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섭씨(℃): 물의 어는점을 0℃, 끓는점을 100℃로 하여 100등분한 온도단위 화씨(℉): 물의 어느점을 32℉, 끓는점을 212℉로 하여 180등분한 온도단위 절대온도[켈빈온도(K)]: 열역학적 온도로 -273℃를 0K로 시작하는 온도 랭킹온도(): 화씨온도와 동일한 눈금을 사용하는 절대온도
랭킹온도(R) =460+℉ = 460+32=492
3.
가연물의 종류와 연소형태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숯-표면연소
2.
에틸벤젠-자기연소
3.
가솔린-증발연소
4.
종이-분해연소
정답 : [
2
] 정답률 : 81%
4.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정하고 있는 갑종방화문의 성능기준으로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ㄱ:30분, ㄴ:30분
2.
ㄱ:30분, ㄴ:1시간
3.
ㄱ:1시간, ㄴ:30분
4.
ㄱ:1시간, ㄴ:1시간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문제 해설> 나무 줄기 = 수간화 나무 잎/가지 = 수관화 [해설작성자 : 갈길이 멀다.]
7.
다음에서 설명하는 폭발은?
1.
증기폭발
2.
분해폭발
3.
중합폭발
4.
산화폭발
정답 : [
1
] 정답률 : 67%
8.
온도변화에 따른 연소범위에서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삼중합선
2.
연소점곡선
3.
공연비곡선
4.
포화증기압선
정답 : [
4
] 정답률 : 75%
9.
화재의 종류별 특성에 관한 옳지 않은 것은?
1.
금속화재는 나트륨, 칼륨 등 금속가연물에 의한 화재로 물에 의한 냉각소화가 효과적이다.
2.
유류화재는 인화성액체에 의한 화재로 (Foam)를 이용한 질식소화가 효과적이다.
3.
전기화재는 통전 중인 전기기기에서 발생하는 화재로 이산화탄소에 의한 질식소화가 효과적이다.
4.
일반화재는 종이, 목재에 의한 화재로 물에 의한 냉각소화가 효과적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금속화재는 마른모래에 의한 질식소화가 유효하다. [해설작성자 : 광수생각]
10.
두께 3cm인 내열판의 한 쪽 면의 온도는 500℃, 다른 쪽 면의 온도는 50℃일 때, 이 판을 통해 일어나는 열전달량(W/m2)은? (단, 내열판의 열전도도는 0.1W/mㆍ℃이다.)
1.
13.5
2.
150.0
3.
1350.0
4.
1500.0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0.1 / 0.03) X (500 - 50) = 1500 q = (k/l)x A X T [해설작성자 : 광수생각]
11.
피난원칙 중 폐일세이프(Fail safe)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피난경로는 간단명료하게 하여야 한다.
2.
피난수단은 원시적 방법에 의한 것을 원칙으로 한다.
3.
비상 시 판단능력 저하를 대비하여 누구나 알 수 있도록 피난수단 등을 문자나 그림 등으로 표시한다.
4.
피난 시 하나의 수단이 고장으로 실패하여도 다른 수단에 의해 피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Fail Safe : 피난 시 하나의 수단이 고장으로 실패하여도 다른 수단에 의해 피난할 수 있도록 하는 것 Fool Proof : 비상시 판단능력 저하를 대비하여 누구나 알 수 있도록 피난 수단 등을 문자나 그림 등으로 표시한다. [해설작성자 : 광수생각]
12.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특정소방대상물의 규모 등에 따라 갖추어야 하는 소방시설의 수용인원 산정 방법으로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0.45
2.
1.9
3.
3
4.
4.6
정답 : [
3
] 정답률 : 80%
13.
다음에서 설명하는 화재 현상은?
1.
보일오버(Boil over)
2.
슬롭오버(Slop over)
3.
프로스오버(Froth over)
4.
플래시오버(Flash over)
정답 : [
2
] 정답률 : 63%
14.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정하고 있는 건축물의 피난안전구역의 설치기준 중 구조 및 설비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피난안전구역의 높이는 2.1미터 이상일 것
2.
피난안전구역의 내부마감재료는 준불연재료로 설치할 것
3.
비상용 승강기는 피난안전구역에서 승하차 할 수 있는 구조로 설치할 것
4.
건축물의 내부에서 피난안전구역으로 통하는 계단은 특별피난계단의 구조로 설치할 것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피난안전구역 구조 및 설비 1. 피난안전구역의 바로 아래층 및 위층은 단열재를 설치할것 2. 피난안전구역의 내부마감재료는 불연재료를 설치할것 3. 건축물의 내부에서 피난안전구역으로 통하는 계단은 특별피난계단의 구조로 설치할것 4. 비상용승강기는 피난안전구역에서 승하차 할수있는 구조로 설치할것 5. 피난안전구역에는 식수공급을 위한 급수전을 1개소 이상 설치하고 예비전원에 의한 조명설비를 설치할것 6. 관리사무소 또는 방재센터 등과 긴급연락이 가능한 경보 및 통신시설을 설치할것 7. 피난안전구역의 높이는 2.1 이상일 것 8. 배연설비를 설치할것 9. 그밖의 청장이 정하는 설비 갖출것 [해설작성자 : 시지관리사]
15.
화재성장속도의 분류별 약 1MW의 열량에 도달하는 시간으로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ㄱ:200, ㄴ:100, ㄷ:50
2.
ㄱ:300, ㄴ:150, ㄷ:75
3.
ㄱ:400, ㄴ:200, ㄷ:100
4.
ㄱ:450, ㄴ:300, ㄷ:150
정답 : [
2
] 정답률 : 80%
16.
내화건축물의 구획실내에서 가연물의 연소 시, 성장기의 지배적 열전달로 옳은 것은?
1.
복사
2.
대류
3.
전도
4.
