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토목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4682737)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토목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응용역학


1. 일반적인 보에서 휨모멘트에 의해 최대 휨응력이 발생되는 위치는 다음 어느 곳인가?(2016년 03월)
     1. 부재의 중립축에서 발생
     2. 부재의 상단에서만 발생
     3. 부재의 하단에서만 발생
     4. 부재의 상, 하단에서 발생

     정답 : []
     정답률 : 79%

2. 아래 그림과 같은 내민보에서 지점 A의 수직 반력은 얼마인가?(2018년 09월)

   

     1. 3.2t(↑)
     2. 5.0t(↑)
     3. 5.8t(↑)
     4. 8.2t(↑)

     정답 : []
     정답률 : 57%

3.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 단면의 기둥에서 e = 12cm의 편심 거리에 P = 100t 의 압축하중이 작용할 때 발생하는 최대 압축응력은? (단, 기둥은 단주이다.)(2008년 05월)

   

     1. 153 kg/cm2
     2. 180 kg/cm2
     3. 453 kg/cm2
     4. 567 kg/cm2

     정답 : []
     정답률 : 34%

4. 다음 중 부정정구조물의 해법으로 틀린 것은?(2014년 09월)
     1. 3연 모멘트정리
     2. 처짐각법
     3. 변위일치의 방법
     4. 모멘트 면적법

     정답 : []
     정답률 : 64%

5. 그림의 트러스에서 CD 부재가 받는 부재응력은?(2017년 03월)

   

     1. 6.7t(인장)
     2. 8.3t(압축)
     3. 10t(인장)
     4. 10t(압축)

     정답 : []
     정답률 : 75%

6. 다음 장주의 단면, 길이, 하중이 같을 때 가장 강한 기둥은?(2004년 05월)

   

     1. A
     2. B
     3. C
     4. D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 그림과 같은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기둥의 핵 면적은?(2015년 03월)

   

     1. bh/9
     2. bh/18
     3. bh/16
     4. bh/36

     정답 : []
     정답률 : 73%

8. 단순보에 있어서 원형 단면에 분포되는 최대 전단응력은 평균 전단응력( V/A)의 몇 배가 되는가?(2014년 05월)
     1. 1.0배
     2. 4/3배
     3. 2/3배
     4. 1.5배

     정답 : []
     정답률 : 78%

9. 그림과 같은 장주의 강도를 옳게 관계시킨 것은? (단, 동질의 동단면으로 한다.)(2003년 08월)

   

     1. (a) > (b) > (c)
     2. (a) > (b) = (c)
     3. (a) = (b) = (c)
     4. (a) = (b) < (c)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 다음 그림과 같은 모멘트 하중을 받는 단순보에서 A점의 반력(RA)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8년 04월)

    

     1. M1/ℓ
     2. M2/ℓ
     3. (M1+M2)/ℓ
     4. (M1-M2)/ℓ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M1의 방향이 잘 못 됐거나
4번 보기가 (-M1-M2)/L 이여야 함
[해설작성자 : ^ㅡ^]

[추가 오류 신고]
M1의 방향이 반시계로 돌아가야 4번이 답이 됨
[해설작성자 : ㅇㅅㅇ]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한솔아카데미 토목산업기사 책에 나오는 예제에는 A점에 작용하는 M1의 방향이 반시계 이여서 (M1-M2)/l입니다.

11. 다음 도형(빗금친 부분)의 X축에 대한 단면 1차 모멘트는?(2004년 05월)

    

     1. 5,000cm3
     2. 10,000cm3
     3. 15,000cm3
     4. 20,000cm3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2. 그림과 같은 빗금 부분의 단면적 A인 단면에서 도심 y를 구한 값은?(2009년 03월)

    

     1. 5D / 12
     2. 6D / 12
     3. 7D / 12
     4. 8D / 12

     정답 : []
     정답률 : 50%

13. 재적과 단면적과 길이가 같은 장주에서 양단활절 기둥의 좌굴하중과 양단고정 기둥의 좌굴하중과의 비는?(2007년 03월)
     1. 1 : 16
     2. 1 : 8
     3. 1 : 4
     4. 1 : 2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4. 단면 1차모멘트의 단위로서 옳은 것은?(2018년 03월)
     1. cm
     2. cm2
     3. cm3
     4. cm4

     정답 : []
     정답률 : 77%

15. 재질 및 단면이 같은 다음의 2개의 외팔보에서 자유단의 처짐을 같게 하는 P1/P2의 값으로 옳은 것은?(2011년 10월)

    

     1. 0.216
     2. 0.325
     3. 0.437
     4. 0.546

     정답 : []
     정답률 : 48%

16. 지름 10cm, 길이 100cm인 재료에 인장력을 작용시켰을 때 지름은 9.98cm, 길이는 100.4cm가 되었다. 이 재료의 포아송 비(v)는?(2017년 05월)
     1. 0.3
     2. 0.5
     3. 0.7
     4. 0.9

     정답 : []
     정답률 : 78%

17. 그림과 같은 평형을 이루는 세힘에 관하여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2008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8. 다음 트러스에서 ①부재의 부재력은 얼마인가?(2004년 03월)

    

     1. 4.5 kg
     2. 6.0 kg
     3. 7.5 kg
     4. 8.0 kg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9. 아래 그림과 같이 C점에 500kg이 수직으로 작용할때 부재 AC의 부재력은?(2017년 05월)

    

     1. 304.2kg
     2. 312.4kg
     3. 353.6kg
     4. 384.2kg

     정답 : []
     정답률 : 79%

20. 그림과 같은 단순보에서 최대 휨모멘트가 발생하는 위치는? (단, A점으로부터의 거리 X로 나타낸다.)(2005년 03월)

    

     1. 6m
     2. 7m
     3. 8m
     4. 9m

     정답 : []
     정답률 : 28%

2과목 : 측량학


21. 캔트(cant) 계산에서 속도 및 반지름을 모두 2배로 하면 캔트는?(2019년 04월)
     1. 1/2 로 감소한다.
     2. 2배로 증가한다.
     3. 4배로 증가한다.
     4. 8배로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77%

22. 삼각형 3변의 길이가 25.0m, 40.8m, 50.6m일 때 면적은?(2017년 05월)
     1. 431.57m2
     2. 495.25m2
     3. 505.49m2
     4. 551.27m2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헤론 공식
A = √s(s-a)(s-b)(s-c)
s = a+b+c / 2 = (25.0+40.8+50.6) / 2 = 58.2m
∴A = √58.2(58.2-25.0)(58.2-40.8)(58.2-50.6) = 505.49m2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3. 4km 전방에 측점을 설치하고자 한다. 거리측정의 오차를 10cm 이내로 하려면 각측량의 오차를 얼마 이내로 해야하는가?(2002년 03월)
     1. 5″
     2. 8″
     3. 12″
     4. 15″

     정답 : []
     정답률 : 27%

24. 다음과 같은 삼각형 토지를 △ABP : △APC = 20m2 : 70m2 로 분할하고자 할 때 BP의 길이는? (단, BC의 길이는 50m임)(2002년 03월)

    

     1. 14.29m
     2. 11.11m
     3. 12.11m
     4. 15.29m

     정답 : []
     정답률 : 50%

25. 30m 테이프의 길이를 표준자와 비교 검증하였더니 30.03m 이었다. 만약 이 테이프를 사용하여 면적을 계산하였다면 면적정밀도는 얼마인가?(2003년 08월)
     1. 1/50
     2. 1/100
     3. 1/500
     4. 1/1000

     정답 : []
     정답률 : 43%

26. 수평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거리 100m에 설치한 측점의 방향관측에 10"의 오차가 있었다면 수평위치에 생기는 오차는?(2004년 03월)
     1. 0.48㎝
     2. 0.63㎝
     3. 0.95㎝
     4. 1.31㎝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7. 기선의 길이 500m 를 측정한 지반의 평균표고가 18.5m 이다. 이 기선을 평균해면상의 길이로 환산한 보정량은? (단, 지구의 곡률반경은 6370km이다)(2002년 05월)
     1. + 0.35 cm
     2. - 0.35 cm
     3. + 0.15 cm
     4. - 0.15 c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8. 그림과 같은 개방 트래버스에서 CD측선의 방위는?(2018년 03월)

    

     1. N50°W
     2. S30°E
     3. S50°W
     4. N30°E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cd측선 방위각=120-180+110-180+280=150
cd측선 방위= s60e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AB측선의 방위각 = 120
BC측선의 방위각 = 120-180-110=50
CD측선의 방위각 = 50+180-80
CD측선의 방위 = S(180-150)E = S30E
[해설작성자 : 토목신 하시라마]

29. 다음 완화곡선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2005년 03월)
     1. 완화곡선의 곡선반경은 시점에서 무한대이다.
     2. 완화곡선의 접선은 시점에서 직선에 접한다.
     3. 완화곡선의 종점에 있는 캔트(cant)는 원곡선의 캔트(cant)와 같다.
     4. 완화곡선의 길이는 도로폭에 따라 결정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0. GNSS 위성을 이용한 측위에 측점의 3차원적 위치를 구하기 위하여 수신이 필요한 최소 위성의 수는?(2018년 03월)
     1. 2
     2. 4
     3. 6
     4. 8

     정답 : []
     정답률 : 66%

31. 동일한 구역을 같은 카메라로 촬영할 때 비행고도를 1,000m에서 2,000m로 높인다고 가정하면 1,000m 촬영에서 100장의 사진이 필요하다고 할 때, 2,000m 촬영에서 필요한 사진은 약 몇 장인가?(2017년 09월)
     1. 400장
     2. 200장
     3. 50장
     4. 25장

     정답 : []
     정답률 : 50%

32. 촬영고도 3500m에서 촬영한 편위 수정 사진에서 지상연직점으로부터 500m인 곳에 비고 1300m의 산꼭 대기는 몇 mm 변위로 찍혀지는가? (단, 축척은 1/25000이다.)(2011년 10월)
     1. 약 5.4mm
     2. 약 7.4mm
     3. 약 9.4mm
     4. 약 10.4mm

