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 바닥의 하부전극은 탄소덩어리로 되어있으며 세로형이고, 선철, 페로알로이, 카바이트 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전기로는?
1.
제선로
2.
아크로
3.
유도로
4.
지로식전기로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Girod Furnace는 전기로(Electric Arc Furnace, EAF)의 한 종류로, 주로 철강 제조 과정에서 사용됩니다. 전극(Electrode)을 사용하여 전기 아크를 생성하고, 이 열로 금속을 녹입니다. 고철(Scrap metal)을 재활용하거나, 다양한 합금(Alloy)을 제조할 때 사용됩니다. [해설작성자 : 충고충고]
6.
흑체 복사의 최대 에너지의 파장 λm은 절대온도 T와 어떤 관계인가?
1.
T4에 비례
2.
1/T 에 비례
3.
1/T2 에 비례
4.
1/T4 에 비례
정답 : [
2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빈의 법칙 : 온도는 파장에 반비례 [해설작성자 : 동민킴]
흑체의 온도가 높아질수록 방사되는 에너지의 최대값이 더 짧은 파장으로 이동합니다 [해설작성자 : 충고충고]
7.
음극에 아연, 양극에 탄소봉, 전해액은 염화암모늄을 사용하는 1차 전지는?
1.
수온전지
2.
리튬전지
3.
망간건전지
4.
알칼리건전지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1차전지의 종류 및 특징 1차전지란 1번방전하면 재활용이 불가능한 전지를 말한다 1.망간전지 (1)감극제:이상환망간(MnO2) (2)양극활성물질:탄소봉 음극활성물질:Zn(아연) (3)전해액:염화암모늄(NH4Cl) + 염화아연(ZnCl2) 수용액 (4)제조가 쉽고 안정성이 우수하다 (5)자주쓰는 전지로써 손전등, 시계, 완구등 광범위하게 이용된다. (6)공칭전압:1.5[V]
2.공기전지 (1)감극제:산소(O2) (2)전해액:염화암모늄(NH4Cl), 가성소다 (3)양극:탄소, 음극:흑연 (4)특징 ⓐ온도차에 의한 전압변동이 적다 ⓑ내열, 내한, 내습성이 있다. ⓒ사용중의 자기방전이 적어 오래보존이 가능하다. ⓓ방전용량이 커서 경제적이다.
2.수은전지 (1)감극제:산화수은(HgO) (2)전해액:수산화칼륨(KOH), 산화아연(ZnO)수용액 (3)특징 ⓐ소형, 고성능 ⓑ용량, 중량당의 전기용량이 크다 ⓒ동작전압이 매우 안정되어 변화가 적다. ⓓ보존수명이 길다 ⓔ광범위한 온도에서 동작하고 특히 고온에서 특성이 좋다. ⓕ휴대용라디오, 보청기, 측정용기기, 노출계등에 사용한다
4.표준전지(전위차 측정시, 표준으로 사용되는 전지) (1)감극제:황산수은(HgSO4) (2)양극:수은(Hg) 음극:카드뮴(Cd) (3)전압표준기로써 주로 카드뮴(웨스턴)을 사용한다.
5.마그네슘전지:내한전지(-50℃까지 사용이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운수납자]
8.
전철의 급전선의 구간은?
1.
전동기에서 레일까지
2.
변전소에서 트롤리선까지
3.
트롤리선에서 집전장치까지
4.
집전장치에서 주전동기까지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트롤리선은 전차 또는 전기기관차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선으로, 전차선이라고도 불립니다. 철도, 트램, 트롤리버스 등의 차량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공중에 설치합니다. [해설작성자 : 충고충고]
9.
다음 회로에서 입력전압 ei(V)와 출력전압 eo(V) 사이의 전달함수 G(s)는?
1.
2.
3.
4.
정답 : [
3
] 정답률 : 70%
10.
평등전계에서 기체의 온도가 일정한 경우, 방전개시전압은 기체의 압력과 전극간격의 곱의 함수로 결정된다. 이것을 표현한 법칙은?
1.
파셴의 법칙
2.
스토크의 법칙
3.
플랑크의 법칙
4.
스테판 볼츠만의 법칙
정답 : [
1
] 정답률 : 66%
11.
교류 3상 직권 정류자 전동기는 다음에 분류하는 전동기 중 어디에 속하는가?
1.
정속도 전동기
2.
다속도 전동기
3.
변속도 전동기
4.
가감속도 전동기
정답 : [
3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변속도전동기 : 부하에 따라 속도가 변화하는 전동기. 보통 부하가 증가하면 속도는 저하된다. [해설작성자 : 충고충고]
12.
기체 또는 금속 증기 내의 방전에 따른 발광현상을 이용한 것으로 수은등, 네온관등에 이용된 루미네선스는?
