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중 조닝(zoning)계획에서 존(zone)의 설정 시 고려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사용빈도
2.
사용시간
3.
사용행위
4.
사용재료
정답 : [
4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조닝계획을 할 때 존을 설정할 떄에는 사용빈도, 사용시간, 사용행위를 고려해야한다. 사용 재료가 문제되지는 않겠죠~ [해설작성자 : JJ]
2.
한국의 전통가구 중 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단층장은 머릿장이라고도 불린다.
2.
이층장이나 삼층장은 보통 남성공간인 사랑방에서 사용되었다.
3.
이불장은 금침과 베개를 겹겹이 쌓아두는 장으로 보통 2층으로 된 것이 많다.
4.
의걸이장은 외관의장에 따라 만살의걸이, 평의걸이, 지장의걸이로 구분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2) 이층장이나 삼층장은 보통 여성공간인 안방에서 사용되었다. [해설작성자 : 우하하]
3.
선의 종류에 따른 조형 효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선은 운동감, 속도감 등의 느낌을 준다.
2.
수직선은 심리적으로 상승감, 엄숙함 등의 느낌을 준다.
3.
수평선은 영원, 안정 등 주로 정적인 느낌을 준다.
4.
곡선은 위험, 긴장, 변화 등의 불안정한 느낌을 준다.
정답 : [
4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곡선은 우아하고 여성적 이미지를 가지며 유연성을 갖고 감정적임 [해설작성자 : ㅇㅁㅇ]
4.
사무소 건축의 코어 유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중심코어형은 유효율이 높은 계획이 가능한 형식이다.
2.
편심코어형은 기준층 바닥면적이 작은 경우에 적합하다.
3.
양단코어형은 2방향 피난에 이상적이며, 방재상 유리하다.
4.
독립코어형은 코어 프레임을 내진구조로 할 수 있어 구조적으로 가장 바람직한 유형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 통일(Unit): 구성체의 간 요소간에 이질감이 느껴지지 않고 전체가 하나와 같은 이미지를 주는 것
- 정적 통일(Static Unit): 동일한 디자인 요소가 반복하여 적용될 때 나타남. 안정감을 느끼게 하며 단일 목적의 공간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음
- 동적 통일(Dynamic Unit): 변화와 상징성이 있는 디자인 요소가 작용되는 경우에 나타남. 생동감을 주며 상업공간, 다목적 공간에 많이 이용
- 양식 통일(Style Unit): 동일시대의 양식을 나열하거나 유사성을 이용한 방식 [해설작성자 : 마라처돌이]
①편심코어형 ㈎바닥면적이 작은 경우에 적합하다. ㈏바닥면적이 커지면 코어외에 피난설비, 설비 샤프트 등이 필요하다. ㈐고층일 경우 구조상 불리하다.
②중심코어형(중앙 코어형) ㈎바닥면적이 큰 경우에 적합하다. ㈏고층, 초고층에 적합하고 외주 프레임을 내력벽으로 하여 중앙코어와 일체로 한 내진구조를 만들 수 있다. ㈐내부공간과 외관이 획일화 되기 쉽다.
③양단코어(분리 코어형) ㈎하나의 대공간을 필요로 하는 전용 사무소에 적합하다. ㈏2방향 피난에 이상적이며 방재상 유리하다. ㈐임대사무소일 경우 같은 층을 분할하여 대여하면 복도가 필요하게 되고 유효율이 떨어진다.
④독립코어형(외코어형) ㈎코어와 관계없이 자유로운 사무실 공간을 만들 수 있다. ㈏설비 덕트, 배관을 사무실까지 끌어들이는데 제약이 있다. ㈐방재상 불리하고 바닥면적이 커지면 피난시설을 포함한 서브 코어가 필요하다. ㈑코어의 접합부 평면이 과대해지지 않도록 계획할 필요가 있다. ㈒사무실 부분의 내진벽은 외주부에만 하는 경우가 많다. ㈓내진구조에는 불리하다. [해설작성자 : 황으네팡]
5.
다음 중 상업공간의 매장 내 진열장(show case) 배치를 계획할 때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은?
1.
진열장의 수
2.
조명의 조도
3.
고객의 동선
4.
바닥의 재질
정답 : [
3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상업공간의 매장 내 진열장 배치계획 시 가장 중점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사항은 고객의 동선의 처리이다. [해설작성자 : 실내 뚝딱이-홍보이사:백구라]
6.
단독주택에서 부엌의 합리적인 규모 결정 시 고려할 사항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작업대의 면적
2.
주택의 연면적
3.
가족구성원의 연령
4.
