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에는 국가의 특정한 복지기금을 마련하기 위해 광학보, 제위보, 팔관보 등 보(寶)를 많이 만들었다.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2. 확대 아니고 현직대상으로만 축소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다음에서 서술하는 인물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집현전 출신 학자로, [해동제국기]라는 책을 편찬하였다.
2.
소격서를 폐지하여 도교적 의식을 거행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3.
사육신 가운데 한 인물로, 단종의 복위운동에 참여하였다가 죽임을 당하였다.
4.
중국의 이상적인 정치 규범인 [주례]를 참조하여 [조선경국전]을 편찬하였다.
정답 : [
1
] 정답률 : 76%
4.
다음은 경남 남해군에서 최근 출토된 은제(銀製) 관식(冠飾)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가야에서는 왜(倭)에 파견되는 사신이 사용하였다.
2.
고구려에서는 절풍(折風)을 쓰는 신분층이 사용하였다.
3.
신라에서는 황색 공복(公服)을 입는 관인이 사용하였다.
4.
백제에서는 나솔(奈率) 이상의 관등 소지자가 사용하였다.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백제 귀족들이 쓰던 은제관식. 의자왕(재위641~660)때 백제가 경남 일부 지역을 자국영토로 삼았다는 '삼국사기' 기록과도 일치함을 알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체리맛복숭아]
5.
<보기>의 설명이 모두 해당하는 시대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구석기시대
2.
신석기시대
3.
청동기시대
4.
철기시대
정답 : [
2
] 정답률 : 92%
6.
조선 후기 가족제도의 모습으로 가장 적절한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ㄱ, ㄹ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4대봉사 : 고조·증조·조부·아버지의 사대 신주(神主)를 집안 사당에 모시는 일.(네이버 지식백과)
ㄷ. 4대봉사 강화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
다음에서 설명하는 신문으로 옳은 것은?
1.
독립신문
2.
황성신문
3.
제국신문
4.
한성순보
정답 : [
4
] 정답률 : 64%
8.
일제 강점기 형평운동을 주도한 신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ㄱ, ㄹ
정답 : [
1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ㄷ. 실질적으로는 그대로 존속되고 있었다.일제는 조선의 봉건적인 지배 관계를 유지시키려는 정책을 펴, 입학원서나 관공서에 제출하는 이력서 등에 반드시 신분을 명기하도록 했다. 때문에 당시 백정은 자신의 신분을 호적상 도한(屠漢)으로 기재하든지 붉은 점[赤點]으로 표시했으며, 백정에 대한 사회적 차별 또한 그대로 존속되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형평운동(衡平運動))] ㄹ.1910년아님 1923년 [해설작성자 : 시엘리온]
9.
밑줄 친 ㉠ 이전의 우리나라 사회 모습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경인고속도로 개통
2.
흑백텔레비전 방송 시작
3.
인공위성 우리별 1호 발사
4.
서울 청계천 복개 공사 완료
정답 : [
3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경인고속도로 1968년 흑백TV 1956년 인공위성 1992년 청계천 복개 공사완공 1958~67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
4세기 후반에서 5세기 전반까지 신라와 고구려의 관계를 알려주는 유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ㄱ
2.
ㄴ
3.
ㄷ
4.
ㄹ
정답 : [
2
] 정답률 : 83%
11.
다음에서 서술하는 인물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그는 몽골의 침략에 대비하기 위하여 초조대장경을 각성(刻成)하였다.
2.
그의 시는 송나라에 널리 알려져 ?소화집?이라는 시집으로 간행되었다.
3.
그는 서방을 설치하여 유명 문신을 머무르게 하며 정권 운영의 고문을 담당하게 하였다.
4.
그는 당시 관제나 수령, 토지 등 전반적인 문제에 대한 봉사(封事) 10조를 왕에게 올렸다.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2. 1080년(문종 34)에 호부상서 유홍(柳洪, ?~1091), 박인량(朴寅亮, ?~1096), 김근(金覲) 등이 송나라에서 약재(藥材)를 보내준 데 대한 사은사(謝恩使)로 갔을 때, 송나라 사람들이 박인량과 김근이 저작한 척독(尺牘), 표문(表文), 장계(狀啓), 제영(題詠) 등의 시문(詩文)을 수록하여 간행한 책이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소화집(小華集))].
4. 1196년(명종 26) 최충헌(崔忠獻)이 왕에게 올린 10개조의 글.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봉사십조(封事十條))] [해설작성자 : 시엘리온]
홍재전서, 통공정책 시행 = 정조 신증동국여지승람 = 중종 대보단 설치 = 숙종 신문고 부활 = 영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8.
다음에서 서술하는 인물 ㉠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박정양, 조병직, 이상재, 윤치호 등과 함께 조사 시찰단의 일원으로 몇 개월간 일본에 파견되었다.
2.
왕의 명령으로 서울 전동의 전의감(典醫監) 건물을 개수한 후 우정총국 청사 건물로 사용하였다.
3.
학도(學徒)와 공장(工匠) 수십 명을 이끌고 청나라로 가서 군기제, 전신 전화 등의 기술을 배우도록 하였다.
4.
우정총판에 임명되어 박영효 등에게 사무를 분담하게 하고 일본, 영국, 미국의 공관에 우정국 설립을 통고하였다.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홍영식이 관련된 사항이며 3번은 김윤식에 관련된 사항 [해설작성자 : 공무원 될꺼야!]
19.
밑줄 친 ‘於’의 의미가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
1.
苛政猛於虎
2.
良藥苦於口
3.
靑出於藍而靑於藍
4.
氷水爲之而寒於水
정답 : [
2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1. 가정맹어호 -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더 사납다는 뜻으로, 가혹한 정치는 백성들에게 있어 호랑이에게 잡혀 먹히는 고통보다 더 무섭다 는 말 2. 양약고어구 - 좋은 약은 입에 쓰다 3. 청출어람이청어람 - 푸름은 이것을 쪽에서 취하였지만 쪽보다 푸르고, 4. 빙수위지이한어수 - 얼음은 물이 이룬 것이지만 물보다 더 차다 1,3,4는 "~보다 더" 라는 의미로쓰였으나 2번은 "~에"로 쓰임 [해설작성자 : 김캬웅]
20.
㉠~㉢에 공통으로 들어갈 한자로 알맞은 것은?
1.
寧
2.
安
3.
康
4.
便
정답 : [
1
] 정답률 : 28%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②
②
①
④
②
④
④
①
③
②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③
④
③
③
①
③
④
③
②
①
계리직공무원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2월15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