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누설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5월25일(12230)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누설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비파괴검사 개론


1. 다음 중 빛의 강도를 나타내는 단위는?
     1. m2/s
     2. W/m2
     3. N/m2
     4. ppm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W/m2(와트 퍼 제곱미터)는 단위 면적당 복사 에너지 또는 빛의 강도(조도)를 나타내는 단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 자분탐상시험, 침투탐상시험, 와전류탐상시험과 비교하여 방사선투과시험의 주요 장점이 아닌 것은?
     1. 주로 내부 결함의 검출에 이용된다.
     2. 시험체 재질의 밀도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3. 검사 결과를 반영구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4. 작업자가 쉽게 시험체에 접근하여 측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방사선은 유해하므로 검사 시 작업자의 접근이 제한되며 엄격한 안전조치가 필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잔류응력을 비파괴적으로 측정이 가능한 응력·변형률 측정방법은?
     1. 광탄성 피막법
     2. 응력 도료막법
     3. 홀로그래피법
     4. 자기스트레인 응력 측정법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자기스트레인 응력 측정법(Magnetic Strain Stress Measurement)은
자성체의 자성 특성 변화를 이용하여 잔류응력을 비파괴적으로 측정하는 방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 비파괴검사 중 육안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육안검사는 시험체에 가장 먼저 적용하는 검사법이다.
     2. 육안검사는 표면결함 및 내부결함을 검출 가능하다.
     3. 육안 검사자는 근거리 시력이 좋으면 색맹이어도 지장이 없다.
     4. 눈의 분해능은 강하며 항상 일정하다.

     정답 : []
     정답률 : 84%

5. 비파괴검사 중 와전류탐상시험으로 검출이 용이한 것은?
     1. 유리판의 표면 결함
     2. 금속판의 열처리 상태
     3. 유리봉의 표층부 결함
     4. 플라스틱판의 표층부 결함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와전류탐상시험(ET)은 도전성 재료, 특히 금속에 고주파 전류를 유도해 결함, 두께, 재질 변화 등을 검출하는 방법입니다.
열처리 상태에 따라 금속의 전기적·자기적 특성이 달라지므로 와전류 반응도 달라집니다.
비금속(유리, 플라스틱)은 도전성이 없어 ET 적용 불가 → 1, 3, 4번 모두 오답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 입자분산강화금속(PSM)의 제조방법이 아닌 것은?
     1. 내부산화법
     2. 열분해법
     3. 용융체 포화법
     4. 풀몰드 주조법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풀몰드 주조법 (Full Mold Casting):
발포 폴리스티렌 모형을 이용한 일반 주조 공정
입자 분산이나 미세 강화 목적이 아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 로크웰 경도시험에서 압입자의 각도는 얼마인가?
     1. 60도
     2. 120도
     3. 136도
     4. 145도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로크웰 경도시험에서 사용하는 압입자 중 다이아몬드 원추형 압입자(브레일 타입)는
120도 각도의 원뿔 형태.
136도: 비커스 경도시험에서 정사면체 다이아몬드 압입자의 각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 마그네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산에 침식된다.
     2. 비중은 3.74이다.
     3. 용융점은 약 650℃이다.
     4. 조밀육방격자 금속이다.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비중은 약 1.74 → X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과 그에 따른 명칭이 틀린 것은?
     1. 실루민(Silumin) : Al-Mg계 합금
     2. 라우탈(Lautal) : Al-Si-Cu계 합금
     3. 두랄루민(Duralumin) : Al-Cu-Mg-Mn계 합금
     4. 하이드로날륨(Hydronalium) : Al-Mg계 합금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실루민(Silumin): Al-Si계 합금 → 주조성이 우수하고 경량, 실린더 헤드, 피스톤 등에 사용
라우탈(Lautal): Al-Si-Cu계 합금 → 우수한 기계적 성질과 주조성
두랄루민(Duralumin): Al-Cu-Mg-Mn계 합금 → 고강도, 주로 항공기 구조재
하이드로날륨(Hydronalium): Al-Mg계 합금 → 내식성이 우수하여 선박재 등에 사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 Fe-C계 합금상태도에서 펄라이트(pearlite)가 형성되는 반응은?
     1. 공석반응
     2. 편석반응
     3. 공정반응
     4. 포정반응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Fe-C 상태도 상에서
727℃ (또는 약 723℃)에서 0.76wt%C 조성의 오스테나이트(γ)가 식으면서
→ 펄라이트(pearlite)라는 층상조직으로 분해
반응식:
γ (Austenite) → α (Ferrite) + Fe3C (Cementite)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 강의 조직 중에서 가장 큰 팽창을 하는 것은?
     1. 펄라이트(Pearlite)
     2. 소르바이트(Sorbite)
     3. 마텐자이트(Martensite)
     4. 오스테나이트(Austenite)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급냉(담금질) 과정에서 오스테나이트가 확산 없이 고체 상태로 변형된 과포화 고체용액.
[BCT, body-centered tetragonal] 구조를 가지며,
탄소가 강제로 억지로 들어가 있는 구조이므로 격자 부피가 커짐 → 팽창 발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2. 주철에서 흑연화를 방해하는 원소는?
     1. Si
     2. Co
     3. Ni
     4. Cr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주철에서 흑연화란, 탄소가 자유 흑연 형태로 석출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 과정은 기계적 성질 및 가공성에 영향을 미치며, 특정 합금원소는 이를 촉진 또는 억제한다.
Si, Ni 등은 흑연화 촉진원소이며, Cr(크롬)은 시멘타이트를 안정화시켜 흑연화 방해 작용을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3. 가공용 알루미늄 합금 중 4000 번대는 어느 합금계 인가?
     1. Al-Cu계
     2. Al-Mn계
     3. Al-Si계
     4. Al-Mg계

