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들에게는 자신에 대한 다른 사람의 피드백을 경험하는 대인관계 학습이 중요한 치료적 요인이다.
2.
치료적 요인에 의한 변화경험은 집단상담자, 집단원, 집단 활동 등의 다양한 상호작용의 결과로 발생한다.
3.
집단상담자는 집단 운영을 계획할 때 집단의 치료적 요인을 인식해야 한다.
4.
얄롬(I. Yalom)은 모험시도, 마법 등을 치료적 요인으로 제시하였다.
5.
집단원 개개인은 서로 다른 치료적 요인에 의해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73%
40.
청소년이 집단상담에 참여할 때의 이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또래들 간 상호작용을 관찰하며 자기주장 등 새로운 사회적 기술을 학습할 수 있다.
2.
삶에서 어려운 경험을 한 것을 인식하고 자신이 특별히 힘든 사람이라는 생각을 강화할 수 있다.
3.
외부적 위협을 느끼지 않으면서 현실적 문제 상황에 대한 자기 나름대로의 적응 및 대처방안을 체득할 수 있다.
4.
성인 집단상담자와의 힘의 균형을 경험하면서 성인과의 효과적인 상호작용 기술을 학습할 수 있다.
5.
또래와의 상호 교류 능력이 개발되어 청소년기의 자기중심적인 특성에서 벗어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77%
41.
집단상담의 윤리적 규범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ㄹ, ㅁ
3.
ㄱ, ㄴ, ㄹ, ㅁ
4.
ㄴ, ㄷ, ㄹ, ㅁ
5.
ㄱ, ㄴ, ㄷ, ㄹ, ㅁ
정답 : [
3
] 정답률 : 50%
42.
과정분석(processing)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구조화 집단에서는 과정분석이 필요 없다.
2.
과정분석은 초심자가 쉽게 배울 수 있는 기술이다.
3.
초점유지, 개인화는 과정분석의 방법이 아니다.
4.
집단원은 다른 집단원이 말한 내용을 기억하고 있어야 한다.
5.
집단회기에서 경험한 사고, 감정, 대인관계의 패턴 등에 관하여 성찰한 내용을 서로 공유하는 활동이다.
정답 : [
5
] 정답률 : 알수없음
43.
집단상담 평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평가의 일차적인 목적은 목표 관리이다.
2.
집단 밖에서 이루어지는 비공식적인 평가를 권장한다.
3.
종결단계에서는 양적 평가만 사용한다.
4.
녹화와 같은 행동관찰 평가는 비밀스럽게 진행한다.
5.
집단원들의 상호 평가에서 부정적인 내용은 배제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알수없음
44.
학교집단상담 계획서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학부모의 인적사항
2.
기대효과와 평가
3.
집단원의 선발방법
4.
집단 프로그램 활동
5.
집단상담의 필요성과 목적
정답 : [
1
] 정답률 : 82%
45.
구조화된 집단상담 초기에 상담자가 해야 할 일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ㄹ
4.
ㄱ, ㄴ, ㄹ
5.
ㄴ, ㄷ, ㄹ
정답 : [
3
] 정답률 : 73%
46.
정신분석적 집단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부적응 행동들을 줄이기 위해서 훈습과정을 거친다.
2.
관념이나 느낌, 환상 등을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하는 기법들을 사용한다.
3.
'지금과 여기'보다 '거기와 그때'에 더 주의를 기울인다.
4.
부모와의 수직적 차원의 전이와 형제를 포함한 대인관계의 수평적 차원의 전이를 모두 다룬다.
5.
집단상담자는 자기개방을 지양하고 권위적이고 객관적인 태도를 취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50%
47.
아들러(A. Adler)의 개인심리 집단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포괄적 평가에 기초하여 아동기 역동을 탐색한다.
2.
가족구도, 생활양식 분석 등이 주 치료기법이다.
3.
열등감 자각과 우월성 추구에 초점을 맞춘다.
4.
고립되고 자기중심적인 사람은 집단원으로 선발하지 않는다.
