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한 국민적 합의를 이끌어 내기 위하여 노동 단체, 사용자 단체, 정치권과 정부가 위원회 구성에 전격 합의함에 따라 1998년 1월 15일에 제1기 노사정 위원회가 정식으로 발족되었다. 따라서 1998년 시기의 사실이므로 김대중 정부 초기 때의 일이다.

정답 : ⑤
[해설작성자 : 혜이닝]

50. (가), (나) 지역에서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2점](2024년 05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가) 달구벌, 228 -> 대구
나) 518 -> 광주

ㄱ. 국채(07) 대구(서상돈, 김광제)
ㄷ. 광주 학생 운동(29)
[해설작성자 : 아는 것만]

ㄴ.yh무역 사건 서울
ㄹ.김주열은 마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정 답 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537134)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가) 시대의 생활 모습으로 옳은 것은? [1점](2023년 08월)

   

     1. 반달 돌칼로 벼를 수확하였다.
     2. 주로 동굴이나 막집에서 살았다.
     3. 반량전, 명도전 등 화폐를 사용하였다.
     4. 빗살무늬 토기를 만들어 식량을 저장하였다.
     5. 가락바퀴와 뼈바늘을 이용하여 옷을 만들었다.

     정답 : []
     정답률 : 94%
     <문제 해설>
뗀석기 라는것으로 보아서 구석기시대라는것을 알 수 있음
1. 청동기
2. 구석기
3. 철기
4. 신석기
5. 신석기
[해설작성자 : xmax]

2. 밑줄 그은 ‘이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2014년 05월)

   

     1. 김해 지역을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2. 읍군과 삼로라는 지배자가 있었다.
     3. 1책 12번이라는 엄격한 법이 있었다.
     4. 단궁, 과하마, 반어피 등을 생산하였다.
     5. 10월에 무천이라는 제천 행사를 열었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가야에 대한 설명입니다.

2. 동예
3. 부여, 고구려
4. 동예
5. 동예
[해설작성자 : 회사에서 공부중]

2. 옥저, 동예
3. 1책 12법
[해설작성자 : 울산공고]

3. (가) 국가의 경제 생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2016년 05월)

   

     1. 수도에 동시전을 설치하였다.
     2. 집집마다 부경이라는 창고가 있었다.
     3. 낙랑, 왜 등과 활발하게 교역하였다.
     4. 빈민을 구제하기 위해 진대법을 시행하였다.
     5. 단궁, 과하마, 반어피 등의 특산물이 있었다.

     정답 : []
     정답률 : 92%
     <문제 해설>
3.낙랑,왜 등과 활발하게 교역하였다(가야연맹)
[해설작성자 : 의리]

가야에 대한 설명이다.
1.신라 지증왕
2.고구려 부경(약탈창고)
3.가야
4.고구려 고국천왕(을파소의 건의)
5.동예
[해설작성자 : 공무워너]

4.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2점](2013년 08월)

   

     1. 안승을 보덕국의 왕으로 세웠다.
     2. 김흠돌의 모역 사건을 진압하였다.
     3. 당과 연합하여 백제를 멸망시켰다.
     4. 불교를 공인하여 왕권을 강화하였다.
     5. 기벌포 전투에서 당의 수군을 물리쳤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태종무열왕(김춘추)

1.문무왕
2.신문왕
4.법흥왕
5.문무왕
[해설작성자 : 죽창맨]

5. 다음 유물들이 발견된 발해 고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점](2010년 05월)

   

     1. 문왕의 딸인 정효 공주 묘이다.
     2. 중국 길림성 화룡현 용두산에 위치하고 있다.
     3. 힘찬 기상을 표현한 돌사자상이 출토되었다.
     4. 묘지명에‘황상(皇上)’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
     5. 고구려 계통의 모줄임 천장 구조를 계승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혜공주(문왕 둘째) : 육정산 고분군 (동모산 인근) / 고구려식 돌방무덤(모줄임천정) / 돌사자상 / 묘지석
정효공주(문왕 넷째) : 용두산 고분군 (중경 인근) / 당나라식 벽돌무덤 / 벽화(12명의 인물도) / 묘지석

사진은 정효공주무덤이므로 3,5번이 오답
[해설작성자 : 아이하눔]

[오류신고 반론]
정효공주묘 당나라식 벽돌무덤과 고구려 계통의 모줄임 천장 구조가 결합되어있다고 하네요

[오류신고 반론]
정혜공주묘 모줄임 천장구조(고구려 영향)
정효공주묘 평행고임 천장구조(고구려 영향)
[해설작성자 : 홍장군]

[오류신고 반론]
보기는 정효공주묘에 그려진 벽화. 그리고 정효공주묘지병서.

1.문왕 넷째딸 정효공주묘 맞다.
2.길림성 용두산에 있다.
4.묘지명에 황상이란 칭호를 사용한 사실은 그당시 발해왕이 황제적 지위를 누리고 있음을 보여준다.
5.정효공주묘에는 당나라 벽돌무덤양식 + 돌로 공간을 줄여나가면서 천장을 쌓는 고구려양식인 모줄임양식이 결합되어있다.

3.돌사자상은 정혜공주묘 앞에 있었떤 두개의 석상이다.

6. (가)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2022년 02월)

   

     1. 유식의 교의를 담은 해심밀경소를 저술하였다.
     2. 외교 문서 작성에 능하여 청방인문표를 작성하였다.
     3. 한자의 음훈을 빌려 우리말을 표기한 이두를 정리하였다.
     4. 신라 말의 사회상을 보여주는 해인사 묘길상탑기를 남겼다.
     5. 종파 간의 사상적 대립을 해소하기 위해 십문화쟁론을 지었다.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시무책 10여 조 - 최치원

1. 해심밀경소 - 승려 '원측'
2. 청방인문표 - '강수'
3. 이두 정리 - '설총'
4. 해인사 묘길상탑기 - '최치원' (O)
5. 십문화쟁론 - '원효'
[해설작성자 : 57회 79점ㅋㅋ]

7. (가)에 해당하는 국가유산으로 옳은 것은? [2점](2024년 08월)

   

     1.
     2.
     3.
     4.
     5.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 화엄사 사사자 삼층 석탑 : 통일 신라
2. 정림사지 오층 석탑 : 백제(7세기 백제 무왕)
3. 분황사 모전 석탑 : 신라(선덕 여왕 때 건립한 가장 오래된 탑)
4. 영광탑 : 발해
5. 불국사 삼층 석탑(석가탑) : 통일 신라(무구정광대다라니경, 금동풀상, 사리 보관함)
[해설작성자 : 한국사어렵다]

