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열성과 내식성이 요구되는 석유 화학 장치, 약품 및 식품 공업용 장치에 사용하는 Ni-Cr 합금은?
1.
인바
2.
엘린바
3.
인코넬
4.
플래티나이트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1) INCONEL의 특성 : 니켈을 주체로 하여 15%의 크롬, 6∼7%의 철, 2.5%의 티탄, 1% 이하의 알루미늄·망간·규소를 첨가한 내열합금이다. 내열성이 좋고, 900℃ 이상의 산화기류(酸化氣流) 속에서도 산화하지 않고, 황을 함유한 대기에도 침지되지 않는다. 신장(伸長)·인장강도·항복점(降伏點) 등 여러 성질도 600℃ 정도까지 대부분 변화하지 않는 등 기계적 성질에 우수하며, 유기물·염류용액에 대해서도 부식하지 않는다.앞에서 말한 조성에 1%의 니오브를 첨가한 것이 대표적이다.
2) 용도 고온 내열 설비에 우수한 강재특성을 지니고 있어 주 사용용도를 보면 열처리로, 초고온 전기로, 세라믹 소성로, 연구소 시험로, 진공로, 공업로, 보일러 등 내열을 요구하는 설비와 제트기관의 재료, 원자로의 연료용 스프링재, 전열기의 부분품, 고온도계용 보호관, 진공관의 필라멘트 등에 쓰여진다. [해설작성자 : alloves]
<문제 해설> 형상기억합금 : 특정 온도나 환경이 되면 원래의 형태로 모양이 돌아오는 합금 (Ni-Ti 마텐자이트 상변태를 일으킴) [해설작성자 : 포항 탑&하이테크 정보처리학원 ☎054-275-4545 ☎054-251-0770]
7.
독성이 없어 의약품, 식품 등의 포장형 튜브제조에 많이 사용되는 금속으로 탈색효과가 우수하면, 비중이 약 7.3 인 금속은?
1.
Sn
2.
Zn
3.
Mn
4.
Pt
정답 : [
1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Sn(주석) 비중 7.3 / 용융점 232℃, 상온에서 재결정됨 내식성 증가 / 독성이 없어 의약품, 식품 등의 포장형 튜브에 많이 사용됨 [해설작성자 : 포항 탑&하이테크 정보처리학원 ☎054-275-4545 ☎054-251-0770]
8.
절삭 공구강의 일종으로 500~600℃까지 가열 하여도 뜨임에 의해서 연화되지 않고, 또 고온에서도 경도 감소가 적은 것은 특징으로 기본 성분은 18%W, 4%Cr 1%V이고, 0.8~1.5%C를 함유하고 있는 강은?
1.
고속도강
2.
금형용강
3.
게이즈용강
4.
내 충격용 공구장
정답 : [
1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고속도강(SKH) : 18%W(텅스텐)-4%Cr(크롬)-1%V(바나듐)으로 절삭 공구강으로 사용되며, 고속 절삭에도 연화되지 않고 열전도율이 나쁘고 자경성(상온에서 경화됨 ex:시멘트가 물과 혼합하여 상온에서 경화됨과 같이, 조형 후 상온에 방치하는 것만으로도 경화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음 [해설작성자 : 포항 탑&하이테크 정보처리학원 ☎054-275-4545 ☎054-251-0770]
9.
6-4황동에 Sn을 1% 첨가한 것으로 판, 봉으로 가공되어 용접봉, 밸브대 등에 사용되는 것은?
1.
톰백
2.
금형용강
3.
네이벌 황동
4.