     정답 : []
     정답률 : 38%

33. 수평각 측정법 중에서 1등 삼각측량에서 주로 이용 되는 방법은?(2007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4%

34. 그림과 같이 A점에서 편심점 B′점을 시준하여 TB′를 관측했을 때 B점의방향각 TB를 구하기 위한 보정량 x의 크기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2020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46%

35. 사진기의 경사, 지표면의 비고를 조정하여 등고선을 삽입한 사진지도는?(2003년 08월)
     1. 정사투영 사진지도
     2. 조정집성 사진지도
     3. 약조정집성 사진지도
     4. 반조정집성 사진지도

     정답 : []
     정답률 : 50%

36. 측량지역의 대소에 의한 측량의 분류에 있어서 지구의 곡률로부터 거리오차에 따른 정확도를 1/107까지 허용한다면 반지름 몇 km 이내를 평면으로 간주하여 측량할 수 있는가? (단, 지구의 곡률반지름은 6372km이다.)(2019년 09월)
     1. 3.49km
     2. 6.98km
     3. 11.03km
     4. 22.07km

     정답 : []
     정답률 : 41%

37. 곡선 설치에서 교각이 35°, 원곡선 반지름이 500m일 때 도로 기점으로부터 곡선 시점까지의 거리가 315.45m이면 도로 기점으로부터 곡선 종점까지의 거리는?(2016년 05월)
     1. 593.38m
     2. 596.88m
     3. 620.88m
     4. 625.36m

     정답 : []
     정답률 : 66%

38. 수심 h인 하천의 유속측정에서 수면으로부터 0.2h, 0.6h, 0.8h의 유속이 각각 0.625m/sec, 0.564 m/sec, 0.382m/sec일 때 3점법에 의한 평균유속은?(2018년 03월)
     1. 0.498m/sec
     2. 0.505m/sec
     3. 0.511m/sec
     4. 0.533m/sec

     정답 : []
     정답률 : 69%

39. 측선의 방위각이 50° 30′이고 그림과 같이 각 관측을 실시하였다. 측선의 방위각은?(2019년 09월)

    

     1. 139° 00′
     2. 141° 00′
     3. 151° 40′
     4. 201° 40′

     정답 : []
     정답률 : 59%

40. 축척 1:50000 지도상에서 4cm2 에 대한 지상에서의 실제 면적은 얼마인가?(2008년 05월)
     1. 1km2
     2. 2km2
     3. 100km2
     4. 200km2

     정답 : []
     정답률 : 55%

3과목 : 수리학


41.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4년 09월)
     1. 침윤선의 형상은 일반적으로 포물선이다.
     2. 우물로부터 양수할 경우 지하수면으로부터 그 우물에 물이 모여드는 범위를 영향원이라 한다.
     3. Darcy 법칙에서 지하수의 유속은 동수경사에 반비례 한다.
     4. 자유지하수는 대기압이 작용하는 지하수면을 갖는 지하수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2. 다음 그림과 같은 수조에 일정량의 물이 공급된다. 이 때 D점을 기준으로 A, C점에 있어 베르누이(Bernoull i)정리를 적용할 때 성립되는 식은?(2005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3. 직사각형 위어(weir)에서 유량에 비례하는 것은? (단, H는 위어의 월류수심이다.)(2004년 03월)
     1.
     2.
     3. H2
     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4. 폭 20m인 구형단면수로에 30.6m3/sec의 유량이 0.8m의 수심으로 흐를 때 Froude수를 구하고 흐름을 판별하면?(2002년 05월)
     1. 0.683, 상류
     2. 0.683, 사류
     3. 0.874, 상류
     4. 0.874, 사류

     정답 : []
     정답률 : 58%

45. 그림과 같은 사다리꼴 인공수로의 유적(A)과 경심(R)은?(2009년 05월)

    

     1. A = 27m2, R = 2.64m
     2. A = 27m2, R = 1.86m
     3. A = 18m2, R = 1.86m
     4. A = 18m2, R = 2.64m

     정답 : []
     정답률 : 60%

46. 지름이 0.2cm인 미끈한 원형 관내를 유량 0.8cm3/s로 물이 흐르고 있을 때, 관 1m당의 마찰 손실수두는? (단, 동점성계수 v=1.12×10-2cm2/s)(2018년 03월)
     1. 20.20cm
     2. 21.30cm
     3. 22.20cm
     4. 23.20cm

     정답 : []
     정답률 : 35%

47. 기온에 관한 다음 설 명중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3월)
     1. 년 평균기온은 해당 년의 월 평균기온의 평균치로 정의한다.
     2. 월 평균기온은 해당 월의 일 평균기온의 평균치로 정의한다.
     3. 일 평균기온은 일 최고 및 최저 기온을 평균하여 주로 사용한다.
     4. 정상일 평균기온은 30년간의 특정일의 일 평균기온을 평균하여 정의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8. 다음과 같이 수로폭이 3m 인 판으로 물의 흐름을 가로막았을 때 상류수심은 6m, 하류수심은 3m 이였다. 이 때 전수압의 작용점 위치(y)는?(2004년 05월)

    

     1. y = 1.50m
     2. y = 2.33m
     3. y = 3.66m
     4. y = 4.56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9. 긴 관로의 유량조절 밸브를 갑자기 폐쇄시킬 때, 관로 내의 물의 질량과 운동량 때문에 정상적인 동수압보다 몇 배의 큰 압력 상승이 일어나는 현상은?(2016년 10월)
     1. 공동현상
     2. 도수현상
     3. 수격작용
     4. 배수현상

     정답 : []
     정답률 : 71%

50. 정상적인 흐름 내 하나의 유선 상에서 유체 입자에 대하여 속도수두가 , 압력수두가 , 위치수두가 z라고 할 때 동수경사선은?(2018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7%

51. 다음 중 유체의 흐름이 원관내에서 층류일 때 에너지 보정계수(α)와 운동량 보정계수(η)가 옳게된 것은?(2007년 03월)
     1. α = 2, η = 1.02
     2. α = 2, η = 4/3
     3. α = 1.1, η = 4/3
     4. α = 1.1, η = 3/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2. 레이놀즈수가 갖는 물리적인 의미는?(2004년 05월)
     1. 점성력에 대한 중력의 비(중력/점성력)
     2. 관성력에 대한 중력의 비(중력/관성력)
     3. 점성력에 대한 관성력의 비(관성력/점성력)
     4. 관성력에 대한 점성력의 비(점성력/관성력)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3. 원형 관수로의 흐름에서 레이놀즈수(Re)를 유량 Q, 지름 d 및 동점성계수 v의 함수로 표시한 것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4%

54. 사이폰의 이론 중 동수경사선에서 정점부까지의 이론적 높이 ( ㉠ )와 실제 설계 시 적용하는 높이의 범위 ( ㉡ )로 옳은 것은?(2020년 08월)
     1. ㉠: 7.0m, ㉡: 5.6~6.0m
     2. ㉠: 8.0m, ㉡: 6.4~6.8m
     3. ㉠: 9.0m, ㉡: 6.5~7.0m
     4. ㉠: 10.3m, ㉡: 8.0~8.5m

     정답 : []
     정답률 : 40%

55. 베르누이(Bernoulli) 방정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2014년 05월)
     1. 압축성 유체에 대해서 적용된다.
     2. 정상류 상태에서 적용된다.
     3. 유체의 점성으로 인한 효과는 무시한다.
     4. 압력, 속도, 위치에 대해서 수두로 표현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56. 단위시간에 있어서 속도변화가 V1에서 V2로 되며 이때 질량 m인 유체의 밀도를 ρ라 할 때 운동량 방정식은? (단, Q : 유량, ω : 유체의 단위중량, g : 중력가속도)(2014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9%

57. 유량 6.28m3를 송수하기 위하여 안지름 2m의 주철관 100m를 설치하였을 때 적당한 관로의 동수경사는 약 얼마인가? (단, 마찰손실계수 f = 0.03)(2008년 05월)
     1. 1/1000
     2. 2/1000
     3. 3/1000
     4. 4/1000

     정답 : []
     정답률 : 93%

58. 그림과 같은 완전 수중 오리피스에서 유속을 구하려고 할 때 사용되는 수두는?(2004년 09월)

    

     1. H1-H0
     2. H2-H1
     3. H2-H0
     4. H1+H2/2

     정답 : []
     정답률 : 37%

59. 개수로에서 파상도수가 일어나는 범위는? (단, Fr1 : 도수 전의 Froude number)(2019년 09월)
     1. Fr1 = √3
     2. 1 < Fr1 < √3
     3. 2 > Fr1 > √3
     4. √2 < Fr1 < √3

     정답 : []
     정답률 : 61%

60. 관로상의 유량조절 밸브나 펌프의 급조작으로 유수의 운동에너지가 압력에너지로 변환되어 관 벽에 큰 압력이 작용하게 되는 현상은?(2017년 05월)
     1. 난류현상
     2. 수격작용
     3. 공동현상
     4. 도수현상

     정답 : []
     정답률 : 69%

4과목 : 철근콘크리트 및 강구조


61. 압축철근비(ρ')가 0.01인 철근콘크리트보의 장기처짐계수 λ의 값은 얼마인가? (단, 하중재하기간은 1년이다.)(2002년 09월)
     1. 0.80
     2. 0.933
     3. 2.80
     4. 1.333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2. 슬래브에 배력철근을 배근하는 이유로 잘못된 것은?(2008년 03월)
     1. 응력을 고르게 분산시킨다.
     2. 주 철근의 간격을 유지시킨다.
     3. 주 철근의 양을 감소신다.
     4. 콘크리트의 건조 수축이나 온도변화에 의한 수축을 감소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3. 그림과 같이 경간 20m인 PSC 보가 프리스트레스 힘(P) 1000kN을 받고 있을 때 중앙단면에서의 상향력 (U)을 구하면?(2011년 10월)

    

     1. 20kN
     2. 30kN
     3. 40kN
     4. 50kN

     정답 : []
     정답률 : 56%

64. 단철근 직사각형보에서 fy=300MPa, d=800mm이고, 균형단면일 때의 중립축거리 c 는?(2014년 05월)
     1. 402mm
     2. 447mm
     3. 482mm
     4. 533mm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C=600D/600+fy
[해설작성자 : 흐규]

