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누설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9월20일(12223)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누설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비파괴검사 개론


1. 다음 중 30mm 압연 강판에 존재하는 라미네이션을 검사 하고자 할 때 가장 적절한 비파괴검사법은?
     1. 자동 방사선투과검사
     2. 자동 와전류탐상검사
     3. 자동 초음파탐상검사
     4. 질량분석 누설검사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초음파는 재료 내부의 경계면(불연속 면)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특성을 이용
평면 결함(= 라미네이션)은 음파 반사 신호가 강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특히 자동 UT 시스템은 대면적 강판을 고속으로 검사 가능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 와전류탐상시험이 가능하지 않은 대상물은?
     1. 고무 막대
     2. 강철 막대
     3. 구리 막대
     4. 알루미늄 막대

     정답 : []
     정답률 : 94%

3. 다음 중 비파괴검사법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초음파탐상시험은 방사선투과시험보다 두꺼운 강재를 검사할 수 있다.
     2. 방사선투과시험은 결함의 깊이와 형태를 정확히 알 수 있다.
     3. 초음파탐상시험은 원리적으로 펄스반사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4. 표면결함이 검출은 강자성체의 경우 자분탐상시험이 효과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RT는 투영 이미지 기반 검사로, 필름상에 결함의 평면적 모양만 나타남
깊이 정보(depth) 파악 불가능
형태도 투과각도 및 방향에 따라 왜곡 가능
따라서 정확한 깊이·형태 정보 파악 어려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 자분탐상검사에 영향을 미치는 자분의 성질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자분의 색조와 휘도
     2. 자분의 전기적 성질
     3. 자분의 입도
     4. 자분의 비중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MT는 전자기적 유도에 의한 "자성체 반응"을 이용[즉,도전성보다 자성체반응이 중요하다는 의미]
자분 자체가 "전류를 흐르거나 전기저항"을 가질 필요 없음
따라서 자분의 전기적 특성은 거의 무의미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 다음 중 침투탐상시험이 적합한지를 선택하는 조건과 거리가 먼 것은?
     1. 시험체의 재질
     2. 시험체의 형상
     3. 시험체의 표면 상태
     4. 시험체의 제작 공차

     정답 : []
     정답률 : 89%

6. 판재를 펀치와 다이 사이에서 압축하여 성형하는 방법은?
     1. 압출 가공
     2. 프레스 가공
     3. 인발 가공
     4. 압연 가공

     정답 : []
     정답률 : 77%

7. 강의 시험에서 죠미니 선단 담금질(Jominy end quenching test) 시험의 목적은?
     1. 경화능시험
     2. 초단파시험
     3. 자기이력시험
     4. 전자유도시험

     정답 : []
     정답률 : 95%

8.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의 입계부식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결정입계에 탄화물 석출에 의해 부식이 발생된다.
     2. 결정입계에 질화물 석출에 의해 부식이 발생된다.
     3. 티타늄을 첨가하면 입계에 부식이 촉진된다.
     4. 결정입계에 크롬 농도가 감소되어 부식이 발생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티타늄(Ti)이나 니오븀(Nb)은 Cr보다 탄소와의 결합력이 더 크므로,
탄화물이 Cr 대신 TiC나 NbC로 형성됨

