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관계기업주식은 비유동자산으로 하여 별도처리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투자부동산 계정으로 회계 처리하는 예로 옳지 않은 것은?
1.
관리 목적에 사용하기 위한 자가사용부동산
2.
장기간 보유하면서 시세차익을 얻기 위한 토지
3.
미래의 사용목적이 결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보유하는 토지
4.
미래에 투자부동산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건설중이거나 또는 개발 중인 부동산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자가사용부동산->유형자산으로 구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
20X1년초에 운용리스로 제공할 목적으로 건물을 취득하였다. 건물의 취득원가는 ₩10,000이며, 잔존가치는 ₩0, 내용연수는 10년으로 추정된다. 동 건물에 대하여 공정가치모형을 적용하기로 한다. 20X1년 말 현재 공정가치가 ₩11,000이라면, 20X1년도의 포괄손익계산서에 계상되는 동 건물에 대한 감가상각비와 투자부동산평가손익은 각각 얼마인가? (단, 법인세효과는 없다.)
1.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공정가치 적용시 감가상각비는 없이 계상한다 따라서 감가상각비는 0원이고 투자부동산평가이익은 공정가치-취득원가(11000-10000=1000)이다. [해설작성자 : 전산회계 운용사 붙으면 금반지]
11.
20X1년 1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100,000(부가가치세를 제외한 금액)의 매출과 ₩110,000(부가가치세를 제외한 금액)의 매입이 있었다. 매출과 매입이 모두 부가가치세 과세거래일 때, 20X1년 제1기분 부가가치세 확정신고 시 해야 할 분개는? (단, 예정신고는 없었으며, 부가가치세 신고 시 납부할 세액이 있으면 즉시 납부하고, 환급받을 세액이 있으면 신고 즉시 환급받는다고 가정한다.)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매출금액의10%=낼세금10,000=부가가치세예수금 매입액의10%=낸세금11,000=부가가치세대급금 낸세금이 더 크므로 차액만큼 환급받음=현금1,000(차변기입)
어음을 "매각거래"로 할 경우 매각하는 어음은 [받을어음]으로 할인료는 [매출채권처분손실]로 처리
어음을 "차입거래"로 할 경우 건네주는 어음은 [단기차입금]으로 할인료는 [이자비용]으로 처리 [해설작성자 : 오늘시험합격]
13.
다음은 갑상품에 대한 매입·매출 관련 자료이다. 재고자산을 이동평균법으로 평가할 때, 10월 중 매출원가는 얼마인가?
1.
₩104,000
2.
₩111,000
3.
₩114,600
4.
₩125,000
정답 : [
2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이동평균법> 1일 기초재고 20개 + 5일 매입 60개 = 80개 이고, 1일 기초재고 24,000원 + 5일 매입 96,000원 = 120,000원 80개 나누기 120,000원을 해주면 @1,500이 나온다. 10일 내가 40개를 단가 @1,500에 팔았으므로 40개 x @ 1,500 = 60,000 원 을 매출한거고, 기초재고에 사온거까지 합한 80개 중에서 40개를 팔아서 남은것은 40개인데 남은40개에서 50개를 더사왔으니깐 40개 + 50개 = 90 개 , 아까 매출한 60,000원 + 매입 93,000원 = 153.000 이 나온다. 그러면 또 90개 나누기 153,000원을 하면 @1,700 원이 나온다. 마지막 25일에 매출을 30개를 했으므로, 30개 x@1,700원 = 51,000원이 나와서 계산 끝! ▶ 문제에서 매출원가를 물으므로 내가 여태것 매출했던 것의 가격을 더하면 답이다. 60,000원 + 51,000원 = 111,000원 그래서 111,000원이 답이다 :) [해설작성자 : 동일여상최강혜린]
① 상품매출 후 신용카드 결제 시 차변 외상매출금 계정 처리 (신용카드는 후불결제시스템으로 이루어지면 이 경우 상품매출이므로 외상매출금으로 반영) ③ 업무용 비품을 구입하고 직불카드 결제 시 대변 보통예금 처리 (직불카드는 즉시결제시스템으로 결제되어 통장에서 이체됨) ④ 상품매입 후 신용카드 결제 시 대변 외상매입금 계정 처리 (상품매입에 대한 결제수단을 신용카드로 사용한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외상매입금으로 처리하는 것이 타당함) [해설작성자 : 회계공부하새우]
15.