확산
정답 : [
2
] 정답률 : 59%
17.
화재로 인해 공장 벽체의 내부 표면온도가 450℃까지 상승하였으며, 벽체 외부의 공기온도는 15℃일 때 벽체 외부 표면온도(℃)는 약 얼마인가? (단, 벽체의 두께는 200mm이고, 벽체의 열전도계수는 0.69W/mㆍK, 대류열전달계수는 12W/m2ㆍK이다. 복사의 영향과 벽체 상ㆍ하부로의 열전달 및 기타의 손실은 무시하며, 0℃는 273K이고, 소수점 이하 셋째자리에서 반올림한다.)
연기농도를 측정하는 감광계수, 중량농도법, 입자농도법의 단위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m-1, 개/cm3, mg/m3
2.
m-1, mg/m3, 개/cm3
3.
m-3, mg/m3, 개/cm3
4.
m-3, 개/cm3, mg/m3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1. 감광계수법(투과율법) 연기가 있을 때 투과되는 빛의 세기와 연기가 없을 때 투과되는 빛의 세기의 비로서 연기 속을 투과한 빛의 양으로 표현할 수 있다.(m-1) 2. 중량농도법 : 체적당 연기입자의 중량(mg/m3) 3. 입자농도법 : 체적당 연기입장의 갯수(개/cm3) [해설작성자 : 광수생각]
21.
제연방식으로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ㄱ:자연제연방식, ㄴ:기계제연방식
2.
밀폐제연방식, ㄴ:급배기 기계지연방식
3.
ㄱ:밀폐제연방식, ㄴ:스모크타워 제연방식
4.
ㄱ:자연제연방식, ㄴ:스모크타워 제연방식
정답 : [
4
] 정답률 : 77%
22.
면적이 0.15m2인 합판이 연소되면서 발생한 열방출량(Heat release rate)(kW)은 약 얼마인가? (단, 평균질량감소율은 0.03kg/m2ㆍs, 연소열은 25kJ/g, 연소효율은 55%이며, 소수점 이하 셋째자리에서 반올림한다.)
1.
0.06
2.
0.20
3.
61.88
4.
204.50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열방출률 :유효순연소열*질량유속*면적*효율 여타 복잡한 상수를 제외하고 계산 가능합니다. 연소열 분모의 G -> KG으로 단위 변환을 위한 *10^3 만 해주세요 [해설작성자 : FLAGSHIP]
23.
화재풀룸(Fire plume)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측면에서는 층류에 의한 부분적인 와류를 생성한다.
2.
내부에 형성되는 기류는 중앙부의 부력이 가장 강하다.
3.
열원으로부터 점차 멀어질수록 주변으로 넓게 퍼져가는 모습을 나타낸다.
4.
고온의 연소생성물은 부력에 의해 위로 상승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1. 측면에서는 층류에 의한 부분적인 와류를 생성한다 (층류가 아니고 난류에서 화류 생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4.
다음에서 설명하는 연소방식은?
1.
자기연소
2.
확산연소
3.
분무연소
4.
예혼합연소
정답 : [
3
] 정답률 : 71%
25.
환기구로 에너지가 유출되는 것을 의미하는 환기계수로 옳은 것은? (단, A는 면적, H는 높이이다.)
1.
A√H
2.
H√A
3.
4.
정답 : [
1
] 정답률 : 74%
2과목 : 소방수리학·약제화학 및 소방전
26.
이상기체의 부피변화와 관련된 것은?
1.
아르키메데스(Archimedes)의 원리
2.
아보가드로(Avogadro)의 법칙
3.
베르누이(Bernoulli)의 정리
4.
하젠-윌리엄스(Hazen-Wiloliams)의 공식
정답 : [
2
] 정답률 : 71%
27.
모세관 현상으로 인해 물이 상승할 때, 그 상승높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관의 직경에 비례한다.
2.
표면장력에 비례한다.
3.
물의 비중량에 반비례한다.
4.
수면과 관의 접촉각이 커질수록 감소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모세관 현상은 관의 직경에 반비례 [해설작성자 : 소방감자]
28.
다시-바이스바하(Darcy-Weisbach) 공식에서 마찰손실수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관의 직경에 반비례한다.
2.
관의 길이에 비례한다.
3.
마찰손실계수에 비례한다.
4.
유속에 반비례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2%
29.
상ㆍ하판의 가격이 5cm인 두 판 사이에 점성계수가 0.001Nㆍs/m2인 뉴턴 유체(Nertonian fluid) 가 있다. 상판이 수평방향으로 2.5m/s로 움직일 때, 발생하는 전단응력(N/m2)은? (단, 하판은 고정되어 있다.)
배관 내 평균유속 5m/s로 물이 흐르고 있다가 갑작스런 밸브의 잠김으로 발생되는 압력상승(MPa)은 약 얼마인가? (단, 물의 비중량은 9,800N/m3, 유체 내 압축파의 전달속도는 1,494m/s, 중력가속도는 9.8m/s2이다.)
1.
7.32
2.
7.47
3.
73.2
4.
74.7
정답 : [
2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밀도*전달속도*유속 [해설작성자 : 홍길동]
9.81av/g [해설작성자 : 해설좀]
32.
폭이 a이고 높이가 b인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배관의 마찰손실수두를 계산할 때, 수력반경(hydraulic radius)은?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68%
33.
층류 상태로 직경 5cm인 원형관 내 흐를 수 있는 물의 최대 유량(m3/s)은 약 얼마인가? (단, 물의 비중량은 9,800N/m, 물의 점성계수는 10×10-3Nㆍs/m2, 층류의 상한계 레이놀즈(Reynolds)수는 2,000, 중력가속도는 9.8m/s2, 원주율은 3.0이다.)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모두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7.35×10-5
2.
7.50×10-5
3.
7.35×10-2
4.
7.50×10-2
정답 : [
1
] 정답률 : 62%
34.
