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Phytoplasma 속은 Class Mollicutes에 속하며 이들은 세포벽이 결여되어 있고 일종의 원형질막(세포막)으로 둘러싸여 있다. [해설작성자 : 전남대 농대생 ]
2.
다음 중 기주체에 침입할 때 병원균이 분비하는 효소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Victorin
2.
Fusaric Acid
3.
Cutinase
4.
Tabtoxin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병원균이 분비하는 세포벽 물질의 분해효소는 큐틴,펙틴,셀룰로오스,헤미셀룰로오스,리그닌 분해효소 등이다. Cutinase는 큐틴분해효소로 세포벽의 중엽과 각피층의 아래에 있는 펙틴질을 분해하는 효소이다. [해설작성자 : 온비]
효소의 이름 특징을 생각하면 문제를 몰라도 유추 할 수 있다. 라이소자임을 제외하면 세균이 분비하는 효소중 시험에서 나올 수 있는 문제는 -ase(아제,-ㅔ이스)등으로 끝난다
해당 문제의 답을 모를 때 풀이과정 Fusaric acid는 acid에서 유추 가능하듯 산성물질 Tabtoxin은 toxin에서 유추 가능하듯 독성물질로 둘은 효소가 아니다 Victorin과 Cutinase중 어미에 -ase가 들어가는 Cutinase가 답이 된다 해당 문제는 이런 식으로 쉽게 유추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시험 시간은 많다 깊게 생각하라]
3.
다음중 생물적 방제제로 사용되는 진균은?
1.
Pseudomonas속
2.
Trichoderma속
3.
Bacillus속
4.
Streptomyces속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생물적방제 교차보호:병원성이 약화된 식물virus가 침입한 기주에 병원성이 강한 virus에 의한 병의 확산이 억제되는 현상 근권미생물에 의한 방제:근권진균-Trichodermin, Gliotoxin, Gliovirin, 근권세균-Bacillus, Pseudomonas, Burkholderia 길항미생물이용:미생물 상호간의 길항작용에 의해 병의 발병 억제 세균-agrobacterium, Bacillus, Pseudomonas, Streptomyces, 진균-Ampelomyces, Candida, Coniothyrium, Glicoladium, Trichoderma [해설작성자 : 09학번]
식물병원균에 대한 길항균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은 Trichoderma harzianum이다 [해설작성자 : 부산대 농경제]
♣ 생물적 방제에 이용되지 않는 것은? Venturia inaequalis 06.2
@ 생물적 방제에 이용되는 것 Trichoderma harzianum <- Glicoladium virens Conithyrium mimitants
♣ 식물병원균에 대한 길항균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은? Trichoderma harzianum 15.1 19.1 [해설작성자 : 기출문제]
4.
세균에 의한 병이 아닌 것은?
1.
토마토 풋마름병
2.
사과 뿌리혹병
3.
감자 더뎅이병
4.
배추 무사마귀병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배추,무 사마귀병 병원균:점균(끈적균) 기주:무,배추,양배추 등 월동형태 및 장소 : 휴면포자로 토양에서 월동 특징:저온다습,산성토양에서 多발생 [해설작성자 : 09학번]
5.
식물체가 감염되었을 때 주로 모자이크 증상을 나타내는 병원체는?
1.
진균
2.
세균
3.
바이러스
4.
파이토 플라스마
정답 : [
3
] 정답률 : 89%
6.
다음 중 밀 줄기녹병의 중간기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매발톱나무
2.
개나리
3.
향나무
4.
사시나무
정답 : [
1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중간기주:두 종의 기주식물 중 경제적 가치가 적은 쪽 매발톱나무 과:매자나무과 속:매자나무속 종:매발톱나무 맥류 줄기 녹병의 중간기주는 매자나무이다. 맥류 핵심 포아풀아과의 곡식을 두루 일컫는 말. 보리,밀,호밀,귀리 모두 한자로 맥을 붙여 적기도 한다. [해설작성자 : 09학번]
7.
알코올 냄새로 진단할 수 있는 식물병은?
1.
수박 덩굴쪼김병
2.
콩 탄저병
3.
사과나무 부란병
4.