직류전동기의 속도 제어방법 1.계자 제어: 계자저항, 계자자속을 변화시켜 속도를 조절한다(N(회전자속도)=k\times\frac{V-{(I}_a\ \times\ R_a)}{\emptyset}) (1)제어 방법은 간단하나 너무 넓은 범위의 속도제어는 곤란하다 (2)정출력, 가변속도 용도에 적합 (3)전력손실이 작다.
2.저항 제어법:전기자 회로에 기동저항을 넣고 이를 가감하여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이다. (1)전력손실이 크고 효율이 낮다. (2)속도제어의 범위도 좁기에 별로 사용하지 않는 방식이다.
3.전압 제어법:효율이 우수하고 광범위한 속도제어가 가능하나 비싸다. (1)종류 ⓐ워드레오너드 방식:정토크, 가변속도의 용도에 적합하다. ⓒ초퍼제어:고전압, 대용량에 이용한다. ⓓ직병렬제어:직권 전동기에만 사용된다. ⓔ사이리스터 위상제어 ⓕ정지형 레너드 제어 ⓑ일그너방식:부하변동이 심할때 안정적으로 운전이 가능하다. ①플라위힐이 설치되어있어 관성이 크다. ②첨두부하값이 감소된다. ③최대토크가 감소된다. ④전류변동이 감소된다.
농형유도전동기의 속도 제어법 1.극수 변환법:고정자 권선의 접속상태를 변경하여 극수를 조절하는 방식이다. (1)목공기계, 공작기계, 엘리베이터, 송풍기, 펌프에 이용한다.
2.주파수 제어법(VVVF 제어방식):인버터를 이용하여 전원의 주파수를 변환하여 속도를 제어하는 방식을 말한다. 주파수가 향상되면 효율도 상승한다. (1)선박 추진용 전동기, 인견·방직 공장의 포트모터에 사용한다.
3.1차 전압 제어법:슬립은 회전자속도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성질을 이용하여 부하운전시 슬립을 변화시켜 속도를 제어하는 방식을 말한다. (1)선풍기에 활용.
권선형유도전동기의 속도 제어법 1.2차 저항 제어법:2차 외부저항을 이용한 비례추이를 응용한 방법을 말한다. (1)2차 저항을 조절하여 속도를 가감할 수 있다(가감변속도 특성).
2.2차 여자법:정류자 전동기, 주파수 변환기, 동기변류기등을 통해 슬립주파수 전압을 인가하여 회전자 슬립에 의한 속도를 제어하는 방식.
3.종속접속 속도 제어법 (1)종류:직렬 가동 종속법, 직렬 차동 종속법, 병렬 종속법. [해설작성자 : 운수납자]
19.
200V의 단상 교류 전압을 반파 정류하였을 경우, 직류 출력전압의 평균값(V)는?
1.
90
2.
110
3.
180
4.
200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200 X 루트2 / 파이 혹은 200 X 0.45 [해설작성자 : 감사합니다]
20.
루소선도에서 광원의 전광속 F의 식은? (단, F : 전광속, R : 반지름, S : 루소선도의 면적이다.)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58%
2과목 : 전력공학
21.
복도체를 사용하면 송전용량이 증가하는 주된 이유로 옳은 것은?
1.
코로나가 발생하지 않는다.
2.
전압강하가 적어진다.
3.
선로의 작용 인덕턴스는 감소하고 작용 정전용량이 증가한다.
4.
무효전력이 적어진다.
정답 : [
3
] 정답률 : 59%
22.
계통 내의 각 기기, 기구 및 애자 등의 상호간에 적정한 절연강도를 지니게 함으로써 계통 설계를 합리적, 경제적으로 할 수 있게 하는 것은?
1.
기준충격절연강도
2.
절연협조
3.
절연계급 선정
4.
보호계전 방식
정답 : [
2
] 정답률 : 55%
23.
전력원선도에서 구할 수 없는 것은?
1.
조상용량
2.
송전손실
3.
정태안정 극한전력
4.
과도안정 극한전력
정답 : [
4
] 정답률 : 44%
24.
수용가 측에서 부하의 무효전력 변동 분을 흡수하여 플리커의 발생을 방지하는 대책이 아닌 것은?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하중이 가하여지는 경우에 그 하중을 받는 지지물의 기초의 안전율은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1.
0.5
2.
1
3.
1.5
4.
2
정답 : [
4
] 정답률 : 37%
89.
저압 옥내간선에서 분기하여 전기사용기계 기구에 이르는 저압 옥내 전로는 저압 옥내간선과의 분기점에서 전선의 길이가 몇 m 이하인 곳에 개폐기 및 과전류차단기를 시설하여야 하는가? (단, 분기점에서 개폐기 및 과전류차단기까지의 전선의 허용전류 등은 고려하지 않고 일반적인 경우이다.)
1.
2
2.
3
3.
4
4.
5
정답 : [
2
] 정답률 : 41%
90.
66kV 가공전선이 건조물과 제1차 접근상태로 시설되는 경우 가공전선과 건조물 사이의 이격거리는 최소 몇 m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전선은 나전선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