관수로 흐름의 유량을 측정할 수 없는 장치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피토관(Ritot tube)
2.
오리피스(Orifice)
3.
벤추리미터(Venturi meter)
4.
파샬플룸(Parshall flume)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M(상호인덕턴스) = K x 루트(L1xL20 = 0.6X루트(100 X 100) = 60mH(0.06H) 가동결합 합성인덕턴스 : L1 + L2 + 2M = 100 + 100 + 2 x 60 = 320mH = 0.32H 코일에 발생하는 에너지 = 1/2 x L X I^2 = 1/2 x 0.32 x 10^2 = 16J [해설작성자 : 광수생각]
45.
동일한 배터리와 전구를 사용하여 그림과 같이 2개의 회로를 구성하였다. 다음 중 옳은 것은?
1.
모든 전구의 밝기는 동일하다.
2.
모든 배터리의 사용시간은 동일하다.
3.
전구 C는 전구 A보다 밝다.
4.
배터리 B의 사용시간은 배터리 A보다 길다.
정답 : [
3
] 정답률 : 62%
46.
정전용량 1F에 해당하는 것은?
1.
1V의 전압을 가하여 1C의 전하가 축적된 경우
2.
1W의 전력을 1초 동안 사용한 경우
3.
1C의 전하가 1초 동안 흐른 경우
4.
1C의 전하가 이동하여 1J의 일을 한 경우
정답 : [
1
] 정답률 : 58%
47.
그림과 같은 저항기의 값이 4.7MΩ이고 허용오차가 ±10%일 때, 이 저항기의 섹띠(color code)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소비전력이 3W인 스피커에 DC 1.5V, 2000mAh의 배터리 2개를 병렬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 스피커를 최대 출력으로 사용할 경우, 예상되는 사용시간은?
1.
1시간
2.
2시간
3.
4시간
4.
8시간
정답 : [
2
] 정답률 : 58%
49.
대칭 3상 Y결선 회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전압은 선간전압보다 위상이 30° 앞선다.
2.
선간전압의 크기는 상전압의 √3배이다.
3.
상전류와 선전류의 크기는 같다.
4.
각 상의 위상차는 120°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선간전압은 상전압보다 위상이 30° 앞선다. [해설작성자 : shark]
50.
다음과 같은 R-L-C 직렬회로에 의 순시전압을 인가한 경우, 회로에 흐르는 실효전류(A)는 얼마인가?
1.
2.0
2.
3.1
3.
4.4
4.
5.5
정답 : [
3
] 정답률 : 50%
3과목 : 소방관련법령
51.
소방기본법령상 소방대의 생활안전활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붕괴, 낙하 등이 우려되는 고드름, 나무, 위험 구조물 등의 제거 활동
2.
위해동물, 벌 등의 포획 및 퇴치 활동
3.
단전사고 시 비상전원 또는 조명의 공급
4.
집회ㆍ공연 등 각종 행사 시 사고에 대비한 근접대기 등 지원활동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1. 붕괴, 낙하 등이 우려되는 고드름, 나무, 위험 구조물 등의 제거 활동 2. 위해동물, 벌 등의 포획 및 퇴치 활동 3. 단전사고 시 비상전원 또는 조명의 공급 4. 끼임, 고립 등에 따른 위험제거 및 구출 활동 5. 그 밖에 방치하면 급박해질 우려가 있는 위험을 예방하기 위한 활동 [해설작성자 : shark]
소방지원활동 1. 산불에 대한 예방,진압 등 지원활동 2. 자연재해에 따른 급수,배수 및 제설 등 지원활동 3. 집회,공연 등 각종행사시 사고에 대비한 근접대기 등 지원활동 4. 화재,재난 재해로 인한 피해복구 지원활동 5. 그밖에 행전안전부령으로 정하는 활동
생활안전활동 1. 붕괴,낙하 등이 우려되는 고드름,나무,위험 구조물 등의 제거활동 2. 위홰동물, 벌 등의 포획 및 퇴치활동 3. 끼임,고립 등에 따른 위험제거 및 구출활동 4. 단전사고시 비상전원 또는 조명의 공급 5. 그 밖에 방치하면 급박해질 우려가 있는 위험을 예방하기 위한 활동 [해설작성자 : 광수생각]
52.
소방기본법령상 보상 제도에 관한 설명이다. ()에 들어갈 말을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손해보상심의위원회-3년-5년
2.
손실보상심의위원회-3년-5년
3.
손해보상심의위원회-5년-10년
4.
손실보상심의위원회-5년-10년
정답 : [
2
] 정답률 : 67%
53.
소방기본법령상 소방자동차 전용구역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세대수가 100세대 이상인 아파트의 건축주는 소방자동차 전용구역을 설치하여야 한다.
2.
소방자동차 전용구역 노면표지 도료의 색채는 황색을 기본으로 하되, 문자(P, 소방차 전용)는 백색으로 표시한다.
3.
소방자동차 전용구역에 물건 등을 쌓거나 주차하는 등의 방해행위를 하여서는 아니된다.
4.
전용구역 방해행위를 한 자는 1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4. 전용구역 방해행위를 한 자는 1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벌금이 아니라 과태료에 처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4.
소방기본법령상 용어의 정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관계인”이란 소방대상물의 소유자ㆍ관리자 또는 점유자를 말한다.
2.
“관계지역”이란 소방대살물이 있는 장소 및 그 이웃 지역으로서 화재의 예방ㆍ경계ㆍ진압, 구조ㆍ구급 등의 활동에 필요한 지역을 말한다.
3.
“소방대”란 화재를 진압하고 화재, 재난ㆍ재해, 그 밖의 위급한 상황에서 구조ㆍ구급 활동 등을 하기 위하여 소방공무원, 의무소방원, 의용소방대원, 사회복무요원으로 구성된 조직체를 말한다.