배나무 줄기마름병
정답 : [
3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진단 병든 식물체를 정밀하게 검사하여 비슷한병과 구별하고, 바른 病 이름을 정하는 것(동정)이다. 사과나무 부란병 병원균:진균(자낭균류) 기주:사과나무 월동형태 및 장소 : 병포자나 자낭포자의 형태로 병든 가지에서 월동, 상처 침입 특징:껍질이 벗겨지고 알코올 냄새가 남 [해설작성자 : 09학번]
식물병원균이 이종기생을 하는 경우에 생활환을 완성하기 위하여 기주식물을 바꾸어 생활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기생
2.
감염
3.
기주교대
4.
발병
정답 : [
3
] 정답률 : 95%
<문제 해설> 이종기생균:전혀 다른 두종류의 기주식물을 옮겨가며 생활 기주교대:이종기생균이 그 생활사를 완성하기 위해 기주를 바꾸는 것 [해설작성자 : 09학번]
12.
보리 붉은곰팡이균은 진균의 어떤 균류에 속하는가?
1.
불완전균류
2.
접합균류
3.
자낭균류
4.
담자균류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맥류 붉은 곰팡이 병은 진균중에서도 자낭균류에 속한다. [해설작성자 : 09학번]
보리 겉깜부기병이 담자균류이다 [해설작성자 : 김파랑]
13.
식물병을 방제하기 위한 경종적 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윤작
2.
번식기관의 온탕 처리
3.
무병종묘 사용
4.
저항성 품종 재배
정답 : [
2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경종적 방제 ㅇ윤작:같은 토지의 동일한 작물을 연이어 재배하지 않고 다른 종류의 작물을 순차적으로 재배. 병원균의 밀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ㅇ파종시기 조절:벼 파종 및 이앙시기가 늦춰지면 도열병 발병이 증가하고 이앙시기가 빨라지면 잎집무늬마름병이 증가한다. ㅇ포장위생:병든 부위(전염원)를 제거하거나 중간기주를 제거한다. ㅇ토양조건:유기물 및 석회 사용, 객토 및 심경 등으로 토양의 물리성 개선 ㅇ영양조건:적정 영양상태 유지를 통한 병의 발생을 조절한다. ㅇ저항성품종:경비절약, 농약의 잔류독성 문제가 없어 가장 이상적인 방제법이다. [해설작성자 : 09학번]
번식기관 온탕처리는 물리적 방제
14.
식물 바이러스 입자를 구성하는 주요 고분자는?
1.
피막과 핵
2.
새포벽과 세포질
3.
골지체와 RNA
4.
핵산과 단백질껍질
정답 : [
4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virus는 핵산과 단백질로 이루어진 병원체이다.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 불가, 인공배양 불가 자기 자신을 위한 물질대사계를 가지지 못함 식물체내 대사계와 물질을 이용할 수 있는 유전정보만 가짐 [해설작성자 : 09학번]
15.
병든 부위에서 악취가 나는 병은?
1.
벼 도열병
2.
배추 무름병
3.
딸기 흰가루병
4.
감자 탄저병
정답 : [
2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병징(sumptom) 식물체가 어떤 원인에 의하여 그 식물체의 세포,조직,기관에 이상이 생겨 외부 형태에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 반응으로 상대적인 개념. ㅇ세균병의 병징 -무름병 : 상처를 침입한 병균이 Pectinase효소를 분비해 기주세포의 중층을 분해하며 삼투암에 변화가 생겨 기주세포는 원형질 분리를 일으켜 죽게된다. 물이 많은 조직에서 부패와 악취의 무름 현상이 나타난다. [해설작성자 : 09학번]
16.
다음 중 목재를 썩히는 대부분의 목재부후균은 어디에 속하는가?
1.
세균
2.
버섯
3.
바이러스
4.
선충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목재부후균 대부분은 버섯류(담자균)에 속한다. [해설작성자 : 전남대 농대생 ]
17.
다음 중 Phytophthora속 균의 전형적인 전반방법은?
1.
종자에 의한 전반
2.
곤충에 의한 전반
3.
씨감자에 의한 전반
4.