8. (가) 종파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2025년 05월)

   

     1. 하늘에 제사 지내는 초제를 거행하였다.
     2. 참선과 수행을 통한 깨달음을 강조하였다.
     3. 시경, 서경, 역경 등을 주요 경전으로 삼았다.
     4. 신선 사상을 기반으로 불로장생을 추구하였다.
     5. 인내천 사상을 내세워 인간 평등을 주장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가지산문 + 승탑 + 9세기 > 불교 선종
선종 > 참선과 수행 강조

1. 도교
2. 정답
3. 유교
4. 도교
5. 동학(천도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다음 검색창에 들어갈 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점](2018년 02월)

   

     1. 인안이라는 독자적 연호를 사용하였다.
     2. 장문휴를 보내 당의 등주를 공격하였다.
     3. 수도를 중경 현덕부에서 상경 용천부로 옮겼다.
     4. 대문예로 하여금 흑수 말갈을 정벌하게 하였다.
     5. 고구려 유민을 이끌고 동모산에서 나라를 세웠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다음 문제는 발해에 대한 내용이다. 발해는 우리나라의 중요한 역사의 한 부분이다. 중국이 자주 주장하는 헛소리로 발해는 중국의 과거 지방 정권 역사라고 말한다. 우리는 아니라는 것을 인식시키기 위해 자주 출제되는 문제가 발해이다. 그 증거 중에 하나가 바로 지방 정권이 아닌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고 그 연호와 관련하여 묻는 문제가 자주 출제된다.

->보기 자료는 발해의 왕 문왕(대흠무)를 말한다.
->존호 대흥보력효감금륜성법대왕 이라는 존호는 문왕의 딸 정효공주묘지 비문에 문황~ 대흥보력효감금륜성법대왕 이라고 적혀 있기 때문에 자체연호를 쓰는 황제국임을 밝히고 있다. 그래서 연호는 주로 대흥 보력 이라고 말한다. (일본에 보낸 국서에도 황제국이며 천손이라고 표현도 했다.)
->문왕의 자녀는 정혜공주 정효공주가 가장 많이 나오는 내용으로 주로 자녀들의 무덤에 관련하여 문제가 자주 출제되고 있다.

보기 해설
① 인안이라는 독자적 연호를 사용한 왕은 무왕을 말한다. 대외정복을 많이 하였다.
② 장문휴(발해장군)를 보내 당의 등주를 공격하라고 지시한 왕은 무왕으로 연호 인안을 쓰고 있다.
③ 수도를 중경 현덕부에서 상경 용천부로 옮긴 왕으로 문왕 대흠무를 말한다. 수도를 자주 옮긴 왕이다. 중경 현덕부 -> 상경 용천부(문왕755년)
④ 대문예를 보내 흑수 말갈을 정벌하게 시킨 왕은 무왕(연호:인안)을 말한다. 피지배계층인 말갈인 중에 말 안 듣는 흑수말갈을 정벌하기 위해서
무왕의 동생인 대문예를 보낸다. (대문예는 무왕의 동생이며 대조영(고왕, 연호: 천통)의 아들이다.
⑤ 고구려가 망하자 고구려 유민을 이끌고 만주 동모산에서 발해를 건국한 왕은 고왕으로 대조영을 말 한다.

발행의 주요 왕 순서와 연호-> 고왕<대조영>(천통), 무왕<대무예>(인안,) 문왕<대흠무>(대흥,보력), 성왕<대화여>(중흥,) 선왕<대인수>(건흥),
정도만 외워주면 문제를 쉽게 접근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미친 타이거 (티거루)]

10. 교사의 질문에 대한 학생의 답변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2점](2016년 05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가)는 백제 웅진시대 무덤 양식이며 (나)는 고구려 후기의 굴식 동방무덤입니다.
때문에 (가)는 중국 남조의 영향을 받았고 벽화가 있으며 금제관장식이 출토되었고 (나)는 중국의 영향을 받으며 구조상 도굴이 쉽고 껴묻거리가 출토되며 벽화가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수도공고학생]

ㄴ- 무덤의 돌레돌에 12지 신상을 조각한 것은 신라의 굴식 돌방무덤 양식
ㄹ- 고구려 후기 굴식 돌방무덤은 도굴용이하며 시신 추가 매장 가능하며 모줄임 천장이나, 신라의 돌무지 덧널무덤 양식은 도굴이 어려움
[해설작성자 : 알면 알수록 재밌다]

11. (가) 국가의 경제 상황으로 옳은 것은? [1점](2024년 05월)

    

     1. 특산품으로 솔빈부의 말이 유명하였다.
     2. 풍흉에 따라 9등급으로 전세를 거두었다.
     3. 감자, 고구마 등의 작물이 널리 재배되었다.
     4. 경시서의 관리들이 시전의 상행위를 감독하였다.
     5. 설점수세제를 시행하여 민간의 광산 개발을 허용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가):고려

1. 발해
2. 조선전기(세종 연분 9등법)
3. 조선후기
4. 정답
5, 조선후기
[해설작성자 : 생갈치1호의행방불명]

12. 다음 자료에 나오는 왕의 정책으로 옳은 것은? [3점](2010년 08월)

    

     1. 박위를 보내 대마도를 정벌하였다.
     2. 서경에 대화궁을 짓고 유신을 선포하였다.
     3. 화통도감을 설치하여 화약과 화포를 제작하였다.
     4. 북방 민족의 침입에 대비하여 천리장성을 쌓았다.
     5. 몽골 풍속을 금지하고 철령 이북의 땅을 수복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여기서 왕은 공민왕이다.
공민왕의 업적은 몽골풍, 변발 금지. 정동행성 이문소 폐지, 쌍성총관부 무력수복 등이다.
[해설작성자 : 클래식]

13. 다음 사건이 일어난 시기를 연표에서 옳게 고른 것은? [2점](2018년 10월)

    

     1. (가)
     2. (나)
     3. (다)
     4. (라)
     5. (마)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무신정권기 농민과 천민의 봉기

- 망이·망소이의 난
- 김사미·효심의 난
- 만적의 난
- 최광수의 난
- 이연년 형제의 난

[추가 해설]
위 두사건은 김사미,효심의 난과 최광수의 난으로 고려후기 무신정권에 일어난 봉기이다.
그러므로 무신정변과 개경환도 사이에 있는 (라)가 정답!!
[해설작성자 : 태태정꾸]