65. fck = 28 MPa, fy = 400 MPa 인 단철근 직사각형 보의 균형철근비는?(2019년 09월)
     1. 0.02148
     2. 0.02516
     3. 0.02874
     4. 0.03035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0.85 x B1 x fck/fy x 600/600+fy
[해설작성자 : easy]

66. 다음 그림과 같은 경간 ℓ = 12 m인 연속 T형 보에서 대칭부의 플랜지 유효 폭은?(2002년 09월)

    

     1. 360 cm
     2. 340 cm
     3. 320 cm
     4. 300 c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7. 처짐을 계산하지 않는 경우 단순 지지로 길이 ℓ인 1방향 슬래브의 최소 두께 (h)로 옳은 것은? (단, 보통콘크리트(mc=2300kg/m3)와 설계기준항복 강도 400MPa의 철근을 사용한 부재이다.)(2020년 06월)
     1. ℓ/20
     2. ℓ/24
     3. ℓ/28
     4. ℓ/34

     정답 : []
     정답률 : 56%

68. 그림과 같은 단순보에서 자중을 포함하여 계수하중이 20kN/m 작용하고 있다. 이 보의 위험단면에서 전단력은 얼마인가?(2005년 03월)

    

     1. 100kN
     2. 90kN
     3. 80kN
     4. 70kN

     정답 : []
     정답률 : 18%

69. 그림과 같이 400mm×12mm 의 강판을 홈 용접하려 한다. 500kN의 인장력이 작용하면 용접부에 일어나는 옹력은 얼마인가? (단, 전단면을 유효길이로 한다.)(2018년 09월)

    

     1. 92.2MPa
     2. 98.2MPa
     3. 101.2MPa
     4. 104.2MPa

     정답 : []
     정답률 : 57%

70. 경간 10m 대칭 T형보에서 양쪽 슬래브의 중심간 거리가 2100mm, 플랜지 두께는 100mm, 복부의 폭(bw)은 400mm일 때 플랜지의 유효폭은?(2019년 09월)
     1. 2500mm
     2. 2250mm
     3. 2100mm
     4. 2000mm

     정답 : []
     정답률 : 53%

71. 그림과 같은 필렛 용접에서 용접부의 목두께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8년 03월)

    

     1. 7.07mm
     2. 10.0mm
     3. 12.6mm
     4. 15mm

     정답 : []
     정답률 : 63%

72. 그림과 같은 용접길이의 유효길이는 얼마인가?(2003년 03월)

    

     1. 60 cm
     2. 52 cm
     3. 40 cm
     4. 30 c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3.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 단면에서 등가 직사각형 응력블록의 깊이(a)는? (단, fck=21MPa, fy=400MPa이다.)(2017년 03월)

    

     1. 107mm
     2. 112mm
     3. 118mm
     4. 125mm

     정답 : []
     정답률 : 74%

74. 그림과 같은 확대기초에서 위험단면에 대한 휨모멘트는?(2004년 05월)

    

     1. 980 kN· m
     2. 720 kNㆍm
     3. 700 kNㆍm
     4. 630 kNㆍ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5.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서 비틀림철근으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은?(2009년 03월)
     1. 부재축에 수직인 폐쇄스터럽
     2. 부재축에 수직인 횡방향 강선으로 구성된 폐쇄용 접철망
     3. 철근콘크리트 보에서 나선철근
     4. 주인장철근에 30도 이상의 각도로 구부린 굽힘철근

     정답 : []
     정답률 : 53%

76. 보통콘크리트 부재의 해당 지속 하중에 대한 탄성처짐이 3cm이었다면 크리프 및 건조수축에 따른 추가적인 장기처짐을 고려한 최종 총 처짐량은 얼마인가? (단, 하중재하기간은 10년이고, 압축철근비 ρ′ 는 0.005이다.)(2002년 05월)
     1. 7.8cm
     2. 6.8cm
     3. 5.8cm
     4. 4.8c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7. 앞부벽식 옹벽의 앞부벽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3월)
     1. T형보로 설계하여야 한다.
     2. 전면벽에 지지된 캔틸레버로 설계하여야 한다.
     3. 연속보로 설계하여야 한다.
     4. 직사각형보로 설계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78. 그림과 같은 이음에서 리벳의 강도는 얼마인가? (단, 리벳지름 d=22mm, τo = 100MPa, fba = 250MPa)(2007년 03월)

    

     1. 72.56 kN
     2. 76.03 kN
     3. 76.48 kN
     4. 79.25 kN

     정답 : []
     정답률 : 40%

79. 어떤 강교의 교량 지간이 12m 일때 충격 계수는?(2004년 03월)
     1. 0.25
     2. 0.27
     3. 0.29
     4. 0.31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0. 전체깊이가 900mm를 초과하는 휨부재 복부의 양측면에 부재 축방향으로 배근하는 철근의 명칭은?(2009년 05월)
     1. 배력철근
     2. 표피철근
     3. 피복철근
     4. 연결철근

     정답 : []
     정답률 : 40%

5과목 : 토질 및 기초


81. 미세한 모래와 실트가 작은 아치를 형성한 고리모양의 구조로써 간극비가 크고, 보통의 정적 하중을 지탱할 수 있으나 무거운 하중 또는 충격하중을 받으면 흙구조가 부서지고 큰 침하가 발생되는 흙의 구조는?(2017년 09월)
     1. 면모구조
     2. 벌집구조
     3. 분산구조
     4. 단립구조

     정답 : []
     정답률 : 65%

82. 다음 중 말뚝의 정역학적 지지력공식은?(2019년 03월)
     1. Sander공식
     2. Terzaghi공식
     3. Engineering News공식
     4. Hiley공식

     정답 : []
     정답률 : 69%

83. 두께 6m의 점토층이 있다. 이 점토의 간극비는 eo = 2.0이고 액성한계는 WL = 70%이다. 압밀하중을 2kg/cm2에서 4kg/cm2로 증가시키려고 한다. 예상되는 압밀침하량은? (단, 압축지수 Cc는 skempton의 식 Cc = 0.009(WL - 10)을 이용할 것)(2009년 03월)
     1. 0.27m
     2. 0.33m
     3. 0.49m
     4. 0.65m

     정답 : []
     정답률 : 53%

84. 포화단위중량이 1.8t/m3인 모래지반이 있다. 이 포화 모래지반에 침투수압의 작용으로 모래가 분출하고 있다면 한계동수경사는?(2019년 03월)
     1. 0.8
     2. 1.0
     3. 1.8
     4. 2.0

     정답 : []
     정답률 : 46%

85. 예민비가 큰 점토란?(2002년 09월)
     1. 입자모양이 둥근 점토
     2. 흙을 다시 이겼을때 강도가 증가하는 점토
     3. 입자가 가늘고 긴 형태의 점토
     4. 흙을 다시 이겼을때 강도가 감소하는 점토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6. 점토의 자연 시료에 대한 일축압축 강도가 3.6㎏/㎝2이고, 이 흙을 되비볐을 때의 파괴압축 응력이 1.2㎏/㎝2 이었다. 이 흙의 점착력(C)과 예민비(St)는 얼마인가?(2002년 09월)
     1. C = 1.8㎏/㎝2, St = 3
     2. C = 1.8㎏/㎝2, St = 2
     3. C = 2.4㎏/㎝2, St = 3
     4. C = 2.4㎏/㎝2, St = 2

     정답 : []
     정답률 : 20%

87. 연약지반개량공사에서 성토하중에 의해 압밀된 후 다시 추가하중을 재하한 직후의 안정검토를 할 경우 삼축압축시험 중 어떠한 시험이 가장 좋은가?(2011년 03월)
     1. CD시험
     2. UU시험
     3. CU시험
     4. 급속전단시험

     정답 : []
     정답률 : 58%

88. 비중이 2.65, 간극률이 40%인 모래지반의 한계 동수경사는?(2017년 03월)
     1. 0.99
     2. 1.18
     3. 1.59
     4. 1.89

     정답 : []
     정답률 : 59%

89. 다음 기초의 형식 중 얕은 기초인 것은?(2020년 06월)
     1. 확대기초
     2. 우물통 기초
     3. 공기 케이슨 기초
     4. 철근콘크리트 말뚝기초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깊은기초 : 말뚝기초、、피어기초 、 케이슨기초(오픈케이슨、공기케이슨、박스케이슨、우물통기초)
얕은기초: 전면기초、 확대기초(독립확대기초、복합확대기초、연속확대기초、켄틸레버 확대기초)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0. 다음 중 표준관입 시험으로 구할 수 없는 것은?(2015년 05월)
     1. 사질토의 투수계수
     2. 점성토의 비배수점착력
     3. 점성토의 일축압축강도
     4. 사질토의 내부마찰각

     정답 : []
     정답률 : 59%

91. 분사현상(quick sand action)에 관한 그림이 아래와 같을 때 수두차 h를 최호 얼마 이상으로 하면 모래시표에 분사현상이 발생하겠는가? (단, 모래의 비중 2.6, 공극률 50%)(2009년 03월)

    

     1. 6cm
     2. 12cm
     3. 24cm
     4. 30cm

     정답 : []
     정답률 : 54%

92. 3.0×3.6m인 직사각형 기초의 저면에 0.8m 및 1.0m간격으로 지름 30cm, 길이 12m인 말뚝 9개를 무리말뚝으로 배치하였다. 말뚝 1개의 허용지지력을 25ton으로 보았을 때 이 무리말뚝 기초 전체의 허용지지력을 구하면? (단, 무리말뚝의 효율(E)은 0.543이다.)(2016년 10월)
     1. 122.2ton
     2. 146.6ton
     3. 184ton
     4. 225ton

     정답 : []
     정답률 : 43%

93. 다음 중 동상(凍上)현상이 가장 잘 일어날 수 있는 흙은?(2017년 05월)
     1. 자갈
     2. 모래
     3. 실트
     4. 점토

     정답 : []
     정답률 : 55%

94. 흙의 동해(凍害)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9월)
     1. 동상현상은 빙층(ice lens)의 생장이 주된 원인이다.
     2. 사질토는 모관상승높이가 작아서 동상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3. 실트는 모관상승높이가 작아서 동상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4. 점토는 모관상승높이는 크지만 동상이 잘 일어나는편은 아니다.