애드미럴티 황동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1. 톰백 : Cu(구리)에 Zn(아연)을 8~20% 합금한 것으로 색깔이 아름다워 장식용 재료로 사용한다. 3. 네이벌 황동 : 6:4 황동에 Sn 1% 첨가 (강, 판, 봉, 파이프 등에 사용됨) 4. 애드미럴티 황동 : 7:3 황동에 Sn 1% 첨가 (관, 판 등 증발기, 열교환기 등에 사용됨)
*. 문쯔메탈 : 60%의 Cu(구리)와 40%의 Zn(아연)이 합금된 것으로 인장강도가 최대이며, 강도가 필요한 단조제품이나 볼트, 리벳 등의 재료로 사용한다. *. 모넬메탈 : 니켈합금의 하나. 니켈 60~70%와 구리, 철, 망간, 규소가 들어 있는 자연합금.내식성이 커서 각종 산의 용기·염색기계·화학공업용 펌프·터빈의 날개 등에 씀.값이비싼 합금이라 대체 불가능할때 주로 사용됨. [해설작성자 : 포항 탑&하이테크 정보처리학원 ☎054-275-4545 ☎054-251-0770]
10.
Ti 및 Ti 합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고온에서 크리프 강도가 낮다.
2.
Ti 금속은 TiO2로 된 금홍석으로부터 얻는다.
3.
Ti 합금 제조법에는 크롤법과 헌터법이 있다.
4.
Ti은 산화성 수용액에서 표면에 안정된 산화티탄의 보호 피막이 생겨 내식성을 가지게 된다.
정답 : [
1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Ti 합금은 고온에서 크리프 강도가 높다.
*크리프 강도 : 시험편을 일정한 온도로 유지하고, 여기에 일정한 하중을 가하여, 시간과 더불어 변화하는 변형을 측정하는 시험 <크리프 시험>을 통하여 온도와 하중에 따라 견디는 정도를 나타내는 강도 [해설작성자 : 포항 탑&하이테크 정보처리학원 ☎054-275-4545 ☎054-251-0770]
11.
흑연을 구상화시키기 위해 선철을 용해하여 주입 전에 첨가하는 것은?
1.
Cs
2.
Cr
3.
Mg
4.
Na2CO3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구상흑연주철 : 흑연을 구상화하여 균열을 억제시키고 강도 및 연성을 좋게 한 주철. 시멘타이트형/펄라이트형/페라이트형 (Mg, Ca, Ce, Ca-Si, Ni-Mg 등)
*. 불스아이조직 : 가단 주철이나 구상 흑연 주철로 흑연이 완전히 구상으로 되고 그 주위를 페라이트가 동심원상으로 둘러싸고 있는 조직. 마치 황소의 눈과도 같아서 이 이름이 붙여졌다. 바탕은 펄라이트이다. [해설작성자 : 포항 탑&하이테크 정보처리학원 ☎054-275-4545 ☎054-251-0770]
12.
스프링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담금질 온도는 1100~1200℃에서 수냉이 적당하다.
2.
스프링강은 탄성 한도가 높고 충격 및 피로에 대한 저항이 커야 한다.
3.
경도는 HB 340 이상이며, 열처리된 조직은 소르바이트 조직이다.
4.
탄소함량에 따라 0.65~0.85%C의 판 스프링과 0.85~1.05%C의 코일 스프링으로 나눌 수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스프링강의 담금질 온도는 830~860℃ 정도에서 유랭이 적당함 [해설작성자 : 포항 탑&하이테크 정보처리학원 ☎054-275-4545 ☎054-251-0770]
13.
Si이 10~13% 함유된 Al-Si계 합금으로 녹는점이 낮고 유동성이 좋아 크고 복잡한 사형주조에 이용되는 것은?
1.
알민
2.
알드리
3.
실루민
4.
알클래드
정답 : [
3
] 정답률 : 80%
14.
암모니아 가스 분해와 질소의 내부 확산을 이용한 표면 경화법은?
1.
염욕법
2.
질화법
3.
염화바륨법
4.
고체 침탄법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질화법 : 500~600℃의 변태점 이하에서 암모니아 가스를 주로 사용하여 질소를 확산, 침투시켜 표면층 경화시킴을 목적으로 함 [해설작성자 : 포항 탑&하이테크 정보처리학원 ☎054-275-4545 ☎054-251-0770]
15.
