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궁싯거리다 - 잠이 오지 아니하여 누워서 몸을 이리저리 뒤척거리다. 어찌할 바를 몰라 이리저리 머뭇거리다. 2.축 - 일정한 특성에 따라 나누어지는 부류. 4.각다귀 - 각다귓과의 곤충. 남의 것을 뜯어먹고 사는 사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2.
1930년대 한국 문학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한 것은?
1.
이 시기에 발표된 이광수의 장편소설 「무정」은 신소설을 발전적으로 계승하였다.
2.
이 시기에는 일제의 탄압이 극에 달했으며, 민족어 말살 정책으로 많은 문인들이 친일적인 작품을 쓰거나 붓을 꺾었다.
3.
김기림, 정지용 등의 시인들은 감성보다 지성, 리듬보다 이미지에 호소하는 주지주의 경향을 바탕으로 한 시를 창작하였다.
4.
이 시기의 시는 3.1 운동의 좌절로 인한 허무와 패배 의식의 영향으로 감상적ㆍ퇴폐적 낭만주의 경향을 보였으며, 황석우, 홍사용, 박영희 등이 대표적이었다.
정답 : [
3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3. 1930년대는 이미지를 중시하는 주지주의 시가 유행. 정지용은 초기에 서정적 순수시를 쓰다가 주지시 경향의 작품을 씀.
1.무정 1920년대. 2.1935년 후반부터 탄압이 시작되어 1940년대에 절정. 4.1920년대 특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3.
「단군신화」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홍익인간이라는 건국이념을 찾을 수 있다.
2.
이 신화를 통해 우리 신화의 원형과 당시 사회의 성격을 살펴볼 수 있다.
3.
이 신화는 우리 민족이 세운 최초의 국가인 고조선의 천지 창조 신화이다.
4.
환웅과 웅녀가 결합하여 시조인 단군이 탄생하였다는 점에서 우리나라가 천손에 의해 건국되었음을 밝히고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3.단군신화는 건국신화. 천지창조 신화가 아님.
1.널리 인간을 이롭게 하라는 홍익인간의 정신을 담고 있다. 2.풍백 우사 운사를 거느리고 환웅이 땅위에 내려왔다는 내용으로 보아 당시 사회가 농업경제를 기반으로 했음을 알 수 있다. 4.환인 환웅 단군으로 이어지는 3대기를 통해 천손의 혈통이라는 민족적 긍지를 반영. [해설작성자 : 국사문제가 여기 왜..]
14.
다음 ㈎와 ㈏의 시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의 시는 ㈏의 시를 패러디 한 작품이다.
2.
㈎의 시 2연에 나오는 '전파'는 ㈏의 시 2연에 나오는 '꽃'과 대응한다.
3.
㈎의 시는 현대 사회의 이기적이고 편의적인 사랑에 대한 비판적 시선을 드러내고 있다.
4.
㈏의 시는 ㈎의 시에 비해 발랄하고 감각적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4.나'는 철학적 주지시로 발랄과는 거리가 멀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5.
다음 보기의 시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이 시는 「매천집(梅泉集)」에 실려 있다.
2.
'새'와 '짐승', '강산'은 시인의 감정이 이입된 대상이다.
3.
역사의 시련을 맞이한 지식인의 진정 어린 고뇌가 나타난다.
4.
고려 멸망의 소식을 접하고 순절(殉節)한 황현이 자결을 앞두고 쓴 시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905년 을사조약 이후 자결을 앞두고 쓴 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6.
윗글의 서술 방식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한 것은?
1.
문학과 건축 간의 대조를 통해 차이점을 강조하고 있다.
2.
비유적인 표현을 통해 문학과 건축의 관념성을 강조하고 있다.
3.
사례를 바탕으로 추상적인 건축과 문학의 개념을 명료화하고 있다.
4.
문학과 건축 간의 비교를 통해 두 대상의 나아갈 바를 제시하고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18%
<문제 해설> 1.대조 사용하지 않음. 2.비유적인 표현이 있으나 이를 통해 문학과 건축의 관념성을 강조하고있지는 않음. 3.건축과 문학의 개념을 밝히는 부분 없음.
4.마지막 단락 문학과 건축 - 길동무가 되어 주고 깊이를 더해가며 교제할 만한 맞상대. 문학과 건축 간 특성이 서로 통함을 바탕으로 두 대상이 함게 나아갈 바를 제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7.
윗글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지은이는 건축 설계를 할 때 문학에서 영감을 받고 있다.
2.
문학적 소양을 갖추면 보다 질 높은 건축 설계를 할 수 있다.
3.
삶의 형식과 내용을 재구성하기 위해서는 문학적 상상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4.
문학과 건축은 삶의 의미와 가치를 드러내는 표현 방식뿐만 아니라 삶의 진실을 추구한다는 점에서도 공통적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26%
<문제 해설> 4.표현방식은 같을 수가 없다. 건축은 물질로 보여주고 문학은 언어로 보여준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8.
다음 보기 시의 괄호 안에 들어갈 시어가 적절하게 짝 지어진 것은?
1.
땅 - 국화 - 영웅(英雄)
2.
하늘 - 매화 - 영웅(英雄)
3.
땅 - 국화 - 초인(超人)
4.
하늘 - 매화 - 초인(超人)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보기 시는 이육사 광야. 1~3연 : 하늘이 열리고 그곳에 광야가 형성 4 연 : 눈 속에서 굳은 독립의지(매화)를 갖고 미래를 준비 5 연 : 위대한 후손(초인)이 와서 미래를 노래하게 하겠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9.
다음 빈 괄호 속에 들어갈 한자 성어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一刀兩斷
2.
一魚濁水
3.
一望無際
4.
一擧兩得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일도양단 - 칼로 대번 쳐서 두 토막을 냄. 머뭇거리지 않음. 일어탁수 - 한 마리의 물고기가 물을 흐린다. 한명 잘못으로 여러 피해를 입음 일망무제 - 한눈에 바라볼 수 없을 정도로 아득하게 멀고 넓어서 끝이 없음 일거양득 - 한가지 일을 하여 두가지 이익을 얻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0.
다음 괄호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記密 – 類出 – 認知 - 嗦出
2.
記密 – 類出 – 認智 - 索出
3.
機密 – 流出 – 認知 - 索出
4.
機密 – 流出 – 認智 - 嗦出
정답 : [
3
] 정답률 : 49%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④
②
④
②
③
②
①
①
③
③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③
③
③
④
④
④
④
④
④
③
경찰공무원(순경)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9월02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