     정답 : []
     정답률 : 73%

95. 통일분류법에 의한 흙의 분류에서 조립토와 세립토를 구분할 때 기준이 되는 체의 호칭번호와 통과율로 옳은 것은?(2015년 05월)
     1. No.4(4.75mm)체, 35%
     2. No.10(2mm)체, 50%
     3. No.200(0.075mm)체, 35%
     4. No.200(0.075mm)체, 50%

     정답 : []
     정답률 : 65%

96. 압밀시험에서 압축지수를 구하는 가장 중요한 목적은?(2008년 03월)
     1. 압밀침하량을 결정하기 위함이다.
     2. 압밀속도를 결정하기 위함이다.
     3. 투수량을 결정하기 위함이다.
     4. 시간계수를 결정하기 위함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7. 어느 모래층의 간극률이 20%, 비중이 2.65이다. 이 모래의 한계 동수경사는?(2015년 05월)
     1. 1.32
     2. 1.38
     3. 1.42
     4. 1.48

     정답 : []
     정답률 : 67%

98. 다짐에 관한 다음의 설명 중 타당하지 않은 것은?(2002년 05월)
     1. 사질성분이 많이 내포된 흙은 다짐곡선의 기울기가 급하다.
     2. 최적 함수비는 흙의 종류와 다짐방법에 따라 다르다.
     3. 입도분포가 양호한 흙의 건조밀도는 낮다.
     4. 다짐을 하면 부착성이 양호해지고 투수성과 압축성이 작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9. 어떤 흙의 No. 200체 통과율 60%, 액성한계가 40%, 소성지수가 10%일 때 군지수는?(2005년 09월)
     1. 3
     2. 4
     3. 5
     4. 6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0. 채취된 시료의 교란정도는 면적비를 계산하여 통상 면적비가 몇 % 이하이면 잉여토의 혼입이 불가능한 것으로 보고 불교란 시료로 간주하는가?(2002년 03월)
     1. 5%
     2. 7%
     3. 10%
     4. 15%

     정답 : []
     정답률 : 31%

101. 상수도 침전지의 제거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틀린 것은?(2018년 09월)
     1. 침전지의 침강면적(A)을 크게 한다.
     2. 플목의 침강속도(V)를 크게 한다.
     3. 유량(Q)을 적게 한다.
     4. 침전지의 수심(H)을 크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38%

102.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의 급속여과지 면적은?(2017년 05월)

    

     1. 5.0m2
     2. 8.33m2
     3. 12.5m2
     4. 14.58m2

     정답 : []
     정답률 : 46%

103. 하수종말 처리장에 유입하는 하수 20mL를 채취하여 증류수에 희석하여 300mL로 하였다. 식종은 별도로 하지 아니하였으며 희석 후 시료의 용전산소량은 8.5mg/L 이었고 20℃에서 5일간 배양후 시료내의 용존산소량은 2.8mg/L 이었다. 이 하수의 BOD5는 얼마인가?(2003년 05월)
     1. 42.2mg/L
     2. 85.5mg/L
     3. 150.4mg/L
     4. 285.0mg/L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4. 우수관의 길이 1,500m인 하수관 내에서 우수가 1.2m/sec의 속도로 흐르고 있다. 유달시간은? (단, 유입시간은 7분임)(2002년 03월)
     1. 7분
     2. 14분
     3. 21분
     4. 28분

     정답 : []
     정답률 : 16%

105. 살수여상(Tricking filter)에 의한 하수처리의 원리는?(2005년 03월)
     1. 하수내의 고형물이 산소와 결합하여 침전물을 형성한다
     2. 쇄석내의 재질에 의해 BOD가 여과된다
     3. 하수내의 고형물이 쇄석에 의해 흡수된다
     4. 쇄석 표면에 번식하는 미생물이 하수와 접촉하여 고형물을 섭취 분해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6. 유입하수량 10,000m3/day, 유입 BOD농도 120mg/L, 폭기조 내 MLSS농도 2,000mg/L, BOD부하 0.5kgBOD /kgMLSS ㆍ day일 때 폭기조의 용적은?(2015년 03월)
     1. 240m3
     2. 600m3
     3. 1,000m3
     4. 1,200m3

     정답 : []
     정답률 : 47%

107. 수원을 지하수로 할 때 예상되는 물의 성질로 거리가 먼 것은?(2003년 03월)
     1. 철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2. 산성도가 높아 침식성이 있다.
     3. 유기성 물질은 지표수보다 적다.
     4. 질소산화물은 찾아보기 어렵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8. 하수관거의 각 관거별 계획하수량 산정이 잘못된 것은?(2008년 05월)
     1. 우수관거는 계획우수량으로 한다.
     2. 차집관거는 우천시 계획우수량으로 한다.
     3. 오수관거는 계획시간최대의오수량으로 한다.
     4. 합류식관거는 계획시간최대오수량에 계획우수량을 합한 것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109. 혐기성 소화에 의한 슬러지 처리법에서 발생되는 가스성분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것은? (단, 혐기성 소화가 정상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때로 가정한다.)(2017년 03월)
     1. 탄산가스
     2. 메탄가스
     3. 유화수소
     4. 황화수소

     정답 : []
     정답률 : 69%

110. 하수관거의 유속 및 최소관경에 대한 설명 중 틀린것은?(2009년 05월)
     1. 우수관거 및 합류관거의 최소관경은 250mm를 표준으로 한다.
     2. 계획시간최대오수량에 대한 오수관거 최소유속은 0.6m/s로 한다.
     3. 계획우수량에 대한 우수관거 및 합류관거의 최소 유속은 0.4m/s로 한다.
     4. 오수관거의 최소관경은 200mm를 표준으로한다.

     정답 : []
     정답률 : 42%

111. 침전지의 침전효율을 높이기 위한 사항으로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침전지의 표면적을 크게 한다.
     2. 침전지 내 유속을 크게 한다.
     3. 유입부에 정류벽을 설치한다.
     4. 지(池)의 길이에 비하여 폭을 좁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112. 하수배제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8년 03월)
     1. 합류식 하수관거는 청천시(晴天時) 관로내 퇴적량이 분류식 하수관거에 비하여 많다.
     2. 합류식 하수배제 방식은 강우초기에 도로 위의 오염물질이 직접 하천으로 유입된다.
     3. 분류식 하수배제 방식은 침수피해 다발지경에 유리한 방식이다.
     4. 분류식 하수관거에서는 우천시 일정한 유량 이상되면 오수가 월류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113. 다음 중 상수도의 설계기준이 되는 것은?(2004년 03월)
     1. 계획1일 최대강우량
     2. 계획1일 최대급수구역
     3. 계획1일 최대급수인구
     4. 계획1일 최대급수량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4. 슬러지 반송비가 0.4, 반송슬러지의 농도가 1%일 때 포기조 내의 MLSS 농도는?(2015년 09월)
     1. 1,234mg/L
     2. 2,857mg/L
     3. 3,325mg/L
     4. 4,023mg/L

     정답 : []
     정답률 : 58%

115. BOD 2.5mg/L의 하천수를 취수하여 정수처리할 경우 우선 고려할 수 있는 처리방법은?(2003년 05월)
     1. 여과 등에 의한 간이정수처리 후 사용
     2. 침전여과 등에 의한 일반적 정수처리 후 사용
     3. 전처리 등을 거친 고도의 정수처리 후 사용
     4. 특수한 정수처리 후 사용

     정답 : []
     정답률 : 19%

116. 다음 중 염소소득시 소독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수질인자는?(2011년 10월)
     1. pH
     2. 탁도
     3. 총 경도
     4. 알칼리도

     정답 : []
     정답률 : 63%

117. 오수관거 내에서 부유물 침전을 막기 위해 요구되는 최소 유속은? (단, 계획 시간 최대오수량 기준)(2008년 03월)
     1. 0.2 m/sec
     2. 0.6 m/sec
     3. 2.0 m/sec
     4. 2.5 m/sec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8. 20000m3/day의 물을 처리하는데 염소 8.0kg/day를 사용한다. 접촉 10분 후 잔류염소는 0.2mg/L이다. 이때 염소 투입량과 염소요구(소비)량은 각각 몇 mg/L 인가?(2009년 05월)
     1. 0.6mg/L, 0.4mg/L
     2. 0.4mg/L, 0.2mg/L
     3. 0.6mg/L, 0.3mg/L
     4. 0.4mg/L, 0.1mg/L

     정답 : []
     정답률 : 24%

119. 배수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1년 03월)
     1. 급수량의 시간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설치한다.
     2. 단수 등의 비상시에 대비하기 위해 설치한다.
     3. 배수관내의 누수량을 줄이기 위해 설치한다.
     4. 계획1일최대급수량의 일정시간 분량을 저장한다.