작업인의 동작에 필요한 공간
정답 : [
3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주방의 규모는 가족의 수와 구성, 손님의 수와 접객빈도 등에 따른 식생활 패턴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주방의 면적은 주택 면적의 8~10%가 적당하다. [해설작성자 : 권재민]
7.
사무소 건축의 실단위 계획 중 개실시스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독립성이 우수하다.
2.
개방식 배치에 비해 공사비가 높다.
3.
전면적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어 공간절약상 유리하다.
4.
방 길이에 변화를 줄 수 있지만, 연속된 복도 때문에 방 깊이에는 변화를 줄 수 없다.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복도에 의해 각층의 여러부분으로 들어가는 구조. 장점으로는 독립성,쾌적성,자연채광 좋으며, 공간 절약상 유리하다. 단점은 공사비가 많이든다. 방 길이변화는 가능하지만 깊이변화는 줄수없다. [해설작성자 : 김서리]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문제 해설 개실이 공간 절약상 유리하다고 적어 놓으셨는데 개방시스템이 공간 절약상 유리합니다 [해설작성자 : 부천대 최현웅]
8.
디자인 원리 중 통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통일은 변화와 함께 모든 조형에 대한 미의 근원이 된다.
2.
통일과 변화는 서로 대립되는 관계가 아니라 상호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성립된다.
3.
동적 통일은 균일한 대상물이 연속적으로 배치됨으로써 안정감을 확보할 수 있게 해준다.
4.
양식 통일(style unity)은 동시대적 양식을 나열하거나 관련된 기능의 유사성을 이용하여 통일성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동적통일이 아닌, 정적통일이다. [해설작성자 : :)]
* 통일(Unit): 구성체의 간 요소간에 이질감이 느껴지지 않고 전체가 하나와 같은 이미지를 주는 것
- 정적 통일(Static Unit): 동일한 디자인 요소가 반복하여 적용될 때 나타남. 안정감을 느끼게 하며 단일 목적의 공간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음
- 동적 통일(Dynamic Unit): 변화와 상징성이 있는 디자인 요소가 작용되는 경우에 나타남. 생동감을 주며 상업공간, 다목적 공간에 많이 이용
- 양식 통일(Style Unit): 동일시대의 양식을 나열하거나 유사성을 이용한 방식 [해설작성자 : 마라처돌이]
9.
다음 설명에 알맞은 블라인드의 종류는?
1.
롤 블라인드
2.
로만 블라인드
3.
버티컬 블라인드
4.
베니션 블라인드
정답 : [
1
] 정답률 : 89%
10.
시스템 가구의 디자인 조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규격화된 디자인으로 한다.
2.
통일된 디자인으로 조화를 추구한다.
3.
안정성 있고 가벼워 이동에 편리하도록 한다.
4.
용도를 단일화하여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4%
11.
창의 기본적 기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채광
2.
통풍
3.
장식
4.
환기
정답 : [
3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창의 장식적 효과가 전혀 없진 않지만, 보기 중에서는 기본적인 기능과 가장 거리가 멀다고 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이거풀고자라]
<문제 해설> 색의 표기는 색상 번호, 흰색량, 검은색량의 순으로, 오스트발트 기호로써 표기한다. 예를 들면 [5gc]는 색상 번호가 5, 흰색량이 g, 검은색량이 c라는 것으로, 흰색량을 22%, 검은색량을 44%, 주황색량을 34% 포함하고 있는 색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오스트발트 색체계 (color, 2007. 3. 10., 김은정, 박옥련) [해설작성자 : 네이버 지식백과]
27.
조명에 의하여 물체의 색을 결정하는 광원의 성질은?
1.
조명성
2.
기능성
3.
연색성
4.
조색성
정답 : [
3
] 정답률 : 74%
28.
먼셀 색입체의 종단면도에서 볼 수 없는 것은?
1.
색상환의 변화
2.
명도의 변화
3.
채도의 변화
4.
순도의 변화
정답 : [
1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종단면도는 색입체를 수직으로 자른 것이다. (등색단면) 가운데는 무채색이 배열되고 바깥으로 가면 순색이 배열된다. 등색단면에서 볼 수 있는 것은 명도, 채도, 순도의 변화로, 색상환은 수평단면도인 등면도면에서 볼 수 있다. [해설작성자 : kytbabana]
29.
JPEG 이미지 파일형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파일 용량이 작고 풍부한 색감의 표현이 가능하여 웹디자인 시 많이 사용된다.
2.
JPEG 포맷은 256색이라는 한계를 갖는다.
3.
압축률을 높일수록 이미지의 손상이 커지므로 사용시 압축정도를 조절해야 한다.