5.
집단원이 가지고 있는 부적절한 사적 논리를 파악하여 변화시킨다.
정답 : [
4
] 정답률 : 34%
48.
실존주의 집단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ㄹ
3.
ㄴ, ㄷ
4.
ㄱ, ㄴ, ㄷ
5.
ㄱ, ㄴ, ㄷ, ㄹ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49.
집단원의 문제행동에 대한 상담자의 대처로 옳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ㄹ
3.
ㄱ, ㄴ,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3
] 정답률 : 29%
50.
코리(G. Corey)가 주장한 유능한 집단 지도자의 개인적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개인적인 힘'은 자신이 타인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인식하며, 집단원들의 역량을 강화시키는 것이다.
2.
'용기'는 상담자라는 역할 뒤에 숨지 않고, 실수를 인정하며 자신의 통찰과 신념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다.
3.
'집단과정에 대한 신뢰'는 집단의 치료적 힘을 믿고 집단 내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조정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다.
4.
'유머감각'은 비판에 대해 효과적이고 비공격적인 형식으로 반응하는 것이다.
5.
'함께 함'은 자신의 감정을 자각하고 표현하며, 집단원들과 마음을 함께 나누는 것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50%
3과목 : 가족상담
51.
개방체계와 폐쇄체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1
] 정답률 : 알수없음
52.
가족상담에서 활용되는 평가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족체계분화척도(Differentiation in the Family System Scales)는 가족체계 내의 연결성과 분리성 정도를 측정한다.
2.
동적가족화(Kinetic Family Drawing)는 개인이 가진 가족이미지를 파악하고 가족전체의 상호작용을 알 수 있는 투사적 도구이다.
3.
합동가족화(Conjoint Family Drawing)는 가족성원에 관한 정보와 그들 간의 관계가 도식으로 제시되어 세대 간에 반복되는 유형을 알 수 있는 도구이다.
4.
결혼적응척도(Dyadic Adjustment Scale)는 부부간의 일치성, 결합, 애정표현, 만족도 등 결혼생활의 질과 적응 정도를 측정한다.
5.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척도(Parents-Adolescent Communication Family Inventories)는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의 기능 정도를 파악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9%
<문제 해설> 합동가족화: 가족성원ㅇ ㅣ함께 가족화 작업을 함으로써 가족으 ㅣ역동과 상호작용을 파악한다. 가계도: 가족성원에 관한 정보와 그들 간의 관계가 도식으로 제시되어 세대간 반복되는 유형을 알 수 있는 도구이다. [해설작성자 : 차차]
53.
가족상담의 첫 번째 회기에서 상담자의 행동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분위기를 편안하게 만들기 위해 일상적인 대화를 나눈다.
2.
가족 중 누가 먼저 말하는지, 누가 방해하는지 등을 관찰한다.
3.
가족의 불안을 감소하기 위해 가족들이 앉을 자리를 정해서 안내한다.
4.
'왜 이 시점에서?'라는 생각을 가지고 가족이 제시하는 문제를 명료화한다.
5.
상담 예약한 사람을 확인하고 예약 시에 나눈 대화를 공유하도록 요청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0%
54.
가족생활주기 중 성인자녀기(자녀독립기)에 해당하는 과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녀의 취업과 결혼에 대해 지도한다.
2.
가족구성원의 증감을 적극적으로 수용한다.
3.
배우자와의 관계에서 역할과 규칙을 새롭게 정비한다.
4.
학업과 직업 훈련 등을 통해 자녀가 독립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5.
자녀의 정체성 확립과 독립심 제고를 위해 가족 규칙과 역할에 대해 타협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알수없음
55.
다세대 모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서적 단절은 물리적인 단절을 전제한다.
2.
삼각관계는 핵가족 내에서도 다중으로 있을 수 있다.
3.
자아분화가 높은 사람은 타인의 평가에 연연하지 않는다.
4.
가족투사과정은 가족 내에서 불안이 투사되는 과정을 말한다.