     정답 : []
     정답률 : 28%

120. 수리학적 체류시간이 4시간, 유효수심이 3.5m인 침전지의 표면부하율은?(2020년 06월)
     1. 8.75m3/m2·day
     2. 17.5m3/m2·day
     3. 21.0m3/m2·day
     4. 24.5m3/m2·day

     정답 : []
     정답률 : 41%


정 답 지

토목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4682737)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토목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응용역학


1. 일반적인 보에서 휨모멘트에 의해 최대 휨응력이 발생되는 위치는 다음 어느 곳인가?(2016년 03월)
     1. 부재의 중립축에서 발생
     2. 부재의 상단에서만 발생
     3. 부재의 하단에서만 발생
     4. 부재의 상, 하단에서 발생

     정답 : []
     정답률 : 79%

2. 아래 그림과 같은 내민보에서 지점 A의 수직 반력은 얼마인가?(2018년 09월)

   

     1. 3.2t(↑)
     2. 5.0t(↑)
     3. 5.8t(↑)
     4. 8.2t(↑)

     정답 : []
     정답률 : 57%

3.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 단면의 기둥에서 e = 12cm의 편심 거리에 P = 100t 의 압축하중이 작용할 때 발생하는 최대 압축응력은? (단, 기둥은 단주이다.)(2008년 05월)

   

     1. 153 kg/cm2
     2. 180 kg/cm2
     3. 453 kg/cm2
     4. 567 kg/cm2

     정답 : []
     정답률 : 34%

4. 다음 중 부정정구조물의 해법으로 틀린 것은?(2014년 09월)
     1. 3연 모멘트정리
     2. 처짐각법
     3. 변위일치의 방법
     4. 모멘트 면적법

     정답 : []
     정답률 : 64%

5. 그림의 트러스에서 CD 부재가 받는 부재응력은?(2017년 03월)

   

     1. 6.7t(인장)
     2. 8.3t(압축)
     3. 10t(인장)
     4. 10t(압축)

     정답 : []
     정답률 : 75%

6. 다음 장주의 단면, 길이, 하중이 같을 때 가장 강한 기둥은?(2004년 05월)

   

     1. A
     2. B
     3. C
     4. D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 그림과 같은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기둥의 핵 면적은?(2015년 03월)

   

     1. bh/9
     2. bh/18
     3. bh/16
     4. bh/36

     정답 : []
     정답률 : 73%

8. 단순보에 있어서 원형 단면에 분포되는 최대 전단응력은 평균 전단응력( V/A)의 몇 배가 되는가?(2014년 05월)
     1. 1.0배
     2. 4/3배
     3. 2/3배
     4. 1.5배

     정답 : []
     정답률 : 78%

9. 그림과 같은 장주의 강도를 옳게 관계시킨 것은? (단, 동질의 동단면으로 한다.)(2003년 08월)

   

     1. (a) > (b) > (c)
     2. (a) > (b) = (c)
     3. (a) = (b) = (c)
     4. (a) = (b) < (c)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 다음 그림과 같은 모멘트 하중을 받는 단순보에서 A점의 반력(RA)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8년 04월)

    

     1. M1/ℓ
     2. M2/ℓ
     3. (M1+M2)/ℓ
     4. (M1-M2)/ℓ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M1의 방향이 잘 못 됐거나
4번 보기가 (-M1-M2)/L 이여야 함
[해설작성자 : ^ㅡ^]

[추가 오류 신고]
M1의 방향이 반시계로 돌아가야 4번이 답이 됨
[해설작성자 : ㅇㅅㅇ]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한솔아카데미 토목산업기사 책에 나오는 예제에는 A점에 작용하는 M1의 방향이 반시계 이여서 (M1-M2)/l입니다.

11. 다음 도형(빗금친 부분)의 X축에 대한 단면 1차 모멘트는?(2004년 05월)

    

     1. 5,000cm3
     2. 10,000cm3
     3. 15,000cm3
     4. 20,000cm3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2. 그림과 같은 빗금 부분의 단면적 A인 단면에서 도심 y를 구한 값은?(2009년 03월)

    

     1. 5D / 12
     2. 6D / 12
     3. 7D / 12
     4. 8D / 12

     정답 : []
     정답률 : 50%

13. 재적과 단면적과 길이가 같은 장주에서 양단활절 기둥의 좌굴하중과 양단고정 기둥의 좌굴하중과의 비는?(2007년 03월)
     1. 1 : 16
     2. 1 : 8
     3. 1 : 4
     4. 1 : 2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4. 단면 1차모멘트의 단위로서 옳은 것은?(2018년 03월)
     1. cm
     2. cm2
     3. cm3
     4. cm4

     정답 : []
     정답률 : 77%

15. 재질 및 단면이 같은 다음의 2개의 외팔보에서 자유단의 처짐을 같게 하는 P1/P2의 값으로 옳은 것은?(2011년 10월)

    

     1. 0.216
     2. 0.325
     3. 0.437
     4. 0.546

     정답 : []
     정답률 : 48%

16. 지름 10cm, 길이 100cm인 재료에 인장력을 작용시켰을 때 지름은 9.98cm, 길이는 100.4cm가 되었다. 이 재료의 포아송 비(v)는?(2017년 05월)
     1. 0.3
     2. 0.5
     3. 0.7
     4. 0.9

     정답 : []
     정답률 : 78%

17. 그림과 같은 평형을 이루는 세힘에 관하여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2008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8. 다음 트러스에서 ①부재의 부재력은 얼마인가?(2004년 03월)

    

     1. 4.5 kg
     2. 6.0 kg
     3. 7.5 kg
     4. 8.0 kg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9. 아래 그림과 같이 C점에 500kg이 수직으로 작용할때 부재 AC의 부재력은?(2017년 05월)

    

     1. 304.2kg
     2. 312.4kg
     3. 353.6kg
     4. 384.2kg

     정답 : []
     정답률 : 79%

20. 그림과 같은 단순보에서 최대 휨모멘트가 발생하는 위치는? (단, A점으로부터의 거리 X로 나타낸다.)(2005년 03월)

    

     1. 6m
     2. 7m
     3. 8m
     4. 9m

     정답 : []
     정답률 : 28%

2과목 : 측량학


21. 캔트(cant) 계산에서 속도 및 반지름을 모두 2배로 하면 캔트는?(2019년 04월)
     1. 1/2 로 감소한다.
     2. 2배로 증가한다.
     3. 4배로 증가한다.
     4. 8배로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77%

22. 삼각형 3변의 길이가 25.0m, 40.8m, 50.6m일 때 면적은?(2017년 05월)
     1. 431.57m2
     2. 495.25m2
     3. 505.49m2
     4. 551.27m2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헤론 공식
A = √s(s-a)(s-b)(s-c)
s = a+b+c / 2 = (25.0+40.8+50.6) / 2 = 58.2m
∴A = √58.2(58.2-25.0)(58.2-40.8)(58.2-50.6) = 505.49m2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3. 4km 전방에 측점을 설치하고자 한다. 거리측정의 오차를 10cm 이내로 하려면 각측량의 오차를 얼마 이내로 해야하는가?(2002년 03월)
     1. 5″
     2. 8″
     3. 12″
     4. 15″

     정답 : []
     정답률 : 27%

24. 다음과 같은 삼각형 토지를 △ABP : △APC = 20m2 : 70m2 로 분할하고자 할 때 BP의 길이는? (단, BC의 길이는 50m임)(2002년 03월)

    

     1. 14.29m
     2. 11.11m
     3. 12.11m
     4. 15.29m

     정답 : []
     정답률 : 50%

25. 30m 테이프의 길이를 표준자와 비교 검증하였더니 30.03m 이었다. 만약 이 테이프를 사용하여 면적을 계산하였다면 면적정밀도는 얼마인가?(2003년 08월)
     1. 1/50
     2. 1/100
     3. 1/500
     4. 1/1000

     정답 : []
     정답률 : 43%

26. 수평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거리 100m에 설치한 측점의 방향관측에 10"의 오차가 있었다면 수평위치에 생기는 오차는?(2004년 03월)
     1. 0.48㎝
     2. 0.63㎝
     3. 0.95㎝
     4. 1.31㎝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7. 기선의 길이 500m 를 측정한 지반의 평균표고가 18.5m 이다. 이 기선을 평균해면상의 길이로 환산한 보정량은? (단, 지구의 곡률반경은 6370km이다)(2002년 05월)
     1. + 0.35 cm
     2. - 0.35 cm
     3. + 0.15 cm
     4. - 0.15 c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8. 그림과 같은 개방 트래버스에서 CD측선의 방위는?(2018년 03월)

    

     1. N50°W
     2. S30°E
     3. S50°W
     4. N30°E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cd측선 방위각=120-180+110-180+280=150
cd측선 방위= s60e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AB측선의 방위각 = 120
BC측선의 방위각 = 120-180-110=50
CD측선의 방위각 = 50+180-80
CD측선의 방위 = S(180-150)E = S30E
[해설작성자 : 토목신 하시라마]

29. 다음 완화곡선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2005년 03월)
     1. 완화곡선의 곡선반경은 시점에서 무한대이다.
     2. 완화곡선의 접선은 시점에서 직선에 접한다.
     3. 완화곡선의 종점에 있는 캔트(cant)는 원곡선의 캔트(cant)와 같다.
     4. 완화곡선의 길이는 도로폭에 따라 결정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0. GNSS 위성을 이용한 측위에 측점의 3차원적 위치를 구하기 위하여 수신이 필요한 최소 위성의 수는?(2018년 03월)
     1. 2
     2. 4
     3. 6
     4. 8

     정답 : []
     정답률 : 66%

31. 동일한 구역을 같은 카메라로 촬영할 때 비행고도를 1,000m에서 2,000m로 높인다고 가정하면 1,000m 촬영에서 100장의 사진이 필요하다고 할 때, 2,000m 촬영에서 필요한 사진은 약 몇 장인가?(2017년 09월)
     1. 400장
     2. 200장
     3. 50장
     4. 25장

     정답 : []
     정답률 : 50%

32. 촬영고도 3500m에서 촬영한 편위 수정 사진에서 지상연직점으로부터 500m인 곳에 비고 1300m의 산꼭 대기는 몇 mm 변위로 찍혀지는가? (단, 축척은 1/25000이다.)(2011년 10월)
     1. 약 5.4mm
     2. 약 7.4mm
     3. 약 9.4mm
     4. 약 10.4mm

     정답 : []
     정답률 : 38%

33. 수평각 측정법 중에서 1등 삼각측량에서 주로 이용 되는 방법은?(2007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4%

34. 그림과 같이 A점에서 편심점 B′점을 시준하여 TB′를 관측했을 때 B점의방향각 TB를 구하기 위한 보정량 x의 크기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2020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46%

35. 사진기의 경사, 지표면의 비고를 조정하여 등고선을 삽입한 사진지도는?(2003년 08월)
     1. 정사투영 사진지도
     2. 조정집성 사진지도
     3. 약조정집성 사진지도
     4. 반조정집성 사진지도