14. (가) ~(마)는 대몽 항쟁이 이루어진 지역이다. 이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점](2011년 05월)

    

     1. (가) - 박서의 부대가 몽골군을 물리쳤다.
     2. (나) - 김윤후가 몽골 장수 살리타를 사살하였다.
     3. (다) - 노군과 잡류가 몽골군과 싸워 이겼다.
     4. (라) - 황룡사 9층 목탑이 불타 버렸다.
     5. (마) - 배중손이 삼별초의 항쟁을 지휘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황룡사 9층 목탑이 불탄 곳은 경주입니다.
[해설작성자 : Myles Kennedy]

15. 밑줄 그은 '왕'의 재위 기간에 볼 수 잇는 모습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점](2023년 08월)

    

     1. 초량 왜관에서 교역하는 상인
     2. 내의원에서 동의보감을 읽는 상인
     3. 주자감에서 유학을 공부하는 학생
     4. 전민변정도감에 억울함을 호소하는 농민
     5. 황룡사 구층 목탑의 건립에 참여하는 장인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쌍성총관부 무력 수복, 기철 숙청은 원 간섭기에 공민왕이 반원자주정책으로 펼친 일이다.
또한 공민왕은 전민병정도감을 설치해 권문세족의 대농장을 몰수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6. 밑줄 그은 ‘이 역사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점](2015년 08월)

    

     1. 유교 사관에 기초하여 기전체 형식으로 서술하였다.
     2. 자주적 입장에서 단군의 건국 이야기를 수록하였다.
     3. 사초, 시정기 등을 바탕으로 실록청에서 편찬하였다.
     4. 불교사를 중심으로 고대의 민간 설화 등을 수록하였다.
     5. 고구려 건국 시조의 일대기를 서사시 형태로 서술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김부식의 삼국사기입니다.
[해설작성자 : 삼국사기]

1번 삼국사기
2번 제왕운기
3번 조선왕조실록
4번 삼국유사
5번 동명왕편
[해설작성자 : 천재지니어스]

17.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2점](2019년 08월)

    

     1. ㄱ,ㄴ
     2. ㄱ,ㄷ
     3. ㄴ,ㄷ
     4. ㄴ,ㄹ
     5. ㄷ,ㄹ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직지심체요절이 간행되고 사천대가 축조된 시기는 '고려'입니다. 따라서 고려와 관련된 선택지를 택하면 됩니다.

ㄱ. 기기도설을 참고해 거중기를 제작한 인물은 정약용이며, 조선 후기 정조 시절에 활동한 인물입니다.(X)
ㄴ. 최무선이 설치한 화통도감은 화약과 화포를 제작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왜구를 격퇴하였습니다.(O)
ㄷ. 향약구급방은 현재 가장 오래된 의서로, 무신정권(최우 집권)때 편찬되었습니다. 조선 초기 세종 때 편찬된 향약집성방과는 구분해야 합니다.(O)
ㄹ. 임원경제지는 서유구가 동물학ㆍ식물학ㆍ지질학 등을 기록한 일종의 백과사전이라고 보면 되는데, 조선 후기에 만들어졌습니다.(X)

정답은 3(ㄴ,ㄷ)입니다.
[해설작성자 : 존시나]

ㄷ. 고려 고종(최우 집권기)

18. (가), (나) 사이의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2점](2022년 08월)

    

     1. 최윤덕이 4군을 개척하였다.
     2. 일본 원정을 위해 정동행성이 설치되었다.
     3. 몽골 사신 저고여가 귀국길에 피살되었다.
     4. 철령위 설치 문제로 요동 정벌이 추진되었다.
     5. 서희가 외교 담판으로 강동 6주를 획득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쌍성총관부 설치 (1258)
쌍성총관부 수복 (1356) - 공민왕

1. 4군 6진 - 조선 세종
2. 정동행성 설치 (1280)
3. 저고여 피살 (1225)
4. 명의 철령위 설치 통고(1388)
5. 서희 외교담판 (993)
[해설작성자 : 장원석]

19. (가) 왕의 재위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2점](2022년 12월)

    

     1. 최무선의 건의로 화통도감이 설치되었다.
     2. 조선의 기본 법전인 경국대전이 완성되었다.
     3. 국방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비변사가 설치되었다.
     4. 세계 지도인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가 제작되었다.
     5. 한양을 기준으로 한 역법서인 칠정산이 간행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왕자의 난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태종 이방원이라는 것을 알 수 있음.
여기서 정답은 4번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이나 모르더라도 조선초기임을 기억하고
소거법으로 제거하면 됨.

1. 최무선 화통도감 : 고려말
2. 경국대전 완성 : 조선 성종(경국대전 제작은 세조때부터 시작되었다는 것도 기억해두자)
3. 비변사 : 조선 중기 ~ 후기
4. [정답]
5. 칠정산 : 세종(갑인자, 훈민정음, 삼강행실도, 4군6진, 계해약조, 농사직설, 대마도정벌 등...)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애]

20. (가) 왕의 재위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2점](2025년 05월)

    

     1. 간경도감이 설치되었다.
     2. 조선경국전이 편찬되었다.
     3. 국조오례의가 완성되었다.
     4. 부민고소금지법이 제정되었다.
     5.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가 제작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이시애의 난 > 세조

1. 정답
2. 조선 태조, 정도전
3. 조선 성종
4. 조선 세종
5. 조선 태종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1. (가), (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2019년 01월)

    

     1. (가)-단안(壇案)이라는 명부에 등재되었다.
     2. (가)-지방의 행정ㆍ사법ㆍ군사권을 행사하였다.
     3. (나)-감사, 도백으로도 불렸다.
     4. (나)-장례원(章隷院)을 통해 국가의 관리를 받았다.
     5. (가), (나)-잡과를 통해 선발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가.수령 - 8도의 부,목,군,현에 파견
     관찰사 - 8도에 파견
[해설작성자 : Tzone]

가 : 수령=지방관=목민관 : 8도의 부,목,군,현에 파견
나 : 향리


[추가 해설]
가: 8도의 ‘부 목 군 현’에 파견된다는 것으로 보아 => 수령(관찰사는 8도에 파견)
나: 행정 실무를 담당, 외역전을 받지 못한다=> 향리

1. (나)향리
3. 관찰사. 관찰사는 감찰권, 행정권, 군사권, 사법권을 행사할 수 있다.
4. 노비
5. 전문기술관 뽑는 것으로 둘 다 아님
[해설작성자 : 왜 아무도 보기는 해설 안 해줘...]

