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가납사니 : 쓸데없는 말을 지껄이기 좋아하는 수다스러운 사람. 간살쟁이 : 간사스럽게 아양 떠는 사람 고삭부리 : 음식을 많이 먹지 못하는 사람. 몸이 약하여서 늘 병치레를 하는 사람
대갈마치 : 온갖 어려움을 겪은 아주 야무진 사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4.
밑줄 친 속담 중 사용이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절에 간 색시처럼 남이 시키는 대로 살아야 하는 내 처지가 정말 싫다.
2.
실없는 말이 송사 간다는데 무심하게 한 말이 큰 소동이 될 수도 있으니 말과 행동을 항상 조심해라.
3.
우리 과장님 속으로는 딴마음이 있으면서 오늘도 점잖은 척 시치미를 떼고 계시네. 우리 과장님은 아니 먹은 최 보살 같아.
4.
오늘 억지로 사람을 만나러 나갔는데 나온 사람이 몸은 왜소하고 얼굴은 생기도 없어서 꼭 씻은 배추 줄기처럼 많이 아파 보이더라.
정답 : [
4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4.씻은 배추 = 얼굴이 희고 키가 훤칠함. 절인 배추 줄기 가 맞는 표현.
절에 간 색시 : 남이 시키는 대로 하는 사람 실없는 말이 송사 간다 : 무심하게 한 말 때문에 큰 소동이 벌어질 수 있음 아니 먹은 최 보살 : 속으로 딴마음을 먹으면서 점잖은 척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5.
㉠~㉣의 단어 표기가 옳은 것은?
1.
㉠
2.
㉡
3.
㉢
4.
㉣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2.한자 전세 와 고유어 집이 결합한 합성어. 사잇 소리 현상이 있고 앞말에 받침이 없으므로 사이시옷 사용. 전세 와 방은 한자끼리 결합한 합성어. 사이시옷 적지 않는다.
1.머리 기름 고유어 합성어. 사잇소리 현상 있고 앞말에 받침 없으므로 머릿기름으로 적는다. 3.코빼기. 어근 코에서 접미사 빼기가 결합한 파생어. 4.암탉. 새끼를 배거나 열매를 맺는 뜻의 접두사는 암-의 형태가 원칙. 예외적으로 닭 병아리 개 강아지 기와 것 당나귀 돼지 돌쩌귀와 결합하면 암ㅎ의 형태가 되어 뒤 어근 첫소리를 거센소리로 만든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6.
㈎~㈑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 언어의 사회성
2.
㈏ 언어의 자의성
3.
㈐ 언어의 역사성
4.
㈑ 언어의 창조성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가 문장이 끝없이 생산됨 - 창조성 나 내용과 형식이 필연적인 관계를 맺는 것은 아님 - 자의성 다 구성원 공동체 - 사회성 라 시간의 흐름 - 역사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7.
㈎~㈔를 글의 순서에 따라 올바르게 배열한 것은?
1.
㈏ - ㈒ - ㈓ - ㈔ - ㈑ - ㈎ - ㈐
2.
㈏ - ㈒ - ㈑ - ㈔ - ㈓ - ㈎ - ㈐
3.
㈏ - ㈎ - ㈔ - ㈑ - ㈒ - ㈓ - ㈐
4.
㈏ - ㈎ - ㈒ - ㈑ - ㈓ - ㈔ - ㈐
정답 : [
4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관동별곡의 순서를 묻는 문제. 죽림에 누웠다가 임금의 성은으로 강원도로 가서 내금강과 외금강의 경치를 보고 꿈에서 신선을 만나 내적 갈등을 푼 후, 잠에서 깨어나 임금의 은혜가 천산만락에 펼쳐 있음을 노래.
나. 부임->가.진헐대 조망->마.개심대(인재양성 포부)->라.화룡소(썬정에의 포부)->바.산영루(신선사상)->사.망양정(파도의 장관)->다.망양정(자리 비치는 모습. 임금의 은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8.
㈎~㈔ 중에서 금강산에 대하여 표현한 것은?
1.
㈎, ㈏, ㈑
2.
㈎, ㈏, ㈒
3.
㈎, ㈑, ㈒
4.
㈎, ㈑, ㈓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가. 금강산 망고대와 혈망봉. 라. 화룡소의 모습 마. 중향성의 모습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9.
㈎~㈑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의 1연과 2연은 문장 구조와 시어의 대구를 통해 통일성 있는 주제를 나타내고 있다.
2.
㈏는 폭포의 모습을 통해 양심의 자세를 비유적으로 형상화 하고 있다.
3.
㈐는 고향에 대한 아련한 향수를 선명한 이미지로 보여 준다.
4.
㈑에서'세상의 고달픈 바람결'을 넘어 '한 망울 연연한 진홍빛 양귀비꽃'으로 태어나는 사랑의 의미는 행복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잘 보여 준다.
정답 : [
1
] 정답률 : 14%
<문제 해설> 1. 1연과 2연은 문장 구조의 대구와 시어의 병치를 통해 주제를 중층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2.폭포의 모습을 통해 불의에 타협하지 않는 정신을 비유적으로 그림 3.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시각적 심상과 촉각적 심상을 통해 형상화 4.시련을 함께 이겨내면서 의지하는 두사람의 애틋한 사랑을 양귀비꽃으로 표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