4.
“소방본부장”이란 특별시ㆍ광역시ㆍ특별자치시ㆍ도 또는 특별자치도에서 화재의 예방ㆍ경계ㆍ진압ㆍ조사 및 구조ㆍ구급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부서의 장을 말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소방대”(消防隊)란 화재를 진압하고 화재, 재난ㆍ재해, 그 밖의 위급한 상황에서 구조ㆍ구급 활동 등을 하기 위하여 다음 각 목의 사람으로 구성된 조직체를 말한다. 가. 「소방공무원법」에 따른 소방공무원 나. 「의무소방대설치법」 제3조에 따라 임용된 의무소방원(義務消防員) 다. 「의용소방대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른 의용소방대원(義勇消防隊員) [해설작성자 : 시지관리사]
<문제 해설> 1. 문화 및 집회시설, 종교시설,판매시설,노유자시설,수련시설,운동시설,숙박시설,창고시설,지하상가 및 다중이용업소 2. 가스계소화설비가 설치되는 것 3. 연면적 1만제곱미터 이상이거나 11층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아파트제외) 4. 가연성가스를 제조,저장 또는 취급하는 시설 중 지상에 노출된 가연성 가스 탱크의 저장용량 합계가 1천톤 이상인 시설 [해설작성자 : 광수생각]
현장확인 완공검사 1. 다음 해당하는 설비가 설치된 특소대 ㄱ.스프링클러 ㄴ.물분무등(호스릴제외) 2. 문집,종교,운동,노유자,숙박,수련,다중이용업소,판매,창고시설 3. 연1만 또는 층수가 11층 이상인 특소대(아파트제외) 4. 가연성가를 제조 저장 취급하는 시설 중 지상에 노출된 가연성가스탱크 저장용량 합계가 100톤이상인 시설 [해설작성자 : 공부님공주중]
57.
소방시설공사업법령상 소방시설업자협회의 업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소방산업의 발전 및 소방기술의 향상을 위한 지원
2.
소방시설업의 기술발전과 관련된 국제교류ㆍ활동 및 행사의 유치
3.
소방시설업의 사익증진과 과태료 부과 업무에 관한 사항
4.
소방시설업의 기술발전과 소방기술의 진흥을 위한 조사ㆍ연구ㆍ분석 및 평가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소방시설업자협회 업무 1. 소방시설업의 기술발전과 소방기술의 진흥을 위한 조사ㆍ연구ㆍ분석 및 평가 2. 소방산업의 발전 및 소방기술의 향상을 위한 지원 3. 소방시설업의 기술발전과 관련된 국제교류ㆍ활동 및 행사의 유치 4. 이 법에 따른 위탁 업무의 수행 [해설작성자 : 시지관리사]
58.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소방시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수용인원 50명인 문화 및 집회시설 중 영화상영관은 공기호흡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2.
비상경보설비는 소방시설의 내진설계기준에 맞게 설치하여야 한다.
3.
분말형태의 소화약제를 사용하는 소화기의 내용연수는 5년으로 한다.
4.
불연성물품을 저장하는 창고는 옥외소화전 및 연결살수설비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수용인원 100명인 문화 및 집회시설 중 영화상영관은 공기호흡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소방시설의 내진설계기준에 맞게 설치 : 옥내소화전, 스프링클러, 물분무등 소화설비 분말형태의 소화약제를 사용하는 소화기의 내용연수는 10년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shark]
59.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시ㆍ도지사가 소방시설관리업 등록을 반드시 취소하여야 하는 사유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ㄹ
3.
ㄴ, ㄷ
4.
ㄷ, ㄹ
정답 : [
2
] 정답률 : 70%
60.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중앙소방특별조사단의 조사단원이 될 수 있는 사람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2.
ㄱ, ㄴ
3.
ㄴ, ㄷ
4.
ㄱ, ㄴ, ㄷ
정답 : [
4
] 정답률 : 67%
61.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연소방지설비는 어떤 소방시설에 속하는가?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관계인이 소방안전관리자를 선임한 경우에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출입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제시하여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소방안전관리자의 성명
2.
소방안전관리자의 소방관련 경력
3.
소방안전관리자의 연락처
4.
소방안전관리자의 선임일자
정답 : [
2
] 정답률 : 80%
64.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과태료 처분에 해당하는 경우는?
1.
형식승인의 변경승인을 받지 아니한 자
2.
화재안전기준을 위반하여 소방시설을 설치 또는 유지ㆍ관리한 자
3.
영업정지처분을 받고 그 영업정지기간 중에 관리업의 업무를 한 자
4.
소방시설등에 대한 자체점검을 하지 아니하거나 관리업자 등으로 하여금 정기적으로 점검하게 하지 아니한 자
정답 : [
2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1. 형식승인의 변경승인을 받지 않고 소방용품을 제조하거나 수입한 자 :3년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이하의 벌금 2. 화재안전기준을 위반하여 소방시설을 설치 또는 유지ㆍ관리한 자 :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3. 영업정지처분을 받고 그 영업정지기간 중에 관리업의 업무를 한 자 : 1년 이하의 징역 또느 1천만원이하의 벌금 4. 소방시설등에 대한 자체점검을 하지 아니하거나 관리업자 등으로 하여금 정기적으로 점검하게 하지 아니한 자 : 1년 이하의 징역 또느 1천만원이하의 벌금 [해설작성자 : shark]
65.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방염성능기준 이상의 실내장식물 등을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이 아닌 것은?
1.
공항시설
2.
숙박시설
3.
의료시설 중 종합병원
4.
