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장의 레이아웃 형식 중 생산에 필요한 모든 공정과 기계류를 제품의 흐름에 따라 배치하는 형식은?
1.
고정식 레이아웃
2.
혼성식 레이아웃
3.
제품중심의 레이아웃
4.
공정중심의 레이아웃
정답 : [
3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1.고정식 레이아웃 ㈎ 주가 되는 재료나 조립부품이 고정된 장소에, 사람이나 기계는 그 장소에 이동해 가서 작업이 행해지는 방식이다. ㈏ 제품이 크고 수가 극히 적을 경우(선박, 건축)
2.혼성식 레이아웃 ㈎혼성식 레이아웃은 제품중심, 공정 중심, 고정식 이 세가지 레이아웃을 섞어서 이용하는 레이아웃을 말한다.
3.제품의 중심의 레이아웃(연속 작업식) ㈎생산에 필요한 모든 공정, 기계 기구를 제품의 흐름에 따라 배치하는 방식이다. ㈏대량생산 가능, 생산성이 높음, 공정시간의 시간적, 수량적 밸런스가 좋고 상품의 연속성이 가능하게 흐를 경우 성립한다
4.공정중심의 레이아웃(기계설비 중심) ㈎ 동일종류의 공정 즉 기계로 그 기능을 동일한 것, 혹은 유사한 것을 하나의 그룹으로 집합시키는 방식으로 일명 기능식 레이아웃이다. ㈏ 다종 소량생산으로 예상생산이 불가능한 경우, 표준화가 행해지기 어려운 경우에 채용한다. [해설작성자 : 로이열]
인정한다... 화장실을 숨기는 건 좀 아니지...이건 악마도 안하는 짓이야 [해설작성자 : 쾌변을 양해 으쌰으쌰]
[관리자 입니다. 크게 한번 웃고... 정답은 꼭 외우세요 ㅎㅎ 정답율 100%를 향하여..]
3.
미술관의 전시실 순회형식 중 많은 실을 순서별로 통해야 하고, 1실을 폐쇄할 경우 전체 동선이 막히게 되는 것은?
1.
중앙홀 형식
2.
연속순회형식
3.
갤러리(gallery) 형식
4.
코리더(corridor) 형식
정답 : [
2
] 정답률 : 94%
<문제 해설> 1. 중앙홀 형식 : 중심부에 큰 홀이 있음. 2. 연속순회형식 : 구(원)형, 다각형의 각 전시실을 연속적으로 연결함. 많은 실을 순서별로 통과. 1실을 닫으면 전체 동선이 막힌다. 3&4 갤러리형식 & 코리더형식 : 복도 자체를 전시공간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중정을 포위하여 순로를 구성한다. [해설작성자 : 밀안니]
4.
상점 매장의 가구배치에 따른 평면 유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직렬형은 부분별로 상품 진열이 용이하다.
2.
굴절형은 대면판매 방식만 가능한 유형이다.
3.
환상형은 대면판매와 측면판매 방식을 병형 할 수 있다.
4.
복합형은 서점, 패션점, 악세사리점 등의 상점에 적용이 가능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굴절형은 대면판매와 측면판매를 조합한 유형이다. [해설작성자 : 밀안니]
5.
다음의 공동주택 평면형식 중 각 주호의 프라이버시와 거주성이 가장 양호한 것은?
1.
계단실형
2.
중복도형
3.
편복도형
4.
집중형
정답 : [
1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계단실형은 실에 들어가 각 실의 계단을 사용해 이동하기 때문에 프라이버시와 거주성이 양호하다. [해설작성자 : ㅊㅈㅇ]
6.
다음은 극장의 가시거리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 15, ㉡ 22
2.
㉠ 20, ㉡ 35
3.
㉠ 22, ㉡ 35
4.
㉠ 22, ㉡ 38
정답 : [
1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연기자의 표정을 읽을 수 있는 생리적 한도는 15m. 많은 관객을 수용할 수 있는 1차 허용한도는 22m. 일반적인 동작이 보이는 2차 허용한도는 35m. [해설작성자 : 밀안니]
7.
사무소 건축에서 엘리베이터 계획 시 고려되는 승객 집중시간은?
1.
출근 시 상승
2.
출근 시 하강
3.
퇴근 시 상승
4.
퇴근 시 하강
정답 : [
1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출근 시 혈압이 상승! [해설작성자 : 퇴사각]
8.
도서관 출납시스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폐가식은 서고와 열람실이 분리되어 있다.
