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Si 합금에서 육각판상의 조대한 결정의 규소를 개량화(modification)하여 결정을 미세화시키는 처리에 사용되는 개량화제가 아닌 것은?
1.
알칼리염류
2.
황산칼륨
3.
금속나트륨
4.
수산화나트륨
정답 : [
2
] 정답률 : 35%
3.
다음 중 초경합금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TiC
2.
WC
3.
Widia
4.
Lautal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TiC (탄화티타늄): 초경합금의 구성 성분으로 사용되며, 고온 강도와 내마모성이 뛰어나 초경합금의 핵심 재료이다. WC (탄화텅스텐): 초경합금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본 재료이다. 뛰어난 경도와 내마모성을 제공한다. Widia: 상표명이지만, WC와 Co(코발트)를 혼합하여 제조된 초경합금을 지칭한다. Lautal: 알루미늄 합금으로, 초경합금이 아닌 가벼운 금속 재료이다. 내마모성보다는 경량성과 가공성을 중시한다. [해설작성자 : 승대리]
4.
고속도강(high speed steel)의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마멸저항이 크다.
2.
주조상태로서는 메짐이 크다.
3.
고속도의 절삭작업에 사용된다.
4.
표준성분은 8W%-4Co%-1Cr%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58%
5.
금속의 결정구조에서 조밀육방격자(hcp)의 배위수는?
1.
6
2.
8
3.
10
4.
12
정답 : [
4
] 정답률 : 85%
6.
고체 상태에서 하나의 원소가 온도에 따라 그 금속을 구성하고 있는 원자의 배열이 변하여 두 가지 이상의 결정구조를 가지는 것은?
1.
전위
2.
동소체
3.
재결정
4.
고용체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전위: 금속 내 원자 배열에서 결함(불완전한 배열)으로 인해 생기는 구조적 결함이다. 결정구조의 변화와는 무관하다.
동소체 (Allotropy): 하나의 원소가 고체 상태에서 온도나 압력에 따라 원자의 배열구조(결정구조)가 변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철(Fe)은 고온에서는 FCC(면심입방격자) 구조, 저온에서는 BCC(체심입방격자) 구조를 가진다.
재결정: 금속이 변형된 후 가열되어 내부 구조가 다시 정돈되는 현상으로, 결정구조의 변화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지 않는다.
고용체 (Solid Solution): 한 물질이 다른 물질 내부에 녹아 들어가 단일 균일한 고체 상태를 이루는 현상이다. 결정구조의 변화와는 관련이 없다. [해설작성자 : 승대리]
7.
산과 작용하였을 때 수소가스가 가장 발생하기 어려운 금속은?
1.
Mn
2.
Mg
3.
Ni
4.
Pt
정답 : [
4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Mn, Mg: 반응성이 높아 산과 쉽게 반응하여 수소가스를 발생시킴. Ni: 반응성이 낮지만, 여전히 산과 반응할 가능성이 있음. Pt: 귀금속으로 반응성이 매우 낮아 산과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시키기 어려움.
금속의 반응성은 금속의 환원 전위와 밀접하게 관련됨. 귀금속(예: Pt, Au)은 산화에 저항성이 강하며, 일반적인 산과 반응하지 않음. [해설작성자 : 승대리]
8.
다음 중 금속간 화합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변형하기 쉽고 인성이 크다.
2.
일반적으로 복잡한 결정구조를 갖는다.
3.
원자량의 정수비로는 절대 결합되지 않는다.
4.
어느 성분금속보다 낮은 용융점을 가지고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55%
9.
다음 중 냉간 가공도가 증가할수록 작아지는 것은?
1.
경도
2.
내력
3.
연신율
4.
인장강도
정답 : [
3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냉간 가공은 금속의 경도, 내력, 인장강도를 증가시키지만, 연신율(연성)은 감소시킨다. 이 현상은 냉간 가공으로 인한 가공 경화 때운임. [해설작성자 : 승대리]
10.
다음 중 철(Fe)의 용융온도는 약 몇 ℃인가?
1.
660
2.
910
3.
1453
4.
1539
정답 : [
4
] 정답률 : 64%
11.
황동의 용해주조시에 탈산제로 사용하는 인(P)의 첨가량이 많아 합금중에 0.05~0.5% 정도 남게 하면 용탕의 유동성이 좋아지고 합금의 경도, 강도가 증가하며, 내마모성, 탄성이 개선되는 청동은 무엇인가?
1.
규소청동(silicon bronze)
2.
인청동(phosphorus bronze)
3.
연청동(lead bronze)
4.
알루미늄청동(aluminium bronze)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규소청동: 주로 구리(Cu)와 규소(Si)를 주요 성분으로 하는 합금이다. 내식성이 뛰어나며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다.
인청동 (Phosphorus Bronze): 구리(Cu)와 주석(Sn), 인(P)을 포함한 합금이다. 인(P)은 탈산제로 사용되며, 0.05~0.5%의 인이 남게 되면 용탕의 유동성이 좋아지고 합금의 경도, 강도, 내마모성, 탄성이 개선된다.
연청동: 구리(Cu), 주석(Sn), 납(Pb)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내마모성과 가공성이 뛰어나며 주로 베어링 소재로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