결과적으로 Cr 고갈 방지 → 입계부식 억제 역할

따라서 티타늄 첨가 → 입계부식 억제가 맞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순철의 변태가 아닌 것은?
     1. A4 변태
     2. A3 변태
     3. A2 변태
     4. A1 변태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순철의 변태
① A2변태 : 자기변태 (768℃), 강자성체 → 상자성체
② A3변태 : 동소 변태 (910℃), α-Fe(체심 입방 격자) ↔ γ-Fe(면심 입방 격자)
③ A4변태 : 동소 변태(1400℃), γ-Fe(면심 입방 격자) ↔ δ-Fe(체심 입방 격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 강중에 비금속 개재물의 영향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재료 내부에 점재하여 인성을 해친다.
     2. 강에 백정이나 헤어 크랙의 원인이 된다.
     3. 철의 규산염 등은 적열취성의 원인이 된다.
     4. 열처리 하였을 때 개재물로부터 균열을 일으키기 쉽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백점은 수소 취성(hydrogen embrittlement)으로 인해 발생하지, 비금속 개재물로 직접 생기는 것이 아님.
헤어크랙은 열간 가공 중 냉각 불균일, 수소 침투, 응력 집중 등 복합 원인으로 발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 금속재료에서 탄소의 함량이 가장 적은 것에서 많은 순서로 옳은 것은?
     1. 전해철 < 연강 < 주철 < 경강
     2. 전해철 < 연강 < 경강 < 주철
     3. 연강 < 전해철 < 경강 < 주철
     4. 연강 < 전해철 < 주철 < 경강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전해철 (Electrolytic Iron) 0.01% 이하 순철에 가까운 재료, 불순물 거의 없음
연강 (Low Carbon Steel) 0.05 ~ 0.25% 가공성 우수, 구조용으로 사용
경강 (High Carbon Steel) 0.6 ~ 1.5% 경도 및 강도 우수, 공구강 등에 사용
주철 (Cast Iron) 2.0 ~ 4.0% 고탄소, 주조성 우수, 인성은 낮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2. 금속 분말의 유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가 아닌 것은?
     1. 분말의 수분 함량
     2. 분말의 입도 및 형상
     3. 분말의 자기적 성질
     4. 분말의 용기 사이의 마찰 계수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수분 함량:수분은 입자 간 응집력을 증가시켜 유동성 저하시킴
입도 및 형상:구형에 가까울수록, 입도가 고를수록 유동성 우수
분말과 용기 사이의 마찰 계수:마찰이 크면 흐름 저하, 작으면 유동성 향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3. 담금질(quenching)후의 마텐자이트의 결정구조는?
     1. 체심정방격자
     2. 면심정방격자
     3. 면심입방격자
     4. 조일육방격자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체심정방격자 (BCT: Body-Centered Tetragonal)
- 탄소(C)가 강제로 끼어 들어가면서 체심입방격자(BCC)가 늘어나 비대칭(BCT)이 됨
- 매우 단단하고, 경도는 높으나 취성이 큼, 확산이 일어나지 않음 (확산 없는 상변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4. 주석청동 주물은 상당한 강도가 있고, 마모·수압 및 부식에 견디며, 외관도 미려하므로 널리 사용되나 용탕의 유동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것은?
     1. S
     2. Ni
     3. Zn
     4. Pb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KS D 5301: 주조용 청동 합금
CAC406 (Cu-Sn-Zn-Pb 청동): Zn 약 5~10% 포함 → 주조성 향상
Zn은 납(Pb)보다 녹는점이 낮고, 기체화 문제도 적으며, 형상 안정성이 높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5. 6:4 황동에 Sn을 넣은 것으로 복수기판, 용접봉 등에 이용되는 것은?
     1. Naval brass
     2. Hard brass
     3. Albrac bronze
     4. Admiralty metal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 6:4 황동(Cu 60%, Zn 40%)→ 일반 황동 (Muntz Metal)
Naval Brass : 6:4 황동(Cu 60%, Zn 40%)에 약 1% Sn 첨가하여 내식성 개선
Hard brass : Zn 함량 많음, Sn 없음, 고강도 목적
Albrac bronze : Al계 동합금, 황동이 아님
Admiralty metal : Naval brass에 As[비소(Arsenic)] 추가된 형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6. 알루미늄, 마그네슘, 구리 및 구리합금, 스테인리스강의 절단에 주로 이용되는 절단법은?
     1. 산소 아크 절단
     2. 탄소 아크 절단
     3. 아크 에어 가우징
     4. 티그 절단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1.산소 아크 절단 (Oxy-arc)
- 탄소강에만 적합, 비철/스텐에 적용 불가
2. 탄소 아크 절단 (Carbon Arc)
- 고열은 가능하나, 정밀 제어 어렵고 넓게 녹이기 때문에 절단에 비효율적
3.아크 에어 가우징 (Arc-Air Gouging)
많이 쓰이긴 하나, 절단이라기보단 홈파기(gouging), 비드제거, 크랙제거 등 용도
4.티그 절단 (TIG Cutting)
- TIG(Tungsten Inert Gas) 아크를 고온으로 집중하여, 산화가 되지 않는 재료(알루미늄, 스텐, 마그네슘 등)를 정밀하게 절단하는 데에 사용 가능.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7. 용접결함 중 치수상의 결함이 아닌 것은?
     1. 스트레인 변형
     2. 용접부 크기의 부적당
     3. 접합 불량
     4. 용접부 형상의 부적당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접합 불량"은 내부 금속 간의 융합 상태에 대한 문제로서, 치수(겉모양)의 문제가 아님.
내부 결함이자 구조적 결함, 비파괴검사(NDT)로 주로 검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8. 일반적인 서브머지드 아크용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용입 깊이가 얕다.
     2. 사용 용접전류가 적어 용접능률이 낮다.
     3. 아크가 눈에 보이므로 용접상태를 확인하면서 용접 할 수 있다.
     4. 용접선이 길고, 연속용접이 가능한 부재에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SAW의 주요 키워드는 "고능률, 자동화, 깊은 용입, 아크 비노출, 연속용접 적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9. 이산화탄소 아크용접 와이어에 구리 도금을 한 이유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와이어의 녹을 방지한다.
     2. 전류의 가속(Pick-up)을 개선한다.
     3. 비드 외관을 개선하기 위함이다.
     4. 자연수명을 증가시키기(넓히기) 위함이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구리 도금은 와이어 자체의 특성 개선이 목적이지, 비드 외형을 아름답게 하는 기능은 아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0. 다음 그림과 같은 플레어 용접의 홈 종류는?