     정답 : []
     정답률 : 50%

14. 다음 중 감쇄능이 가장 우수한 재료는?
     1. 주강
     2. 금형강
     3. 공구강
     4. 회주철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1.감쇄능(Damping Capacity) 정의
외부로부터 가해진 진동, 충격, 소리 에너지를 재료 내부에서 흡수하고 소산시키는 능력.
일반적으로 탄성계수가 낮고, 내부 마찰이 높은 재료일수록 감쇄능이 높다.

2.회주철의 감쇄능 우수 이유
회주철은 조직 내에 흑연이 편상(flake) 구조로 존재합니다.
이 흑연이 응력 집중과 미세 슬립을 일으켜,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
따라서, 기계 베드, 엔진 블록, 방진 구조물 등에 널리 사용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5. 정련구리 중 보기와 같은 반응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은?

    

     1. 열간균열
     2. 템퍼칼러
     3. 수소취성
     4. 구리의 산화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이 반응은 고온에서 내부 Cu2O(산화동)와 수소가 반응하여 수증기(H2O)를 생성합니다.
이때 생성된 수증기는 구리 결정립계 내부에서 압력을 형성하고, 결국 균열을 일으킵니다.
이 현상이 바로 구리의 수소취성(hydrogen embrittlement of copper)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6. 피복아크 용접에서 용접봉의 용융속도를 가장 적합하게 나타낸 것은?
     1. 단위 시간당 소비되는 용접봉의 길이 또는 무게
     2. 단위 시간당 용착되는 용착금속의 총중량
     3. 1시간당 소비되는 용접봉의 무게
     4. 1일에 소비되는 용접봉의 총 중량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용융속도란?
아크열에 의해 일정 시간 동안 용해되는 용접봉의 양을 의미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7. 용접봉의 종류 기호 중 고산화티탄계를 나타내는 것은?
     1. 4301
     2. 4311
     3. 4313
     4. 4316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4301 일미나이트계
4311        고셀룰로오스계
4316 저수소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8. 피복아크 용접봉에 사용되는 피복제 성분 중 아크 안정의 기능을 가지는 것은?
     1. 페로크롬
     2. 페로망간
     3. 산화니켈
     4. 규산칼륨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알칼리 금속 성분(특히 K)은 아크 플라즈마에서 전자의 방출성과 이온화 특성이 뛰어남.
이로 인해 아크를 부드럽고 지속성 있게 유지해 주는 역할을 하며,
동시에 피복재 내의 각 성분들을 결합시키는 바인더(binder) 역할도 겸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9. 다음 중 자분탐상 검사를 할 수 없는 금속판은?
     1. 연강판
     2. 니켈(Ni)판
     3. 코발트(Co)판
     4.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정답 : []
     정답률 : 83%

20. 아크 용접에서 용접입열 30000 J/cm, 용접전압이 40V, 용접전류 125A 일 때 용접속도는 몇 cm/min인가?
     1. 10
     2. 20
     3. 30
     4. 40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용접속도=(60*V*A)/용접입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과목 : 누설검사 원리


21. 헬륨 표준누설이 3×10-7 Pa·m3/s, 출력신호는 100 division, 지시눈금 당 20의 누설률을 가질 때 감도는 몇 [Pa·m3/s/div]인가?
     1. 3×10-5
     2. 7×10-7
     3. 6×10-8
     4. 1.5×10-10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3×10^-7) / (100*2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2. 시험체 내부의 가스 압력과 침적조에서 시험품의 가장 깊은 쪽에서의 최소 압력 차이는?
     1. 100 kPa
     2. 150 kPa
     3. 200 kPa
     4. 250 kPa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KS
“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 침지법의 적용 시, 시험체 내부의 기체 압력과
침지탱크에서 시험체의 가장 깊은 쪽에서의 압력차이가 최소 100kPa (15psi) 정도가 되어야 한다.”
2.ASME Sec. V, Article 10
“시험체 내부 압력은, 시험체에서 가장 깊은 수심 위치의 외압보다 최소 200 kPa 이상 높아야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3. 미국 방화 협회(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의 규정에 따른 인화성 액체(Flammable Liquids)의 정의는?
     1. 인화점이 40℃이하인 액체
     2. 인화점이 60℃이하인 액체
     3. 인화점이 80℃이하인 액체
     4. 인화점이 100℃이하인 액체

