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행 중이나 지상에서 엔진이 작동하는 동안 조종사가 유압 또는 전기적으로 피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프로펠러 형식은?
1.
정속 프로펠러(constant-speed propeller)
2.
고정피치 프로펠러(fixed pitch propeller)
3.
조정피치 프로펠러(adjustable pitch propeller)
4.
가변피치 프로펠러(controllable pitch propeller)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 정속 프로펠러 는 거버너에 의해 저피지에서 고피치 까지 자유롭게 피치 조정 가능 2. 고정피치 프로펠러는 깃 각이 하나로 고정되어 피치 변경 불가능 3. 조정피치 프로펠러는 지상에서 정비사가 조정 나사로 피치각을 조정 4. 가변피치 프로펠러는 조종사가 유압 또는 전기적으로 깃피치와 깃각을 변경할수 있다. [해설작성자 : Joo]
29.
왕복엔진과 비교하여 가스터빈엔진의 점화장치로 고전압, 고에너지 점화장치를 사용하는 주된 이유는?
1.
열손실을 줄이기 위해
2.
사용연료의 기화성이 낮아 높은 에너지 공급을 위해
3.
엔진의 부피가 커 높은 열공급을 위해
4.
점화기 특정 규격에 맞추어 장착하기 위해
정답 : [
2
] 정답률 : 73%
30.
프로펠러의 특정 부분을 나타내는 명칭이 아닌 것은?
1.
허브(hub)
2.
네크(neck)
3.
로터(rotor)
4.
블레이드(blade)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로터는 압축기에 있습니다. 네크는 루트와 같다고 보시면 될겁니다. [해설작성자 : 킹갓제너럴주노짱]
31.
항공기 엔진에서 소기펌프(scavenge pump)의 용량을 압력펌프(pressure pump)보다 크게 하는 이유는?
1.
소기펌프의 진동이 더욱 심하기 때문
2.
소기되는 윤활유는 체적이 증가하기 때문
3.
압력펌프보다 소기펌프의 압력이 높기 때문
4.
윤활유가 저온이 되어 밀도가 증가하기 때문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소기펌프 즉 배유펌프입니다 모든과정을 거치고 오일이 다시 탱크로 귀유하는것입니다. 각 부품는 온도가 매우높아 오일이 모든과정을 거치고오면 팽창이 되기 떄문에 체적이 증가하므로 소기펌프의 용량을 더 크게하는것입니다. [해설작성자 : 꿈나무]
32.
왕복엔진에서 시동을 위해 마그네토(magneto)에 고전압을 증가시키는데 사용되는 장치는?
1.
스로틀(throttle)
2.
기화기(carburetor)
3.
과급기(supercharger)
4.
임펄스 커플링(impulse coupling)
정답 : [
4
] 정답률 : 79%
33.
실린더 내경이 6in이고 행정(stroke)이 6in인 단기통 엔진의 배기량은 약 몇 in3인가?
왕복엔진 실린더에 있는 밸브 가이드(valve guide)의 마모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은?
1.
높은 오일 소모량
2.
낮은 오일 압력
3.
낮은 오일 소모량
4.
높은 오일 압력
정답 : [
1
] 정답률 : 69%
3과목 : 항공기체
41.
리벳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리벳의 피치는 같은 열에 이웃하는 리벳중심 간의 거리로 최소한 리벳직경의 5배 이상은 되어야 한다.
2.
열간간격(횡단피치)은 최소한 리벳직경의 2.5배 이상은 되어야 한다.
3.
리벳과 리벳구멍의 간격은 0.002~0.004in가 적당하다.
4.
판재의 모서리와 최 외곽열의 중심까지의 거리는 리벳직경의 2~4배가 적당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75%
42.
항공기 판재 굽힘 작업 시 최소 굽힘반지름을 정하는 주된 목적은?
1.
굽힘작업 시 발생하는 열을 최소화하기 위해
2.
굽힘작업 시 낭비되는 재료를 최소화하기 위해
3.
판재와 굽힘작업으로 발생되는 내부 체적을 최대로 하기 위해
4.
굽힘반지름이 너무 작아 응력변형이 생겨 판재가 약화되는 현상을 막기 위해
정답 : [
4
] 정답률 : 77%
43.
스크류의 식별 기호 AN507 C 428 R 8에서 C가 의미하는 것은?
1.
직경
2.
재질
3.
길이
4.
홈을 가진 머리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AN:식별번호 507:각도 100도인 납작머리 C:내식강 428:축의 지름의 4/16, 1인치당 나사산의 수가 28개 R: +홈이 머리에 있음 8: 길이가 8/16 인치 [해설작성자 : MindPasta]
44.
지상 계류중인 항공기가 돌풍을 만나 조종면이 덜컹거리거나 그것에 의해 파손되지 않게 설비된 장치는?
1.