    

     1. V형
     2. X형
     3. K형
     4. J형

     정답 : []
     정답률 : 70%

2과목 : 누설검사 원리


21. 다음 중 할로겐 누설시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가압기체로 냉매가스와 질소 혼합물을 사용한다.
     2. 프로브는 농축된 추적가스에 노출되어서는 안된다.
     3. 흡연에 의한 담배연기는 잘못된 신호를 나타낸다.
     4. 폭발성 대기에서는 가열양극검출기를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가열양극 검출기는 내부에서 고온의 플래티넘 또는 팔라듐 필라멘트를 사용하여 할로겐가스에 반응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이 방식은 폭발성 또는 인화성 가스가 존재하는 환경에서는 화재 및 폭발의 위험성 때문에 절대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2. 질양 분서계의 분석관 속에서 이온화된 이온들이 검출기에 들어올 때의 상태는?
     1. 중성(양의 전하나 음의 전하가 아님)을 띰
     2. 양의 전하를 띰
     3. 음의 전하를 띰
     4. 위의 것들을 혼합 상태를 띰

     정답 :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질량 분석계는 물질을 이온화하여 질량 대 전하비(M/z)를 측정하는 분석기기입니다. 기본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온화 장치 - 샘플을 기체화시킨 후, 전자를 제거하여 양이온(+)으로 만듦
가속 장치 - 생성된 양이온을 전기장으로 가속
분석관 (질량 분석기) - 자기장이나 전기장을 이용해 질량 대 전하비(M/z)에 따라 분리
검출기 - 도달한 이온의 전기 신호를 검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3. 헬륨질량 분석기를 이용한 누설시험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프로브의 진행방향과 검출강도는 관계가 없다.
     2. 헬륨가스의 축적이 없도록 환기시설을 설치한다.
     3. 복잡한 형상의 시험품은 진공후드법으로 한다.
     4. 밀봉부위를 유기재료로 사용한 경우 압축공기를 내뿜어 헬륨가스를 제거한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사용 방식은 크게 진공법(시험체 내부를 진공 후 외부에서 헬륨 주입)과 스니퍼법(외부에서 누설된 헬륨을 프로브로 흡입)으로 나뉩니다.

스니퍼법(Sniffer Mode)에서 프로브의 이동 방향과 속도는 누설 검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누설구에서 나오는 헬륨은 국소적으로 확산되기 때문에, 프로브가 누설 위치를 정확히 지나가지 않거나 너무 빠르게 이동하면 검출 감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4. 다음 중 진공상자를 사용하지 않고 기포누설시험(Bubble leak test)을 행할 수 있는 것은?
     1. 시험체를 가압할 수 있을 때
     2. 온도를 -40℃까지 내릴 수 있을 때
     3. 10 Gauss의 자장강도로 자화시킬 수 있을 때
     4. 형광페인트로 코팅할 수 있을 때

     정답 : []
     정답률 : 95%

25. 가열양극 할로겐누설검출기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대기 중에서 작동이 가능하다.
     2. 할로겐 화합물 추적자가스에만 반응이 나타난다.
     3. 사용이 간편하고 이동이 용이하다.
     4. 화기의 주위에서도 위험성이 없다.

     정답 :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가열양극(Heated Diode) 방식은 센서 내부에 있는 가열된 필라멘트(보통 플래티넘 또는 팔라듐)가 헬륨, 할로겐계 가스와 반응하여 이온 전류 변화를 감지하는 방식입니다. 이 필라멘트는 고온(보통 수백 ℃ 이상)에서 작동하므로, 센서 자체가 열원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6. 압력 변화 측정법(Pressure change measurement test)을 이용하여 소형 압력용기의 누설시험을 실시할 때 누설률의 정확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은?
     1. 이슬점 온도
     2. 시험개시 압력
     3. 용기의 일정 온도
     4. 용기 부피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문제오류가 있는듯해보이네요. 아래는 저의 생각이니 참고만하시고 다른 의견이 있다면 말씀해주세요

"이슬점 온도"가 측정 환경에 간접적인 영향을 줄 수는 있으나, 누설률 산출의 주요 계산식(ΔP, V, T)에 직접적으로 포함되지 않으며, 시험의 핵심 변수는 아닌듯하여 정답이 1번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압력 변화법은 이상기체 상태방정식에 기반하여 누설량을 압력 변화로 계산

누설량(?)=(Δ?×?)/(?×?)
ΔP: 압력 변화량
V: 용기 부피
T: 절대온도 (K)
R: 기체 상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7. 할리이드 토치법의 특성으로 틀린 것은?
     1. 기포 누설시험만큼 빠른 탐상이 가능하다.
     2. 큰 누설 부위의 작은 누설 검출에 좋다.
     3. 대부분의 냉매가스는 불연소성이다.
     4. 기포누설시험에서 찾을 수 없는 누설의 위치를 찾을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할리이드 토치법은 누설된 냉매(할로겐계 가스)가 불꽃에 들어갔을 때, 불꽃의 색이 청색에서 녹색으로 변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비파괴 누설 탐지법입니다.
사용 추적가스: 보통 프레온(Freon, CFC 등)
사용 조건: 불꽃이 필요한 야외 혹은 개방 환경
적용: 크고 뚜렷한 누설 부위, 육안 접근 가능한 부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8. 일반적인 기계식 진공펌프에 의해 분위기압으로부터 용기를 어느 정도까지 진공으로 하는 것이 가능한가?
     1. 10 torr
     2. 10-3 torr
     3. 108 torr
     4. 102 torr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기계식 진공펌프 단독으로는 대체로 약 10-3 torr까지 도달이 가능합니다. 그 이하의 고진공은 별도 고진공 장치가 필요합니다.

