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컬레이터 제동기의 설치상태는 견고하고 양호하여야 한다. 적재하중을 작용시키지 않고 스텝이 하강할 때 정격속도가 0.5m/s인 경우 정지거리는 몇 m 사이이어야 하는가?
1.
0.1 ~ 0.9
2.
0.2 ~ 1.0
3.
0.3 ~ 1.1
4.
0.4 ~ 1.2
정답 : [
2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공칭속도(V) 정지거리 0.50 ㎧ - 0.20 m ~ 1.00 m 사이 0.65 ㎧ - 0.30 m ~ 1.30 m 사이 0.75 ㎧ - 0.40 m ~ 1.50 m 사이 [해설작성자 : 합격]
8.
기계실의 조명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조명스위치는 기계실 제어만 가까운 곳에 설치한다.
2.
조명기구는 승강기 형식승인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3.
조도는 기기가 배치된 바닥면에서 200lx 이상이어야 한다.
4.
조명전원은 엘리베이터 제어전원에서 분기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0%
9.
카의 고장으로 카가 정격속도의 115%를 초과하지 않고 최하층을 통과하여 피트로 떨어졌을 때 충격을 완화시켜 주기 위하여 설치하는 안전장치는?
1.
완충기
2.
브레이크
3.
조속기(과속조절기)
4.
비상정지장치(추락방지안전장치)
정답 : [
1
] 정답률 : 88%
10.
유압식 엘리베이터를 구동시키고 정지시키는 구동기의 구성 부품으로 틀린 것은?
1.
스프로킷
2.
제어밸브
3.
펌프 조립체
4.
펌플 전동기
정답 : [
1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스프로킷 : 에스컬레이터 구성 부품 [해설작성자 : 승안공 준비생]
3.4 구동기(lift machine) 엘리베이터를 구동시키고 정지시키는 승강기부품으로 다음 구분에 따른 승강기부품으로 구성된 설비 가) 권상식 또는 포지티브 구동방식 엘리베이터: 전동기, 기어, 브레이크, 도르래 또는 스프로킷, 드럼 나) 유압식 엘리베이터: 펌프 조립체, 펌프 전동기, 제어밸브 [해설작성자 : 슬로우다운]
11.
단일 승강로에 두 대의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면서 각각 독립적으로 운행되는 고효율 엘리베이터는?
1.
트윈 엘리베이터
2.
전망용 엘리베이터
3.
더블테크 엘리베이터
4.
조닝방식 엘리베이터
정답 : [
1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더블데크 엘리베이터도 한 승강로에서 두 대의 카가 움직인다는 점에서 트윈 엘리베이터와 유사하지만,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에서 두 카가 서로 상하로 붙어 있어 항상 두 개 층을 함께 움직이고 정차도 동시에 해야 하는 것과 달리 트윈 엘리베이터의 경우 두 카가 서로 독립적으로 운행되어 불필요한 정차를 최소화하고 보다 운행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뉴니]
12.
기계실의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다른 부분과 내화구조로 구획한다.
2.
다른 부분과 방화구조로 구획한다.
3.
내장의 마감은 방청도료를 칠하여야 한다.
4.
벽면이 외기에 직접 접하는 경우에는 불연재료로 구획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기계실 구조 - 내장의 마감은 준불연재료 이상. - 벽면이 외기에 직접 접하는 경우에는 불연재로로 구획. - 다른 부분과 내화, 방화구조로 구획. - 실온 : +5 ~ +60 [해설작성자 : 승안공 준비생]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실온은 5도~40도 이하
[추가 오류 신고] 기계실 온도 규정 삭제 [해설작성자 : 김계란]
13.
전기식 엘리베이터에서 로프와 도르래 사이의 마찰력 등 미끄러짐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아닌 것은?
<문제 해설> 나선각 : 원통에 감은 나선 코일과 원토의 수평면이 이루는 각 선단각 : 드릴의 축에 평행인 면에 날을 평행으로 하여 투영했을 때의 각 웨브각 : 드릴 끝의 홈과 홈 사이의 두께로 자루 쪽으로 갈 수록 커진다. 날 여유각 " 절삭날이 장해를 받지 않고 재료를 절삭 하도록 절삭날에 주어진 여유각으로 10~15도 정도 이다. [해설작성자 : 노베이스 한달째 공부중 ]
52.
소성가공 중에서 주전자, 물통, 배럴 등의 주름 형상을 만드는 데 적합한 가공은?
1.
벌징(bulging)
2.
비딩(beading)
3.
헤밍(hemming)
4.
컬링(curling)
정답 : [
1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벌징 : 금형내에 삽입된 원통형 용기 or 관에 높은 압력을 가하여 용기 or 관의 일부를 팽창시켜 성형하는 방법, 주전자,물통,배럴 등의 주름 형상을 만드는데 적합
비딩 : 판금 성형 가공의 일종으로 편편한 판금 or 성형된 판금에 줄 모양의 돌기를 넣는 가공법으로 평판에 오픈비딩을 연속적으로 넣으면 파형 성형이 된다. 헤밍 : 도어 외판의 내측에 도어 내판을 넣고, 외판 플런지 끝을 180도 꺽어 구부려서 클램프 한것, 스팟 용접 없이 외판과 내판을 연결하는 방법. 스팟ㅇ용접을 하며 외판으로 용접자국이 생겨서 경면 완성에 수고를 하게 된다. 도어 헤밍 방식은 용접자국 완성이 필요없다. 컬링 : 판재 or 용기의 윗부분에 원형 단면의 테두리를 말아 넣는 가공 [해설작성자 : 노베이스 한달째 공부중 ]
53.
하중을 한 방향으로만 받는 부품에 이용되는 나사로 압착기, 바이스(vise) 등의 이송 나사에 사용되는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