노유자시설
정답 : [
1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1. 근린생활시설 중 의원,체력단련장,공연장 및 종교집회장 2. 건축물의 옥내에 있는 시설로서 다음 각 목의 시설 가. 문화 및 집회시설 나. 종교시설 다. 운동시설(수영장은 제외한다) 3. 의료시설 4. 교육연구시설 중 합숙소 5. 노유자시설 6. 숙박이 가능한 수련시설 7. 숙박시설 8. 방송통신시설 중 방송국 및 촬영소 9. 다중이용업소 10. 제1호부터 제9호까지의 시설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서 층수가 11층 이상인 것(아파트는 제외) [해설작성자 : 광수생각]
66.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시ㆍ도지사의 허가를 받아야 설치할 수 있는 제조소등은?
1.
주택의 난방시설을 위한 취급소
2.
축산용으로 필요한 건조시설을 위한 지정수량 20배 이하의 저장소
3.
공동주택의 중앙난방시설을 위한 저장소
4.
농예용으로 필요한 난방시설을 위한 지정수량 20배 이하의 저장소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위험물안전관리법 제6조 3항 시도지사 허가를 받지 않아도 되는 제조소등 1. 주택의 난방시설을 위한 취급소(공동주택의 중앙난방시설을 위한 저장소는 제외한다) 2. 농수축산용으로 필요한 난방시설을 위한 지정수량 20배 이하의 저장소(1차 가공을 위한 조항, 2차가공 생산은 제외) [해설작성자 : 승진]
67.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탱크안정성능검사의 대상이 되는 탱크 등에 관한 내용이다. ()에 들어갈 숫자로 옳은 것은?
1.
20
2.
50
3.
70
4.
100
정답 : [
4
] 정답률 : 60%
68.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조소등의 위험물안전관리자(이하 “안전관리자”라 함)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제조소등의 관계인이 안전관리자가 질병 등의 사유로 일시적으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어 대리자를 지정하는 경우, 대리자가 안전관리자의 직무를 대행하는 기간은 15일을 초과할 수 없다.
2.
제조소등의 관계인이 안전관리자를 해임한 경우 그 관계인 또는 안전관리자는 소방본부장이나 소방서장에게 그 사실을 알려 해임된 사실을 확인받을 수 있다.
3.
제조소등의 관계인이 안전관리자를 선임한 경우에는 선임한 날부터 30일 이내에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4.
안전관리자를 선임한 제조소등의 관계인은 안전관리자가 퇴직한 때에는 퇴직한 날부터 60일 이내에 다시 안전관리자를 선임하여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위험물법 15조 위험물 안전관리자 안전관리자는 해임 및 재선임 30일내에 해야하고 14일 내에 관서장에게 신고해야한다. 즉 대리기간은 30일 [해설작성자 : 승진]
69.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과태료 처분에 해당하는 경우는?
1.
정지점검 결과를 기록ㆍ보존하지 아니한 자
2.
제조소등의 설치허가를 받지 아니하고 제조소등을 설치한 자
3.
안전관리자 또는 그 대리자가 참여하지 아니한 상태에서 위험물을 취급한 자
4.
위험물의 운반에 관한 중요기준에 따르지 아니한 자
정답 : [
1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위험물안전관리법 제39조):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1. 위험물의 임시저장 미승인 2. 위험물의 운반에 관한 세부기준 위반 3. 제조소 등의 지위승계 허위신고, 미신고 4. 제조소등의 점검결과를 기록, 보존하지 아니한 자 --> 보기1 5. 위험물의 운송기준 미준수자 6. 제조소 등의 폐지 허위신고 [해설작성자 : 인니거사]
70.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정기점검의 대상인 제조소등의 아닌 것은?
1.
판매취급소
2.
이동탱크저장소
3.
이송취급소
4.
지하탱크저장소
정답 : [
1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위험물법 18조 지정수량 10배 이상 제조소 지정수량 100배 이상 옥외저장소 150배 옥내저장소 200배 옥내탱크저장소 이송취급소를 제외한 일반취급소 이송취급소 지하탱크저장소 이동탱크저장소 지하에 매설되어있는 탱크를 가진 제조소 주유취급소 일반취급소
71.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령상 안전시설등의 설치ㆍ유지에 관한 설명이다.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간이스프링클러설비
2.
비상조명등
3.
자동화재탐지설비
4.
가스누설경보기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간이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다중이용업소 대상 1. 숙박을 제공하는 형태의 다중이용업소의 영업장 2. 밀폐구조의 영업장 [해설작성자 : 시지관리사]
72.
가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령상 화재배상책임보험의 가입과 관련하여 과태료 부과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화재배상책임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다중이용업주
2.
정당한 사유 없이 계약 체결을 거부한 보험회사
3.
화재배상책임보험 외의 보험 가입을 권유한 보험회사
4.
임의로 계약을 해제 또는 해지한 보험회사
정답 : [
3
] 정답률 : 68%
73.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령상 다중이용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비디오물감상실업
2.
노래연습장업
3.
산후조리업
4.
노인의료복지업
정답 : [
4
] 정답률 : 73%
74.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령상 이행강제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이행강제금의 1회 부과 한도는 1천만원 이하이다.
2.
조치 명령을 받은 자가 조치 명령을 이행하면, 이미 부과된 이행강제금도 징수할 수 없다.
3.
이행강제금을 부과하기 전에 이행강제금을 부과ㆍ징수한다는 것을 미리 문서로 알려주어야 한다.
4.
최초의 조치 명령을 한 날을 기준으로 매년 2회의 범위에서 그 조치 명령이 이행될 때까지 반복하여 이행강제금을 부과ㆍ징수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조치 명령을 받은 자가 조치 명령을 이행하면, 새로운 이행강제금의 부과는 즉시 중지하도 이미 부과된 이행강제금은 징수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shark]
75.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령상 영업장 내부를 구획하고자 할 때 천장(반자속)까지 불연재료로 구획해야 하는 업종에 해당하는 것은?
1.
산후조리업
2.
게임제공업
3.
단란주점 영업
4.