1 atm(대기압) = 760 torr 기준으로 느낌이 오도록 환산해본다면...^^

10 torr                 약 0.145%
10-3 torr 약 0.00013%
108 torr 약 13,157,894% 비현실적 압력 (1억 torr = 대기압의 13만 배 이상)
102 torr 약 13.16%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9. 일반적인 압력용기의 제작 시 내압시험 방법이 아닌 것은?
     1. 기압시험
     2. 수압시험
     3. 기밀시험
     4. 질량분석법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질량분석법(Mass Spectrometer Leak Detection, MSLD)**은 기체 분자의 질량비를 이용하여 미세 누설을 측정하는 고감도 누설 시험 방법입니다.

압력용기의 강도나 구조 안전성(내압)을 확인하는 목적이 아닌, 기밀성(Leak tightness) 확인에만 사용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0. 헬륨질량분석 누설시험에서 기체시료 분석의 바탕 원리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추적자 가스만 이온화하여 자기장 속을 통과한다.
     2. 추적자 가스의 음이온들과 양이온들이 자기장 속을 통과하여 검출기에 함께 잡힌다
     3. 시료의 모든 가스들은 헬륨질량분석계의 자기장 속을 통과할 수 있다.
     4. 추적자 가스의 양이온들만 자기장 속에서 다른 가스들의 이온들과는 다른 곡률 반경을 갖는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곡률 반경이 다르기 때문에, 질량분석기 내부의 검출기 위치에 도달하는 이온은 특정 M/z(질량/전하비)를 가진 이온(예: 헬륨 양이온)만 해당된다.
따라서 다른 가스는 검출기에 도달하지 못하므로 검출되지 않고, 헬륨만 검출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1. 할로겐 누설 검출기에서 할로겐가스의 누출에 의한 전류의 증가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은?
     1. 마이크로 암메타
     2. 출력기록계
     3. 가시조명
     4. 가청지시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누설된 할로겐 가스가 센서에 닿으면, 센서 내부 전류가 증가하게 되며,
이 전류의 미세한 변화를 정밀하게 측정하여 누설을 감지하는 방식입니다.

할로겐 가스의 누설로 인해 발생하는 전류 증가는 매우 작기 때문에, 이를 감지하기 위해 민감한 계측기인 마이크로암미터(Microammeter)가 사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2. 할로겐 누설 검출기(halogen leak detector)로 검출할 수 있는 최도 누설의 크기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총누설률
     2. 누설지시계영역
     3. 응답시간
     4. 감도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감도란, 검출기가 인식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누설량=크기(최소 탐지 가능량)을 의미합니다.
감도가 높을수록 더 작은 누설도 감지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3. 다음 중 누설검사를 실시할 때 표준시험편을 사용하는 목적이 아닌 것은?
     1. 누설시험기의 감도 측정
     2. 누설부의 크기 측정
     3. 누설부의 위치 표시
     4. 탐상 속도 결정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표준시험편이 수행하는 기능]
검출기의 감도 보정
시험 환경의 재현성 확인
운용 조건 설정(속도, 거리 등)
누설량의 상대 정량 비교 기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4. 다음 중 용기에 저장된 할로겐가스 최대압력을 결정하는 가장 큰 변수는?
     1. 용기의 온도
     2. 용기의 부피
     3. 용기의 형상
     4. 대기압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용기가 일정한 부피 내에서 액체 + 증기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 내부 압력은 거의 온도에 의해서만 결정됩니다.
이는 냉매, 액화가스(LPG 등)의 저장 특성으로, 온도만 알면 압력을 예측할 수 있는 성질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5. 일정한 온도에서 3ft3인 용기에 30ft3의 공기를 추가시켰을 때 압력은? (단, 공기를 추가하기전의 용기내 압력은 15psia로 가정한다.)
     1. 165 psia
     2. 145 psia
     3. 125 psia
     4. 105 psia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공기 30 ft3를 3 ft3 공간에 넣는다는 건 압력비가 10배라는 의미.
30 ft3→3 ft3= ×10 배 압축⇒압력 증가=10배×15psia=150 psia
(→) 여기에 기존 압력 15 psia가 이미 있었으므로 더해지면
150+15=165 psia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6. 기포누설시험용으로 쓸 안전한 알루미늄 재질의 진공박스에 유리창을 달려고 한다. 설계 압력(kPa) 및 재질 기준을 충족시키는 것은?
     1. 압력 55, 강화된 판유리(tempered plate glass)
     2. 압력 55, 자동 안전유리(auto safety glass)
     3. 압력 103, 자동 안전유리(auto safety glass)
     4. 압력 103, 강화된 판유리(tempered plate glass)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1.진공박스 내부를 감압하여 시험체 바깥에서 기포가 올라오는지 확인
따라서 내부 압력은 대기압보다 낮음
→ 즉, 외부 대기압(약 101.3 kPa)이 박스 표면에 작용.
설계압력은 최소 1 atm ≈ 101.3 kPa 이상이어야 안전