(가): 수령
(나): 향리

1. 단안 등재 : 향리
2. 지방 행정,사법,군사권 행사 : 수령
3. 감사, 도백 : 관찰사
4. 장례원으로 관리 받음 : 노비
5. 잡과를 통해 선발 : 중인(기술직 관리)
[해설작성자 : 태태정꾸]

22. (가)에 들어갈 그림으로 옳은 것은? [1점](2018년 08월)

    

     1.
     2.
     3.
     4.
     5.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정선의 육상묘도 / 정선의 금강전도

1. 정선, 인왕제색도
2. 강세황, 영통동구도
3. 안견, 몽유도원도
4. 김정희, 세한도
5. 강희안, 고사관수도
[해설작성자 : 가시연]

겸제=정선의 호
[해설작성자 : 한국사만점기원]

23. 다음 제도를 실시한 왕의 업적으로 옳은 것은? [1점](2015년 05월)

    

     1. 경국대전을 편찬하여 법령을 정비하였다.
     2. 대동법을 경기도에 시범적으로 시행하였다.
     3. 나선 정벌을 위해 조총 부대를 파견하였다.
     4. 금위영을 설치하여 5군영 체제를 완성하였다.
     5. 붕당 정치의 폐해를 경계하고자 탕평비를 건립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영조 - 균역법

1.성종
2.광해군
3.효종
4.숙종
[해설작성자 : 죽창맨]

24. 밑줄 그은 '이 성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점](2022년 12월)

    

     1. 개국 초기 정도전 등이 설계하였다.
     2. 도성조축도감이 축조를 관장하였다.
     3. 후금의 침입에 맞서 정봉수가 항전한 곳이다.
     4. 조선 시대 축성 기술의 변화 과정이 잘 나타나 있다.
     5. 일제 강점기 도시 정비 계획을 구실로 크게 훼손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한양도성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을 고르는 문제.
3번 정봉수가 항전한 곳은 "용골산성"임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애]

25. 밑줄 그은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2018년 02월)

    

     1. 양명학을 연구하여 강화 학파를 형성하였다.
     2. 서얼 출신으로 규장각 검서관에 임명되었다.
     3. 양반전에서 양반의 위선과 무능을 지적하였다.
     4. 의산문답에서 중국 중심의 세계관을 비판하였다.
     5. 우서에서 사농공상의 직업적 평등과 전문화를 내세웠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 하곡 정제두
2. 박제가, 이덕무, 유득공 등
3. 연암 박지원
4. 담헌 홍대용
5. 유수원
[해설작성자 : 탕탕평평실]

연암이라는 호를 쓰는 사람은 박지원입니다.
박지원의 저서 중에 <열하일기>라는 책이 있죠.
[해설작성자 : 얼떨결에 맞춤 ]

26. (가) 군사 조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2018년 02월)

    

     1. 수원 화성에 외영을 두었다.
     2. 국경 지대인 양계에 설치되었다.
     3. 후금과의 항쟁 과정에서 창설되었다.
     4. 급료를 받는 상비군이 주축을 이루었다.
     5. 응양군과 용호군으로 구성된 친위 부대였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 수원은 정조. 장용영
2. 양계는 고려
3. 수어청. 정묘호란
4. 훈련도감. 임진왜란
5. 2군 6위 고려.
[해설작성자 : 탕탕평평실]

본문 내용 중 '명의 군대만을 바라보며~' 라는 구절을 통해 임진왜란과 관련된 내용임을 알 수 있습니다.
임진왜란중에 훈련도감이 만들어졌죠.
[해설작성자 : 짜요]

27. 다음 글을 쓴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2019년 01월)

    

     1. 지전설과 무한우주론을 주장하였다.
     2. 남북국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였다.
     3. 북한산비가 진흥왕 순수비임을 고증하였다.
     4. 서얼 출신으로 규장각 검서관에 등용되었다.
     5. 여전론을 통해 마을 단위 토지 분배와 공동 경작을 주장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의산문답 - 홍대용 - 지전설, 무한우주론
[해설작성자 : 1년뒤다까먹음]

2. 유득공<발해고>
3. 김정희(추사체)
4. 박제가
5. 정약용
[해설작성자 : 합격할꺼야]

28. (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2016년 10월)

    

     1. 청과의 후시 무역을 주도하였다.
     2. 전국에 송방이라는 지점을 설치하였다.
     3. 주로 왜관을 중심으로 무역 활동을 하였다.
     4. 포구에서의 중개·금융·숙박업에 주력하였다.
     5. 상권 수호를 위해 황국 중앙 총상회를 조직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한성부를 관할구역의 난전을 단속하게 하는것은 시전상인이므로 (가)는 시전상인.

1번 청과 후시 무역주도                     -만상
2번 송방이라는 지점 설치                 -송상
3번 왜관을 주심으로 무역 활동         -내상
4번 중개,금융,숙박업 주력                -객주,여각
5번 황국 중앙 총상회                        -시전상인
[해설작성자 : LEE.C.M]

29. 밑줄 그은‘이 사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점](2010년 08월)

    

     1. 1870년경 - 박규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2. 1881년 - 조사 시찰단의 일원으로 참여하였다.
     3. 1884년 - 갑신정변 실패 후 일본으로 망명하였다.
     4. 1880년대 중반 - 중립화론을 제기하였다.
     5. 1895년 - 서유견문을 출간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3-김옥균
1,2,4,5-유길준

[추가 해설]
유길준은 갑신정변때 해외 유학중이였고 85년 국내 돌아오니 갑신정변 주동자들과 친하다는 이유로 체포되어 죽을뻔한것을
한규설의 도움으로 연금상태로 지내게 된다.
이때 심심했는지 서유견문 외 여러 책들을 1885년부터 집필하다가 을미개혁때 출판하게 됩니다.
그리고 1885~1887년에는 거문도점령 사건이 있었는데 조선중립화론을 발표했지만 정치적 영향력이나 연금상태로 지내기 때문에
깔끔하게 무시 당해버립니다.
이후 갑오개혁때 군국기무처 내무협판을 담당하면서 갑오개혁의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며
을미사변 이후 사건의 뒷수습을 위해 을미개혁에 참가하여 단발령을 강행하기도 하였습니다.
일심회와 연결하여 쿠데타를 시도하였으나 실패하고 일본 정부에 의해 오가사와라섬으로 유배가기도 합니다.
이후 고종폐위 뒤 흥사단 부단장 한성 부민회 회장을 역임하고
1909년 국어문법서인 대한문전을 저술하기도 하였습니다.