A회사는 공정가치가 ₩30,000이고 장부금액이 ₩25,000인 토지를, B회사의 공정가치가 ₩50,000인 토지와 교환하면서 추가로 현금 ₩15,000을 지급하였다. 이 거래가 상업적 실질이 있다면, A회사의 포괄손익계산서에 영향을 미치는 이익은 얼마인가? (단, 취득한 자산과 제공된 자산의 공정가치는 신뢰성 있게 결정할 수 있으며, 취득한 자산의 공정가치가 제공된 자산의 공정가치보다 더 명백하지는 않다.)
1.
₩5,000
2.
₩10,000
3.
₩15,000
4.
₩20,000
정답 : [
1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상업적 실질 이 있으면 -> (내가) 제공한 자산의 공정가치 상업적 실질 이 없으면 -> (내가) 제공한 자산의 장부가액 A의 입장에서 분개를 해보면.. (차변) 토지 30,000(<-내가 제공한 자산의 공정가치임) / (대변) 토지 25,000 (<- 장부가액임) 입니다. 그러나, 토지를 B와 교환을 하면서 현금을 15,000원 지급했으므로 아까 분개에 (차변)토지30,000원에 현금지급한 15,000원을 포함해야합니다. (차변) 토지 45,000 / (대변) 토지 25,000 현금 15,000 ★ 유형자산처분이익 5,000 ★ <- 내가(A가) 토지를 현금 15,000원까지 지급해서 팔았는데도 이익남 정답은 1번 [해설작성자 : 동일여상최강혜린]
<문제 해설> 자기주식 처분손실은 '자본' 이므로 당기손익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1,2,3 번은 비용이라 당기손익에 영향을 미침 [해설작성자 : 동일여상최강혜린]
20.
다음은 확정기여제도와 확정급여제도에 관한 각각의 특성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확정기여제도에서 기업의 법적의무나 의제의무는 기업이 기금에 출연하기로 약정한 금액으로 한정된다. 종업원이 받을 퇴직급여액은 기업과 종업원이 퇴직급여제도나 보험회사에 출연하는 기여금과 그 기여금에서 발생하는 투자수익에 따라 결정된다.
2.
확정기여제도에서 보험수리적위험(실제급여액이 기대급여액에 미치지 못할 위험)과 투자위험(기여금을 재원으로 투자한 자산이 기대급여액을 지급하는 데 충분하지 못하게 될 위험)은 기업이 부담한다.
3.
확정급여제도에서 기업의 의무는 약정한 급여를 전·현직종업원에게 지급하는 것이다.
4.
확정급여제도에서 기업이 보험수리적위험과 투자위험을 실질적으로 부담한다. 보험수리적실적이나 투자실적이 예상보다 저조하다면 기업의 의무는 증가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보험수리적위험과 투자위험을 기업이 부담하는 제도는 확정급여제도임 [해설작성자 : 파카]
21.
원가와 의사결정과의 관련성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과거에 발생한 원가도 미래의 의사결정과정에 고려할 필요가 있다.
2.
매몰원가는 과거의 의사결정으로 인하여 발생한 원가로서 대안 간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 원가를 말한다.
3.
기회원가는 자원을 현재의 용도에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순현금유입과 차선의 대체안에 사용할 때 얻을 수 있는 순현금유입의 차액이 아니라, 차선의 대체안으로부터의 순현금유입 그 자체이다.
4.
관련원가에는 여러 가지 대체안들과 실제 선택된 의사결정 대안 간에서 발생하는 원가의 차이인 차액원가가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의사결정 관련성에 따른 분류 1. 매몰원가 : 과거의 의사결정으로 이미 발생한 원가로서 어떤 의사결정을 하더라도 회수 할 수 없는 원가를 말하며, 의사결정에 고려할 필요가 없다. 2. 기회비용 :여러 대안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태했을때, 포기해야하는 다른 대안들의 경제적 효익 중 가장 큰 것 [출처 : '박쌤 전산세무2급' 책에서.. p.180]
그래서 1번은 과거에 발생한 원가는 미래의 의사결정과정에 고려할 필요가 없어야하는데 있다고해서 틀린것이다. 답은 1번 [해설작성자 : 동일여상최강혜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