2.Tempered Plate Glass (강화 유리):일반 유리에 비해 4~5배 이상 강도 우수, 파손 시 파편 위험 적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7. 다음 중 누설률을 나타내는 단위가 아닌 것은?
     1. torr.ℓ/s
     2. atm.cm3/s
     3. std.cm3/s
     4. Lb/in2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Lb/in2는 단순 압력 단위이며 누설률 단위가 아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8. 헬륨질량분석기 누설검사에서 감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은?
     1. 추적기체 유입 호스의 길이를 증가시킨다.
     2. 프로브의 주사속도를 증가시킨다.
     3. 프로브와 시험편 표면과의 거리를 증가시킨다.
     4. 공기 중 헬륨농도를 감소시키고 용기 내 압력을 증가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1.질량분석기의 오작동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주변 공기(배경)에 이미 헬륨이 섞여 있는 경우입니다.
배경농도가 높으면 누설로 인한 농도 변화가 상대적으로 작아 감지 신호가 흐려짐
-헬륨 백그라운드를 낮추면 감도 향상

2.용기 내 압력을 증가시킨다
시험편 내부 압력이 높을수록 누설 시 헬륨의 누출 유량이 증가
-검출기로 유입되는 헬륨량 증가 → 감지 용이 → 감도 향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9. 대기 중으로 누설하는 시스템을 누설검사할 때 감도가 가장 높은 것부터 낮은 순서로 바르게 연결된 것은?
     1. 방사성추적자 - 헬륨질량분석기 - 거품검사 - 압력측정
     2. 방사성추적자 - 헬륨질량분석기 - 압력측정 - 거품검사
     3. 헬륨질량분석기 - 방사성추적자 - 거품검사 - 압력측정
     4. 방사성추적자 - 거품검사 - 헬륨질량분석기 - 압력측정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방사성 추적자법 (Radioisotope Tracer) 10-9 ~ 10-12 atm·cc/sec
2.헬륨질량분석기법 (MSLD) 10-6 ~ 10-9 atm·cc/sec
3.기포누설검사 (Bubble Test) ~10-3 ~ 10-5 atm·cc/sec
4.압력강하법 (Pressure Drop) ~10-2 ~ 10-3 atm·cc/sec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0. 주위의 온도가 상승할 때 할로겐 냉매가스로 채워진 용기의 최대압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증가한다.
     2. 변하지 않는다.
     3. 감소한다.
     4. 온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온도 상승 → 포화 증기압 상승]
냉매가 액상과 기상으로 공존하고 있을 경우, 압력은 기체의 포화 증기압(Saturation Vapor Pressure)에 의해 결정.
온도가 상승하면 증기압도 증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과목 : 누설검사 시험


41. 가열 양극 할로겐 검출기에서 양이온 방출의 특성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양이온 방출은 방출 표면으로부터의 재질 손실을 의미한다.
     2. 백금과 세라믹 재질은 약간의 산화와 증발손실이 있으면 가열상태에서 이용할 수 없다.
     3. 이온방출 비는 온도, 면적, 표면의 형태, 순도 등에 의존한다.
     4. 안정된 이온의 방출은 할라이드 기체가 전극 표면에 접촉될 때 크게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백금(Platinum)은 고온 안정성, 내산화성, 낮은 증발률 등의 특성으로 인해 센서 필라멘트 재료로 널리 사용.
세라믹(특히 산화알루미늄, 알루미나, Al2O3 등) 역시 고온 안정성이 뛰어나고, 전기 절연성이 좋아 전극 지지체 등으로 사용.
약간의 산화, 증발은 있을 수 있으나 검출기 동작 조건에서 충분히 안정하게 사용 가능.
오히려 “고온에서도 안정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선택되는 재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2. 헬륨질량분석(추적자 프로브) 시험에서 보조 장비가 아닌 것은?
     1. 변압기
     2. 추적자프로브
     3. 변조기
     4. 매니폴드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변조기(modulator)는 일반적으로 전자파, 신호처리, 레이저, 통신 등에서 사용하는 장치로,
헬륨 질량분석기의 구성이나 누설시험 장비에는 포함되지 않는 장비.