고시원업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유흥주점 [해설작성자 : 홍길동]
4과목 : 위험물의 성상 및 시설기준
76.
아염소산나트륨(NaClO2)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매우 불안정하여 180℃ 이상 가열하면 발열 분해하여 O2를 발생한다.
2.
가연성물질로서 가열, 충격, 마찰에 의해 발화, 폭발한다.
3.
암모니아. 아민류와 반응하여 폭발성의 물질을 생성한다.
4.
수용액 상태에서도 산화력을 가지고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아염소산나트륨 : 불연성물질
77.
황 480g이 공기 중에서 완전 연소할 때 발생되는 이산화황(SO2) 가스의 발생량(g)은? (단, 황의 원자량은 32, 산소의 원자량은 16으로 한다.)
분자량 227g/mol인 니트로글리세린[C3H5(ONO2)3] 2,000g이 부피 1,500mL인 비파괴성 용기에서 폭발하였다. 폭발 당시의 온도가 500℃라면 이때의 압력(atm)은? (단, 절대온도 273K, 기체상수 0.082Lㆍatm/Kㆍmol이며, 소수점 이하는 절삭한다.)
1.
372
2.
400
3.
485
4.
575
정답 : [
1
] 정답률 : 60%
90.
다음은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조소의 위치ㆍ구조 및 설비의 기준에 관한 내용이다. ()에 알맞은 숫자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1, 3
2.
2, 3
3.
3, 5
4.
5, 7
정답 : [
3
] 정답률 : 75%
91.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조소의 위치ㆍ구조 및 설비의 기준에서 배관의 설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배관의 재질은 폴리에틸렌(PE)관 그 밖에 이와 유사한 금속성으로 하여야 한다.
2.
배관에 걸리는 최대상용압력의 1.2배 이상의 압력으로 수압시험을 실시하여야 한다.
3.
지상에 설치하는 배관은 지진ㆍ풍압ㆍ지반침하 및 온도변화에 안전한 구조의 지지물에 설치하여야 한다.
4.
지하에 매설하는 배관은 지면에 미치는 중량이 당해 배관에 미치도록 하여 안전하게 하여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1. 폴리에틸렌(PE)관 --> 강관 2. 1.2배 이상 --> 1.5배 이상 4. 미치도록 하여 --> 미치지 아니하도록 [해설작성자 : 인니거사]
92.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조소의 위치ㆍ구조 및 설비의 기준에서 표지 및 게시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위험물제조소”의 표지는 백색바탕에 흑색문자로 할 것
2.
제1류 위험물의 “물기엄금”의 표지는 청색바탕에 백색문자로 할 것
3.
제4류 위험물의 “화기엄금”의 표지는 적색바탕에 백색문자로 할 것
4.
제5류 위험물의 “화기주의”의 표지는 적색바탕에 백색문자로 할 것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제5류 위험물 : 화기 엄금 [해설작성자 : shark]
93.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소화설비, 경보설비 및 피난설비의 기준에서 위험물제조소의 연면적이 2,000m2 또는 저장 및 취급하는 위험물이 지정수량의 150배 이상인 위험물제조소에 설치하여야 하는 소화설비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소화난이도등급 1 제조소 일반취급소 : 연천, 지정수량100배, 지반면으로부터 6미터이상 높이에 위험물 취급설비가 있는 것, 일취로 사용되는 부분 외의 부분을 갖는 건축물에 설치된 것 설치 소화설비 : 내외스물 [해설작성자 : 공부님공주중]
94.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옥외탱크저장소의 위치ㆍ구조 및 설비의 기준에서 인화성 액체위험물(이황화탄소를 제외한다) 옥외탱크저장소의 탱크 주위에 설치하는 방유제의 설치높이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0.1m 이상 1m 이하
2.
0.3m 이상 2m 이하
3.
0.5m 이상 3m 이하
4.
0.7m 이상 4m 이하
정답 : [
3
] 정답률 : 68%
95.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옥외저장소의 위치ㆍ구조 및 설비의 기준에서 옥외저장소에 위험물을 저장하는 경우 저장장소 주위에 배수구 및 집유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위험물이 아닌 것은?
1.
에틸알코올
2.
디에틸에테르
3.
톨루엔
4.
초산에틸
정답 : [
2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옥외저장소에 알코올류, 제1석유류를 저장하는 경우 저장장소 주위에 배수구 및 집유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shark]
96.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옥외탱크저장소의 위치ㆍ구조 및 설비의 기준에서 무연가솔린 5,000리터를 저장하는 위험물 옥외탱크저장소에는 접지시설을 하거나 피회침을 설치하여야 한다. 이 경우 위험물 옥외탱크저장소에 피회침을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는 접지시설의 저항 값으로 옳은 것은?
1.
5Ω 이하
2.
10Ω 이하
3.
15Ω 이하
4.
20Ω 이하
정답 : [
1
] 정답률 : 54%
97.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이송취급소의 위치ㆍ구조 및 설비의 기준에서 배관을 지하에 매설하는 경우 건축물의 외면으로부터 배관까지의 안전거리는? (단, 지하가내의 건축물을 제외한다.)
1.
0.5m 이상
2.
0.75m 이상
3.
1.0m 이상
4.
1.5m 이상
정답 : [
4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1. 건축물(지하상가내의 건축물은 제외한다) ; 1.5m 이상 2. 지하가 및 터널 : 10m 이상 3. 수도시설(위험물의 유입우려가 있는 것에 한한다) : 300m 이상 4. 배관은 그 외면으로부터 다른 공작물에 대하여 0.3m 이상의 거리를 보유할 것. 다만 0.3m 이상의 거리를 보유하기 곤란한 경우로서 당해 공작물의 보전을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해설작성자 : 광수생각]
98.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조소의 위치ㆍ구조 및 설비의 기준에서 위험물을 취급하는 건축물의 지분(작업공정상 제조기계시설 등이 2층 이상에 연결되어 설치된 경우에는 최상층의 지붕을 말한다.)을 내화구조로 할 수 없는 것은?