     정답 : []
     정답률 : 53%

24. 압력용기의 내부온도가 27℃이다. 온도 1℃ 증가할 때 절대압력의 변동 폭은?
     1. 6%
     2. 3%
     3. 0.3%
     4. 10%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1K(섭씨1도상승은 화씨1도상승과 동일하므로) / (273+23)K=0.333333333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5. 누설시험에서 “Out-gassing”의 정의는?
     1. 기체의 노출
     2. 기체의 방출 과정
     3. 한 시스템을 배기 할 때 기체 입자의 방출로서 배기를 돕는 과정
     4. 한 기체 입자가 물질의 표면을 떠나 진공이 된 어떤 체적의 공간으로 이동하는 한 과정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ASTM E595 기준 등
Outgassing:
“A process by which gas molecules desorb from the surface of a material into a vacuum environment.”
→ 즉, 흡착 또는 함침되어 있던 기체분자가 표면에서 떨어져 나오며 진공 공간으로 확산되는 과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6. 누설시험에 사용하는 진공펌프 중에서 기계식 회전펌프는 계의 압력이 얼마일 때 주로 사용하는가?
     1. 100 kPa ~ 1 kPa
     2. 1000 kPa ~ 100 Pa
     3. 100 Pa ~ 0.1 Pa
     4. 0.1 Pa ~ 0.001 Pa

     정답 :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대기압(약 101.3 kPa)에서 작동을 시작하여, 저진공 상태=0.1kPa(rough vacuum)까지 1차 배기용(primary pump)으로 사용됩니다.