5.
대표적인 핵가족 정서체계는 만성적 결혼갈등, 배우자의 역기능 등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알수없음
56.
구조적 모델에서 '상호작용의 창조'를 통하여 가족 내부의 구조를 파악하는 기법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ㄹ
4.
ㄷ, ㄹ
5.
ㄷ, ㅁ
정답 : [
5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실연화: 가족 상담에서 가족구성원 간의 상호작용 유형을 실제로 재현시킨다 가족내 과제설정: 치료자가 가족 간의 어떤 특정한 새로운 상호작용의 구조를 창조하기 위하여 과제를 주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차차]
57.
가족상담 모델에 따른 개입방법의 예시가 옳은 것은?
1.
이야기치료 – 엄마의 우울증을 외재화하고 변화를 위한 과제를 제시한다.
2.
다세대 모델 – 가족투사과정을 파악하여 엄마의 불안을 감소시킨다.
3.
해결중심단기치료 – 질문기법을 사용하여 자녀의 야뇨증 원인을 파악한다.
4.
구조적 모델 – 아빠와 아들의 연합을 강화하여 남성하위체계를 명확하게 한다.
5.
경험적 모델 – 자존감이 낮은 자녀의 가족에게 무의식적 상호작용에 대한 해석을 제공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10%
<문제 해설> 이야기치료: 사회구성주의를 바탕으로 하며 문제의 외현화와 새로운 시각으로 대안적 삶의 이야기를 서술하도록 돕는다. -> 문제에서 변화를 위한 과제를 제시하지는 않음! 해결중심단기치료: 내담자의 장점이나 건강한 특성을 활용하며, 치료자와 내담자 간 협력관계를 중시한다. 구조적 모델: 가족구조에 초점을 두고 합류, 가족 재구조화 기법을 주로 사용한다. 경험적 모델: 이론적 접근으로 치료과정에서의 경험에 초점을 두고 가족 조각, 가족 인형극, 가족 미술치료, 가족 합동화 그리기 등의 기법을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차차]
58.
가족조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서적 경험을 공유하기 위한 기법이다.
2.
경험적 모델의 진단 혹은 치료 수단이다.
3.
자기표현이 어려운 아동이 포함된 가족에는 비효과적이다.
4.
물리적 거리, 자세 등을 통해 가족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5.
가족조각을 시행하기 위해 조각가, 모니터, 연기자의 역할이 필요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19%
59.
상담 기법과 해당 모델의 연결이 옳은 것은?
1.
유머(humor) – 다세대 모델
2.
집중/강조(intensity) – 경험적 모델
3.
나-입장(I-position) – 이야기치료
4.
가장 기법(pretend technique) – 전략적 모델
5.
생활 연대기(life chronology) – 구조적 모델
정답 : [
4
] 정답률 : 20%
<문제 해설> 1. 유머 - 경험적모델 2. 집중/강조 - 구조적 모델 3. 나-입장 - 다세대 모델 5. 생활연대기 - 구조적 모델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5. 보스조르메니 내지 - 다세대 모델 / 증상처방 <-전략적 모델 기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8.
다음 예시의 기법이 사용되는 가족상담 모델의 주요 기법 혹은 개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재저작(reauthoring)
2.
스캐폴딩(scaffolding)
3.
예외발견질문(exception-finding question)
4.
외부증인(outsider witnesses)
5.
회원재구성(re-membering)
정답 : [
3
] 정답률 : 알수없음
69.
각 가족상담 모델에서 상담자에게 강조하는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밀란 모델: 중립성
2.
경험적 모델: 사람됨과 일치성
3.
다세대 모델: 내담자보다 높은 자기분화 수준
4.
구조적 모델: 가족에의 합류와 확고한 방법을 통한 개입
5.
이야기치료: 문제 해결과 변화에 대한 직접적인 책임
정답 : [
5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전략적 치료: 문제해결과 변화에 대한 직접적인 책임 이야기 치료: 내면화된 이야기 방식을 변화시키기 [해설작성자 : 청풍]
70.