주파수의 싸이클 모양 아시죠? 그 모양의 변조등과 관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3. 작은 누설을 탐지하기 위한 검사액의 조건은?
     1. 휘발성이 높아 검사 후 잔류물이 없어야 한다.
     2. 두꺼운 발포액막을 형성해야 한다.
     3. 점도가 높아 부착성이 좋아야 한다.
     4. 검사 부위의 기포형성이 없어야 하고 누설부위에서 연속적인 기포를 형성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작은 누설을 잘 보기 위해 필요한 조건]
불필요한 거품(foam)이 형성되지 않아야 함 → 작은 누설이 감춰질 수 있음
누설 부위에서만 선명한 기포가 생성되어야 함
기포는 연속적이고 일정한 속도로 나오는 특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4. 기포누설시험에서 누설률의 단위는?
     1. N/m2
     2. Pa·m3/s
     3. std·cm3/s2
     4. kg/m·s2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1. N/m2 압력 단위 (Pa) 누설률 아님
2. Pa·m3/s 압력×부피/시간 = 누설률 단위
3. std·cm3/s2시간 제곱 분모 → 가속도 형태, 의미 없음
4. kg/m·s2 힘/길이 단위 = N/m → 압력 해석 불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5. 100kPa의 게이지 압력으로 시험되어지는 용기 내에 10% 헬륨 추적가스를 이용하여 가압하였다면 이 때 헬륨분압은 몇 kPa인가? (단, 대기압은 100kPa이다.)
     1. 10kPa
     2. 20kPa
     3. 40 kPa
     4. 60 kPa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헬륨 분압=(게이지압+대기압)×헬륨 농도
헬륨 분압=(100+100)×0.10=200×0.10= 20 kPa​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6. 가압법에 의한 누설검사 기법 중 시험강도가 가장 높은 방법은?
     1. 전자포획법
     2. 질량분석기법
     3. 침적기포누설법
     4. 액체추적자법

     정답 : []
     정답률 : 58%

47. 헬륨의 공기 중 존재량은 얼마 정도인가?
     1. 약 0.4ppm
     2. 약 4ppm
     3. 약 40ppm
     4. 약 400ppm

     정답 : []
     정답률 : 62%

48. 보일의 법칙을 이용한 게이지는?
     1. 열전대 게이지
     2. 맥리오드 게이지
     3. 피라니 게이지
     4. 알파트론 게이지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1. 열전대 게이지 열전대 이용, 전도율 기반 기체의 열전도율에 따라 측정
2. 맥리오드 게이지 보일의 법칙 기반, 부피-압력 관계
3. 피라니 게이지 가열 필라멘트 + 열전도율 저진공 측정에 주로 사용
4. 알파트론(Alphatron) 이온화 비율 기반 고진공용, 방사선 기반 측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9. 할로겐 다이오드 스니퍼 누설검사법의 하나인 전자포획법에서 사용되는 전자발생원은?
     1. 헬륨
     2. 불소
     3. 트리튬
     4. 요오드

     정답 : []
     정답률 : 54%

50. 누설시험에서 발포액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1. 표면장력이 작을 것
     2. 점도가 높을 것
     3. 적심성이 좋을 것
     4. 발포액 자체에 거품이 없을 것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점도가 높으면 액막이 두껍고 무거워져서 기포가 생성되기 어렵고, 작은 기체 누설이 막혀 기포가 형성되지 않음
특히 미세 누설 탐지 시에는 점도가 낮고, 균일하게 퍼지는 성질이 중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1. 기포누설검사에 사용하는 일반적인 기포형성 용액의 특성이 바르게 기술된 것은?
     1. 비누용액은 염소나 불소와 같은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2. 세제는 미세 누설을 막을 염려가 없어 널리 사용된다.
     3. 알카리성 용액은 특히 스테인리스 스틸이나 티타늄 합금에서 부식을 유발하므로 적절하지 못하다.
     4. 중성세제는 기포 형성이 잘 이루어지며 안정하다.

     정답 : []
     정답률 : 59%

52. 결함의 종류에 따른 검출 방법으로 가장 옳게 연결된 비파괴검사 방법은?
     1. 관통결함 : 자분탐상검사, 누설검사
     2. 표면결함 : 누설검사, 침투탐상검사
     3. 관통결함 : 누설검사, 음향누설검사
     4. 표면결함 : 자분탐상검사, 누설검사

     정답 : []
     정답률 : 77%

53. 기포누설검사-진공상자법으로 누설검사를 할 때 관심부위에 정지상태의 기포가 나타났을 경우 적절한 조치 방법은?
     1. 크기를 측정하고 이 지시를 누설로 기록한다.
     2. 정지상태의 기포이므로 관심부위의 누설은 없는 것으로 한다.
     3. 연속적인 기포가 생길 때까지 재검사한다.
     4. 검사부위를 깨끗이 한 후 의사지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재검사한다.

     정답 : []
     정답률 : 94%

54. 최초 시스템 온도와 압력은 27℃와 100psi이고, 최종 시스템 온도는 57℃일 때 누설에 의한 압력 변화를 측정할 수 없다면 최종 시스템의 압력은 몇 psi인가?
     1. 80
     2. 110
     3. 180
     4. 250

     정답 : []
     정답률 : 67%

55. 실제기체를 나타내는 이온은?
     1. 반델바스 상태 방정식
     2. 열역학 제1법칙
     3. 아보가드로의 법칙
     4. 돌턴의 분압법칙

     정답 : []
     정답률 : 62%

56. 기포누설시험에서 감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누설을 통과하는 기체의 양을 감소시킨다.
     2. 기포형성시간을 증진시킨다.
     3. 관찰시간을 증진시킨다.
     4. 기포방출을 관찰하기 위한 조건을 개선한다.