스토퍼(stopper)
2.
토크튜브(torque tube)
3.
가스트 락크(gust lock)
4.
장력 조절기(tension regulator)
정답 : [
3
] 정답률 : 72%
45.
한쪽의 길이를 짧게 하기 위해 주름지게 하는 판금가공 방법은?
1.
범핑(bumping)
2.
크림핑(crimping)
3.
수축가공(shrinking)
4.
신장가공(stretching)
정답 : [
2
] 정답률 : 71%
46.
케이블 조종계통(cable control system)에서 7x19의 케이블을 옳게 설명한 것은?
1.
19개의 와이어로 7번 감아 케이블을 만든 것이다.
2.
7개의 와이어로 19번을 감아 케이블을 만든 것이다.
3.
19개의 와이어로 1개의 다발을 만들고, 이 다발 7개로 1개의 케이블을 만든 것이다.
4.
7개의 와이어로 1개의 다발을 만들고, 이 다발 19개로 1개의 케이블을 만든 것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72%
47.
그림과 같은 V-n 선도에서 항공기의 순항성능이 가장 효율적으로 얻어지도록 설계된 속도를 나타내는 지점은?
1.
VA
2.
VB
3.
VC
4.
VD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OA:설계운용 속도: 조종사가 아무리 급격한 조작을 하여도 구조상 안전하고 기체가 파괴 되지않는 비행속도 OB:설계돌풍속도: 돌풍이 예상 될 때 항공기는 Vb이하로 비행 OC:설계순항속도: 가장 효율적인 속도 OD:설계급강하속도: 구조상 안정성과 조종면의 안전을 보장하는 설계상의 최대 속도 [해설작성자 : 구미대헬기짱]
48.
세미모노코크 구조형식의 날개에서 날개의 단면 모양을 형성하는 부재로 옳은 것은?
1.
스파(spar), 표피(skin)
2.
스트링거(stringer), 리브(rib)
3.
스트링거(stringer), 스파(spar)
4.
스트링거(stringer), 표피(skin)
정답 : [
2
] 정답률 : 65%
49.
벤트 플로트 밸브, 화염차단장치, 서지탱크, 스케벤지펌프 등의 구성품이 포함된 계통은?
1.
조종계통
2.
착륙장치계통
3.
연료계통
4.
브레이크계통
정답 : [
3
] 정답률 : 84%
50.
항공기의 무게중심이 기준선에서 90in에 있고 MAC의 앞전이 기준선에서 82in인 곳에 위치한다면 MAC가 32in인 경우 중심은 몇 %MAC인가?
1.
15
2.
20
3.
25
4.
35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CG%MAC = 100*(CG-LEMAC)/MAC = 100*(90-82)/32 = 25 ※ MAC = LEMAC - TEMAC CG = Total Moment / Total Weight [해설작성자 : Masterpiece]
51.
알루미늄의 표면에 인공적으로 얇은 산화피막을 형성하는 방법은?
1.
주석 도금처리
2.
파커라이징
3.
카드늄 도금처리
4.
아노다이징
정답 : [
4
] 정답률 : 82%
52.
안티스키드장치(anti-skid system)의 역할이 아닌 것은?
1.
유압식 브레이크에서 작동유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2.
브레이크의 제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3.
항공기가 착륙 활주 중 활주속도에 비해 과도한 제동을 방지한다.
4.
항공기가 미끄러지지 않게 균형을 유지시켜 준다.
정답 : [
1
] 정답률 : 72%
53.
다음 중 인공시효 경화처리로 강도를 높일 수 있는 알루미늄 합금은?
1.
1100
2.
2024
3.
3003
4.
5052
정답 : [
2
] 정답률 : 80%
54.
두께가 0.01in인 판의 전단흐름이 30 Ib/in 일 때 전단응력은 몇 Ib/in2인가?
1.
3000
2.
300
3.
30
4.
0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시그마(응력)= F(=p)/A [해설작성자 : 111]
전단흐름 = 전단 응력 * 두께 30 = x * 0.01 x = 3000 [해설작성자 : mintchoco]
55.
항공기의 무게중심 위치를 맞추기 위하여 항공기에 설치하는 모래주머니, 납봉, 납판 등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밸러스트(ballast)
2.
유상하중(pay load)
3.
테어무게(tare weight)
4.
자기무게(empty weight)
정답 : [
1
] 정답률 : 78%
56.
그림과 같은 단면에서 y축에 관한 단면의 1차 모멘트는 몇 cm3인가? (단, 점선은 단면의 중심선을 나타낸 것이다.)
1.
150
2.
180
3.
200
4.
220
정답 : [
1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단면적*축선에서부터 중심축까지의 거리 6*5*5=15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7.
기체구조의 형식 중 응력외피구조(stress skin structur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2개의 외판 사이에 벌집형, 거품형, 파(wave)형 등의 심을 넣고 고착시켜 샌드위치 모양으로 만든 구조이다.