가족상담의 윤리 원칙 중 다양성 존중에 관한 예시를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ㄹ
4.
ㄱ, ㄷ, ㄹ
5.
ㄴ, ㄷ, ㄹ
정답 : [
1
] 정답률 : 알수없음
71.
후기 가족상담의 이론적 기초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상담자와 내담자 간의 위계적인 질서를 강조하였다.
2.
블랙박스 모델로서 체계와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두었다.
3.
관계윤리, 가족출납부, 보이지 않는 충성심 등이 주요 개념을 형성하였다.
4.
2차 사이버네틱스의 발전이 후기 가족상담이 탄생하게 된 배경이 되었다.
5.
가족의 기능/역기능을 사정하기 위한 개념 개발과 특정 치료적 기법의 습득을 중시했다.
정답 : [
4
] 정답률 : 30%
72.
다음에서 설명하는 개념은?
1.
경계
2.
항상성
3.
피드백
4.
하위체계
5.
사이버네틱스
정답 : [
4
] 정답률 : 알수없음
73.
가족상담 관련 개념의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ㄴ, ㄹ
4.
ㄷ, ㄹ
5.
ㄴ, ㄷ, ㄹ
정답 : [
3
] 정답률 : 알수없음
74.
다음 기법을 사용하는 가족상담 모델의 상담목표로 옳은 것은?
1.
책임과 권리 사이의 공정한 균형
2.
파괴적 가족게임의 중지
3.
불안 감소와 자아분화 수준 향상
4.
가족원의 무의식적 욕구와 제약에서의 해방
5.
선호하는 방향으로 가족 스스로 이야기 쓰기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1. 다세대 치료 3. 다세대 치료 4. 정신역동(?) 5. 이야기 치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의 지문은 밀란모델의 개념임.
1. 책임과 권리 사이의 공정한 균형 : 보스조르매니 내지의 맥락적 치료의 목표 2. 역기능적 가족 규칙을 중지시키기: 밀란모델의 목표. 이런 규칙과 의사소통을 가족게임이라고 함.--> 파괴적 가족게임의 중지 3. 불안감소와 자아분화 수준 향상 : 보웬의 다세대적 치료 4. 가족원의 무의식적 욕구와 제약에서의 해방: 에커만의 정신역동적 가족치료의 목표 5. 선호하는 방향으로 가족 스스로 이야기 쓰기: 화이트의 이야기 치료 [해설작성자 : 청풍]
75.
가족상담의 이론적 기초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ㄱ, ㄴ, ㄷ
5.
ㄱ, ㄴ, ㄷ, ㄹ
정답 : [
1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ㄷ. 직선적 인과성에 대한 설명 ㄹ. 아나로그식 의사소통에 대한 설명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6.
다음에서 사용하고 있는 시험불안에 관한 개입전략은?
1.
자기대화(self-talk) 하기
2.
비합리적인 생각을 합리화하기
3.
자기구실 만들기
4.
이완훈련 하기
5.
사전학습 강화하기
정답 : [
1
] 정답률 : 알수없음
77.
학습전략 중 조직화 전략에 관한 기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보를 도식화하기
2.
이미지화하기
3.
요소 간 내적 연결구조 만들기
4.
요소 간 관계를 논리적으로 구성하기
5.
주요 주제와 아이디어의 개요 작성하기
정답 : [
2
] 정답률 : 20%
<문제 해설> 이미지화 하기는 정교화 전략이다 [해설작성자 : 청상이]
78.
효과적인 노트필기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글자는 다른 사람도 알아볼 수 있도록 쓴다.
2.
노트필기를 잘 하기 위해 듣기 기술을 개선한다.
3.
날짜를 기록하고 과목은 구분하여 작성한다.
4.
자주 반복되는 내용은 약어를 사용한다.
5.
수업 중에 설명되는 것은 모두 기록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10%
79.
협동학습전략의 효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새로운 정보를 학습하는 데 도움이 된다.