     정답 : []
     정답률 : 50%

36. 측량지역의 대소에 의한 측량의 분류에 있어서 지구의 곡률로부터 거리오차에 따른 정확도를 1/107까지 허용한다면 반지름 몇 km 이내를 평면으로 간주하여 측량할 수 있는가? (단, 지구의 곡률반지름은 6372km이다.)(2019년 09월)
     1. 3.49km
     2. 6.98km
     3. 11.03km
     4. 22.07km

     정답 : []
     정답률 : 41%

37. 곡선 설치에서 교각이 35°, 원곡선 반지름이 500m일 때 도로 기점으로부터 곡선 시점까지의 거리가 315.45m이면 도로 기점으로부터 곡선 종점까지의 거리는?(2016년 05월)
     1. 593.38m
     2. 596.88m
     3. 620.88m
     4. 625.36m

     정답 : []
     정답률 : 66%

38. 수심 h인 하천의 유속측정에서 수면으로부터 0.2h, 0.6h, 0.8h의 유속이 각각 0.625m/sec, 0.564 m/sec, 0.382m/sec일 때 3점법에 의한 평균유속은?(2018년 03월)
     1. 0.498m/sec
     2. 0.505m/sec
     3. 0.511m/sec
     4. 0.533m/sec

     정답 : []
     정답률 : 69%

39. 측선의 방위각이 50° 30′이고 그림과 같이 각 관측을 실시하였다. 측선의 방위각은?(2019년 09월)

    

     1. 139° 00′
     2. 141° 00′
     3. 151° 40′
     4. 201° 40′

     정답 : []
     정답률 : 59%

40. 축척 1:50000 지도상에서 4cm2 에 대한 지상에서의 실제 면적은 얼마인가?(2008년 05월)
     1. 1km2
     2. 2km2
     3. 100km2
     4. 200km2

     정답 : []
     정답률 : 55%

3과목 : 수리학


41.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4년 09월)
     1. 침윤선의 형상은 일반적으로 포물선이다.
     2. 우물로부터 양수할 경우 지하수면으로부터 그 우물에 물이 모여드는 범위를 영향원이라 한다.
     3. Darcy 법칙에서 지하수의 유속은 동수경사에 반비례 한다.
     4. 자유지하수는 대기압이 작용하는 지하수면을 갖는 지하수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2. 다음 그림과 같은 수조에 일정량의 물이 공급된다. 이 때 D점을 기준으로 A, C점에 있어 베르누이(Bernoull i)정리를 적용할 때 성립되는 식은?(2005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3. 직사각형 위어(weir)에서 유량에 비례하는 것은? (단, H는 위어의 월류수심이다.)(2004년 03월)
     1.
     2.
     3. H2
     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4. 폭 20m인 구형단면수로에 30.6m3/sec의 유량이 0.8m의 수심으로 흐를 때 Froude수를 구하고 흐름을 판별하면?(2002년 05월)
     1. 0.683, 상류
     2. 0.683, 사류
     3. 0.874, 상류
     4. 0.874, 사류

     정답 : []
     정답률 : 58%

45. 그림과 같은 사다리꼴 인공수로의 유적(A)과 경심(R)은?(2009년 05월)

    

     1. A = 27m2, R = 2.64m
     2. A = 27m2, R = 1.86m
     3. A = 18m2, R = 1.86m
     4. A = 18m2, R = 2.64m

     정답 : []
     정답률 : 60%

46. 지름이 0.2cm인 미끈한 원형 관내를 유량 0.8cm3/s로 물이 흐르고 있을 때, 관 1m당의 마찰 손실수두는? (단, 동점성계수 v=1.12×10-2cm2/s)(2018년 03월)
     1. 20.20cm
     2. 21.30cm
     3. 22.20cm
     4. 23.20cm

     정답 : []
     정답률 : 35%

47. 기온에 관한 다음 설 명중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3월)
     1. 년 평균기온은 해당 년의 월 평균기온의 평균치로 정의한다.
     2. 월 평균기온은 해당 월의 일 평균기온의 평균치로 정의한다.
     3. 일 평균기온은 일 최고 및 최저 기온을 평균하여 주로 사용한다.
     4. 정상일 평균기온은 30년간의 특정일의 일 평균기온을 평균하여 정의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8. 다음과 같이 수로폭이 3m 인 판으로 물의 흐름을 가로막았을 때 상류수심은 6m, 하류수심은 3m 이였다. 이 때 전수압의 작용점 위치(y)는?(2004년 05월)

    

     1. y = 1.50m
     2. y = 2.33m
     3. y = 3.66m
     4. y = 4.56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9. 긴 관로의 유량조절 밸브를 갑자기 폐쇄시킬 때, 관로 내의 물의 질량과 운동량 때문에 정상적인 동수압보다 몇 배의 큰 압력 상승이 일어나는 현상은?(2016년 10월)
     1. 공동현상
     2. 도수현상
     3. 수격작용
     4. 배수현상

     정답 : []
     정답률 : 71%

50. 정상적인 흐름 내 하나의 유선 상에서 유체 입자에 대하여 속도수두가 , 압력수두가 , 위치수두가 z라고 할 때 동수경사선은?(2018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7%

51. 다음 중 유체의 흐름이 원관내에서 층류일 때 에너지 보정계수(α)와 운동량 보정계수(η)가 옳게된 것은?(2007년 03월)
     1. α = 2, η = 1.02
     2. α = 2, η = 4/3
     3. α = 1.1, η = 4/3
     4. α = 1.1, η = 3/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2. 레이놀즈수가 갖는 물리적인 의미는?(2004년 05월)
     1. 점성력에 대한 중력의 비(중력/점성력)
     2. 관성력에 대한 중력의 비(중력/관성력)
     3. 점성력에 대한 관성력의 비(관성력/점성력)
     4. 관성력에 대한 점성력의 비(점성력/관성력)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3. 원형 관수로의 흐름에서 레이놀즈수(Re)를 유량 Q, 지름 d 및 동점성계수 v의 함수로 표시한 것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4%

54. 사이폰의 이론 중 동수경사선에서 정점부까지의 이론적 높이 ( ㉠ )와 실제 설계 시 적용하는 높이의 범위 ( ㉡ )로 옳은 것은?(2020년 08월)
     1. ㉠: 7.0m, ㉡: 5.6~6.0m
     2. ㉠: 8.0m, ㉡: 6.4~6.8m
     3. ㉠: 9.0m, ㉡: 6.5~7.0m
     4. ㉠: 10.3m, ㉡: 8.0~8.5m

     정답 : []
     정답률 : 40%

55. 베르누이(Bernoulli) 방정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2014년 05월)
     1. 압축성 유체에 대해서 적용된다.
     2. 정상류 상태에서 적용된다.
     3. 유체의 점성으로 인한 효과는 무시한다.
     4. 압력, 속도, 위치에 대해서 수두로 표현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56. 단위시간에 있어서 속도변화가 V1에서 V2로 되며 이때 질량 m인 유체의 밀도를 ρ라 할 때 운동량 방정식은? (단, Q : 유량, ω : 유체의 단위중량, g : 중력가속도)(2014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9%

57. 유량 6.28m3를 송수하기 위하여 안지름 2m의 주철관 100m를 설치하였을 때 적당한 관로의 동수경사는 약 얼마인가? (단, 마찰손실계수 f = 0.03)(2008년 05월)
     1. 1/1000
     2. 2/1000
     3. 3/1000
     4. 4/1000

     정답 : []
     정답률 : 93%

58. 그림과 같은 완전 수중 오리피스에서 유속을 구하려고 할 때 사용되는 수두는?(2004년 09월)

    

     1. H1-H0
     2. H2-H1
     3. H2-H0
     4. H1+H2/2

     정답 : []
     정답률 : 37%

59. 개수로에서 파상도수가 일어나는 범위는? (단, Fr1 : 도수 전의 Froude number)(2019년 09월)
     1. Fr1 = √3
     2. 1 < Fr1 < √3
     3. 2 > Fr1 > √3
     4. √2 < Fr1 < √3

     정답 : []
     정답률 : 61%

60. 관로상의 유량조절 밸브나 펌프의 급조작으로 유수의 운동에너지가 압력에너지로 변환되어 관 벽에 큰 압력이 작용하게 되는 현상은?(2017년 05월)
     1. 난류현상
     2. 수격작용
     3. 공동현상
     4. 도수현상

     정답 : []
     정답률 : 69%

4과목 : 철근콘크리트 및 강구조


61. 압축철근비(ρ')가 0.01인 철근콘크리트보의 장기처짐계수 λ의 값은 얼마인가? (단, 하중재하기간은 1년이다.)(2002년 09월)
     1. 0.80
     2. 0.933
     3. 2.80
     4. 1.333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2. 슬래브에 배력철근을 배근하는 이유로 잘못된 것은?(2008년 03월)
     1. 응력을 고르게 분산시킨다.
     2. 주 철근의 간격을 유지시킨다.
     3. 주 철근의 양을 감소신다.
     4. 콘크리트의 건조 수축이나 온도변화에 의한 수축을 감소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3. 그림과 같이 경간 20m인 PSC 보가 프리스트레스 힘(P) 1000kN을 받고 있을 때 중앙단면에서의 상향력 (U)을 구하면?(2011년 10월)

    

     1. 20kN
     2. 30kN
     3. 40kN
     4. 50kN

     정답 : []
     정답률 : 56%

64. 단철근 직사각형보에서 fy=300MPa, d=800mm이고, 균형단면일 때의 중립축거리 c 는?(2014년 05월)
     1. 402mm
     2. 447mm
     3. 482mm
     4. 533mm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C=600D/600+fy
[해설작성자 : 흐규]

65. fck = 28 MPa, fy = 400 MPa 인 단철근 직사각형 보의 균형철근비는?(2019년 09월)
     1. 0.02148
     2. 0.02516
     3. 0.02874
     4. 0.03035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0.85 x B1 x fck/fy x 600/600+fy
[해설작성자 : easy]

66. 다음 그림과 같은 경간 ℓ = 12 m인 연속 T형 보에서 대칭부의 플랜지 유효 폭은?(2002년 09월)

    