1.
제1류 위험물
2.
제2류 위험물(분상의 것과 인화성고체 제외)
3.
제4류 위험물 중 제4석유류ㆍ동식물유류
4.
제6류 위험물을 취급하는 건축물
정답 : [
1
] 정답률 : 56%
99.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옥내저장소의 위치ㆍ구조 및 설비의 기준에서 제4류 위험물 중 아세톤을 보관하는 하나의 옥내저장창고(2 이상의 구획된 실이 있는 때에는 각 실의 바닥 면적의 합계로 한다.)의 최대 바닥 면적(m2)은?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수소충전설비를 설치한 주유취급소의 특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충전설비의 위치는 주유공지 또는 급유공지 내의 장소로 한다.
2.
충전설비는 자동차 등의 충돌을 방지하는 조치를 마련하여야 한다.
3.
충전설비는 자동차 등의 충동을 감지하여 운전을 자동으로 정지시키는 구조이어야 한다.
4.
충전설비의 충전호스는 자동차 등의 가스충전구와 정상적으로 접속하지 않는 경우에 는 가스가 공급되지 않는 구조로 하여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충전설비의 위치는 주유공지 또는 급유공지 외의 장소로 한다 [해설작성자 : shark]
101.
비상방송설비의 화재안전기준상 배선의 설치기준으로 옳은 것은?
1.
화재로 인하여 하나의 층의 확성기 또는 배선이 단락 또는 단선되어도 다른 층의 화재통보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2.
전원회로의 배선은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에 내화배선 또는 내열배선에 따라 설치한다.
3.
전원회로의 부속회로는 전로와 대지 사이 및 배선 상호간의 절연저항은 1경계구역마다 직류 500V의 절연저항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한 절연저항이 0.1MΩ이상이 되도록 한다.
4.
비상방송설비의 배선은 다른 전선과 별도의 관ㆍ덕트 몰드 또는 풀박스등에 설치한다. 다만, 100V 미만의 약전류회로에 사용하는 전선으로서 각각의 전압이 같을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2. 전원회로의 배선은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에 내화배선에 따라 설치한다. 3. 전원회로의 부속회로는 전로와 대지 사이 및 배선 상호간의 절연저항은 1경계구역마다 직류 250V의 절연저항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한 절연저항이 0.1MΩ이상이 되도록 한다. 4. 비상방송설비의 배선은 다른 전선과 별도의 관ㆍ덕트 몰드 또는 풀박스등에 설치한다. 다만, 60V 미만의 약전류회로에 사용하는 전선으로서 각각의 전압이 같을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해설작성자 : shark]
102.
수신기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상 수신기의 구조 및 일반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화재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P형, P형복합식, GP형, GP형복합식, R형, R형복합식, GR형 또는GR형복합식의 수신기에 있어서는 2이상의 지구표시장치에 의하여 각각 화재를 표시할 수 있어야 한다.
2.
예비전원회로에는 단락사고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퓨즈 등 과전류 보호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3.
수신기(1회선용은 제외한다.)는 2회선이 동시에 작동하여도 화재표시가 되어야 하며, 감지기의 ㄱ감지 또는 발신기의 발신개시로부터 P형, P형복합식, GP형복합식, R형, R형복합식, GR형 또는 GR형복합식 수신기의 수신완료까지의 소요시간은 5초(축적형의 경우에는 60초)이내이어야 한다.
4.
부식에 의하여 전기적 기능에 영향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부분은 칠, 도금 등으로 유효하게 내식가공을 하거나 방청가공을 하여야 하며, 기계적 기능에 영향이 있는 단자, 나사 및 와셔 등은 동합금이나 이와 동등이상의 내식성능이 있는 재질을 사용하여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기계적 -> 전기적 [해설작성자 : 김태영]
4. 부식에 의하여 전기적 기능에 --> 부식에 의하여 기계적 기능에 & 기계적 기능에 영향이 있는 --> 전기적 기능에 영향이 있는 [해설작성자 : 인니거사]
습식스프링클러설비 또는 부압식 스프링클러설비 외의 설비에는 헤드를 향하여 상향으로 수평주행배관의 기울기를 500분의 1이상, 가지배관의 기울기를 250분의 1 이상으로 할 것. 다만, 배관의 구조상 기울기를 줄 수 없는 경우에는 배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배수밸브를 설치하여야 한다.
2.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배관을 수평으로 할 것. 다만, 배관의 구조상 소화수가 남아 있는 곳에는 배수밸브를 설치하여야 한다.
3.
연소방지설비에 있어서의 수평주행배관의 구경은 100mm 이상의 것으로 하되, 연소방지설비전용헤드 및 스프링클러헤드를 향하여 상향으로 1,000분의 1 이상의 기울기로 설치하여야 한다.
4.
개방형 미분무소화설비에는 헤드를 향하여 하향으로 수평주행배관의 기울기를 1,000분의 1 이상, 가지배관의 기울기를 500분의 1 이상으로 할 것. 다만, 배관의 구조상 기울기를 줄 수 없는 경우에는 배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배수밸브를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4.개방형 미분무소화설비에는 헤드를 향하여 하향으로 수평주행배관의 기울기를 [1,000분의 1 이상], 가지배관의 기울기를 [500분의 1] 이상으로 할 것. 다만, 배관의 구조상 기울기를 줄 수 없는 경우에는 배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배수밸브를 설치하여야 한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법개정으로 삭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개정으로삭제 시대고시기획 [해설작성자 : 홍길동]
[추가 오류 신고] 개정으로인한 삭제 [해설작성자 : ㅇ ㅇ]
111.
