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색광 혼합은 빛을 더하는 방식으로 섞을수록 빛의 총량이 늘어나 명도가 높아진다. 빨강과 녹색을 섞으면 노랑이 되는데 노랑이 더 밝게 보인다.
채도는 색의 수수하고 선명한 정도를 나타냄으로 보통 1차색에 비해 낮아지거나 평균수준의 채도를 보인다. [해설작성자 : pottery]
3.
T자를 사용해서 선 긋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수평선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긋는다.
2.
수직선은 위에서 아랫쪽으로 긋는다.
3.
기준선은 연하게 긋는다.
4.
오른쪽으로 올라가는 경사선은 아래에서 오른쪽 위로 긋는다.
정답 : [
2
] 정답률 : 78%
4.
다음 그림과 같이 정5각형을 작도하는 도형에서 MC의 길이는?
1.
MC=AB
2.
MC=AC
3.
MC=FC
4.
MC=2xCE
정답 : [
1
] 정답률 : 75%
5.
옛날부터 사성서라 불리던 4가지 성스러운 동물무늬는?
1.
기린, 봉황, 용, 거북
2.
학, 봉황, 거북, 사슴
3.
사슴, 학, 용, 기린
4.
용, 양, 뱀, 기린
정답 : [
1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사성서 또는 사령(四靈) 동양문화권에서 매우 상서롭고 신령스럽다고 여겨지는 네가지 동물을 의마함.
용(龍): 모든 상상 속 동물들의 능력을 취합한 신비한 동물로, 가장 상서로운 존재로 여겨집니다. 권위, 조화, 변환 등을 상징하며, 황제나 왕권을 상징하기도 합니다. 봉황(鳳凰): 수컷인 '봉'과 암컷인 '황'을 합쳐 부르는 상상의 새입니다. 아름다움, 품위, 태평성대를 상징하며, 왕비에 비유되기도 합니다. 기린(麒麟): 사슴 몸에 소꼬리, 말발굽 등을 지닌 상상의 동물로, 덕(德)과 인자함을 상징합니다. 현명한 군주가 나타날 때 등장한다고 전해지며, 태평성대의 징조로 여겨집니다. 거북(龜): 사령 중 유일하게 실존하는 동물입니다. 긴 수명 때문에 건강과 장수를 상징하며, 예지력을 지닌 신령스러운 존재로 여겨집니다. [해설작성자 : 박은선]
6.
다음 디자인의 요소와 원리 중 요소에 해당되는 것은?
1.
통일
2.
질감
3.
율동
4.
조화
정답 : [
2
] 정답률 : 82%
7.
다음 중 명시도를 가장 중요시 하는 것은?
1.
실내장식
2.
상품포장
3.
안내표지판
4.
건축외장
정답 : [
3
] 정답률 : 96%
8.
다음 먼셀 표색계 표기 중 채도가 가장 높은 것은?
1.
4R 4/8
2.
8R 7/6
3.
5R 4/14
4.
5R 8/8
정답 : [
3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먼셀표색계 - 색상H 명도V/채도C로 표기 명도 0-10까지 11단계, 채도 0-14 15단계 숫자가 클수록 명도,채도는 높아짐
9.
디자인의 조건과 관계없는 것은?
1.
독창성
2.
합목적성
3.
경제성
4.
심리성
정답 : [
4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디자인의 조건은 합목적성 / 경제성 / 독창성 / 심미성 있다. [해설작성자 : 화이팅]
10.
다음 중 먼셀의 5원색이 아닌 것은?
1.
R
2.
B
3.
C
4.
P
정답 : [
3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먼셀의 5원색 R 빨강 Y노랑 G녹색 B파랑 P보라
C는 cyan 감법혼합(색료혼합)에 나옴 감법혼합(색료혼합) CMYK
11.
다음 중 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수평선은 강직, 숭고함을 나타내며 상승감, 긴장감을 높여 준다.
2.
자유 곡선은 곡선보다 경직되고 완고하며 대체로 남성적이라고 할 수 있다.
3.
곡선은 직선에 비해 여성적인 느낌을 주며, 일반적으로 우아하고 관능적이다.
4.
사선은 강직, 숭고하며, 안정되고 운동감이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93%
12.
아무런 표현이 되어있지 않은 한 장의 종이도 길이와 폭의 관계에 의해서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1.
통일
2.
명암.
3.
비례.
4.
대비
정답 : [
3
] 정답률 : 89%
13.
다음 중 운동이 시대 순으로 가장 옳게 나열된 것은?
1.
산업혁명- 르네상스- 아트앤드크라프트- 아르누보
2.
르네상스- 산업혁명- 아트앤드크라프트- 아르누보
3.
아트앤드크라프트- 르네상스- 산업혁명- 아르누보
4.
르네상스- 산업혁명- 아르누보- 아트앤드크라프트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르네상스 14~16세기 서유럽의 문화운동 산업혁명 18세기 아트앤드크라프트 19세기 후기 영국에서 일어난 공예운동 아르누보 19~20세기 예술운동
14.
색상차가 큰 배색에서 따뜻한 느낌을 주는 색채와 차가운 느낌을 주는 색채 중 따뜻한 느낌으로 옳은 것은?
1.
우울하다.
2.
조용하다.
3.
침착하다.
4.
화려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83%
15.
디자인의 각 요소나 단위 상호간에 관련성이나 호응성을 주어 하나의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것은?