     1. 360 cm
     2. 340 cm
     3. 320 cm
     4. 300 c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7. 처짐을 계산하지 않는 경우 단순 지지로 길이 ℓ인 1방향 슬래브의 최소 두께 (h)로 옳은 것은? (단, 보통콘크리트(mc=2300kg/m3)와 설계기준항복 강도 400MPa의 철근을 사용한 부재이다.)(2020년 06월)
     1. ℓ/20
     2. ℓ/24
     3. ℓ/28
     4. ℓ/34

     정답 : []
     정답률 : 56%

68. 그림과 같은 단순보에서 자중을 포함하여 계수하중이 20kN/m 작용하고 있다. 이 보의 위험단면에서 전단력은 얼마인가?(2005년 03월)

    

     1. 100kN
     2. 90kN
     3. 80kN
     4. 70kN

     정답 : []
     정답률 : 18%

69. 그림과 같이 400mm×12mm 의 강판을 홈 용접하려 한다. 500kN의 인장력이 작용하면 용접부에 일어나는 옹력은 얼마인가? (단, 전단면을 유효길이로 한다.)(2018년 09월)

    

     1. 92.2MPa
     2. 98.2MPa
     3. 101.2MPa
     4. 104.2MPa

     정답 : []
     정답률 : 57%

70. 경간 10m 대칭 T형보에서 양쪽 슬래브의 중심간 거리가 2100mm, 플랜지 두께는 100mm, 복부의 폭(bw)은 400mm일 때 플랜지의 유효폭은?(2019년 09월)
     1. 2500mm
     2. 2250mm
     3. 2100mm
     4. 2000mm

     정답 : []
     정답률 : 53%

71. 그림과 같은 필렛 용접에서 용접부의 목두께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8년 03월)

    

     1. 7.07mm
     2. 10.0mm
     3. 12.6mm
     4. 15mm

     정답 : []
     정답률 : 63%

72. 그림과 같은 용접길이의 유효길이는 얼마인가?(2003년 03월)

    

     1. 60 cm
     2. 52 cm
     3. 40 cm
     4. 30 c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3.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 단면에서 등가 직사각형 응력블록의 깊이(a)는? (단, fck=21MPa, fy=400MPa이다.)(2017년 03월)

    

     1. 107mm
     2. 112mm
     3. 118mm
     4. 125mm

     정답 : []
     정답률 : 74%

74. 그림과 같은 확대기초에서 위험단면에 대한 휨모멘트는?(2004년 05월)

    

     1. 980 kN· m
     2. 720 kNㆍm
     3. 700 kNㆍm
     4. 630 kNㆍ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5.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서 비틀림철근으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은?(2009년 03월)
     1. 부재축에 수직인 폐쇄스터럽
     2. 부재축에 수직인 횡방향 강선으로 구성된 폐쇄용 접철망
     3. 철근콘크리트 보에서 나선철근
     4. 주인장철근에 30도 이상의 각도로 구부린 굽힘철근

     정답 : []
     정답률 : 53%

76. 보통콘크리트 부재의 해당 지속 하중에 대한 탄성처짐이 3cm이었다면 크리프 및 건조수축에 따른 추가적인 장기처짐을 고려한 최종 총 처짐량은 얼마인가? (단, 하중재하기간은 10년이고, 압축철근비 ρ′ 는 0.005이다.)(2002년 05월)
     1. 7.8cm
     2. 6.8cm
     3. 5.8cm
     4. 4.8c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7. 앞부벽식 옹벽의 앞부벽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3월)
     1. T형보로 설계하여야 한다.
     2. 전면벽에 지지된 캔틸레버로 설계하여야 한다.
     3. 연속보로 설계하여야 한다.
     4. 직사각형보로 설계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78. 그림과 같은 이음에서 리벳의 강도는 얼마인가? (단, 리벳지름 d=22mm, τo = 100MPa, fba = 250MPa)(2007년 03월)

    

     1. 72.56 kN
     2. 76.03 kN
     3. 76.48 kN
     4. 79.25 kN

     정답 : []
     정답률 : 40%

79. 어떤 강교의 교량 지간이 12m 일때 충격 계수는?(2004년 03월)
     1. 0.25
     2. 0.27
     3. 0.29
     4. 0.31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0. 전체깊이가 900mm를 초과하는 휨부재 복부의 양측면에 부재 축방향으로 배근하는 철근의 명칭은?(2009년 05월)
     1. 배력철근
     2. 표피철근
     3. 피복철근
     4. 연결철근

     정답 : []
     정답률 : 40%

5과목 : 토질 및 기초


81. 미세한 모래와 실트가 작은 아치를 형성한 고리모양의 구조로써 간극비가 크고, 보통의 정적 하중을 지탱할 수 있으나 무거운 하중 또는 충격하중을 받으면 흙구조가 부서지고 큰 침하가 발생되는 흙의 구조는?(2017년 09월)
     1. 면모구조
     2. 벌집구조
     3. 분산구조
     4. 단립구조

     정답 : []
     정답률 : 65%

82. 다음 중 말뚝의 정역학적 지지력공식은?(2019년 03월)
     1. Sander공식
     2. Terzaghi공식
     3. Engineering News공식
     4. Hiley공식

     정답 : []
     정답률 : 69%

83. 두께 6m의 점토층이 있다. 이 점토의 간극비는 eo = 2.0이고 액성한계는 WL = 70%이다. 압밀하중을 2kg/cm2에서 4kg/cm2로 증가시키려고 한다. 예상되는 압밀침하량은? (단, 압축지수 Cc는 skempton의 식 Cc = 0.009(WL - 10)을 이용할 것)(2009년 03월)
     1. 0.27m
     2. 0.33m
     3. 0.49m
     4. 0.65m

     정답 : []
     정답률 : 53%

84. 포화단위중량이 1.8t/m3인 모래지반이 있다. 이 포화 모래지반에 침투수압의 작용으로 모래가 분출하고 있다면 한계동수경사는?(2019년 03월)
     1. 0.8
     2. 1.0
     3. 1.8
     4. 2.0

     정답 : []
     정답률 : 46%

85. 예민비가 큰 점토란?(2002년 09월)
     1. 입자모양이 둥근 점토
     2. 흙을 다시 이겼을때 강도가 증가하는 점토
     3. 입자가 가늘고 긴 형태의 점토
     4. 흙을 다시 이겼을때 강도가 감소하는 점토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6. 점토의 자연 시료에 대한 일축압축 강도가 3.6㎏/㎝2이고, 이 흙을 되비볐을 때의 파괴압축 응력이 1.2㎏/㎝2 이었다. 이 흙의 점착력(C)과 예민비(St)는 얼마인가?(2002년 09월)
     1. C = 1.8㎏/㎝2, St = 3
     2. C = 1.8㎏/㎝2, St = 2
     3. C = 2.4㎏/㎝2, St = 3
     4. C = 2.4㎏/㎝2, St = 2

     정답 : []
     정답률 : 20%

87. 연약지반개량공사에서 성토하중에 의해 압밀된 후 다시 추가하중을 재하한 직후의 안정검토를 할 경우 삼축압축시험 중 어떠한 시험이 가장 좋은가?(2011년 03월)
     1. CD시험
     2. UU시험
     3. CU시험
     4. 급속전단시험

     정답 : []
     정답률 : 58%

88. 비중이 2.65, 간극률이 40%인 모래지반의 한계 동수경사는?(2017년 03월)
     1. 0.99
     2. 1.18
     3. 1.59
     4. 1.89

     정답 : []
     정답률 : 59%

89. 다음 기초의 형식 중 얕은 기초인 것은?(2020년 06월)
     1. 확대기초
     2. 우물통 기초
     3. 공기 케이슨 기초
     4. 철근콘크리트 말뚝기초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깊은기초 : 말뚝기초、、피어기초 、 케이슨기초(오픈케이슨、공기케이슨、박스케이슨、우물통기초)
얕은기초: 전면기초、 확대기초(독립확대기초、복합확대기초、연속확대기초、켄틸레버 확대기초)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0. 다음 중 표준관입 시험으로 구할 수 없는 것은?(2015년 05월)
     1. 사질토의 투수계수
     2. 점성토의 비배수점착력
     3. 점성토의 일축압축강도
     4. 사질토의 내부마찰각

     정답 : []
     정답률 : 59%

91. 분사현상(quick sand action)에 관한 그림이 아래와 같을 때 수두차 h를 최호 얼마 이상으로 하면 모래시표에 분사현상이 발생하겠는가? (단, 모래의 비중 2.6, 공극률 50%)(2009년 03월)

    

     1. 6cm
     2. 12cm
     3. 24cm
     4. 30cm

     정답 : []
     정답률 : 54%

92. 3.0×3.6m인 직사각형 기초의 저면에 0.8m 및 1.0m간격으로 지름 30cm, 길이 12m인 말뚝 9개를 무리말뚝으로 배치하였다. 말뚝 1개의 허용지지력을 25ton으로 보았을 때 이 무리말뚝 기초 전체의 허용지지력을 구하면? (단, 무리말뚝의 효율(E)은 0.543이다.)(2016년 10월)
     1. 122.2ton
     2. 146.6ton
     3. 184ton
     4. 225ton

     정답 : []
     정답률 : 43%

93. 다음 중 동상(凍上)현상이 가장 잘 일어날 수 있는 흙은?(2017년 05월)
     1. 자갈
     2. 모래
     3. 실트
     4. 점토

     정답 : []
     정답률 : 55%

94. 흙의 동해(凍害)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9월)
     1. 동상현상은 빙층(ice lens)의 생장이 주된 원인이다.
     2. 사질토는 모관상승높이가 작아서 동상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3. 실트는 모관상승높이가 작아서 동상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4. 점토는 모관상승높이는 크지만 동상이 잘 일어나는편은 아니다.