그러므로 정답이 3번이 될려면 단위가 Pa->kPa가 되어야 가능.[문제 복원 오타인듯???]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Pa가 맞습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27. 기포누설시험을 위해 시험체를 가압할 때 최대 허용압력을 초과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것은?
     1. 발포액이 폭발한다.
     2. 의사 누설지시가 나타난다.
     3. 시험체가 파손된다.
     4. 정상적인 누설지시가 나타난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내부 압력이 지나치게 크면 시험체의 기계적 한계(허용 응력, 허용 압력)를 넘게 되어 기계적 파손이 발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8. 누설검사방법 중에서 가시적인 지시를 시험체의 외부표면에서 직접 파악할 수 있는 것은?
     1. 기포누설시험
     2. 진공누설시험
     3. 할로겐누설시험
     4. 질량분석시험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지시(indication)가 “기포”라는 시각적 형태로 나타나며, 시험체 외부 표면에서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한 대표적인 비파괴 누설검사 방법
그외는 검출장비등이 추가로 필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9. 기포 진공상자법에서 지시의 관찰을 위해서 시험표면과 눈의 각도가 수직에서 얼마를 벗어나면 안되는가?
     1. 15°
     2. 30°
     3. 45°
     4. 60°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KS 및 ASME Sec. V 규정 내용 상 수직 기준 ±30° 이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0. 헬륨질량분석 누설시험에서 추적자 가스로 헬륨을 쓰는 이유는?
     1. 취급이 간편하므로
     2. 질량이 매우 낮고 불활성 기체이므로
     3. 대기의 공기 중에서 천연적으로 많이 섞여 있어 저렴하므로
     4. 무해하고 측정이 용이하므로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질량이 작고, 비활성 기체로 질량분석기에서 명확한 신호 제공
헬륨은 가볍고, 화학적으로 안정적이며, 미량 누설 검출에 적합
분자량이 작으므로 작은 누설도 정확하게 탐지 가능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1. 절대 압력이 10-3 ~ 10-1 torr 범위의 배기된 시스템을 진공유지시험법(Vacuum retention test technique)으로 시험하려고 한다. 압력변화측정으로 그 시스템의 총누설률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인자들의 조합은?
     1. 온도, 시간, 절대 압력, 그리고 내부 체적
     2. 시간, 게이지 압력, 이슬점 그리고 내부 체적
     3. 온도, 절대 압력, 시간 그리고 시험체의 표면적
     4. 게이지 압력, 온도, 이슬점 그리고 시험 체적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Q=(T/V)*(dt/dP)
Q : 총 누설률 [Pa·m3/s 또는 torr·L/s 등]
V : 내부 체적
T : 온도 (고정 시 무차원화 가능)
dP/dt : 압력 변화율 (단위 시간당 압력 증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2. 할로겐 다이오드 검출기에 추적자 할로겐 가스가 닿았을 때, 검출기 소자에서 일어나는 현상은?
     1. 양이온들의 증가
     2. 음이온들의 증가
     3. 양이온들의 감소
     4. 음이온들의 감소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할로겐 다이오드 검출기의 동작 원리
검출기 내부에는 센서(heated diode sensor)가 있으며,
여기에 할로겐계 가스가 접촉하면,가스가 분해되며 할로겐 원자(Cl, F 등)가 센서 표면에서 반응
이때 발생하는 반응으로 인해 센서에서 방출되는 양이온(positive ions)의 양이 증가하며,이 변화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누설을 감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3. 할로겐 누설시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가열양극 할로겐 누설검출기는 폭발성 대기에서 사용해서는 안 된다.
     2. 기포 누설시험은 할로겐 누설시험 전에 실시해야 한다.
     3. 수압시험은 할로겐 스니퍼 누설시험 전에 실시해야 한다.
     4. 할로겐 성분이 있는 재료들이 시험지역에 없도록 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할로겐 스니퍼법은 건식 조건에서 사용되는 시험법이며, 수분이나 수압시험 직후에는 적합하지 않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4. 헬륨누설검출기에서 응답시간은 추적가스가 공급되어질 때 얻어진 최대신호의 몇 [%]와 동등한 출력신호를 갖는 누설시험 시스템이나 누설검출기가 갖는 시간을 의미하는가?
     1. 33%
     2. 43%
     3. 53%
     4. 63%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ISO 20485, ASTM E1605 등
“응답시간(response time)이란, 최대 출력 신호의 63%에 해당하는 값에 최초로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5. 헬륨질량분석 누설시험에서 진공후드법으로 검사할 때 펌프의 배기속도가 63000 ℓ/s 이고 시험체의 용적이 15000m3이라면 응답시간은 약 얼마인가?
     1. 1분 28초
     2. 2분 38초
     3. 3분 58초
     4. 4분 20초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τ(응답시간)=S/V
63000 ℓ/s=63m3(왜냐하면 1m3=1000 ℓ)
그러므로 단위를 맞춘후 응답시간=63m3/15000m3=238s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6. 기체의 평균자유행정(mean free path)이 누설의 직경과 거의 같을 때 일어나는 유동은?
     1. 점성유동(viscous flow)
     2. 천이유동(transitoon flow)
     3. 분자유동(molecular flow)
     4. 층상유동(laminar flow)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기체의 평균자유행정(mean free path)=λ, 직경=d
λ≪d, 점성유동 (Viscous flow)
λ≈d, 천이유동 (Transition flow)
λ≫d, 분자유동 (Molecular flow)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7. 할로겐 추적가스를 이용한 누설검사의 할로겐족 원소가 아닌 것은?
     1. 염소(Cl)
     2. 탄소(C)
     3. 요오드(I)
     4. 불소(F)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할로겐족: F, Cl, Br, I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8. 가압누설시험하는 기기는 설계압력의 몇 [%]를 초과하는 압력에서 검사를 하면 안되는가?
     1. 25%
     2. 50%
     3. 75%
     4. 100%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KS B ISO 20485, ASME Sec. V 및 국내 누설시험 지침 등에서는 다음과 같이 규정:
“가압 누설시험 시 시험 압력은 기기의 설계압력의 1.25배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9. 플라스틱 고무 주위에 할로겐 다이오드법으로 누설시험을 실시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현상은?
     1. 플라스틱이나 고무가 용해될 우려가 있다.
     2. 플라스틱이나 고무에 할로겐가스가 흡착되어 의사지시를 발생할 수 있다.
     3. 폭발이 발생할 수 있다.
     4. 고강도 장비를 이용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플라스틱·고무 재질이 문제를 일으키는 이유
고분자 재료(예: 고무, PVC, 실리콘 등)는 할로겐가스를 흡수하거나 흡착하는 성질이 있어,
시간이 지나면서 이를 서서히 방출(out-gassing)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검출기에 의해 누설로 오인될 수 있는 허위 신호(의사 지시, false indication)가 발생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0. 입자의 흐름이 직선인 형태의 누설흐름은?
     1. 분자흐름(Molecular Flow)
     2. 천이흐름(Transitonal Flow)
     3. 층류(Laminar Flow)
     4. 투과(Permeation)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결함의 종류중 라미네이션의 형태를 생각해보면 연결이 될듯하네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과목 : 누설검사 시험