비바람에 의한 전반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傳전할 전搬옮길 반 병원체가 기주식물에 운반되는 것 풍매전반(바람):배나무 붉은별무늬병균,도열병균,맥류 겉깜부기병균,벼키다리병균,감자역병균,잣나무털녹병균 Phytopthora:편모균류에 속하는 絲狀균(실모양)으로 식물의 잎, 줄기, 과실, 뿌리 등에서 역병을 일으키는 식물 병원균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09학번]
- Phytophthora(파이토프토라)속은 편모균류에 속하는 사상균임(감자/사과나무/수박 역병 등) [해설작성자 : hyeonys]
박테리오파지의 기주특이성 = 세균에 기생하는 바이러스 - 벼 흰잎마름병의 경우 그람음성세균에 의해서 발생하는 병 - 벼 줄무늬잎마름병은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 -> 애멸구의 매개 [해설작성자 : 내일이 시험인데 이제 2019 기출 시작이요]
20.
벼 흰잎마름병의 주요 제1차 전염원이 되는 식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흰명아주
2.
돌 피
3.
여뀌
4.
겨풀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겨풀뿌리(잡초)에서 월동하여 1차전염원이 됨 고온다습, 비바람에 상처로 세균 발병 xanthomonas 폭풍우에 묘가 침수되지 않도록 해야함 피해를 입은 개체는 제거 볍씨소독을 철저히 질소질 비료 과용은 피할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 벼 흰잎마름병균은 주로 어디에서 월동하여 제1차 전염원이 되는가? 겨풀 뿌리 15.1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과목 : 농림해충학
21.
다음 중 소나무좀은 수목의 어느 부분을 주로 가해하는가?
1.
잎
2.
구과
3.
뿌 리
4.
수간(줄기)
정답 : [
4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소나무좀 방제를위해 티아클로프리드 액상수화제를 살포하려할때 가장 효과적인 시기는 산란시기(3~4월) '수간'에 구멍을 뚫꼬 산란하여 피해를 주므로 수피를 뚫고 들어가기전에 방제해야 효과가큼 [해설작성자 : 부산대농경제]
22.
다음에서 설명하는 것은?
1.
비선호성
2.
항충성
3.
내 성
4.
회피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비선호성 : 작물이 해충의 산란이나 섭식과 같은 행동습성에 영향을 받아 덜 모이는 성질 항충성 : 해충의 생장이나 생존에 불리한 영향을 미치는 성질 내성 : 같은 정도의 해충밀도 하에서도 작물이 활력이나 수량에 영향을 받지 않는 성질 회피성 : 식물이 적극적 또는 소극적으로 병원체의 활동기를 피하여 병에 걸리지 않는 성질 [해설작성자 : gogo]
23.
다음 중 벼 재배 시 기온이 낮은 해에 발생하여 피해를 주는 저온성 해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이화명나방
2.
끝동매미충
3.
흰등멸구
4.
벼애잎굴파리
정답 : [
4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벼애잎굴파리는 저온에서 발생이 많은 저온성 해충으로 유충이 늘어진 잎에 기생하여 굴을 파고 가해하므로 잎이 황화 및 백화되어 결국 잎이 없어진다. [해설작성자 : gogo]
24.
도둑나방의 피해 증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부화유충이 떼를 지어 잎 뒷면의 잎살을 먹는다.
2.
배추,양배추의 결구 속으로 파고 들어가 먹는다.
3.
배추 뿌리가 지제부(지접부)에서 잘린다.
4.
잎이 불규칙한 그물 모양으로 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도둑나방 수백개의 알을 기주식물 뒤에 낳으며, 부화한 유충이 떼를 지어 식해 배추, 양배추, 당근, 샐러리 ,등의 채소작물과 장미, 백합같은 화훼작물들을 가해하며 채소에는 결구 속으로 들어가 먹는다 연 2회 발생하며 번데기로 월동한다 피해받은 잎은 불규칙한 그물 모양이 된다
25.
잎을 가해하는 청동풍뎅이의 월동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난상태로 땅속에서 월동한다.
2.
유충태로 땅속에서 월동한다.
3.
성충태로 지피물에서 월동한다.
4.
번데기 상태로 잎을 먹고 월동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청동풍뎅이는 각종 과수의 잎이나 새순 등을 갉아먹어 피해를 주며, 유충태로 땅속에서 월동한다. [해설작성자 : 건쏘공]
26.
기주식물에 바이러스병을 매개하는 해충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콩잎말이명나방
2.
독나방
3.
아메리카잎굴파리
4.
복숭아혹진딧물
정답 : [
4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복숭아혹진딧물: 감자잎말이병등 각종 바이러스 매개 흡즙 및 바이러스 매개 혹진딧물이지만 혹(충영)하고 관련없다. 월동란이 간모(날개없는 암컷)가 된다. [해설작성자 : 박광수]
27.