1.
반복.
2.
조화.
3.
균형
4.
비례
정답 : [
2
] 정답률 : 86%
16.
다음 중 1점 투시법에 의해 표현될 수 있는 육면체의 투시방법은?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87%
17.
그림과 같은 물체의 우측면도에 해당되는 것은?
1.
2.
3.
4.
정답 : [
3
] 정답률 : 90%
18.
다음 중 탁색을 설명한 것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같은 명도의 색상 중 채도가 가장 높은 색
2.
순색에 흰색을 혼합한 색
3.
순색에 검정색을 혼합한 색
4.
순색에 회색을 혼합한 색
정답 : [
4
] 정답률 : 81%
19.
다음 기호 중 잘못 설명된 것은?
1.
ㅁ : 정사각형
2.
ø : 지름
3.
R : 반지름
4.
t : 길이
정답 : [
4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t : 두께 [해설작성자 : 김은영]
20.
원과 같은 면적의 정사각형을 작도할 때, 어느 점을 각각 중심으로 AB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호를 그리는가?
1.
A, B
2.
B, D
3.
C, D
4.
E, F
정답 : [
2
] 정답률 : 74%
2과목 : 임의 구분
21.
다음 중 면적대비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면적이 커지면 명도, 채도가 낮아진다.
2.
면적이 커지면 명도, 채도가 높아진다.
3.
면적이 커지면 채도는 높아지고 명도는 낮아진다.
4.
면적이 커지면 채도는 낮아지고 명도는 높아진다.
정답 : [
2
] 정답률 : 62%
22.
다음 선의 종류에서 굵은 실선이 필요하지 않는 것은?
1.
단면선
2.
외형선
3.
파단선
4.
지시선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단면선 - 단면의 윤곽을 나타내는 선. 외형선을 굵은선으로 표시 외형선 - 물체의 보이는 부부늬 형상을 나타내는 선 파단선 - 절제한 곳을 나타낼 때 쓰는 선 지시선 - 기술, 기호등을 나타내기 위한 선
23.
도자기 소성 시 밑그림 채색제는 희석제와 채색료, 때로는 융제를 넣어 만들기도 하는데 다음 중 희석제는 어느 것인가?
1.
Pb0
2.
Na20
3.
Si02
4.
B203
정답 : [
3
] 정답률 : 71%
24.
도자기 유약뿐만 아니라 유리, 법랑 등의 유백을 주기 위한 원료가 아닌 것은?
1.
지르콘
2.
산화티탄
3.
산화주석
4.
탄산리튬
정답 : [
4
] 정답률 : 63%
25.
다음 중 실리카의 결정 형태가 아닌 것은?
1.
석영
2.
납석
3.
트리디마이트
4.
크리스토발라이트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납석 - 엽랍석 내화도 sk31, sk29-36 내화벽돌이 일반적, 도자기 원료로는 실리카성분이 많고 내화도 sk31, 철분이 적은것 납석징원료는 소지의 수축을 적게 한다.
26.
다음 중 장석의 주산지가 아닌 곳은?
1.
경기 강화
2.
충남 옥천
3.
전북 진안
4.
경남 울진
정답 : [
1
] 정답률 : 73%
27.
도자기 공업에서 안심하고 쓸 수 있는 물의 경도는 얼마인가?
1.
3도 이하
2.
4~ 6도
3.
7~ 9도
4.
10도 이상
정답 : [
1
] 정답률 : 77%
28.
유약에서 유백제로 사용되는 원료가 아닌 것은?
1.
형석
2.
빙정석
3.
산화지르코늄
4.
벤토나이트
정답 : [
4
] 정답률 : 74%
29.
도자기 원료의 중간분쇄기로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것은?
1.
colloid mill
2.
ball mill
3.
jet mill
4.
fret mill
정답 : [
4
] 정답률 : 71%
30.
다음 장석 중 가장 높은 온도에서 용융되는 것은?
1.
칼륨 장석
2.
나트륨 장석
3.
석회 장석
4.
바륨 장석
정답 : [
4
] 정답률 : 66%
31.
유약의 종류 중 특수유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1.
결정유
2.
브리스톨유
3.
저팽창유
4.
잔금무늬유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2번 브리스톨유는 생유중 테라코타나 석기에 SK3~4(1145~1165도)로 사용되는 유약이다. 1번과 4번은 특수유로 나와있지만 3번은 나와있지 않은데, 잔금무늬유의 잔금무늬를 유약의 열팽창 계수를 조절해 만든다는 점에서 특수유로 볼 수 있다고 유추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아마도..]
32.
도자기 유약에 규석을 많이 쓰게 되었을 때 생기는 결과가 아닌 것은?
1.
소지의 건조 및 소성 수축을 감소시킨다.
2.
전기 절연성을 높여준다.
3.
기계적 강도가 저하된다.
4.
열팽창 계수가 작아진다.
정답 : [
3
] 정답률 : 67%
33.
마그네사이트를 소지에 첨가할 경우에 생기는 현상은?
1.
소성온도가 높아진다.
2.
투광성이 낮아진다.
3.
변형이 생기지 않는다.
4.
소성수축이 커진다.
정답 : [
4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마그네사이트는 강력한 매용제로 원료를 첨가하면 소성온도를 낮추고 점토의 투광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으나 소성수축이 커지고 변형이 심한 결점도 있다. [해설작성자 : 박진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