2.
반개가식은 새로 출간된 신간 서적 안내에 채용된다.
3.
안전개가식은 서가 열람이 가능하여 도서를 직접 뽑을 수 있다.
4.
자유개가식은 이용자가 자유롭게 도서를 꺼낼 수 있으나 열람석으로 가기 전에 관원에게 체크를 받는 형식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자유개가식은 이용자가 자유롭게 도서를 꺼낼 수 있으며, 열람석도 자유롭게 사용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ㅊㅈㅇ]
4. 안전개가식 [해설작성자 : 기사]
9.
1주간의 평균 수업시간이 30시간인 어느 학교에서 설계제도교실이 사용되는 시간은 24시간이다. 그 중 6시간은 다른 과목을 위해 사용된다고 할 때, 설계제도교실의 이용률과 순수율은?
1.
이용률 80%, 순수율 25%
2.
이용률 80%, 순수율 75%
3.
이용률 60%, 순수율 25%
4.
이용률 60%, 순수율 75%
정답 : [
2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이용율 = 교실이 사용되고 있는 시간/1주간의 평균수업시간×100(%) 순수율 = 일정교과를 위해 사용되는 시간/그 교실이 사용되는 시간×100(%) [해설작성자 : Juri]
설계제도교실이 사용되는시간 = 24시간 설계제도교실에서 다른과목이 사용하는 시간 = 6시간 설계제도교실의 이용률과 순수율을 구하는 것이기 때문에 일정교과를 위해 사용되는 시간 = 24 - 6 = 18시간으로 계산하는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해설작성자 : ㅁ]
순수율은 24-6=18 즉 24시간 중에 18시간이 순수율임 18시간÷24시간×100분율은 75% [해설작성자 : 한양건축평생교육원 화이팅]
2번 맞습니다. 문제를 잘 보시죠. 6시간은 다른과목의 시간입니다. 순수율은 해당 과목을 얼만큼 쓰냐입니다. 그러니 설계제도과목은 24-6=18시간입니다. 따라서 18/24 순수율 75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똑바로]
10.
메조넷형 아파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다양한 평면구성이 가능하다.
2.
소규모 주택에서는 비경제적이다.
3.
편복도형일 경우 프라이버시가 양호하다.
4.
복도와 엘리베이터홀은 각 층마다 계획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2층 >—엘베 1층 [해설작성자 : 사랑과 우정 사이]
메조넷형 아파트란 단면형식이 복층을 의미함. [해설작성자 : 콩크리트]
복도와 엘리베이터홀은 2개층마다 계획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
극장의 평면형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오픈스테이지형은 무대장치를 꾸미는데 어려움이 있다.
2.
프로시니엄형은 객석 수용 능력에 있어서 제한을 받는다.
3.
가변형 무대는 필요에 따라서 무대와 객석을 변화시킬 수 있다.
4.
아레나형은 무대 배경설치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애리나형은 무대 배경을 만들지 않으므로 경제성이 있다.
12.
학교 건축에서 단층 교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내진∙내풍구조가 용이하다.
2.
학습 활동을 실외로 연장할 수 있다.
3.
계단이 필요없으므로 재해 시 피난이 용이하다.
4.
설비 등을 집약할 수 있어서 치밀한 평면계획이 용이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1. 단층이라 무너질것도 없다. 2. 체육시간때 창문넘어서 수업 참여가는 3. 자연재해 창문넘어서 집으로 튈 수 있음 4. 설비집약 불필요 집약할것도 없음 [해설작성자 : 급식충]
설비를 집약할 수 없다. 단층교사같은 경우 교사가 넓게 퍼져있기 때문에 집약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연세대 건축공]
13.
주택의 부엌가구 배치 유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L자형은 부엌과 식당을 겸할 경우 많이 활용된다.
2.
ㄷ자형은 작업공간이 좁기 때문에 작업효율이 나쁘다.
3.
일(-)자형은 좁은 면적 이용에 효과적이므로 소규모 부엌에 주로 사용된다.
4.
병렬형은 작업 동선은 줄일 수 있지만 작업시 몸을 앞뒤로 바꿔야 하므로 불편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소규모 주택에 이용하면 좁게 느껴지며 작업효율은 원래 높습니다 [해설작성자 : 틀린건 아님!]
14.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령에 따른 편의시설 중 매개시설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주출입구접근로
2.
유도 및 안내설비
3.
장애인전용주차구역
4.