41. 안전성이 좋고 경제적인 기체로 누설검사에서 일반적인 가압기체로 사용되는 것은?
     1. 산소
     2. 수소
     3. 아르곤
     4. 질소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불활성 기체로 폭발성 없음
대기 중 약 78%를 차지 → 공급이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
금속, 고무, 플라스틱 등과 화학반응을 거의 하지 않음
헬륨이나 수소 등의 추적가스를 희석하는 배압용 기체로도 자주 사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2. 누설위치를 찾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기포누설시험법
     2. 암모니아검지 테이프법
     3. 압력변화시험
     4. 액체침투탐상검사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누설 존재 유무 판별:시험체가 새는지 여부만 확인함 (위치 X)
누설 위치 탐지:그외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3. 반도체, 집적회로 등과 같은 밀봉된 전자제품의 미세누설을 검출할 수 있는 누설검사법은?
     1. 압력변화검사
     2. 기포누설검사
     3. 할라이드토치법
     4. 기체 방사성 동위원소법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 내부 압력 변화를 감지 → 위치 파악 불가, 감도 낮음
2. 기포 발생 시 위치 확인 가능 → 감도 낮고 대형 부품에 적합
3. 냉매 누설 시 불꽃 색 변화로 탐지 → 감도 낮음, 위험성 존재
4. 감도가 매우높아 초미세 누설 검출 가능 → IC, 반도체 등 밀봉 전자부품에 적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4. 압력변화시험에서 실제 기체누설율의 정확한 평가를 위해 수증기의 분압 Pv와 전압 P를 이용 실제 기체압력 Pg를 구하는 식은?
     1. Pg = P - Pv
     2. Pg = Pv - P
     3. Pg = Pv / P
     4. Pg = Pv / 3P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압력 변화가 “기체 누설” 때문인지, “수증기 팽창” 때문인지 구분이 안 되는 경우가 있음.

따라서 수증기 기화로 인해 발생하는 압력분(Pv)을 고려해,
순수한 기체의 압력(Pg)을 1.식과 같이 보정
P: 측정된 총압력
Pv: 수증기 분압
Pg: 실제 건조 기체의 압력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5. 기포누설시험-진공상자법검사에 적합한 시험체는 무엇인가?
     1. 화력발전소 열교환기 튜브
     2. 소형 밀봉제품
     3. 대형 석유저장탱크의 밑판
     4. 아세틸렌 저장용기

     정답 : []
     정답률 : 63%

46. 누설시험에 사용되는 계측기의 구비조건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연속성
     2. 보수성
     3. 신뢰성
     4. 편리성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보수성"이란 말은 시험 결과가 보수적(보수적 추정, conservative)인 특성을 의미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7. 펌프의 배기속도가 50m3/s이고 시험체의 용적이 1000m3 일 때 배기시간은?
     1. 10초
     2. 20초
     3. 30초
     4. 40초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1000/2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8. 가스 크로마토 그래피법에서 가스농도 측정방법이 아닌 것은?
     1. 측장법
     2. 측시법
     3. 비색법
     4. 측호법

     정답 :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확실치는 않으나 정황상 판단해볼때...
1~3.은 모두 정량 측정의 실제 방법
1.검출기 신호의 면적(적분값)을 측정
2.최고 높이(peak height)를 측정
3.색의 농도를 이용하여 화학 물질의 농도를 측정

측호법 : 농도 측정(정량분석)에 사용되지 않고 정성분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9. 암모니아 누설시험에서 지시의 검출감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1. 온도
     2. 습도
     3. 진동
     4. 검지제 피막두께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과도한 습도는 이슬점을 형성시켜 허위 변색이 발생하고 누설부위를 막을 수 있다.
 최적 습도 50%일 때 누설 검출 감도가 우수하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0. 헬륨질량분석기-검출프로브(Detector probe)법을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1. 주사속도가 증가하면 검출감도는 감소된다.
     2. 배경 가스는 시험 완료 후에만 제거하면 효과적이다.
     3. 응답시간이 길면 검출감도가 증가된다.
     4. 흡입호스의 길이가 증가되면 검출감도는 증가된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스니퍼법은 누설가스가 프로브에 충분히 흡입되어야 정확한 검출이 가능합니다.