서유견문 대한문전 구당시초 노동야학독본 전부 유길준 작품이며
1971년에는 유길준전서 5권이 간행되었습니다.

이렇게 적는 이유는 대한문전,내무협판,일심회 쿠데타,흥사단을 한꺼번에 물어보고 유길준 업적이 아닌것을 고르라는 문제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30. (가)에 들어갈 세시 풍속으로 옳은 것은? [2점](2019년 10월)

    

     1. 동지
     2. 한식
     3. 칠석
     4. 유두
     5. 삼짇날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저도 이 문제 처음 볼 때 ?? 했는데 나머지 답을 소거하니까 답이 하나 남아요
1. 동지 = 팥죽 먹는날 = 12월쯤
2. 한식 = 음식 차갑게 먹는날
3. 칠석 = 사실 이거랑 많이 헷갈렸는데 칠석이 7월 7일이고 견우랑 직녀 관련된 이야기가 안 나와서 4번 골랐습니당
4. 유두 = 사진 속 내용
5. 삼짇날 = 꽃잎으로 전 만들어 먹는 날
[해설작성자 : 용주에요]

삼짇날은 음력 3월 3일로 강남에 갔던 제비가 돌아오는 날입니다!
[해설작성자 : 50회 어려우면 어떡하지]

31. (가) 인물이 추진한 정책으로 옳은 것은? [2점](2019년 05월)

    

     1. 나선 정벌을 위해 조총 부대를 파견하였다.
     2. 청과의 경계를 정한 백두산정계비를 세웠다.
     3. 신유박해로 수많은 천주교인들을 처형하였다.
     4. 대전통편을 편찬하여 통치 체제를 정비하였다.
     5. 환곡의 폐단을 시정하고자 사창제를 실시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서원철폐 - 흥선대원군
         1.    나선 정벌을 위해 조총 부대를 파견하였다. - 효종
         2.    청과의 경계를 정한 백두산정계비를 세웠다. -숙종
         3.    신유박해로 수많은 천주교인들을 처형하였다. -순조
         4.    대전통편을 편찬하여 통치 체제를 정비하였다. -정조
         5.    환곡의 폐단을 시정하고자 사창제를 실시하였다. -고종,흥선대원군
[해설작성자 : 조조]

순조때 있었던 일은 신유박해 공노비해방 홍경래의 난 이 정도만 아시면 순조 문제는 다 맞을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스피커]

4. 정조 - 대전통편 // 흥선대원군 - 대전회통, 육전조례
[해설작성자 : 한국사레전드]

32. 다음 자료에 나타난 사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2018년 05월)

    

     1. 최익현, 민종식 등이 주도하였다.
     2. 한성 조약이 체결되는 계기가 되었다.
     3. 보국안민, 제폭구민을 기치로 내걸었다.
     4. 구식 군인에 대한 차별 대우가 발단이 되었다.
     5. 사건의 수습을 위해 박규수가 안핵사로 파견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우정국 개국 축하연과 민영익이 칼에 맞은 점을 보아 급진 개화파에 의한 갑신정변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갑신정변의 결과로는 한성조약(일본과 조선 간의 조약)과 톈진조약(일본과 청나라 간의 조약)로 볼 수 있다.
[해설작성자 : ㅋㅋㅋ]

1. 을사의병
2. 갑신정변
3. 동학농민운동
4. 임오군란
5. 임술농민봉기
[해설작성자 : 3일남았닥]

33. (가)~(다) 학생이 발표한 내용을 일어난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2점](2022년 02월)

    

     1. (가) - (나) - (다)
     2. (가) - (다) - (나)
     3. (나) - (가) - (다)
     4. (나) - (다) - (가)
     5. (다) - (나) - (가)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가: 창의토적소 1906
나: 지부복궐척화의소 1876
다: 1895
[해설작성자 : 평생작심삼일]

가: 을사의병
나: 강화도 조약이 배경
다: 갑오개혁이 배경
[해설작성자 : 0.0]

단발령- 을미개혁
[해설작성자 : ㅇㅇ]

34. (가)~(다) 주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점](2016년 05월)

    

     1. (가)-이항로와 기정진 등이 대표적인 인물이다.
     2. (가)-흥선 대원군의 통상 수교 거부 정책을 뒷받침하였다.
     3. (나)-강화도 조약의 체결에 반대하였다.
     4. (나)-단발령과 을미사변을 계기로 제기되었다.
     5. (다)-조선책략의 유포로 인해 일어났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 위정척사운동의 시대적 변천

(가) 1860년대: 천주교가 유포되고 서양 세력의 통상 요구가 거세어지자 유생들은 외국과의 교역에 의한 국내 산업의 피폐, 천주교의 확산에 따른 미풍양속의 파괴 등을 들며 통상 반대론을 내세웠다. 병인양요(1866)가 일어나자 기정진, 이항로 등은 서양의 무력 침략에 맞서 싸우자는 척화주전론(서양과 화친을 배척하고 싸울 것을 주장)을 내세웠다. 이러한 주장은 유생들의 광범위한 호응을 얻었으며 흥선 대원군의 통상수교거부 정책을 뒷받침하였다.

(나) 1870년대: 일본이 조선에 개항을 요구하자 최익현을 비롯한 유생들은 일본과의 수교를 반대하는 개항 반대론을 주장하였다. 일본이 서양에게 이미 문호를 개방하였으므로 서양 세력과 다를 것이 없다는 왜양일체론을 주장하며 강화도 조약(1876.1) 체결에 반대하였다.

(다) 1880년대: 정부가 개화 정책을 추진하면서 ‘조선책략’을 유포하고 미국과 통상 조약을 체결하려 하자 유생들은 집단 상소를 올려 반발하였다. 이만손을 중심으로 한 영남 유생들은 ‘만인소’를 올려 ‘조선책략(러시아를 막기 위한 미.일과의 연대’의 내용을 조목조목 비판하면서 김홍집의 처벌을 요구하였다. 이를 계기로 전국적인 상소 운동이 전개되었다. 강원도 유생 홍재학은 정부의 개화 정책을 비판하였을 뿐만 아니라 국왕까지 규탄하였다가 처형당하였다.