4.
호환성이 우수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JPEG는 1,600만 색상을 표시할 수 있어 고해상도 표시장치에 적합하다. 256색은 gif의 특징 입니다.
[추가 해설] * JPEG - 파일 용량이 작고 풍부한 색감표현 가능, 웹디자인 시 많이 사용, 호환성 우수 - 압축률을 높일수록 이미지의 손상이 커지므로 사용시 압축정도 조절 - 1,600만 색상을 표시가능, 고해상도 표시장치에 적합 - 투명도나 애니메이션은 지원하지 않음
* PNG - 몇 가지 단색이나 로고, 클립아트 같은 선이 있는 이미지, 텍스트가 있는 이미지에 적합 - 수백만 가지의 다른 색을 가진 이미지를 표현가능 - 표현하고자 하는 색의 양에 따라 PNG-8, PNG-24, PNG-32 세 가지로 분류 - 파일을 압축해 크기를 줄이기는 하지만, 내용을 버리지 않는 '무손실 형식' - '투명'모드 설정이 가능하지만 애니메이션은 지원X - JPEG보다는 파일크기가 커지는 경향이 있으나 사용하는 색상수에 따라 GIF보다는 작거나 커질 수 있음
* GIF - PNG와 마찬가지로 몇 가지 단색이나 로고, 클립아트 같은 선이 있는 이미지, 텍스트가 있는 이미지에 적합 - 256가지 색상 - '무손실 형식' - 투명도를 지원하지만 오직 한가지 색상만 투명하게 가능 - JPEG보다 파일 크기가 큼 - 애니메이션을 지원 [해설작성자 : 마라처돌이]
비누 거품이나 전복 껍질 등에서 무지개 같은 색이 나타나는 것은 빛의 어떠한 현상에 의한 것인가?
1.
왜곡현상
2.
투과현상
3.
간섭현상
4.
직진현상
정답 : [
3
] 정답률 : 75%
40.
색채의 시간성과 속도감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3속성 중 명도가 주로 큰 영향을 미친다.
2.
장파장의 색은 시간이 길게 느껴진다.
3.
단파장의 색은 속도가 빠르게 느껴진다.
4.
저명도의 색은 속도가 빠르게 느껴진다.
정답 : [
2
] 정답률 : 59%
3과목 : 인간공학
41.
근육에 공급되는 산소량이 부족한 경우 나타나는 현상으로 옳은 것은?
1.
당원은 산소 없이 호기성(aerobic) 과정에 의해 젖산으로 축적된다.
2.
젖산은 혐기성(anaerobic) 과정에 의해 물과 CO 로 분해되어 열과 에너지로 발산된다.
3.
젖산과 신체의 활동 수준은 관계가 없다.
4.
혈액 중에 젖산이 축적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61%
42.
암순응(dark adaptation)이 되어 있는 눈에 가장 둔감한 색상은?
1.
백색
2.
황색
3.
초록색
4.
보라색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초록 파랑 부근에서 가장 민감하다. [해설작성자 : 별별09]
43.
종이의 반사율이 75% 이고, 인쇄된 글자의 반사율이 15% 일 경우 대비는 몇 % 인가?
1.
-400
2.
-80
3.
80
4.
400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종이반사율-글자반사율)/종이반사율*100% [해설작성자 : :)]
[(75-15)/75] * 100% = 80% [해설작성자 : Amd64]
대비 = {(종이반사율-글자반사율)/종이반사율}x100% = {(75-15)/75}x100 = 80 [해설작성자 : 갑바도기아]
44.
촉각적 표시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는 촉각적 암호화(coding)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형상 암호화
2.
표면 촉감 암호화
3.
색상 암호화
4.
크기 암호화
정답 : [
3
] 정답률 : 79%
45.
시각적 표시장치와 조종장치(control)를 포함하는 패널 설계시 고려되어야 할 내용을 우선순위가 높은 것부터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 - ㉠ - ㉡ - ㉣
2.
㉢ - ㉣ - ㉡ - ㉠
3.
㉠ - ㉢ - ㉣ - ㉡
4.
㉡ - ㉠ - ㉣ - ㉢
정답 : [
2
] 정답률 : 70%
46.
생리적 활동 척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혈압
2.
점멸융합주파수
3.
분당 호흡용량
4.
최대 산소소비능력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점멸 융합 주파수(CFF:Critical Flicker Fusion) -일정 속도로 빛을 점멸시키면 깜빡거림을 인지하지만, 매우 빨라지면 쭉 켜진 것으로 인식한다. -신체반응의 심리적 척도로 쓰이는데, 점멸되는 빛이 연속으로 보이는 정도는 피곤할수록 느려지게 된다. -취침 시나 멍할 때의 CFF는 낮고, 긴장하거나 정신이 맑을 때의 CFF는 높다.