프로브 이동속도가 너무 빠르면, 헬륨이 충분히 흡입되기 전에 지나가므로
 → 검출감도(민감도)가 낮아집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1. 진공시스템-헬륨질량분석시험에서 표준누설 3×10-10 Pa·m3/s, 출력 신호 100 division, 지시 눈금 당 10의 누설률을 가질 때 감도(Pa·m3/s/div)는 얼마인가? (단, division : 최소 누설률 지시 척도(눈금)이다.)
     1. 3×10-7
     2. 3×10-9
     3. 3×10-11
     4. 3×10-13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3*10^-10)/(100*1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2. 기포누설시험 중 실체 누설지시의 형태는?
     1. 10mm 이상의 기포
     2. 자주색 반점의 지시
     3. 미세한 기포의 연속적 발생
     4. 흰색의 연기가 발생되는 부위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기포누설시험이란?
시험체를 가압(내부 압력 or 외부 진공)한 뒤,
비눗물이나 발포액을 도포하거나 물속에 침지하여
누설이 있는 부분에서 기체가 나와 기포로 나타나는지 확인하는 방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3. 할로겐 누설검사용 추적가스에 포함되는 원소가 아닌 것은?
     1. 브롬
     2. 불소
     3. 보론
     4. 염소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할로겐족 : F ,Cl, Br, I
->보론(B) X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4. 진공상자를 이용하여 기포누설 검사를 한 결과 결함 존재를 발견하였다. 2차 검사로 그 결함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적인 비파괴검사법은?
     1. 방사선투과검사
     2. 침투탐상검사
     3. 변형도 시험
     4. 와전류탐상검사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침투탐상검사 : 표면개방 결함의 형상·범위 파악에 효과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5. 암모니아 누설검사에서 암모니아와 혼용해서 사용할 수 있는 추적자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염화수소가스
     2. 아황산가스
     3. 이산화탄소가스
     4. 질소가스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불활성 기체이며, 암모니아와도, 지시제와도 아무런 반응을 하지 않음 → 지시 불가
그러나 추적자(추적가스)가 아닌 다른 추적자의 혼용가스로 쓰이기도 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6. 질량분광계법에서 고진공 누설검사에 사용되는 진공 분산 펌프 오일의 특성 중 틀린 것은?
     1. 증기압이 낮아야 한다.
     2. 열적으로 안정해야 한다.
     3. 점도가 낮아야 한다.
     4. 분자량이 낮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분자량이 낮은 물질은 휘발성(증기압)이 높고, 이는 진공 상태에서 오일 증기가 역류(Backstreaming)하여 검출기을 오염시킴.
반면, 분자량이 높은 오일은 안정적이며 휘발하지 않아 진공장치를 청정하게 유지하는 데 유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7. 기포누설검사에서 시험체의 표면 상태를 어떻게 해야 하는가?
     1. 기름, 그리스, 페인트 기타 오물을 제거하여야 한다.
     2. 걸레로 표면의 물기만 제거하면 된다.
     3. 표면 상태는 시험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4. 시험부 판독을 쉽게 하기 위해 흰 페인트를 엷게 칠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표면에 기름, 페인트, 먼지, 녹 등이 있으면 기포 형성이 방해되어 실제 누설이 있어도 시각적 지시가 나타나지 않음
발포액이 미끄러져 흘러버리거나,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되지 않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8. 헬륨 질량분석시험시 헬륨의 공기 중 농도는 약 몇 %로 하는가?
     1. 0.0004%
     2. 0.1%
     3. 1%
     4. 21%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실험 기준이나 문헌상에서는 약 0.0004% ~ 0.0005%로 제시되며,
이는 질량분석 누설시험에서의 '배경 농도(Background Level)'로 간주되어 허위 신호(의사지시)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선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9. 누설검사법 중 사용기체로 인한 작업자의 산소결핍과 악취 등으로 보건상 환기를 시켜야 하는 검사법은?
     1. 내압 시험법
     2. 헬륨 누설검사법
     3. 암모니아 변색법
     4. 진공상자 누설검사법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암모니아는 강한 알칼리성, 코 자극, 점막 자극, 독성 있음
극도로 자극적인 냄새, 실내에서 누설 시 빠른 환기 필수
밀폐된 공간에서 다량 사용 시 산소 농도 희석 → 질식 위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0. 누설검사를 수행할 때 결함이 아닌 개구부(opening)의 처리방법으로 틀린 것은?
     1. 플러그나 덮개를 이용하여 막아야 한다.
     2. 시멘트 또는 밀봉왁스 등으로 막아야 한다.
     3. 시험 후 즉시 완전하게 제거될 수 있는 재료로 막아야 한다.
     4. 기름, 그리스 등으로 막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기름, 그리스는 완전한 밀봉이 어려우며, 누설가스를 차단하지 못할 수 있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1.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 V, Are. 10 App. Ⅳ)중 헬륨질량 분석시험에서 검출 프로브의 튜브 길이가 더 길어질 경우 영향은?
     1. 응답시간과 청정시간(clean-up)이 길어진다.
     2. 응답시간이 감소하고, 청정시간이 길어진다.
     3. 응답시간과 청정시간이 모두 짧아진다.
     4. 응답시간이 증가하고, 청정시간이 짧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튜브가 길어지면,
 → 헬륨 기체가 검출기까지 이동하는 시간 증가 → 응답시간 증가