④ 1890년대 이후: 1890년대 이후에는 을미사변과 단발령 실시에 항거하여 대대적으로 유인석(제천), 이소응(춘천) 등이 의병(을미의병, 1895~1896)을 일으키며 일본의 침략에 저항하는 의병 운동으로 이어졌다.
[해설작성자 : 부엉이]

35. 다음 가상 대화가 이루어진 시기 이후에 볼 수 있는 모습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2025년 02월)

    

     1. 척화비를 세우기 위해 돌을 다듬는 석공
     2. 거문도를 불법 점령하고 있는 영국 군인
     3. 연무당에서 일본과 조약을 체결하는 관리
     4. 보빙사의 일원으로 미국에 파견되는 역관
     5. 경부선 철도 개통식을 취재하는 신문 기자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전차: 갑오개혁 이후 세워짐
1. 척화비: 신미양요 이후
2. 영국 거문도 불법 정령: 갑오개혁 이전
3. 연무당 일본 조약: 강화도조약
4. 보빙사: 조미수호통상조약
5. 경부선 개통: 전차 개통 이후
[해설작성자 : 최태성완강]

영국의 거문도 불법점령은 1885~1887 입니다!!
[해설작성자 : ㅎㅇ]

36. (가) 운동의 배경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점](2025년 08월)

    

     1. 간도 참변으로 민간인이 학살되었다.
     2. 민영익을 대표로 한 보빙사가 파견되었다.
     3. 대한 제국의 마지막 황제 순종이 서거하였다.
     4. 언론사의 주도로 브나로드 운동이 전개되었다.
     5. 미국 대통령 윌슨이 민족 자결주의를 제창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민족자결주의 = 각 민족은 정치적 운명을 스스로 결정할 권리가 있으며, 다른 민족의 간섭을 받을 수 없다(1918.1)

1. 간도참변 (1920.10)
2. 보빙사파견(1883.7)
3. 순종 서거(1926)
4. 브나로드 운동(1930년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7. (가)~(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2023년 06월)

    

     1. (가) -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 신문이 간행되었다.
     2. (나) - 고종의 황제 즉위식이 거행된 장소이다.
     3. (다) - 백동화가 주조되었다.
     4. (라) - 을사늑약이 체결되었다.
     5. (마) - 나운규의 아리랑이 처음 상영된 곳이다.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가) 기기창 : 기기창은 1887년,조 조선 정부가 근대식 무기를 제조하기 위하여 건립한 기기국 소속 무기공장이다. / 최초의 근대 신문이 간행된 곳은 박문국이다.
(나) 제중원 터 : 제중원은 미국 선교의사 알렌과 조선 정부가 1885년에 최초로 설립한 서양식 병원이며, 조선 정부가 최초로 설립한 교육병원이다. / 고종의 황제 즉위식은 환구단에서 거행되었다.
(다) 박문국 터 : 박문국은 1883년 설치된 한국 최초의 근대적 인쇄소로, 이곳에서 한성순보를 발간했다. / 1892년 고종이 백동화를 발행한 곳은 전환국이다.
(라) 중명전 : 덕수궁 중명전은 1905년 11월, 일본에 의해 을사늑약이 강제로 체결된 장소이다.
(마) 원각사 터 : 원각사는 최초로 신연극<은세계>를 선보인 사설극장이다. / 1926년 나운규의 아리랑이 개봉한 곳은 단성사이다.
[해설작성자 : 한번에 붙고 싶어요]

38. (가) 단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2023년 08월)

    

     1. 중일 전쟁 발발 직후에 결성되었다.
     2. 군대식 조직을 갖춘 비밀 결사였다.
     3. 파리 강화 회의에 대표를 파견하였다.
     4. 일제가 꾸며낸 105인 사건으로 와해되었다.
     5. 만민 공동회를 열어 열강의 이권 침탈을 비판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박상진 대한광복회
1. 1937년
4. 신민회
5. 만민공동회 독립협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신한청년당 (대표 김규식)
[해설작성자 : 셋쟝]

39. 다음 자료의 단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2점](2010년 05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ㄱ, ㄴ, ㄷ
     5.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21%
     <문제 해설>
공화정체의 국민 국가 수립을 지향하였다. - 대한광복회
[해설작성자 : 문채리]

대한자강회에 대한 문제

구한말 애국계몽운동 단체중
공화정체 국민국가 수립을 지향한 단체는    신민회

나머지 설명인 ㄴ ㄷ ㄹ 은 다 대한자강회에 대한 설명이 맞습니다

사진은 대한자강회 월보 한국사관련 교과서나 수험서에 그림 있음.


[해설작성자 : 1]

40. (가), (나) 사이의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3점](2022년 04월)

    

     1. 좌우 합작 위원회가 출범하였다.
     2. 여수 순천 10·19 사건이 일어났다.
     3. 미국 의회에서 트루먼 독트린이 발표되었다.
     4. 베트남 파병에 관한 브라운 각서가 체결되었다.
     5. 거제도 포로 수용소에 있던 반공 포로가 석방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조선건국준비위원회(여운형,안재홍,조선건국동맹)-모스크바 삼국 외상 회의-1차 미소공동위원회-정읍 발언(이승만)-좌우합작위원회(여운형,김규식)-유엔상정(트루먼 독트린)-김구 단독정부 반대-제주 4.3-납북협상(김구,김규식)-5.10총선거-제헌헌법-대한민국 정부수립-여수.순천 10.19사건

애치슨선언-북한군 남침(낙동강 방어선)-유엔군 참전-인천상륙작전(맥아더, 서울수복)-중국군 개입-흥남 철수-1.4후퇴(서울 뺏김)-서울 재탈환-정전회담-국민 방위군 사건(군인 아사)-거제 포로 석방-정전 체결(개성 판문점)-한미 상호방위 조약체결-삼백 산업 발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브라운각서-박정희 정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가) - 애치슨 선언
(나) - 한미상호방위조약
그러므로 위의 순서에 따라 답은 5번
[해설작성자 : 문계훈]

41. (가) 단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2025년 08월)

    

     1. 최초로 한글에 띄어쓰기를 도입하였다.
     2. 국어 문법서인 대한문전을 편찬하였다.
     3. 태극 서관을 설립하여 서적을 보급하였다.
     4. 조선말(우리말) 큰 사전 편찬을 추진하였다.
     5. 국문 연구소를 두어 한글을 체계적으로 연구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조선어학회>에 대한 설명입니다. <한글 맞춤법 통일안>, <조선어 표준말 모음>, <외래어 표기법 통일안> 등을 공표했으며, 조선어 사전 편찬 중 조선어학회사건을 겪기도 했습니다.