2.
하나의 구조요소가 파괴되더라도 나머지 구조가 그 기능을 담당해 주는 구조이다.
3.
목재 또는 강판으로 트러스(삼각형구조)를 구성하고 그 위에 천 또는 얇은 금속판의 외피를 씌운 구조이다.
4.
외피가 항공기의 형태를 이루면서 항공기에 작용하는 하중의 일부를 외피가 담당하는 구조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76%
58.
다음 중 조종 케이블의 장력을 측정하는 기구는?
1.
턴버클(turn bucker)
2.
프로트랙터(protractor)
3.
케이블 리깅(cable rigging)
4.
케이블 텐션미터(cable tension meter)
정답 : [
4
] 정답률 : 81%
59.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 강은?
1.
AA 1100
2.
SAE 4130
3.
AA 5052
4.
SAE4340
정답 : [
2
] 정답률 : 79%
60.
항공기 외부 세척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습식세척
2.
연마
3.
건식세척
4.
블라스팅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블라스팅 세척은 모래알갱이나 작은 호두껍질을 이용하여 충격을 주어 세척을 하는 방법으로 베어링이나 점화플러그에 주로 사용이 되는 세척방식. 항공기 외피에 적용할 경우 외피의 손상을 주기 떄문에 이 방법을 사용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헤헷]
61.
항공기 동체 상ㆍ하면에 장착되어 있는 충돌방지등(anti-collision light)의 색깔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녹색
2.
청색
3.
적색
4.
흰색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적색,흰색둘다 존재합니다 [해설작성자 : 111]
[오류신고 반론] 동체 상 하 면의 충돌방지등은 becone light 로 적색만존재합니다.
[추가 오류 신고] 항공기의 충돌방지등은 적색과 백색으로 선택 가능하며 비행 중 낮에는 주로 백색 및 야간에는 적색으로 운용합니다. [해설작성자 : 칼이쓰마]
[추가 오류 신고] 실제로 공군 기체병으로 수송기 만져본결과 번쩍거리는 흰색이였습니다. [해설작성자 : 지나갑니다]
[오류신고 반론] 적색은 포지션 라이트라고 알고있는데
[추가 오류 신고] 대한민국 공군 수송기 C-130은 적색, CN-235는 흰색입니다. 둘 다 존재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2.
14000ft 미만에서 비행할 경우 사용하고, 활주로에서 고도계가 활주로 표고를 지시하도록 하는 방식의 고도계 보정 방법은?
1.
QNH 보정
2.
QNE 보정
3.
QFE 보정
4.
QFG 보정
정답 : [
1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QNH:비행 당시의 해면기압, 진고도, 고도가 14,000ft미만의 고도에서 비행할 때 사용 활주로 에서 고도계가 활주로 표고를 가리키도록 하는 보정방법. QNE:표준대기압(29.92),기압고도, 고도가 14,000ft(미국은 18,000ft)이상에서 비행할 때 사용 기준점을 통일하여 항공기의 수직 분리를 일정하게 함으로써 충동을 방지하는 것. QFE:활주로면의 기압, 절대고도, 항공기가 활주로 위에서 고도계가 0ft를 지시하도록 활주로를 기준으로 하는 방식, 이착륙 비행장을 항상 0ft으로 하여 비행하기 때문에 단거리 비행이나 이착륙 훈련등에 편리한 방법 [해설작성자 : 세븐 성]
63.
HF(high frequency) system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항공기 대 항공기, 항공기 대 지상 간에 가시거리 음성통화를 위해 사용한다.
2.
작동 주파수 범위는 118MHz~137MHz이며, 채널별 간격은 8.33kHz이다.
3.
송신기는 발진부, 고주파 증폭부, 변조기 및 안테나로 이루어진다.
4.
HF는 파장이 짧기 때문에 안테나의 길이가 짧아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4%
64.
싱크로 전기기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회전축의 위치를 측정 또는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특수한 회전기이다.
2.
각도검풀 및 지시용으로는 2개의 싱크로 전기기기를 1조로 사용한다.
3.
구조는 고정자축에 1차권선, 회전자축에 2차권선을 갖는 회전변압기이고, 2차축에는 정현과 교류가 발생하도록 되어있다.
4.
항공기에서는 콤파스계기에 VOR국이나 ADF국 방위를 지시하는 지시계기로서 사용되고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59%
65.
유압계통에서 유량제어 또는 방향제어밸브에 속하지 않은 것은?
1.
오리피스(orifice)
2.
체크밸브(check valve)
3.
릴리프밸브(relief valve)
4.
선택밸브(selector valve)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 방향 제어 밸브 - 선택 밸브 - 체크 밸브 - 시퀀스 밸브 - 셔틀 밸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