다음 중 천공성 해충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소나무좀
2.
왕소나무좀
3.
어스렝이나방
4.
박쥐나방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어스렝이나방은 유충이 밤나무, 참나무, 사과나무, 배나무 등의 잎을 가해하는 식엽성 해충이다. [해설작성자 : gogo]
28.
날개가 전혀 발생 되지 않는 무시아강에 속하는 곤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벼룩
2.
이
3.
빈대
4.
좀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무시아강 톡토기목 낫발이목 좀붙이목 좀목 돌좀목
유시아강 잠자리목 하루살이목
29.
곤충의 체내조직에 산소를 운반하는 곳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폐쇄 혈관계
2.
개방 혈관계
3.
기관계
4.
혈구
정답 : [
3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곤충의 기관계는 산소를 곤충의 여러 조직으로 운반하고 조직에서 생긴 이산화탄소를 운반하는 역할을 하며, 대부분 곤충의 가스교환은 기관계에서 이루어진다. [해설작성자 : gogo]
30.
미국선녀벌레의 가해 양상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잎을 갉아 먹는다.
2.
과일에 구멍을 내며 피해를 준다.
3.
줄기에 구멍을 뚫고 가해한다.
4.
잎, 줄기를 흡즙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미국선녀벌레: 흡즙성 해충 노린재목 선녀벌레과 피해: 약충의 발육이 왕성한 5월부터 피해가 나타나기 시작하며, 10월까지 약충이 기주식물을 흡즙하여 수세가 쇠약해진다. 생태: 1년에 1세대가 발생, 알 상태로 월동
<문제 해설> 저장 중에 종자가 발아력을 상실하는 원인은 원형 단백질의 응고, 효소의 활력저하, 저장양분의 소모 등이며, 종자의 수명에는 종자의 수분함량,저장습도가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고, 저장온도와 통기상태도 관련한다. [해설작성자 : gogo]
47.
다음 중 작물생육의 필수원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K
2.
Al
3.
Ca
4.
S
정답 : [
2
] 정답률 : 85%
48.
다음에서 설명하는 것은?
1.
보더관개
2.
수반관개
3.
일류관개
4.
다공관관개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보더관개 : 완경사의 포장을 알맞게 구획하고 상단의 수로로부터 전체 표면에 물을 흘려 펼쳐서 대는 방법 일류관개(등고선월류관개) : 등고선에 따라 수로를 내고 임의의 장소로부터 월류하도록 하는 방법 수반법 : 포장을 수평으로 구획하고 관개하는 방법 ---- 위 세개는 모두 전면관개이자 지표관개
다공관관개 : 파이프에 구멍을 내어 살수하는 방법 -- 살수관개의 일종임 [해설작성자 : 대충식자15]
49.
벼의 작물생육 초기부터 출수기에 걸쳐 냉온을 만나 출수가 늦어져 등숙불량을 초래하는 냉해는?
1.
지연형 냉해
2.
장해형 냉해
3.
병해형 냉해
4.
혼합형 냉해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출수가 늦어져' ->지연형
50.
연작의 해가 가장 적은 작물로만 나열된 것은?
1.
미나리,양배추
2.
수박,가지
3.
참외,우엉
4.
고추,오이
정답 : [
1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연작해 적은 것- 벼 맥류 조 수수 옥수수 고구마 무 당근 연 순무 뽕나무 아스파라거스 토당귀 미나리 딸기 양배추 꽃양배추 목화 삼 양파 담배 사탕수수 호박(호박은 의외네?)
1년 - 쪽파 시금치 파 콩 생강 2년 - 감자 마 잠두 오이 땅콩 3년 - 쑥 토란 참외 강낭콩 5~7년 휴작 - 수박 가지 완두 우엉 고추 토마토 레드클로버 사탕무 10년 휴작 - 아마 인삼 [해설작성자 : 대충식자15]
<문제 해설> 디니코나졸액상수화제는 트리아졸계 저독성 생장조정제로 식물체내의 지베렐린 생합성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며, 백합의 생육 초기에 사용할 경우 지상부의 줄기신장을 억제한다. [해설작성자 : gogo]
63.
농약의 분류 중 유효성분 조성에 따른 분류에 해당하는 것은?