1. 띄어쓰기: 중국에서 활동하던 스코틀랜드 국교회 선교사 '존 로스'가 편찬한 <한국어 첫걸음(1877)>에서 첫 도입됨
2. 대한문전: 안악면학회에서 1908년 발행
3. 태극 서관: 신민회가 설립한, 서적 출판 및 보급을 위한 기관
5. 국문 연구소: 1907년 대한제국 정부가 학부 안에 설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2. 밑줄 그은 ‘시기’에 볼 수 있는 모습으로 적절한 것은? [2점](2021년 04월)

    

     1. 원산 총파업에 참여하는 노동자
     2. 조선 태형령 실시를 관보에 게재하는 직원
     3. 조선어 학회 사건으로 탄압받는 한글 학자
     4. 조선 민립 대학 기성회 창립 총회에 참석하는 교사
     5. 경성 제국 대학 설립 업무를 수행하는 조선 총독부 관리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밑줄 그인시기는 1930년대 민족말살시기이다

1910년대 무단정치
1920년대 문화정치    
1930년대이후 민족말살시기를 구별

1. 문화정치
2. 무단정치
3. 정답
4. 문화정치
5. 문화정치
정답은 3번
[해설작성자 : 양양]

43. 다음 작품을 남긴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 에서 모두 고른 것은? [2점](2009년 05월)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4. ㄱ, ㄷ, ㄹ
     5.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문제의 작품은 추사 김정희의 '부작란'이다.
ㄱ과 ㄴ은 김정희에 대한 내용이 맞고,
ㄷ은 '정선'의 그림에 대한 설명이며,
ㄹ은 '이익'의 역사관에 대한 설명이다.
[해설작성자 : 15학번 공민구]

44. 다음과 같은 남북 합의 사항의 결과로 옳은 것은? [2점](2012년 01월)

    

     1. 개성 공업 단지가 조성되었다.
     2. 남북 조절 위원회가 구성되었다.
     3. 남북이 동시에 유엔 회원국이 되었다.
     4. 한반도 비핵화 공동 선언이 채택되었다.
     5. 최초의 이산가족 교환 방문이 실현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 6.15 공동선언

1998년에 김대중 정부가 들어선 이후 정부와 민간 차원의 교류가 크게 확대되었다. 마침내 평양에서 정상 회담이 이루어져 6·15 남북 공동 선언이 발표되었다(2000).

이후 합의 사항인 개성 공단 건설, 금강산 관광과 경의선 연결, 남북 이산 가족 상봉 등이 실현되어 남북 간의 긴장 완화와 화해 협력이 진전되고 있다.
[해설작성자 : 부엉이]

1. 6.15남북공동선언 - 김대중
2. 7.4남북공동성명 - 박정희
3. 노태우 - un동시가입 , 남북 기본 합의서, 한반도 비핵화선언 순서입니다.
4. 노태우
5. 전두환 - 3저호황(저유가 저금리 저달러), 이산가족 최초상봉
[해설작성자 : 합격하세요]

45. 밑줄 그은 '이 사건'이 일어난 시기를 연표에서 옳게 고른 것은? [3점](2022년 06월)

    

     1. (가)
     2. (나)
     3. (다)
     4. (라)
     5. (마)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진보당사건
1958년 7월 조봉암을 비롯 진보당 간부들을 국가변란 간첩죄로 체포 사형
[해설작성자 : 3수]

46. (가) 단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점](2016년 05월)

    

     1. 조선 혁명 선언을 활동 지침으로 하였다.
     2. 비밀 행정 조직으로 연통제를 실시하였다.
     3. 고종의 밀지를 받아 결성된 비밀 단체이다.
     4. 일제가 꾸며낸 105인 사건으로 해체되었다.
     5. 단원인 이봉창이 일왕의 행렬에 폭탄을 던졌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 김상옥 열사가 활동한 의열단

의열단은 1919년 11월 만주 지린성에서 조직된 항일 무력독립운동 단체로서, 김원봉, 윤세주 등이 이끌었다. 당시 만주와 중국 본토에서 조직된 독립운동단체들이 미온적이고 온건하다고 본 의열단은 직접적 투쟁방법인 암살과 파괴·테러라는 과격한 방법을 통해 독립운동을 해나기로 했다.

1923년 1월에 발표한 조선혁명선언(일명 의열단 선언) 신채호는 일체의 타협주의를 배격하고 오직 폭력적 민중혁명에 의한 일제의 타도라는 전술을 내걸었다.

이에 따른 김상옥(1923, 종로경찰서 폭탄 투척), 김익상(1921, 조선총독부 폭탄 투척), 나석주(1926, 동.척과 식산은행 폭탄 투척) 등의 의거가 대표적이다.

김원봉은 이러한 개인 의거 활동의 한계를 느끼고 1925년 몸소 중국 황포 군관학교에 입교하였다. 이 학교에 포진된 공산주의 교수진의 영향을 받아 점차 김원봉과 의열단 지도부는 이후 노선을 바꿔 조선혁명간부학교(1932)를 세워 훈련시키고, 정당 조직(후일 1935년 민족혁명당 결성)과 군사 조직(후일 1938년 조선 의용대 결성) 형성의 방향으로 나아가게 되었다

② 초기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비밀행정조직망으로 연통제와 교통국을 이용하였다.

③ 최익현의 제자 임병찬이 1912년 조직한 독립의군부는 고종의 밀지에 따라 의병을 모으고, 총독부에 국권반환요구서를 제출하고자 하며 대한제국을 재건하고자 하는 복벽주의를 추구하였다.

④ 비밀결사 애국계몽운동 단체 신민회(1907~1911)는 국내에서 문화.경제적 실력양성 운동을 전개하며 점차 국외 독립기지 건설 등 군사적 실력양성을 꾀하였으나, 일제가 조작한 105인 사건으로 해체되었다.

⑤ 1920년대 후반 이후 침체기에 빠진 임시정부에 활기를 불어 넣기 위해 김구는 1931년 한인 애국단을 결성하여 1932년 이봉창(일왕 폭탄 투척), 윤봉길의 의거(상해 홍구 공원 폭탄 투척)를 이루어내어 중국 국민당의 지원을 받게 되었다.
[해설작성자 : 부엉이]

1.의열단
2.임시정부
3.독립의군부
4.신민회
5.한인애국단
[해설작성자 : 진월동 꿀주먹]

47. 밑줄 그은‘이것’을 두는 위치와 그 명칭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2점](2012년 01월)

    

     1. (ㄱ) - 용마루
     2. (ㄴ) - 추녀마루
     3. (ㄴ) - 내림마루
     4. (ㄷ) - 추녀마루
     5. (ㄷ) - 내림마루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 조선 궁궐 건축물 지붕의 추녀마루 장식(잡상)

한국의 전통적 지붕 모양은 오래 된 형식으로 우진각지붕·팔작지붕·맞배지붕 등이 있다.