두랄루민의 주성분으로 옳은 것은?
1.
Ni-Cu-P-Mn
2.
Al-Cu-Mg-Mn
3.
Mn-Zn-Fe-Mg
4.
Ca-Si-Mg-Mn
정답 : [
2
] 정답률 : 82%
16.
제작 도면으로 사용할 완성된 도면이 되기 위한 선의 우선 순서로 옳은 것은?
1.
외형선→치수선→해칭선→숨은선→중심선→차단선
2.
해칭선→외형선→파단선→숨은선→중심선→치수선
3.
외형선→숨은선→중심선→파단선→치수선→해칭선
4.
중심선→외형선→숨은선→해칭선→파단선→치수선
정답 : [
3
] 정답률 : 73%
17.
기계재료의 표시 중 SF 340 A가 의미하는 것은?
1.
탄소강 단강품
2.
탄소강 주강품
3.
탄소강 압연품
4.
탄소강 압출품
정답 : [
1
] 정답률 : 57%
18.
다음 그림은 제3각법에 의해 그린 투상도이다. 평면도에 해당되는 것은?
1.
A
2.
B
3.
C
4.
A와 B
정답 : [
1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A는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에 해당합니다 B는 앞에서 바라본 "정면도"에 해당합니다 C는 우측에서 바라본 "우측면도"에 해당합니다 [해설작성자 : 3476217 심기주]
19.
물체의 표면 일부에 특수처리를 하는 경우에 그 범위를 외형선에 평행하게 약간 띄어 표시하는 선의 종류는?
다음 중 구멍의 최소 치수가 축의 최대 치수보다 큰 경우로서 미끄럼 운동이나 회전 운동이 필요한 부품에 적용되는 끼워맞춤은?
1.
헐거운 끼워맞춤
2.
억지 끼워맞춤
3.
중간 끼워맞춤
4.
가열 끼워맞춤
정답 : [
1
] 정답률 : 74%
22.
지름이 10mm이고, 길이가 20mm인 축을 척도 1;2로 제도 하였다면, 길이는 도면에 얼마를 기입하는가?
1.
5mm
2.
10mm
3.
15mm
4.
20mm
정답 : [
4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1:2면 축척이여서 길이가 20cm를 축척 1:2로하면 10cm인 2번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123456789]
[추가 오류 신고] 실물보다 축소해서 그리는 것 "축척" -> 축소해서 그린다. 척도의 표시방법 도면에서의 크기 : 실제크기 실제크기 1이라면 절반으로 축소 1:2 , 5배 축소 1:5 이다. 즉, 문제의 답은 지름이 10mm, 길이 20mm 1;2 경우 길이의 도면상 10mm 이다. [해설작성자 : alloves]
[오류신고 반론] 지름이 10mm이고, 길이가 20mm인 축을 척도 1;2로 제도 하였다면, 길이는 도면에 얼마를 기입하는가 이게 문제인데 문제 가장 끝을 보시면 "길이는 도면에 얼마를 기입하는가"이여서 도면에 기입하는 값인 4번(20mm)이 정답 [해설작성자 : 4번 맞아영]
[추가 오류 신고] 2번입니다. 문제 잘 보세요 1:2 에서 1은 도면에서의 크기 2는 실제 크기입니다. 길이 20mm를 도면에 얼마를 기입하냐 이므로 10mm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관리자 입니다. 위 문제는 축척은 아무런 관계가 없는 문제입니다.
문제가 조금 애매한 표현을 했지만 "길이는 도면에 얼마를 기입하는가" 라는 뜻이 "치수"를 얼마로 기입하느냐라고 보시면 됩니다. 치수란 축적에 상관없이 본래 치수 그대로 기입하는게 맞습니다. 따라서 본래길이 20을 기입하는것이 맞구요.
축적이 1:2 이므로 실제 길이의 반 만큼 크기로 "제도"를 하는것은 맞으나 길이는 얼마를 기입하느냐를 치수로 본다면 정답은 4번이 맞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