튜브 내에 남아 있는 잔류 헬륨이 많아지므로,
 → 헬륨이 완전히 빠지기까지 더 많은 시간이 걸림 → 청정시간 증가

즉, 튜브 길이가 길수록 두 시간 모두 연장.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2.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 V, Are. 10 App. Ⅱ) 중 기포누설시험 진공상자법에서 최소 진공 압력과 진공 유지시간은?
     1. 최소 15kPa-30초
     2. 최소 15kPa-10초
     3. 최소 20kPa-30초
     4. 최소 20kPa-10초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2 psi (15 kPa, 약 4 in. Hg) 이하의 부분 진공 상태를 유지해야 함
→ 이는 대기압보다 15 kPa 낮은 압력을 의미
(참조: ASME Sec. V 2015, II-1033 Vacuum Source 항목)
최소 10초 이상 진공을 유지한 상태로 관찰
(참조: ASME Sec. V 2015, II-1074 Pressure (Vacuum) Retention 항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3. 질량 분석계를 이용한 압력 및 진공 용기 누출 시험방법(KS B 5648)에서 진공 펌프의 배기속도가 50m3/s, 시험체의 용적이 6300m3 일 때 응답시간은 약 얼마인가?
     1. 1분
     2. 2분
     3. 3분
     4. 4분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용적/속도=6300/50=126초=약 2분 6초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4.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 V, Are. 10 App. Ⅳ)의 헬륨질량분석-검출프로브법에서 별도의 기준이 없는 경우 1×10-4std·cm3/s 를 초과하는 누설은 불합격이다. 다음 중 단위 환산된 누설 검출값의 설명이 옳은 것은?
     1. 2×10-3 Pa·m3/s 는 합격이다.
     2. 2×10-6 Pa·m3/s 는 불합격이다.
     3. 2×10-8 Pa·m3/s 는 합격이다.
     4. 2×10-4 Pa·m3/s 는 합격이다.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표준 cm3/s (std·cm3/s) → SI 단위 Pa·m3/s 변환문제인듯...
1×10-4 std·cm3/s = 1.013×10-8 Pa·m3/s
따라서 1.013 × 10-8 Pa·m3/s를 초과하면 불합격, 이하이면 합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5. 강제 석유저장 탱크의 구조(KS B 6225) 시험시 필요에 따라 수시로 결함의 유무를 검사하는 내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대기 밸브의 누설시험
     2. 지붕판의 누설시험
     3. 애뉼러 플레이트의 누설시험
     4. 몸통의 물채우기 시험

     정답 : []
     정답률 : 35%

66.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 V, Are. 10 App. Ⅳ)에 의해 누설시험을 할 때 헬륨질량분석시험장치는 시험도중 최소 얼마 간격으로 시스템의 감도를 측정해야 하는가?
     1. 1시간
     2. 2시간
     3. 3시간
     4. 4시간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Unless otherwise specified by the referencing Code Section, the system sensitivity shall be determined before and after testing and at intervals of not more than 4 hr during the test.”
(ASME Sec. V 2015, Article 10, Appendix IV, IV-1062.4)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7.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 V, Are. 10)에 의한 누설검사에 사용되는 압력 게이지의 설치위치는 어디가 적당한가?
     1. 검사품의 설치위치에 구애 받지 않는다.
     2. 압력 등을 거는 동안 작업자가 쉽게 볼 수 있는 곳에 설치한다.
     3. 압력을 받는 검사품의 최하단부에 위치시킨다.
     4. 검사품의 몸체에 직접 부착시켜 설치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ASME Sec. V, Article 10에서는 압력 게이지는 시험 중 압력 상태를 정확하게 모니터링해야 하며,
이를 위해 작업자가 쉽게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해야 한다고 명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8.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 V, Are. 10 App. Ⅴ)중 헬륨질량분석기시험-추적프로브법에서 프로브팁과 시험체 표면까지의 거리는?
     1. 1인치이내
     2. 1/2인치 이내
     3. 1/3인치 이내
     4. 1/4인치 이내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ASME Sec. V, Article 10, Appendix V (Tracer Probe Method)**에 따르면:

“The tracer probe tip shall be kept within 1/4 in. (6 mm) of the test surface during scanning.”
(참조: ASME Sec. V 2015, Article 10, Appendix V, V-1073)

또한 이 거리보다 짧은 거리에서 시스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했다면,
시험 중에도 동일하거나 더 짧은 거리로 유지해야 한다고 명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9.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 V, Are. 10 App. Ⅰ)에서 가압식 기포검사를 수행하는 동안 검사할 부품의 표면온도는 5℃ 초과 몇 ℃ 미만이어야 하는가?
     1. 20℃
     2. 36.5℃
     3. 50℃
     4. 52℃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As a standard technique, the temperature of the surface of the part to be examined shall not be below 40°F (5°C) nor above 125°F (50°C) throughout the examination.”
(출처: ASME Sec. V 2015, Article 10, Appendix I, I-1072)
이 범위를 벗어나면 거품 형성의 안정성이 떨어지거나 시험 결과가 왜곡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0.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 V, Are. 10 App. Ⅵ)중 압력변화시험에서 대기압보다 4 psi 낮게 진공을 주고자 한다. 이때 psi를 kPa로 환산한 값은?
     1. 10 kPa
     2. 15 kPa
     3. 30 kPa
     4. 50 kPa