2.
개별학습과 수행과제에 대한 전이를 용이하게 한다.
3.
지식의 공유가 높을수록 각 학생들의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4.
상호이해, 타인에 대한 긍정적 태도, 친절함 등을 길러주는 데 효과적이다.
5.
자기생활을 관리하여 스트레스에 따른 소진을 예방해 준다.
정답 : [
5
] 정답률 : 10%
80.
주의집중 문제의 원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ㄱ, ㄴ, ㄷ
5.
ㄴ, ㄷ, ㄹ
정답 : [
3
] 정답률 : 알수없음
81.
다음과 같은 교사의 반응에서 로젠탈과 제이컵슨(Rosenthal & Jacobson)이 제시한 개념으로 옳은 것은?
1.
모델링(modeling)
2.
행동조성법(behavior shaping)
3.
지시하기(directives)
4.
결과기대(outcome expectation)
5.
자기충족적 예언(self-fulfilling prophecy)
정답 : [
5
] 정답률 : 알수없음
82.
학습동기가 부족한 내담자의 동기 향상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행동문제에 대해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게 해 준다.
2.
수행 가능한 과제를 달성하게 함으로써 자신의 능력을 지각하게 한다.
3.
학습동기가 낮은 이유를 파악하고 후속자극을 통해 강화한다.
4.
능력과 같은 외적 귀인보다 과제 난이도와 같은 내적 귀인을 하게 한다.
5.
초기에는 간헐적 강화를 시도하다가 점차 자연강화를 받을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알수없음
83.
다음 예시에 해당하는 로크와 라뎀(Locke & Latham)의 목표의 조건은?
1.
근접성, 노력
2.
근접성, 능력
3.
난이도, 능력
4.
구체성, 노력
5.
구체성, 근접성
정답 : [
5
] 정답률 : 28%
84.
주의집중 문제를 가진 내담자의 학업상담 전략으로 옳은 것은?
1.
주의집중력 향상 정도는 얼마나 오랜 시간동안 공부를 했느냐를 근거로 평가한다.
2.
일반적인 방해 요인뿐만 아니라 내담자에게 해당되는 집중 방해 요인을 찾는다.
3.
일반적으로 초등학교 고학년과 중학생은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이 15∼20분임을 고려한다.
4.
어려워하거나 흥미가 낮은 과목을 먼저 공부하도록 한다.
5.
식습관과 수면습관은 주의집중과 관계가 없으므로 학업전략에 초점을 맞춘다.
정답 : [
2
] 정답률 : 31%
85.
토마스와 로빈슨(Thomas & Robinson)의 PQ4R의 단계에서 암송(Recite)단계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ㄱ, ㄷ, ㄹ
3.
ㄱ, ㄹ, ㅁ
4.
ㄴ, ㄷ, ㄹ
5.
ㄴ, ㄹ, ㅁ
정답 : [
2
] 정답률 : 0%
<문제 해설> ㄴ- 숙고하기 ㅁ- 복습하기 [해설작성자 : 청상이]
86.
학습부진 영재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완벽주의 성향으로 성공할 가능성이 있는 학업이나 활동만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2.
신경체계의 과민성으로 인해 많은 감각 자극을 수용하여 지적능력이 나타나는 반면, 과잉행동성을 나타낼 수 있다.
3.
창의적 욕구와 능력의 표현을 억압하는 사회 압력 때문에 사회적 고립을 경험할 수 있다.
4.
특정문제에 기인하기 때문에 원인을 찾아 치료하는 것이 우선이다.
5.
학교에서 영재의 학습 양식에 맞는 교육적 기회가 주어지지 않아서 나타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0%
87.
학업상담에서 상담자 역할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자발적 내담자는 내담자의 동기와 부모의 요구를 현실화해야 한다.
2.
학업문제와 그 외의 문제를 구분해야 한다.
3.
학업상담 내용을 담임교사에게 알려야 한다.
4.
학습전략 프로그램을 통해 공부 방법을 개선시킬 수 있다.