특히 제시된 자료인 팔작지붕에는 용마루, 내림마루, 추녀마루가 아주 명확히 드러나는데, 가장 위의 용마루 끝에는 취두(鷲頭)가 설치되었고, 그 양끝에서 건물 측면의 양모서리로 각각의 추녀마루를 만들어 용마루와 연속되는 경사진 지붕마루를 구성하고 있으며(내림마루), 추녀마루 위에는 용두(龍頭)와 잡상(雜像)이 설치되었다.
[해설작성자 : 부엉이]

48. (가), (나) 사이의 시기에 있었던 경제 상황으로 옳은 것은? [2점](2015년 10월)

    

     1.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에 가입하였다.
     2. 칠레와 자유 무역 협정(FTA)을 체결하였다.
     3. 미국의 경제 원조로 소비재 산업이 발달하였다.
     4. 제3차 경제 개발 계획으로 중화학 공업이 육성되었다.
     5. 개성 공단 건설을 통해 남북 간 경제 교류가 이루어졌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가)는 저금리, 저유가, 저달러 3저 호황으로 전두환 정부(1980년대)를 찾아낼 수 있어야합니다.
(나)는 국제통화기금을 통해 대규모 금융지원을 받은 정부는 김영삼 정부(1997)입니다. 이후 김대중 정부로 이어져 금모으기 운동 등이 전개되었죠.

1. OECD에 가입한 년도는 1996년으로 정답이 됩니다.
2. 칠레와 자유무역을 체결한 년도는 2004년, 노무현 정부 때 입니다.
3. 미국의 원조로 소비재 산업이 발달한 것은 이승만 정부 때 입니다.
4. 3차 경제 개발(1972~1976)은 박정희 정부 때 입니다.
5. 개성공단은 6.15 남북공동선언 이후, 추진되었죠.
[해설작성자 : 냠냠]

49. 다음 문서가 작성된 이후의 사실로 옳은 것은? [2점](2021년 04월)

    

     1. 전국 민주 노동조합 총연맹이 창립되었다.
     2. 저유가, 저금리, 저달러의 3저 호황이 있었다.
     3. 제2차 석유 파동으로 경제 불황이 심화되었다.
     4. 대통령 긴급 명령으로 금융 실명제가 실시되었다.
     5. 대통령 직속 자문 기구인 노사정 위원회가 구성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김영삼-oecd 가입, 지나친 해외투자 벌이기로 외화 부족→정권 말에 imf 외환위기 발생

→다음 해에 김대중 당선(15대)되고 노사정 위원회 설립(실직 등 고용 문제 해결하기 위해), 금 모으기 운동
[해설작성자 : misfits]

자료의 내용은 "IMF 외환위기"로 인하여 국제통화기금 차관을 요청하는 자료로 1997년 김영삼 정부시기의 사실이다.
1997년 이후의 사실을 고르면 되는 문제로 상당히 어려운 문제라고 본다. 2번과 3번, 4번은 공부를 하였으면 쉽게 선택지를 지울 수 있지만, 1번과 5번으로 답이 압축되어서 1번과 5번의 시기를 정확하게 알아야 풀수 있는 고난이도 문제이다.

1. 전국 민주 노동조합 총연맹(이하 민노총)은 1995년 김영삼 정부 시기의 사실이다. 1997년 IMF보다 이전의 사실이다.
2. 3저 호황은 전두환 정부 시기의 사실이다.
3. 제2차 석유파동은 1970년대 중반 박정희 정부 시기의 사실이다.
4. 금융실명제는 1993년 김영삼 정부 시기의 사실로, 1997년 IMF보다 이전의 사실이다.
5. 노사정 위원회는 IMF 사태 이후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한 국민적 합의를 이끌어 내기 위하여 노동 단체, 사용자 단체, 정치권과 정부가 위원회 구성에 전격 합의함에 따라 1998년 1월 15일에 제1기 노사정 위원회가 정식으로 발족되었다. 따라서 1998년 시기의 사실이므로 김대중 정부 초기 때의 일이다.

정답 : ⑤
[해설작성자 : 혜이닝]

50. (가), (나) 지역에서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2점](2024년 05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가) 달구벌, 228 -> 대구
나) 518 -> 광주

ㄱ. 국채(07) 대구(서상돈, 김광제)
ㄷ. 광주 학생 운동(29)
[해설작성자 : 아는 것만]

ㄴ.yh무역 사건 서울
ㄹ.김주열은 마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537134)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한국사능력검정, 고급, 1급, 2급,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2 농업기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8137389) 좋은아빠되기 2025.09.28 5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537134) 좋은아빠되기 2025.09.28 7
80 경찰공무원(순경) 영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9425748) 좋은아빠되기 2025.09.26 8
79 식물보호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6302404) 좋은아빠되기 2025.09.26 6
78 컴활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9월01일 좋은아빠되기 2025.09.26 7
77 사회복지사 1급(1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1월26일 좋은아빠되기 2025.09.26 6
76 소방공무원(공개) 사회(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63842) 좋은아빠되기 2025.09.26 6
75 9급 국가직 공무원 국제법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4월14일 좋은아빠되기 2025.09.26 6
74 자연생태복원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6049240) 좋은아빠되기 2025.09.26 6
73 기계가공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64952) 좋은아빠되기 2025.09.26 8
72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자동차구조원리(유공자)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6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09.26 6
71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기계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6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09.26 6
70 와전류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1222731) 좋은아빠되기 2025.09.25 7
69 전자계산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1월31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5.09.25 6
68 수능(지구과학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3666417) 좋은아빠되기 2025.09.25 8
67 PC정비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2월01일 좋은아빠되기 2025.09.25 7
66 운전면허 학과시험(필기) 2종 소형 이륜(2020년판)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0001회 좋은아빠되기 2025.09.25 7
65 9급 국가직 공무원 네트워크보안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9521840) 좋은아빠되기 2025.09.25 7
64 경찰공무원(순경) 형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2월26일 좋은아빠되기 2025.09.25 6
63 직업상담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5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09.25 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