47.
작업장의 온도가 높고, 소음관리 시스템의 효율이 떨어졌을 때,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고려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시각적 고려
2.
냉난방 고려
3.
작업시스템 고려
4.
기계장치 설비사항고려
정답 : [
1
] 정답률 : 79%
48.
인간공학 연구에 사용되는 인간 기준의 척도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주관적 반응
2.
생리학적 지표
3.
인간성능 척도
4.
기계체계의 성능기준
정답 : [
4
] 정답률 : 66%
49.
경고표지판 제작 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문장이 간결해야 한다.
2.
눈에 잘 띄어야 한다.
3.
내용을 강조해야 한다.
4.
은유적인 단어를 사용해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87%
50.
한국인 인체치수조사 사업에 있어 인체측정의 부위별 기준점과 그 정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손끝점 : 셋째 손가락의 끝
2.
발끝점 : 셋째 발가락의 끝
3.
목앞점 : 목밑둘레선에서 앞 정중선과 만나는 곳
4.
머리마루점 : 머리수평면을 유지할 때 머리부위 정중선 상에서 가장 위쪽
정답 : [
2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2) 발끝점 - 첫번째와 두번째 발가락 중 더 긴 발가락의 끝점 [해설작성자 : 우하하]
51.
소음이 인간의 작업성능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은 것은?
1.
복잡한 정신작업은 소음에 의하여 작업성능이 저하된다.
2.
단순작업은 복잡한 작업보다 소음에 의해 나쁜 영향을 받기 쉽다.
3.
암순응과 같은 감각의 반응은 소음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4.
소음은 작업의 정밀도의 저하보다는 총작업량을 저하시키기 쉽다.
정답 : [
1
] 정답률 : 76%
52.
다음의 색 중 파장이 가장 짧은 것은?
1.
적색
2.
녹색
3.
파란색
4.
노란색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적색-황색-초록-파랑-보라 : 장파장에서 단파장 순
53.
일반적으로 의자의 설계에 있어 고려해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등받이의 각도
2.
의자 깊이와 폭
3.
의자 다리의 위치
4.
의자의 높이와 경사
정답 : [
3
] 정답률 : 81%
54.
문자와 도형의 디자인에서 고려되어야 할 시각특성과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
1.
감각성
2.
가시성
3.
명시성
4.
가독성
정답 : [
1
] 정답률 : 80%
55.
10dB의 음량증가는 몇 배의 음압증가와 같은가?
1.
√10
2.
10
3.
20
4.
100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P0=기준음랍, P1=측정음의 읍압 일 때 10dB=20log(P1/P0) 이므로 10dB=20log(10의1/2) 따라서 P1/P2=루트10
56.
청각 표시장치가 시각 표시장치보다 더 적합한 경우는?
1.
정보가 복잡하고 긴 경우
2.
정보가 후에 재참조되는 경우
3.
정보가 즉각적인 행동을 요구하는 경우
4.
직무상 수신자가 한 곳에 머무르는 경우
정답 : [
3
] 정답률 : 78%
57.
시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게슈탈트(Gestalt)법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근접성(Proximity)의 법칙
2.
유사성(Similarity)의 법칙
3.
연속성(Continuation)의 법칙
4.
다양성(Diversity)의 법칙
정답 : [
4
] 정답률 : 74%
58.
학습(learning)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성인교육에서는 외적 보상이 업무와 관련된 내재적 보상보다 효과적이다.
2.
학습을 통하여 배운 내용은 실제 사회생활로 전이되기 어렵다.
3.
일반적으로 긍정적 보상(상)보다 부정적 보상(벌)이 효과적이다.
4.
Gagné의 누적 학습순서모형에 따르면 자극-반응관계를 이용한 교육이 개념교육보다 선행되어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0%
59.
다음 착시현상의 명칭은?
1.
Köhler 의 착시
2.
Hering 의 착시
3.
Poggendorf 의 착시
4.
Mϋler-Lyer 의 착시
정답 : [
4
] 정답률 : 71%
60.
신체반응의 척도와 척도의 판정을 위한 측정대상이 잘못 연결된 것은?
1.
골격활동의 척도 - 부정맥
2.
정신활동의 척도 - 뇌파 기록
3.
국소적 근육활동의 척도 - 근전도
4.
생리적 부담의 척도 - 맥박수
정답 : [
1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부정맥은 심장활동 불규칙성의 척도
4과목 : 건축재료
61.