주출입구높이차이제거
정답 : [
2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매개시설(접근로 등) 내부시설(복도 계단 출입문 등) 위생시설(화장실 등) 안내시설(점자블록, 안내판 등) 기타시설(기타 상식전인것들)
장애인들을 위해 위 5개 기준으로 세부항복이 적용된다. [해설작성자 : 오체불만족]
15.
한국 고대 사찰배치 중 1탑 3금당 배치에 속하는 것은?
1.
미륵사지
2.
불국사지
3.
정림사지
4.
청암리사지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청암리사지는 중앙 1개의 탑과 서금당, 동금당, 북쪽으로 금당이 위치한다. 이는 정릉사와 유사하다. [해설작성자 : 59기]
16.
상점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객의 동선은 일반적으로 짧을수록 좋다.
2.
점원의 동선과 고객의 동선은 서로 교차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대면판매형식은 일반적으로 시계, 귀금속, 의약품 상점 등에서 쓰여 진다.
4.
쇼 케이스 배치 유형 중 직렬형은 다른 유형에 비하여 상품의 전달 및 고객의 동선상 흐름이 빠르다.
<문제 해설> 미스반데로어는 I.I.T(일리노이 공대) 건물들을 만들었고 MIT는 스티븐 홀이 만들었다. [해설작성자 : ㅂ2]
M.I.T 공대기숙사는 알바 알토가 지었다 [해설작성자 : Oscar]
M.I.T 공대기숙사 중 베이커 하우스는 알바알토의 작품이고 시먼스 홀은 스티븐 홀의 작품입니다.
미스 반 데어 로에의 주요 작품으로는 -바르셀로나 박람회 독일관(파빌리온) -투켄하트 주택 -시그램 빌딩 -일리노이 공과대학 크라운 홀 [해설작성자 : 12131001]
19.
주거단지의 각 도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격자형 도로는 교통을 균등 분산시키고 넓은 지역을 서비스할 수 있다.
2.
선형 도로는 폭이 넓은 단지에 유리하고 한쪽 측면의 단지만을 서비스할 수 있다.
3.
루프(loop)형은 우회도로가 없는 쿨데삭(cul-de-sac)형의 결점을 개량하여 만든 유형이다.
4.
쿨데삭(cul-de-sac)형은 통과교통을 방지함으로써 주거환경의 쾌적성과 안정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선형도로 -비교적 좁은 부지, 양방향 카파 가능 [해설작성자 : 부동산투기는강남이박사부동산]
선형 도로는 폭이 좁은 단지에 유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0.
다음은 주택의 기준척도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5cm
2.
10cm
3.
15cm
4.
30cm
정답 : [
1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1.치수 및 기준척도는 안목치수 2.거실 및 침실의 평면 각 변의 길이는 5cm를 단위로 한 것을 기준척도로 한다. 3.부엌,식당,욕실,화장실,복도,계단 및 계단참 등의 평면 각 변의 길이 또는 너비는 5cm를 단위로 한 것을 긴주척도로 한다. 4.거실,침실의 반자높이는 2.2m이상 / 층높이는 2.4m이상으로 하되 각각 5cm를 단위로 한것을 기준척도로 한다. [해설작성자 : 노구라]
주택에서의 거실, 침실의 반자높이는 2.2m 이상 층높이 2.4m 이상이 맞습니다 그 외에는 전부 2.1m / 2,3m를 적용합니다 [해설작성자 : lsw]
일반구조용 열간 압연한 일반형 강재에 비하여 판두께가 얇고 강재량이 적으면서 휨강도는 크고 좌굴 강도도 유리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경량형 강재는 국부 변형이 일어나고 부재 비틀림이 쉽다. [해설작성자 : 밀안니]
28.
거푸집에 작용하는 콘크리트의 측압에 끼치는 영향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거푸집의 강성
2.
콘크리트 타설 속도
3.
기온
4.
콘크리트의 강도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강성=변형에 대한 저항력을 치수화 한것 강도=물체의 강한 정도 [해설작성자 : 야인-강성]
측압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콘크리트 타설 속도, 컨시스턴시, 콘크리트의 온도(기온), 콘크리트의 비중, 거푸집 표면의 평활도, 거푸집의 투수성 및 누수성, 바이브레이터의 사용, 콘크리트 타설 방법, 거푸집의 강성, 철골 or 철근량이다. 즉, 콘크리트의 강도가 아니라 비중 또는 온도 이다. [해설작성자 : 밀안니]
29.
