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1.공주명학소 망이 망소이 난 : 고려 명종(정중부 무신집권초) 1176 명학소를 충순현으로 격상. 2.홍경래 난 - 조선 후기 순조 : 사회 모순 + 지역감정 + 서북지방 사회 경제 특징 4.김흠돌 난 - 통일신라 신문왕 vs 김흠돌 - 왕권강화하기위해 외척 김흠돌일당 제거
-강조정변 - 목종(김치양 천추태후) vs 현종(강조) - 강조정변 ->거란 2차 침입의 계기
5.
고려시대 사건들을 발생한 순서대로 가장 적절하게 나열한 것은?
1.
㉢→㉡→㉤→㉠→㉣
2.
㉡→㉢→㉣→㉤→㉠
3.
㉡→㉢→㉤→㉠→㉣
4.
㉢→㉡→㉤→㉣→㉠
정답 : [
1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ㄷ. 박서,김경손 vs 몽골 살리타이 귀주성전투 - 몽골 1차 침입. - 1231년 땅굴 쇳물 기름 진흙 등..고려가 항복해서 뒤늦게 항복한 귀주성 전투.
충렬왕 때에는 경사교수도감을 설치하여 경학과 사학을 장려하였고, 유교 교육기관에 공자 사당인 문묘를 새로 건립하여 유교 교육의 진흥에 나섰다.
2.
충선왕 때에는 원의 선명력을 채용하고 그 이론과 계산법을 충분히 소화하였다.
3.
예산 수덕사 대웅전은 고려시대의 대표적인 다포식 양식 건물에 해당한다.
4.
의상은 흥왕사를 근거지로 삼아 화엄종을 중심으로 교종을 통합하려 하였다.
정답 : [
1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2.원의 수시력 채용 3.수덕사 대웅전은 주심포식 건물 4.의천
[추가 해설] 경사교수도감 - 고려 후기 유학의 진흥업무를 관장하던 임시관서. 문벌귀족들이 경학보다 한문학 제술과를 더 중요시함 이런 학풍이 고려후기에도 지속. 충렬왕이 경.사에 능한 선유7인을 골라 경사교수로 임명하고 국자감에 소속시켜 경.사만을 전문적으로 가르침. 이후 1296년 독립적인 특수관청인 경.사겨수도감을 설치하여 적극적인 유학진흥 목표.
7.
고려시대 문화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
2.
㉡㉣
3.
㉠㉣
4.
㉠㉢㉤
정답 : [
3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 임춘 -『국순전』: 고려 후기에 임춘이 지은 가전작품. 술을 의인화하여 지은 작품 ㉡ 작자미상 -『백운소설』: 조선 중기『동국이상국집』에서 시와 관련된 기사를 모은 시화집 ㉢ 최자 -『보한집』: 고려 후기 이인로의『파한집』을 보충하여 1254년에 간행한 시화집 ㉣ 이인로 -『파한집』: 시평·서필담·수필·시화 등 83편을 수록한 시화집 ㉤ 이제현 -『역옹패설』: 고려말 작성된 시화집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
고려시대 사회 모습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개경, 서경 및 각 12목에는 상평창을 두어 물가의 안정을 꾀하였다.
2.
향도는 고려 후기에 이르러 자신들의 이익을 위하여 조직되는 향도에서 점차 신앙적인 향도로 변모되었다.
3.
기금을 마련한 뒤 이자로 빈민을 구제하는 제위보가 설치되었다.
4.
귀양형을 받은 사람이 부모상을 당하였을 때에는 유형지에 도착하기 전에 7일간의 휴가를 주어 부모상을 치를 수 있도록 하였다.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2.향도-전통 시대 여러가지 공동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결성한 조직체. 신라에도 있음. (기원은 화랑도의 용화향도) 주로 불상 종 석탑 사찰의 조성 법회 보시 매향등 대규모의 노동력 경제력을 제공하는 불교신항활동이 주류. 고려 전기에도 그대로 이어지고, 팔관회나 연등회로 성격이 수렴되기도 하였음.
12세기 인종때 불교가 퇴폐하면서 백성들은 새로운 질서를 갈망. 고려 후기에는 중앙의 고관들로 이루어진 향도,여성들만의 향도, 향촌 소민들의 향도 등 다양한 공동체적 기능이 강화된 향도들이 등장.
조선전기에도 이어짐. 16세기 이후 향약이 시행되면서 향도가 억제되거나 향약에 편입. 이후 향도의 기능을 두레가 담당하게 됨.
3.제위보. 광종 963년 서민들의 구료사업을 담당하는 기관. 공양왕 1391년에 폐지.
9.
조선 전기 사회 모습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중앙과 지방에 있는 관청의 서리와 향리 및 기술관은 직역을 세습하고, 같은 신분 안에서 혼인하였으며, 관청에서 가까운 곳에 거주하였다.
2.
밭농사는 조, 보리, 콩의 2년 3작이 널리 행해졌으며, 일부 남부지방에서는 모내기가 보급되어 벼와 보리의 이모작이 가능해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3.
양반 첩에게서 태어난 서얼은 중서라고도 불리었으며, 이들은 문과 응시에 제한이 없었다.
4.
관습법으로 사회 질서를 유지한 고려시대와 달리, 경국대전과 대명률로 대표되는 법전에 의해 형벌과 민사에 관한 사항을 규율하였으며, 이 중에서 형벌에 관한 사항은 대부분 대명률의 적용을 받았다.
정답 : [
3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3.고려시대에는 제한이 없었으나 조선시대 태종부터 제한이 생김.
10.
조선시대 문화에 대한 ㉠부터 ㉣까지의 설명 중 옳고 그름의 표시(O, X)가 바르게 된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