건축용 세라믹 재료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토기 : 흡수율이 높고 강도가 약하다.
2.
도기 : 회색이나 백색의 색상을 가지고 있으며 가볍다.
3.
석기 : 소성 후 밝은 백색이 되며, 강도가 크고 유약으로 다양한 색상을 낼 수 있다.
4.
자기 : 흡수성이 거의 없고 매우 높은 강도를 가지고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석기는 소성 후 유색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요니]
62.
말구지름 20cm, 길이가 5.5m인 통나무가 5개 있다. 이 통나무의 재적으로 옳은 것은?
1.
0.3 m3
2.
1.1 m3
3.
1.8 m3
4.
2.1 m3
정답 : [
2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재적= 직경(m) 제곱 X 통나무길이 말구지름 단위 20cm=0.2제곱X5.5 = 0.22 통나무 개수는 5개 이므로 0.22X5=1.1 [해설작성자 : ocean]
손궤의 우려가 있는 토지에 대지를 조성하는 경우의 조치사항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성토 또는 절토하는 부분의 경사도가 1:1.5 이상으로서 높이가 1m 이상인 부분에는 옹벽을 설치한다.
2.
옹벽의 높이가 4m 이상일 경우에만 콘크리트구조를 적용한다.
3.
옹벽의 외벽면에는 이의지지 또는 배수를 위한 시설외의 구조물이 밖으로 튀어나오지 않게 한다.
4.
건축사에 의하여 해당 토지의 구조안전이 확인된 경우는 조치가 불필요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옹벽의 높이가 2m이상일 경우 [해설작성자 : 건축공학도]
96.
간이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연면적 기준으로 옳은 것은?(단,교육연구시설 내 합숙소의 경우)
1.
50m2 이상
2.
100m2 이상
3.
150m2 이상
4.
200m2 이상
정답 : [
2
] 정답률 : 56%
97.
중세의 건축양식이 시대순으로 바르게 나열된 것은?
1.
초기기독교양식 - 르네상스양식 - 비잔틴양식 - 고딕양식
2.
초기기독교양식 - 고딕양식 - 르네상스양식 - 비잔틴양식
3.
초기기독교양식 - 고딕양식 - 비잔틴양식 - 르네상스양식
4.
초기기독교양식 - 비잔틴양식 - 고딕양식 - 르네상스양식
정답 : [
4
] 정답률 : 57%
98.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방염성능기준 이상의 성능을 보유하여야 하는 방염대상물품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창문에 설치하는 커튼류
2.
전시용 합판 또는 섬유판
3.
두께가 2mm 미만인 종이벽지
4.
섬유류 또는 합성수지류 등을 원료로 하여 제작된 소파 • 의자
정답 : [
3
] 정답률 : 76%
99.
다음 중 방화구조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철망모르타르로서 그 바름두께가 2cm인 것
2.
시멘트모르타르 위에 타일을 붙인 것으로서 그 두께의 합계가 2.5cm인 것
3.
심벽에 흙으로 맞벽치기 한 것
4.
석고판 위에 시멘트모르타르 또는 회반죽을 바른 것으로서 그 두께의 합계가 2cm인 것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두께의 합계가 2.5cm이상이어야함. [해설작성자 : 다이아]
100.
목재의 접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한 부재가 직각 또는 경사지어 맞추어지는 자리 또는 그 맞추는 방법을 이음이라 한다.
2.
목재의 널 등을 모아대어 넓게 붙여댄 것을 쪽매라 한다.
3.
접합은 응력이 작은 위치에서 한다.
4.
접합에는 공작이 간단한 것을 쓰고 모양에 치중하지 않도록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목재 접합의 종류 1)이음 - 2개 이상의 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접합 하는 것 (수평결합) 2)맞춤 - 한 부재가 직각 또는 경사지게 맞추어지는 자리 또는 그 맞추는 방법 (수직결랍) 3)쪽매 - 판재 등을 가로로 넓게 접합시키는 것 [해설작성자 : 수]
101.
조명설계를 위해 실지수를 계산하고자 한다. 실의 폭 10m, 안 길이 5m, 작업면에서 광원까지의 높이가 2m라면 실지수는 얼마인가?
1.
1.10
2.
1.43
3.
1.67
4.
2.33
정답 : [
3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 실지수 : 광속법에 의해 실내의 전등 조명 계산을 하는 경우, 조명 기구의 이용률(조명률)을 구하기 위한 하나의 지수. 방의 모양에 의한 영향을 나타낸 것. 방지수 R, 방의 폭 X, 방의 길이 Y, 작업면에서 조명기구까지의 높이 H, 천장높이 H0등의 함수로서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