건설 프로세스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형성된 개념으로 건설생산에 초점을 맞추고 이에 관련된 계획, 관리, 엔지니어링, 설계, 구매, 계약, 시공, 유지 및 보수 등의 요소들을 주요 대상으로 하는 것은?
1.
CIC(Computer Integrated Construction)
2.
MIS(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3.
CIM(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4.
CAM(Computer Aided Manufacturing)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생산에 초점을 두고 관련된 요소들로 구성(construction)된것 [해설작성자 : 김선달]
30.
경량기포콘크리트(ALC)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건 비중은 보통 콘크리트의 약 1/4 정도로 경량이다.
2.
열전도율은 보통 콘크리트의 약 1/10정도로서 단열성이 우수하다.
3.
유기질 소재를 주원료로 사용하여 내화성능이 매우 낮다.
4.
흡음성과 차음성이 우수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ALC는 무기질 소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내외장재이다.
31.
실의 크기 조절이 필요한 경우 칸막이 기능을 하기 위해 만든 병풍 모양의 문은?
1.
여닫이문
2.
자재문
3.
미서기문
4.
홀딩 도어
정답 : [
4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홀딩도어(folding door) : 포개어 접게 되는 문으로서 칸막이 기능을 한다 [해설작성자 : 영어발음킹받네요]
32.
타일 108mm 각으로, 줄눈을 5mm로 벽면 6m2 를 붙일 때 필요한 타일의 장수는? (단, 정미량으로 계산)
기둥에서는 철근이 응력에 수직이기때문에 보처럼 유효거리(d)가 아닌 전면적에 대해서 응력을 계산한다. 따라서 복근보와 헷갈릴 수 있으나, As든 A's든 모두 일반 철근이기 때문에, 단순히 콘크리트와 철근을 구분해서 콘크리트는 콘크리트강도에 콘크리트면적을, 철근은 철근강도에 철근면적을 각각 곱해서 합한것이 축하중이 되며 설계값을 구하는 것이므로 기본 0.8과 강도감소계수 0.65(압축(기둥이므로)이므로)를 추가로 곱해줘야한다. [해설작성자 : LaSal]
수량 22.4 m3/h 를 양수하는데 필요한 터빈 펌프의 구경으로 적당한 것은? (단, 터빈 펌프 내의 유속은 2m/s로 한다.)
1.
65mm
2.
75mm
3.
100mm
4.
125mm
정답 : [
1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우리가 아는 양수량(m^3/s)=단면적(파이r^2)×유속(m/s)을 이용해 반지름r를 구하고 곱하기2를 하면 됩니다. 즉 22.4÷3600(m^3/s)=3.14×r^2×2(m/s) r^2=22.4÷3600÷3.14÷2(m^2) r=루트{22.4÷3600÷3.14÷2}(m) r=0.0315m=31.5mm 구경은 지름이니까 31.5×2=63mm 즉 펌프의 구경으로 65mm면 적합하다는 결과가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반박시내말이맞]
펌프구경 공식 1.13 x 루트 수량/유속 (유속은 단위때문에 3600 곱해주셔야 합니다) 1.13 x 루트 22.4/(2.0 x 3600) = 0.063m = 63mm 즉 65mm가 적당하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제가 잘 못 알고 있는건가 싶어서 검색해서 엄청 찾아봤는데요. 어디서나 평균수용전력을 최대수용전력으로 나눈걸로 나와있네요. 님이 그렇다면야 출판사마다 다르게 나와있는 것 같네요. 보통은 평균수용전력을 최대수용전력으로 나눈 값을 더 많이 사용하네요 [해설작성자 : ㅇㅇ]
[오류신고 반론] 수용률(Demand factor): 수용장소에 설치된 총 설비용량에 대해 실제 사용하고 있는 부하의 최대 수용전력과의 비율 ⇒수용률=최대 수용전력/총 설비용량 [해설작성자 : 괜찮아딩딩딩]
81.
특별피난계단의 구조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계단실에는 예비전원에 의한 조명설비를 할 것
2.
계단은 내화구조로 하되, 피난층 또는 지상까지 직접 연결되도록 할 것
3.
출입구의 유효너비는 0.9m 이상으로 하고 피난의 방향으로 열 수 있을 것
4.
