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잣나무 가지,고깔 이 기파랑의 높은 인품을 표현. 눈은 기파랑을 가로막는 사물.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3.
다음 밑줄 친 부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 : 잔치에 어울리는 비교적 빠른 장단을 일컫는다.
2.
㉡ : 언어유희적 표현에 의해 해학성이 나타난다.
3.
㉢ : 서술자가 개입하는 편집자적 논평이 나타난다.
4.
㉣ : 운봉은 걸인이 어사또라는 것을 눈치채고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1.진양조 장단은 판소리 장단 가운데 가장 느린 장단. 2.운봉의 갈비와 고기의 갈비를 동음이의어로 사용. 언어유희 3.서술자가 개입하여 어사또의 한시를 풀이함. 4.운봉이 어사또의 한시를 보고 놀람. 걸인이 어사또라는 것을 눈치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4.
밑줄 친 단어를 설명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 : 많은 힘을 들여 애를 씀.
2.
㉡ : 더할 수 없이 매우 가난함.
3.
㉢ : 끈기가 있고 모짊.
4.
㉣ : 늙은 뒤의 운수나 처지.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칙살스럽다 : 하는 짓이나 말 따위가 잘고 더러운 데가 있다.
적공 : 쌓을 적 공 공. 많은 힘을 들여 애를 씀. 철빈 : 쇠 철 가난할 빈. 더할 수 없이 가난함. 후분 : 뒤 후 나눌 분. 셋으로 나눈 것의 마지막 부분. 늙은 뒤의 운수나 처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5.
이 작품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작가는 판소리 사설을 차용하여 풍자적 성격을 강화하고 있다.
2.
소설 속 관찰자가 자신의 판단을 독자에게 전달하고 있다.
3.
결과적으로 긍정적 서술자가 부정적 인물인 아저씨를 비판한다.
4.
현실적 삶의 방식과 사회주의적 삶의 방식이 동시에 나타난다.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4 - 일제 강점하 현실에 순응하는 나 vs 사회주의 운동을 하던 아저씨
3 - 나의 말을 통해 아저씨를 희화적으로 묘사하지만, 실제로 풍자가 되는 대상은 바로 '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6.
다음 밑줄 친 부분을 한자로 표기할 때 적절한 것은?(순서대로 ㉠, ㉡)
1.
桓雄, 神壇水
2.
桓雄, 神壇樹
3.
桓熊, 神端水
4.
桓熊, 神端樹
정답 : [
2
] 정답률 : 34%
17.
다음 내용을 한자 성어로 표현할 때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殃及池魚
2.
渴而穿井
3.
亡羊補牢
4.
死後藥方文
정답 : [
1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2.갈이천정 - 목말라야 우물판다 3.망양보뢰 - 양 잃고 우리 고친다. 4.사후약방문 - 사람이 죽고 약방문을 쓴다.
1.앙급지어 - 재앙이 연못 속 고기에 미친다. 까닭 없이 화를 당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8.
다음 한시의 화자가 처한 상황을 고려할 때 시적 정서가 가장 유사한 것은?
1.
이화우(梨花雨) 흣ᄲᅮ릴 제 울며 잡고 이별ᄒᆞᆫ 님, 추풍 낙엽(秋風落葉)에 저도 날 ᄉᆡᆼ각ᄂᆞᆫ가. 천 리에 외로운 ᄭᅮᆷ만 오락가락 ᄒᆞ노매.
2.
말 업슨 청산(靑山)이요 태(態) 업슨 유수(流水)ㅣ로다. 갑 업슨 청풍(淸風)이요 님ᄌᆞ 업슨 명월(明月)이라. 이 중(中)에 병(病) 업슨 이 몸이 분별(分別) 업시 늘그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