다음 직병렬 복합 누설경로 그림에서 제연실에서의 총 유효누설면적(m2)은 얼마 인가? (단, A1=A2=A3=0.02m2, A4=A5=0.01m2, 소수점 이하 넷째자리에서 반올림한다.)
1.
0.007
2.
0.017
3.
0.027
4.
0.037
정답 : [
2
] 정답률 : 47%
112.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상 예상제연구역에 대한 배출구의 설치기준으로 옳은 것은?
1.
바닥면적이 400m2 미만인 예상제연구역이 벽으로 구획되어 있는 경우의 배출구는 바닥 이외의 천장ㆍ방자 또는 이에 가까운 벽의 부분에 설치한다.
2.
바닥면적이 400m2 미만인 예상제연구역의 경우 배출구를 벽에 설치한 경우에는 배출구의 중심이 가장 짧은 제연경계의 하단보다 높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3.
바닥면적이 400m2 이상인 통로외의 예상제연구역에 대한 배출구를 벽에 설치한 경우에는 배출구의하단과 바닥간의 최단거리가 2m 이상이어야 한다.
4.
바닥면적이 400m2 이상인 통로 예상제연구역 중 어느 한 부분이 제연경계로 구획되어 있을 경우 배출구를 벽 또는 제연경계에 설치하는 겨울에는 제연경계의 수직거리가 가장 짧은 제연경계의 하단보다 낮게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1. 이에 가까운 벽의 부분 --> 반자와 바닥 사이의 중간 윗부분 2. 중심이 --> 하단이 해당 예상제연구역에서 제연경계의 폭이 4. 제연경계의 수직거리가 가장 짧은 제연경계의 하단선보다 낮게 --> 배출구의 하단이 해당 예상제연구역에서 제연경계의 폭이 가장 짧은 제연경계의 하단보다 높이 되도록 [해설작성자 : 인니거사]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개정 1.바닥면적이 400미터제곱 미만 ㄱ.예상제연구역이 벽구획인 경우 배출구는 천장 또는 반자와 바닥사이의 중간 윗부분에 설치할 것 ㄴ.제연경계로 구획된 경우 천장,반자 또는 이에 가까운 벽의 부분에 설치할 것. 다만, 배출구를 벽에 설치할 경우 배출구의 하단이 해당 예상제연구역에서 제연경계 폭이 가장 짧은 제연경계의 하단보다 높이되도록 할 것 (작성자 피셜 : 배출구는 연기를 배출해야 하니까 제연경계에 보여있는 연기 배출위해 폭이 가장 짧은 제연경계보다 위에 설치)
2.바닥면적 400이상, 예상제연구역이 통로인 경우 ㄱ.벽으로 구획 : 천장 반자 또는 이에 가까운 벽의 부분에 설치할 것, 다만 배출구를 벽에 설치하는 경우 배출구의 하단과 바닥와의 최단거리는 2미터 이상이 될 것 ㄴ.제연경계로 구획 시 천장 반자 또는 이에 가까운 벽의 부분에 설치 다만 배출구를 벽 또는 제연경계에 설치시 배출구의 하단이 해당 예상제연구역의 제연경계 폭이 가장 짧은 제연경계의 하단보다 높이 될 것 [해설작성자 : 공부님공주중]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3번이네요.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113.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화재안전기준상 피난구유도등 설치 제외 대상에 관한 설명이다. ()에 들어갈 특정소방대상물로 옳지 않은 것은?
강관을 사용하는 경우의 배관은 압력배관용탄소강관(KS D 3562)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를 가진 것으로서 아연도금 등에 따라 방식처리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3.
배관과 배관, 배관과 배관부속 및 밸브류의 접속은 나사접합, 용접접한, 압축접한 또는 플랜지접합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4.
배관의 구경은 해당 방호구역에 할로겐화합물약제는 10초 이내에, 불활성기체소화약제는 AㆍC급 화재 1분, B급 화재 2분 이내에 방호구역 각 부분에 최소설계농도의 95% 이상 해당하는 약제량이 방출되도록 하여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배관의 구경은 해당 방호구역에 할로겐화합물약제는 10초 이내에, 불활성기체소화약제는 AㆍC급 화재 2분, B급 화재 1분 이내에 방호구역 각 부분에 최소설계농도의 95% 이상 해당하는 약제량이 방출되도록 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shark]
115.
자동화재속보설비의 화재안전기준상 설치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조작스위치는 바닥으로부터 1.5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한다.
2.
속보기는 소방관서에 통신망으로 통보하도록 하며, 데이터 또는 코드전송방식을 부가적으로 설치할 수 없다.
3.
노유자시설에 설치하는 자동화재속보설비는 속보기에 감지기를 직접 연결하는 방식으로 한다.
4.
자동화재탐지설비와 연동으로 작동하여 자동적으로 화재발생 상황을 소방관서에 전달되는 것으로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1. 조작스위치는 바닥으로부터 0.8m이상 1.5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한다. 2. 속보기는 소방관서에 통신망으로 통보하도록 하며, 데이터 또는 코드전송방식을 부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3. 문화재에 설치하는 자동화재속보설비는 속보기에 감지기를 직접 연결하는 방식으로 한다. 4. 자동화재탐지설비와 연동으로 작동하여 자동적으로 화재발생 상황을 소방관서에 전달되는 것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shark]
116.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상 지상 15층, 지하 3층으로 연면적이 3,000m2를 초과하는 특정소방대상물에 화재가 발생하여 자동화재탐지설비를 통해 지하 1층, 지하 2층, 지하 3층, 지상 1층에 경보가 발하여진 경우, 발화층은?
1.
지하 3층
2.
지하 2층
3.
지하 1층
4.
지상 2층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답: 1번2번3번 문제 자체가 잘못되었음. 발화층이 아닌것이라고 해서 4번이맞아야함..
117.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상 소화약제의 최대허용 설계농도(%) 기준으로 옳은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