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수수익으로 계상한 임대수익에 대하여 기말 결산을 수행하지 않았다. 이로 인한 영향으로 옳은 것은?
1.
비용의 과대계상
2.
자산의 과소계상
3.
부채의 과소계상
4.
수익의 과소계상
정답 : [
4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선수 수익=1년치 먼저 받은 수익=부채('선수'가 들어가면 무조건 부채임). 기말 결산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부채의 과대 계상, 수익의 과소 계상 [해설작성자 : 삼색]
기말 결산을 수행하지 않음으로 선수수익 이라는 차기에 돌려줘야 할 부채가 누락된 것으로 이연을 하지 않아 수익의 과대계상 부채의 과소계상 [해설작성자 : t]
5.
다음은 유형자산에 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미래 경제적 효익이 유입될 가능성이 매우 높고 그 원가를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2.
토지, 건물, 구축물, 기계장치, 건설중인 자산 등은 유형자산의 대표적인 항목이다.
3.
판매를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자산이다.
4.
장기적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물리적 형체가 있는 자산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는 재고자산임 [해설작성자 : ♡]
6.
기계장치를 구입하면서 구입대금 250,000원, 구입한 기계장치를 운반하기 위해 지불한 비용 50,000원, 구입 후 설치비 30,000원이 발생하였다. 이후 시제품을 생산하는데 5,000원이 발생하였으며, 이 시제품을 7,000원에 판매하였다. 기계장치의 취득원가는 얼마인가?
1.
328,000원
2.
330,000원
3.
335,000원
4.
337,000원
정답 : [
1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유형자산의 취득원가는 구입가격과 구입시부터 사용가능한 상태가 될때까지 획득에 직접 관련된 추가적 지출도 포함한다. 취득원가=구입대금(250,000원)+운반비용(50,000원)+설치비(30,000원)-[판매(7,000원)-생산비용(5,000원)]=328,000원 [해설작성자 : Blossom]
유형자산의 취득원가는 구입가격과 구입시부터 사용가능한 상태가 될때까지 획득에 직접 관련된 추가적 지출도 포함한다. 취득원가=구입대금(250,000원)+운반비용(50,000원)+설치비(30,000원)-[판매(7,000원)-생산비용(5,000원)]=328,000원 [해설작성자 : Blossom] -> 생산 비용은 -가 아닌 +이다. [해설작성자 : 나야나]
7.
다음은 감가상각누계액의 변화추이에 따른 감가상각방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가)와 (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2.
ㄴ
3.
ㄱ, ㄴ
4.
ㄴ, ㄷ
정답 : [
4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가) 정액법, (나) 정률법
ㄱ. 생산량비례법 - 생산량비례법(生産量比例法, Units-of-Production Depreciation Method)은 자산의 이용정도를 고려하여 예상조업도나 예상생산량에 근거한 비율로 감가상각비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생산량비례법은 일반적인 유형자산보다 자연자원(광산, 유전 등)의 감모상각 방법에 적절하다.
ㄴ. 정액법 - 정액법(定額法, Straight-line Depreciation)은 각 기간마다 일정액을 감가상각하는 방법으로, 간단하다는 장점 때문에 가장 많이 쓰이고 있다. 특히 건물의 경우에는 세법상 정액법으로 감가상각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ㄷ. 정률법 -정률법(定率法, Declining-Balance Method)은 자산의 기초 장부금액에서 일정 비율을 감가상각비로 산출하는 방법이다. 감가상각 첫 해에 가장 많은 상각비가 계산되지만, 점차 상각비가 감소하여 감가상각 마지막 해에는 가장 적은 감가상각비가 계산되는 특징이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