     정답 : []
     정답률 : 82%

57. 누설을 통한 기체유동의 형태 중 대기압 이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동형태가 아닌 것은
     1. 와류유동
     2. 층상유동
     3. 천이유동
     4. 분자유동

     정답 : []
     정답률 : 59%

58. 헬륨질량분석기 시험에서 시험체 내부에 헬륨 추적가스를 적용하는 시험법이 아닌 것은?
     1. 흡인법
     2. 추적프로브법
     3. 검출프로브법
     4. 가압적분법

     정답 : []
     정답률 : 35%

59. 누설 검출기 감도(sensitivity)의 뜻이 아닌 것은?
     1. 누설시험 시스템에 걸린 압력과는 관계없음
     2. 지정된 누설시험 조건에서 검출된 누설량
     3. 최소 측정 가능한 추적자 가스의 농도 또는 이동률(flow rate)의 정도
     4. 검출기 속으로 유입될 추적자 가스의 최소 검출 가능 분자 수효

     정답 : []
     정답률 : 40%

60. 헬륨질량분석기를 사용하여 누설을 검출하였을 때 누설을 전기적 신호로 변화시키는 역할르 하는 것은 어는 것인가?
     1. 헬륨 양이온
     2. 헬륨 음이온
     3. 헬륨 중성자
     4. 헬륨 분자

     정답 : []
     정답률 : 67%

61.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V Art. 10)에 사용되는 게이지는 교정용 게이지와 비교하여 교정한다. 다음 중 교정용 게이지가 아닌 것은?
     1. 표준 저하중 시험기(standard deadweight tester)
     2. 마스터 게이지(calibrated master gage)
     3. 기록형 게이지(recording gage)
     4. 수은주(mercury column)

     정답 : []
     정답률 : 71%

62.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V Art. 10)에 의한 진공상자를 사용한 누설검사에서 지시의 평가로 옳은 것은?
     1. 연속된 지시가 없으면 합격
     2. 조그만 지시가 나타나면 합격
     3. 거짓지시가 나타난 경우 불합격
     4. 의사지시가 나타난 경우 불합격

     정답 : []
     정답률 : 74%

63. 보일러 및 압력용기(ASME Sec.Ⅷ Divt. 1)에 대한 공기압 시험에서 시험압력으로 적절한 것은?
     1. 최대 허용 사용압력의 1.125배
     2. 최대 허용 사용압력의 1.25배
     3. 최대 허용 사용압력의 1.5배
     4. 최대 허용 사용압력의 2배

     정답 : []
     정답률 : 87%

64. 강제 석유저장 탱크의 구조(KS B 6225)에 의한 강제 석유저장탱크의 밑판, 애뉼러 플레이트의 용접부는 진공에서 누설시험을 실시한다. 이 때 압력은 대기압보다 최소한 몇 kPa 낮은 값으로 하는가?
     1. 15.3
     2. 23.3
     3. 35.3
     4. 53.3

     정답 : []
     정답률 : 77%

65. 강제 석유저장 탱크의 구조(KS B 6225)에서 기록을 정리하여 작성할 때 포함하지 않아도 되는 비파괴시험법은?
     1. 방사선투과시험
     2. 초음파탐상시험
     3. 누설탐상시험
     4. 와전류탐상시험

     정답 : []
     정답률 : 69%

66. 질량분석계형 누출 탐지기 교정방식 통칙(KS A 0083) 중 시험에 사용하는 교정 누출량의 오차 범위는?
     1. ±1%
     2. ±2.5%
     3. ±3%
     4. ±5%

     정답 : []
     정답률 : 69%

67. [보기]의 ( )안에 알맞은 내용과 숫자로 옳은 것은?

    

     1. 항복점, 90
     2. 항복점, 120
     3. 인장응력, 90
     4. 인장응력, 120

     정답 : []
     정답률 : 77%

68.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V Art. 10 App. Ⅱ)에 규정된 진공상자(vacuum box)를 이용한 누설검사법에서 발포성 용액의 적용 방법이 아닌 것은?
     1. 흘림(flowing)
     2. 분무(spraying)
     3. 솔질(brushing)
     4. 침적(Immersion)

     정답 : []
     정답률 : 80%

69. 질량분석계형 누출 탐지기 교정방식 통칙(KS D 0083)에서 교정을 위한 시험 분위기 압력은?
     1. 100kPa±5%
     2. 100kPa±7.5%
     3. 100kPa±10%
     4. 100kPa±12.5%

     정답 : []
     정답률 : 79%

70. 질량분석계형 누출 탐지기 교정방식 통칙(KS D 0083)에서 교정을 위함 시험분위기 온도로 옳은 것은?
     1. 13±7℃
     2. 23±7℃
     3. 15±5℃
     4. 25±5℃