1.
유기인제
2.
살충제
3.
살균제
4.
유인제
정답 : [
1
] 정답률 : 82%
64.
유기인계 살충제가 아닌 것은?
1.
파라티온(Parathion)
2.
다이아지논(Diazinon)
3.
디클로르보스(Dichlorvos)
4.
메소밀(Methomyl)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4. 메소밀은 카바메이트계 살충제이다. [해설작성자 : 챈챈]
65.
다음 중 밀폐된 공간에서 사용하도록 설계된 제형은?
1.
훈연제
2.
입 제
3.
분제
4.
수화제
정답 : [
1
] 정답률 : 84%
66.
다음 중에서 천연 성분의 살충제가 아닌 것은?
1.
피레트린(Pyrethrin)
2.
파라티온(Parathion)
3.
니코틴(Nicotine)
4.
로테논(Rotenone)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파라티온 유기인계 살충농약 [해설작성자 : ㅇㅇㅇ]
1.피레트린(Pyrethrin) : 국화과 다년생 식물에 속하는 제충국 등의 과피에서 추출 2.파라티온(Parathion) : 세계 2차대전 직전 독일에서 개발된 합성 살충제 3.니코틴(Nicotine) : 가지과 식물에 속하는 담배 등의 잎에서 추출 4.로테논(Rotenone) : 콩과 식물에 속하는 데리스, 테프로시아 등의 뿌리에서 추출 [해설작성자 : PDK]
고체일 경우 맹독성은 5미만입니다 액체릴 경우 맹독성은 20미만, 고독성 20이상 200미만, 보통독성 200이상 2000미만, 저독성 2000이상 입니다 [해설작성자 : 행복한2막인생]
75.
가스상태로 병해충에 접촉시켜 방제효과를 거두는 훈증제가 갖추어야 할 성질이 아닌 것은?
1.
독성이 커야 한다.
2.
휘발성이 커야 한다.
3.
비인화성이어야 한다.
4.
확산성이 있어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훈증제는 휘발성이 커서 농도가 균일하게 확산되어야 하고, 비인화성이어야 하며, 침투성이 크고 훈증할 목적물에 이화학적으로 변화를 일으키지 않아야 한다. 주로 밀폐공간에서의 저장곡물 소독이나 토양소독용으로 이용하며 인축에 대한 독성이 매우 크므로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gogo]
76.
메프 유제 50%를 0.05%로 희석하여 100L를 살포하려고 할때 소요약량은 약 몇 mL인가?(단, 비중은 1.008이다)
♣ 벼에 대한 광 경합이 가장 큰 식물 종은? 2008.2 2011.2 물피 [해설작성자 : 르망]
91.
다음 중 페녹시계 제초제로 가장 옳은 것은?
1.
GA3
2.
Butachlor
3.
2,4-D
4.
Molinate
정답 : [
3
] 정답률 : 78%
92.
방동사니류 잡초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잎 끝이 뾰족하고 소수(小德)에 꽃이 착생한다.
2.
줄기가 삼각형 모양이다.
3.
습지에서도 자생한다.
4.
잎이 둥글고 크며,잎맥이 그물 모양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광엽잡초는 잎이 둥글고 크며 잎맥은 그물처럼 얽혀 있는 망상맥이다. 화본과잡초는 잎의 길이가 폭에 비해 길며 잎맥은 평행맥이다. 방동사니과 잡초는 화본과 잡초와 형태가 유사하나 줄기가 삼각형이고 윤택이 있으며 속이 차 있다. [해설작성자 : gogo]
93.
다음 중 작물과 잡초 사이의 경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광
2.
온도
3.
수분
4.
양분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 다음 중 작물과 잡초 사이의 경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성숙기 2003.1 산소 2003.2 2007.1 2015.4 2017.1 온도 2005.4 2011.2 2019.4 잡초의 영양 상태 2019.2 제초제 내성 2004.4 2008.2 2010.4 [해설작성자 : 르망]
94.
돌피의 학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Leerisa japonica
2.
Monochoria vaginalis
3.
Cyperus difformis
4.
Echinochloa crus-galli
정답 : [
4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피의 학명은 Echinochioa crus-galli이고 변종명에 의해 prticola(돌피), oryzicola(강피), caudata(물피)로 구분된다. [해설작성자 : g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