5.
복합적인 학습부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심각성에 따른 우선순위를 정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10%
88.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제시한 학자는?
1.
콜먼(J. Coleman)
2.
미스(J. Meece)
3.
브라운(A. Brown)
4.
브로피와 굿(Brophy & Good)
5.
로젠탈과 제이컵슨(Rosenthal & Jacobson)
정답 : [
2
] 정답률 : 10%
89.
학업과 관련된 인지적 영역의 주요 요인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ㄹ
3.
ㄱ, ㄴ, ㄷ
4.
ㄱ, ㄹ, ㅁ
5.
ㄷ, ㄹ, ㅁ
정답 : [
4
] 정답률 : 10%
90.
테일러(R. Taylor)가 제시한 학습과진아와 비교한 학습부진아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학습과진아에 비해 불안을 더 가지고 있다.
2.
학습과진아에 비해 자기비판적이고 부적절감을 가지고 있다.
3.
학습과진아에 비해 부모 및 교사와 비교적 원만한 관계를 유지한다.
4.
학습과진아에 비해 의존감과 독립의 갈등을 더 겪는다.
5.
학습과진아는 학업지향적인 반면, 학습부진아는 사회지향적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0%
91.
( )에 들어갈 용어로 알맞은 것은?
1.
흥미
2.
동기
3.
조절
4.
효능감
5.
자아개념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92.
학습부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개인이 특정한 영역을 제대로 하지 못하거나 기대했던 것보다 잘하지 못할 때 쓰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2.
능력과 성취의 편차, 즉 기대되는 학년 수준과 성취된 학년의 차이 등으로 설명할 수 있다.
3.
학습부진아는 다수의 학습자에게 사용되는 보편적 교재나 교수방법으로는 학습하지 못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4.
학생이 정상적인 지적능력과 잠재적인 능력을 지니면서도, 수락 가능한 최저수준의 학업 성취에 도달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5.
지능검사에서 지능지수 70 이하로 전반적 지적능력이 현저히 정상 이하인 상태이면서, 적응능력에 결함이나 손상이 있고 18세 이하인 경우를 말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알수없음
93.
기어리(D. Geary)가 제시한 수학학습장애의 유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읽기장애가 공존하는 장애
2.
연산절차 상의 어려움을 겪는 장애
3.
수리적 정보의 시ㆍ공간적 표상에 어려움을 겪는 장애
4.
방향이나 시간개념 상의 어려움을 겪는 장애
5.
단순 연산의 인출과 장기기억화의 어려움으로 인한 장애
정답 : [
4
] 정답률 : 34%
94.
DSM-5에서 제시한 특정학습장애의 진단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보유한 학습기술이 개인의 생활연령에 비추어 기대되는 정도보다 현저히 양적으로 낮고, 학업 및 직업적 수행 또는 일상생활 활동을 현저히 방해한다.
2.
학습기술을 배우고 사용하는 것의 어려움이 적절한 중재를 제공했음에도, 특정 증상 중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이 최소 6개월 이상 지속된다.
3.
개별적으로 실시된 표준화검사에서 읽기, 수학, 쓰기능력이 개인의 생활연령, 측정된 지능 그리고 나이에 적합한 교육에 비해 기대되는 정도보다 현저히 낮다(표준화검사 결과와 지능지수 사이에 2 표준편차 이상 차이가 남).
4.
학습의 어려움은 학령기에 시작되나, 해당 학습기술을 요구하는 정도가 개인의 능력을 넘어서는 시기가 되어야 분명하게 드러날 수도 있다.
5.
학습의 어려움은 지적장애, 교정되지 않은 시력 및 청력의 문제, 다른 정신적 또는 신경학적 장애, 정신사회적 불행, 학습지도사가 해당 언어에 능숙하지 못한 경우, 불충분한 교육적 지도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정답 : [
3
] 정답률 : 8%
<문제 해설> 3번 지문은 국립특수교육원의 학습장애 선별기준이다. [해설작성자 : 청상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