계단실의 노대 또는 부속실에 접하는 창문은 그 면적을 각각 3m2 이하로 할 것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계단실 바깥쪽에 접하는 창문은 다른 부분에 설치하는 다른 창문으로부터 2M 이상 띄울것 (망입유리 붙박이창은 면적을 1m2 이하로 할 것) [해설작성자 : 시크릿가든]
계단실 노대 또는 부속실에 접하는 찬문은 그 면적을 각각 1m^2 이하로 할 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2.
그림과 같은 일반 건축물의 건축면적은? (단, 평면도 건물 치수는 두께 300mm인 외벽의 중심치수이고, 지붕선 치수는 지붕외곽선 치수임)
1.
80 m2
2.
100 m2
3.
120 m2
4.
168 m2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처마, 지붕 등, 공동주택 발코니는 외벽 중심선으로 부터 1m이상 돌출부분은 끝에서부터 1m 후퇴한 부분만 삽입 하여 산정. 12 X 10 = 120 [해설작성자 : 시크릿가든]
(14-1-1)*(12-1-1)=120 [해설작성자 : 건축6일컷]
83.
다음은 대지의 조경에 관한 기준 내용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100 m2
2.
200 m2
3.
300 m2
4.
500 m2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조경 두글자니까 200 [해설작성자 : 야나도]
84.
건축법령상 초고층 건축물의 정의로 옳은 것은?
1.
층수가 30층 이상이거나 높이나 90m 이상인 건축물
2.
층수가 30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120m 이상인 건축물
3.
층수가 50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150m 이상인 건축물
4.
층수가 50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200m 이상인 건축물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고층 건축물 : 30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120m 이상인 건축물 초고층 건축물 : 50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200m 이상인 건축물 (1층당 4m로 계산) [해설작성자 : 시크릿가든]
85.
건축물의 거실에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에 따라 배연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대상 건축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단, 피난층의 거실은 제외)
1.
6층 이상인 건축물로서 창고시설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
2.
6층 이상인 건축물로서 운수시설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
3.
6층 이상인 건축물로서 위락시설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
4.
6층 이상인 건축물로서 종교시설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다음 각 호의 건축물의 거실(피난층의 거실은 제외한다)에는 국토해양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배연설비(排煙設備)를 하여야 한다.
<6층이상인 건축물>
1. 제2종 근린생활시설 중 공연장, 종교집회장, 인터넷컴퓨터게임시설제공업소 및 다중생활시설(공연장, 종교집회장 및 인터넷컴퓨터게임시설제공업소는 해당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각각 300제곱미터 이상인 경우만 해당한다) 2. 문화 및 집회시설 3. 종교시설 4. 판매시설 5. 운수시설 6. 의료시설(요양병원 및 정신병원은 제외한다) 7. 교육연구시설 중 연구소 8. 노유자시설 중 아동 관련 시설, 노인복지시설(노인요양시설은 제외한다) 9. 수련시설 중 유스호스텔 10. 운동시설 11. 업무시설 12. 숙박시설 13. 위락시설 14. 관광휴게시설 15. 장례식장
<층수 상관없이 설치해야 하는 건축물>
1. 의료시설 중 요양병원 및 정신병원 2. 노유자시설 중 노인요양시설ㆍ장애인 거주시설 및 장애인 의료재활시설 [해설작성자 : 훙]
86.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의 구조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채광이 되는 창문이 있거나 예비전원에 의한 조명설비를 할 것
2.
벽 및 반자가 실내에 접하는 부분의 마감 재료는 불연재료로 할 것
3.
피난층이 있는 승강장의 출입구로부터 도로 또는 공지에 이르는 거리가 50m 이하일 것
4.
옥내에 승강장을 설치하는 경우 승강장의 바닥면적은 비상용승강기 1대에 대하여 6m2 이상으로 할 것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0조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 및 승강로의 구조 피난층이 있는 승강장의 출입구 (승강장이 없는 경우에는 승강로의 출입구)로부터 도로 또는 공지(공원, 광장 기타 이와 유사한 것으로서 피난 및 소화를 위해 당해 대지에의 출입에 지장이 없는 것을 말한다)에 이르는 거리가 30m 이하일것 [해설작성자 : 시크릿가든]
<문제 해설> 건축법 시행령 제 3조의3 막다른 도로의 길이 10m 미만 : 2m 10m 이상 35m 미만 : 3m 35m 이상 : 6m (도시지역이 아닌 읍, 면 지역은 4m) [해설작성자 : 시크릿가든]
92.