     정답 : []
     정답률 : 67%

71. 질량분석계형 누출 탐지기 교정방식 통칙(KS D 0083)에 따라 최소 가검 농도의 측정에서 분위기 공기와 혼합되는 헬륨(He)의 최소량은?
     1. 1ppm이상
     2. 2ppm이상
     3. 3ppm이상
     4. 5ppm이상

     정답 : []
     정답률 : 62%

72. 강제 석유저장 탱크의 구조(KS B 6225)에서 물 채우기 시험 시 밑판 전면에 걸친 침하나 변형을 조사해야 하는 시기로 올바른 것은?
     1. 물 채우기 전
     2. 물 채우기 중
     3. 최고수위 유지시간 중
     4. 물 빼기 한 후

     정답 : []
     정답률 : 67%

73. 다관 원통형 열교환기(KS B 6230)의 관대 보강판 용접부에 발포체를 사용하여 누설을 조사할 경우의 압력은 얼마 이하이어야 하는가?
     1. 0.2MPa 이하의 공기압
     2. 0.4MPa 이하의 공기압
     3. 0.6MPa 이하의 공기압
     4. 0.8MPa 이하의 공기압

     정답 : []
     정답률 : 84%

74.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V Art. 10 App. Ⅱ)에 따른 기포누설시험의 누설지시로 볼 수 없는 것은?
     1. 하나의 기포가 연속적으로 성장한다.
     2. 다수의 기포가 연속해서 발생하여 성장한다.
     3. 하나의 기포가 연속적으로 성장하다가 터진다.
     4. 하나의 기포가 발생되었으나 성장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78%

75. 다관 원통형 열교환기(KS B 6230)에서 AES형 열교환기에서 대해 수압시험을 하는데 있어 동체 쪽의 압력이 관 쪽보다 높거나 같을 경우의 시험순서는?
     1. 관쪽시험 - 동체뚜껑시험 - 동체쪽 시험
     2. 동체쪽 시험 - 관쪽시험 - 동체뚜껑시험
     3. 동체뚜껑시험 - 동체쪽 시험 - 관쪽시험
     4. 동체쪽 시험 - 동체뚜껑시험 - 관쪽시험

     정답 : []
     정답률 : 75%

76. 강제 석유저장 탱크의 구조(KS B 6225)에 의해 저장탱크의 밑판을 진공누설시험 할 때 압력 기준은? (단, 대기압은 760mmHg이다.)
     1. 360mmHg
     2. 460mmHg
     3. 560mmHg
     4. 660mmHg

     정답 : []
     정답률 : 67%

77.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V Art. 10)의 헬륨질량분석 시험법-추적자 프로브법에서 모세관 누설표준을 따를 때 최대 헬륨누설률은?
     1. 1×10-3Pa·m3/sec
     2. 1×10-4Pa·m3/sec
     3. 1×10-5Pa·m3/sec
     4. 1×10-6Pa·m3/sec

     정답 : []
     정답률 : 57%

78. 질량분석계형 누출 탐지기 교정방식 통칙(KS D 0083)의 시험조건 중 최소 가검 누출량 측정에 사용되는 헬륨(He)의 최소 순도는?
     1. 97.5%
     2. 98%
     3. 99%
     4. 99.5%

     정답 : []
     정답률 : 77%

79. 강제 석유저장 탱크의 구조(KS B 6225)에서 몸통의 물 채우기 시험 시에 옆판 이음에 결함이 발견되었을 때에는 수면을 결함부에서 얼마 이상 내려서 보수하고 결함이 없음을 확인하고 물 채우기 시험을 하는가?
     1. 100mm
     2. 200mm
     3. 300mm
     4. 400mm

     정답 : []
     정답률 : 65%

80.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V Art. 10)에서 할로겐 누설시험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추적기체는 C2H2F4가 권고되고 있다.
     2. 가열 양극 할로겐 검출기가 사용된다.
     3. 이 검사법은 정량적인 검사로 간주된다.
     4. 할로겐 증기는 양극에서 이온화 된다.

     정답 : []
     정답률 : 65%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누설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9월20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158 와전류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5월07일(12210)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4157 와전류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4월28일(12211)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4156 와전류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27일(12212)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4155 일반기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5월09일(12213)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4154 일반기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9월05일(12214)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4153 전기철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5월11일(12215)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4152 농작업안전보건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9월21일(12216)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4151 농작업안전보건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12월22일(12217)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4150 승강기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3월06일(12218)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4149 누설비파괴검사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5월23일(12219)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4148 누설비파괴검사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5월29일(12220)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4147 누설비파괴검사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6월12일(12221)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4146 누설비파괴검사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6월02일(12222)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 누설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9월20일(12223)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4144 임산가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8월26일(12224)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4143 임산가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8월19일(12225)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4142 9급 국가직 공무원 컴퓨터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10월21일(12226)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4141 조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3월04일(12227)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4140 누설비파괴검사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5월25일(12228)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4139 누설비파괴검사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5월11일(12229)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Board Pagination Prev 1 ... 571 572 573 574 575 576 577 578 579 580 ... 783 Next
/ 7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