     정답 : []
     정답률 : 73%

95. 통일분류법에 의한 흙의 분류에서 조립토와 세립토를 구분할 때 기준이 되는 체의 호칭번호와 통과율로 옳은 것은?(2015년 05월)
     1. No.4(4.75mm)체, 35%
     2. No.10(2mm)체, 50%
     3. No.200(0.075mm)체, 35%
     4. No.200(0.075mm)체, 50%

     정답 : []
     정답률 : 65%

96. 압밀시험에서 압축지수를 구하는 가장 중요한 목적은?(2008년 03월)
     1. 압밀침하량을 결정하기 위함이다.
     2. 압밀속도를 결정하기 위함이다.
     3. 투수량을 결정하기 위함이다.
     4. 시간계수를 결정하기 위함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7. 어느 모래층의 간극률이 20%, 비중이 2.65이다. 이 모래의 한계 동수경사는?(2015년 05월)
     1. 1.32
     2. 1.38
     3. 1.42
     4. 1.48

     정답 : []
     정답률 : 67%

98. 다짐에 관한 다음의 설명 중 타당하지 않은 것은?(2002년 05월)
     1. 사질성분이 많이 내포된 흙은 다짐곡선의 기울기가 급하다.
     2. 최적 함수비는 흙의 종류와 다짐방법에 따라 다르다.
     3. 입도분포가 양호한 흙의 건조밀도는 낮다.
     4. 다짐을 하면 부착성이 양호해지고 투수성과 압축성이 작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9. 어떤 흙의 No. 200체 통과율 60%, 액성한계가 40%, 소성지수가 10%일 때 군지수는?(2005년 09월)
     1. 3
     2. 4
     3. 5
     4. 6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0. 채취된 시료의 교란정도는 면적비를 계산하여 통상 면적비가 몇 % 이하이면 잉여토의 혼입이 불가능한 것으로 보고 불교란 시료로 간주하는가?(2002년 03월)
     1. 5%
     2. 7%
     3. 10%
     4. 15%

     정답 : []
     정답률 : 31%

101. 상수도 침전지의 제거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틀린 것은?(2018년 09월)
     1. 침전지의 침강면적(A)을 크게 한다.
     2. 플목의 침강속도(V)를 크게 한다.
     3. 유량(Q)을 적게 한다.
     4. 침전지의 수심(H)을 크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38%

102.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의 급속여과지 면적은?(2017년 05월)

    

     1. 5.0m2
     2. 8.33m2
     3. 12.5m2
     4. 14.58m2

     정답 : []
     정답률 : 46%

103. 하수종말 처리장에 유입하는 하수 20mL를 채취하여 증류수에 희석하여 300mL로 하였다. 식종은 별도로 하지 아니하였으며 희석 후 시료의 용전산소량은 8.5mg/L 이었고 20℃에서 5일간 배양후 시료내의 용존산소량은 2.8mg/L 이었다. 이 하수의 BOD5는 얼마인가?(2003년 05월)
     1. 42.2mg/L
     2. 85.5mg/L
     3. 150.4mg/L
     4. 285.0mg/L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4. 우수관의 길이 1,500m인 하수관 내에서 우수가 1.2m/sec의 속도로 흐르고 있다. 유달시간은? (단, 유입시간은 7분임)(2002년 03월)
     1. 7분
     2. 14분
     3. 21분
     4. 28분

     정답 : []
     정답률 : 16%

105. 살수여상(Tricking filter)에 의한 하수처리의 원리는?(2005년 03월)
     1. 하수내의 고형물이 산소와 결합하여 침전물을 형성한다
     2. 쇄석내의 재질에 의해 BOD가 여과된다
     3. 하수내의 고형물이 쇄석에 의해 흡수된다
     4. 쇄석 표면에 번식하는 미생물이 하수와 접촉하여 고형물을 섭취 분해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6. 유입하수량 10,000m3/day, 유입 BOD농도 120mg/L, 폭기조 내 MLSS농도 2,000mg/L, BOD부하 0.5kgBOD /kgMLSS ㆍ day일 때 폭기조의 용적은?(2015년 03월)
     1. 240m3
     2. 600m3
     3. 1,000m3
     4. 1,200m3

     정답 : []
     정답률 : 47%

107. 수원을 지하수로 할 때 예상되는 물의 성질로 거리가 먼 것은?(2003년 03월)
     1. 철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2. 산성도가 높아 침식성이 있다.
     3. 유기성 물질은 지표수보다 적다.
     4. 질소산화물은 찾아보기 어렵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8. 하수관거의 각 관거별 계획하수량 산정이 잘못된 것은?(2008년 05월)
     1. 우수관거는 계획우수량으로 한다.
     2. 차집관거는 우천시 계획우수량으로 한다.
     3. 오수관거는 계획시간최대의오수량으로 한다.
     4. 합류식관거는 계획시간최대오수량에 계획우수량을 합한 것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109. 혐기성 소화에 의한 슬러지 처리법에서 발생되는 가스성분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것은? (단, 혐기성 소화가 정상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때로 가정한다.)(2017년 03월)
     1. 탄산가스
     2. 메탄가스
     3. 유화수소
     4. 황화수소

     정답 : []
     정답률 : 69%

110. 하수관거의 유속 및 최소관경에 대한 설명 중 틀린것은?(2009년 05월)
     1. 우수관거 및 합류관거의 최소관경은 250mm를 표준으로 한다.
     2. 계획시간최대오수량에 대한 오수관거 최소유속은 0.6m/s로 한다.
     3. 계획우수량에 대한 우수관거 및 합류관거의 최소 유속은 0.4m/s로 한다.
     4. 오수관거의 최소관경은 200mm를 표준으로한다.

     정답 : []
     정답률 : 42%

111. 침전지의 침전효율을 높이기 위한 사항으로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침전지의 표면적을 크게 한다.
     2. 침전지 내 유속을 크게 한다.
     3. 유입부에 정류벽을 설치한다.
     4. 지(池)의 길이에 비하여 폭을 좁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112. 하수배제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8년 03월)
     1. 합류식 하수관거는 청천시(晴天時) 관로내 퇴적량이 분류식 하수관거에 비하여 많다.
     2. 합류식 하수배제 방식은 강우초기에 도로 위의 오염물질이 직접 하천으로 유입된다.
     3. 분류식 하수배제 방식은 침수피해 다발지경에 유리한 방식이다.
     4. 분류식 하수관거에서는 우천시 일정한 유량 이상되면 오수가 월류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113. 다음 중 상수도의 설계기준이 되는 것은?(2004년 03월)
     1. 계획1일 최대강우량
     2. 계획1일 최대급수구역
     3. 계획1일 최대급수인구
     4. 계획1일 최대급수량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4. 슬러지 반송비가 0.4, 반송슬러지의 농도가 1%일 때 포기조 내의 MLSS 농도는?(2015년 09월)
     1. 1,234mg/L
     2. 2,857mg/L
     3. 3,325mg/L
     4. 4,023mg/L

     정답 : []
     정답률 : 58%

115. BOD 2.5mg/L의 하천수를 취수하여 정수처리할 경우 우선 고려할 수 있는 처리방법은?(2003년 05월)
     1. 여과 등에 의한 간이정수처리 후 사용
     2. 침전여과 등에 의한 일반적 정수처리 후 사용
     3. 전처리 등을 거친 고도의 정수처리 후 사용
     4. 특수한 정수처리 후 사용

     정답 : []
     정답률 : 19%

116. 다음 중 염소소득시 소독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수질인자는?(2011년 10월)
     1. pH
     2. 탁도
     3. 총 경도
     4. 알칼리도

     정답 : []
     정답률 : 63%

117. 오수관거 내에서 부유물 침전을 막기 위해 요구되는 최소 유속은? (단, 계획 시간 최대오수량 기준)(2008년 03월)
     1. 0.2 m/sec
     2. 0.6 m/sec
     3. 2.0 m/sec
     4. 2.5 m/sec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8. 20000m3/day의 물을 처리하는데 염소 8.0kg/day를 사용한다. 접촉 10분 후 잔류염소는 0.2mg/L이다. 이때 염소 투입량과 염소요구(소비)량은 각각 몇 mg/L 인가?(2009년 05월)
     1. 0.6mg/L, 0.4mg/L
     2. 0.4mg/L, 0.2mg/L
     3. 0.6mg/L, 0.3mg/L
     4. 0.4mg/L, 0.1mg/L

     정답 : []
     정답률 : 24%

119. 배수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1년 03월)
     1. 급수량의 시간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설치한다.
     2. 단수 등의 비상시에 대비하기 위해 설치한다.
     3. 배수관내의 누수량을 줄이기 위해 설치한다.
     4. 계획1일최대급수량의 일정시간 분량을 저장한다.

     정답 : []
     정답률 : 28%

120. 수리학적 체류시간이 4시간, 유효수심이 3.5m인 침전지의 표면부하율은?(2020년 06월)
     1. 8.75m3/m2·day
     2. 17.5m3/m2·day
     3. 21.0m3/m2·day
     4. 24.5m3/m2·day

     정답 : []
     정답률 : 41%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토목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4682737)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선박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0.01 7
41 9급 지방직 공무원 환경공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7664450) 좋은아빠되기 2025.10.01 6
40 지적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1년07월22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0.01 5
39 산업위생관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5월29일 좋은아빠되기 2025.10.02 6
38 화훼장식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7월27일 좋은아빠되기 2025.10.02 4
37 농기계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4720874) 좋은아빠되기 2025.10.04 5
36 경찰공무원(순경) 수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911377) 좋은아빠되기 2025.10.04 3
35 침투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5479326) 좋은아빠되기 2025.10.04 5
34 건설기계정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7470430) 좋은아빠되기 2025.10.04 3
33 변리사 1차(3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7753449) 좋은아빠되기 2025.10.04 4
32 기계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7월20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0.04 5
31 설비보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7664416) 좋은아빠되기 2025.10.04 5
» 토목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4682737) 좋은아빠되기 2025.10.04 5
29 9급 국가직 공무원 정보보호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6562049) 좋은아빠되기 2025.10.04 5
28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8월22일 좋은아빠되기 2025.10.04 5
27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선박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0.05 5
26 식품가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3월28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0.05 4
25 온실가스관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05일)(888803) 좋은아빠되기 2025.10.05 4
24 멀티미디어콘텐츠제작전문가(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05일)(8422591) 좋은아빠되기 2025.10.05 5
23 축산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3월04일 좋은아빠되기 2025.10.05 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