어느 건축물에서 주차장 외의 용도로 사용되는 부분이 판매시설인 경우, 이 건축물이 주차전용 건축물이기 위해서는 주차장으로 사용되는 부분의 연면적 비율이 최소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1.
50%
2.
70%
3.
85%
4.
95%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주차장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2조제11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비율 이상이 주차장으로 사용되는 건축물"이란 건축물의 연면적 중 주차장으로 사용되는 부분의 비율이 95퍼센트 이상인 것을 말한다. 다만, 주차장 외의 용도로 사용되는 부분이 「건축법 시행령」 별표 1에 따른 단독주택(같은 표 제1호에 따른 단독주택을 말한다. 이하 "단독주택"이라 한다), 공동주택, 제1종 근린생활시설, 제2종 근린생활시설, 문화 및 집회시설, 종교시설, 판매시설, 운수시설, 운동시설, 업무시설, 창고시설 또는 자동차 관련 시설인 경우에는 주차장으로 사용되는 부분의 비율이 70퍼센트 이상인 것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밀안니]
주차 전용 건축물은 95%이상 단 단독,공동,1근2근,문화집회종교,판매운수업무창고,운동,자동차관련시설(버스터미널은 자동차관련시설 아님)은 70% [해설작성자 : ㅂ2]
<문제 해설> “아파트”는 주택으로 쓰는 층수가 5개 이상인 공동주택을 말합니다(규제「주택법」 제2조제3호, 규제「주택법 시행령」 제3조제1항제1호 및 「건축법 시행령」 별표 1 제2호가목). ※ 다만, 층수를 산정할 때 1층 전부를 필로티 구조로 하여 주차장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필로티 부분을 층수에서 제외하고, 지하층을 주택의 층수에서 제외합니다(「건축법 시행령」 별표 1 제2호 단서). [해설작성자 : 갓 호서]
95.
부설주차장의 설치대상 시설물이 업무시설인 경우 설치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외국공관 및 오피스텔은 제외)
1.
시설면적 100m2 당 1대
2.
시설면적 150m2 당 1대
3.
시설면적 200m2 당 1대
4.
시설면적 350m2 당 1대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주차장법 제19조제3항, 주차장법 시행령 제6조제1항 본문 및 별표1 참고 [해설작성자 : 시크릿가든]
96.
문화 및 집회시설 중 공연장의 개별관람실을 다음과 같이 계획하였을 경우, 옳지 않은 것은? (단, 개별관람실의 바닥면적은 1000m2 이다.)
1.
각 출구의 유효너비는 1.5m 이상으로 하였다.
2.
관람실로부터 바깥쪽으로의 출구로 쓰이는 문을 밖여닫이로 하였다.
3.
개별관람실의 바깥쪽에는 그 양쪽 및 뒤쪽에 각각 복도를 설치하였다.
4.
개별관림실의 출구는 3개소 설치하였으며 출구의 유효너비의 합계는 4.5m로 하였다.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출구유효폭은 당해 용도바닥면적 ÷ 100m2 × 0.6 1000÷100×0.6=6m 참고 . 출구개수는 최소폭 1.5m임 [해설작성자 : 금게]
개별관람실의 출구는 관람실별로 2개이상 설치한다. [해설작성자 : 밀안니]
바닥면적 3000m2 이상의 공연장 관람석 개별 출구 설치기준
각 출구의 유효너비는 1.5m 이상, 관람석별 2개소 이상 관람실로부터 바깥쪽으로의 출구로 쓰이는 문을 밖여닫이 개별관람실의 바깥쪽에는 그 양쪽 및 뒤쪽에 각각 복도를 설치 개별 관람석 출구 유효너비 합계 : (바닥면적 합계 / 100^2 x 0.6m) 이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7.
용도지역의 세분 중 도심∙부도심의 상업기능 및 업무기능의 확충을 위하여 필요한 지역은?
1.
유통상업지역
2.
근린상업지역
3.
일반상업지역
4.
중심상업지역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중심상업지역: 도심, 부도심의 상업 및 업무기능 확충
일반상업지역: 일반적인 상업 및 업무기능 담당 근린상업지역: 근린지역에서의 일용품 및 서비스 공급 유통상업지역: 도시내 및 지역간 유통기능의 증진 [해설작성자 : 맹뿌]
98.
층수가 15층이며, 6층 이상의 거실면적의 합계가 15000m2 인 종합병원에 설치하여야 하는 승용 승강기의 최소 대수는? (단, 8인승 승용승강기의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