     정답 : []
     정답률 : 20%
     <문제 해설>
1psi=6.895kPa
4psi×6.895kPa/psi=27.58kPa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1. 질량분석계형 누출 탐지기 교정방식 통칙(KS A 0083)에서 최소 가검 농도의 측정에서 분위기 공기와 혼합된 헬륨농도의 오차범위는?
     1. ±10%
     2. ±5%
     3. ±3%
     4. ±2%

     정답 : []
     정답률 : 24%
     <문제 해설>
최소 가검 농도:누설검지기가 감지 가능한 가장 낮은 헬륨 농도/누설률
“헬륨 최소 가검 농도 측정을 위한 헬륨-공기 혼합 시, 헬륨의 농도는 설정값에서 ±10% 이내로 유지되어야 한다.”
정밀 교정(Calibration) 혼합 기체 제조 시
±5%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2. 다관 원통형 열교환기(KS B 6230)에서 AES형 열교환기의 수압시험 순서 중 맞는 것은? (단, 동체쪽의 압력이 관쪽보다 높거나 같은 경우이다.)
     1. 동체쪽 → 관쪽 → 동체뚜껑
     2. 관쪽 → 동체쪽 → 동체뚜껑
     3. 동체쪽 → 동체뚜껑 → 관쪽
     4. 관쪽 → 동체뚜껑 → 동체쪽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1.동체쪽 수압시험
열교환기 전체에서 가장 먼저 수행되며, 동체 본체의 기밀성과 강도를 확인

2.관쪽 수압시험
튜브 내의 수압 강도를 확인

3.동체뚜껑 수압시험
최종적으로 뚜껑의 기밀성과 연결부 확인

동체쪽이 더 높은 압력 조건이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먼저 강한 쪽부터 확인하는 것이 원칙이며,
이는 시험 중 잔류 응력 및 과도한 내압 차이에 의한 손상 방지를 위한 일반적인 원칙.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3.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 V, Are. 10)에 따라 누설시험을 할 때, 압력시험 게이지 눈금의 범위로 적당한 것은?
     1. 0.5배 – 1.5배
     2. 1.5배 – 4.0배
     3. 3.0배 – 6.0배
     4. 4.0배 – 8.0배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When dial indicating and recording pressure gage(s) are used in leak testing, they should preferably have the dial(s) graduated over a range of approximately double the intended maximum pressure, but in no case shall the range be less than 1.5 nor more than 4 times that pressure."
(출처: ASME Sec. V 2015, p.247, T-1031(a))
이는 시험 시 게이지 판독 오차 방지와 눈금 시인성 확보를 위한 기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4.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 V, Are. 10 App. Ⅱ) 중 진공상자법에서 연속하여 시험하는 경우 진공상자는 최소 몇 인치까지 중첩되어야 하며, 이때 부분 진공은 최소 몇 초간 유지시켜야 하는가?
     1. 1인치, 5초
     2. 2인치, 10초
     3. 3인치, 5초
     4. 5인치, 10초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An overlap of 2 in. (50 mm) minimum for adjacent placement of the vacuum box shall be used for each subsequent examination.”
“The required partial vacuum (differential pressure) shall be maintained for at least 10 sec examination time.”
(ASME Sec. V 2015, p.253, II-1074, II-1075)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5.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 V, Are. 10 App. Ⅳ) 중 검출기 프로브형 헬륨질량분석 누설시험을 할 때 장치의 교정 조건은?
     1. 장치가 1×10-3 Pa·m3/sec의 누설을 검출할 수 없을 때
     2. 장치가 1×10-4 Pa·m3/sec의 누설을 검출할 수 없을 때
     3. 장치가 1×10-5 Pa·m3/sec의 누설을 검출할 수 없을 때
     4. 장치가 1×10-10 Pa·m3/sec의 누설을 검출할 수 없을 때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IV-1061.2 — Instrument Sensitivity Requirement:
“The detector probe system shall be calibrated using a calibrated leak having a leakage rate of 1 × 10^-9 std·cm3/s (i.e., 1 × 10^-10 Pa·m3/s) or better.”

즉, 검출기(프로브 포함)는 최소 1×10-10 Pa·m3/s 감도를 가져야 하며,
이보다 큰 누설을 검출하지 못하면 기기는 재교정(calibration)되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6. 다관 원통형 열교환기(KS B 6230) 중 열교환기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AES형
     2. AKS형
     3. BFU형
     4. BEM형

     정답 : []
     정답률 : 38%

77. 강재 석유저장 탱크의 구조(KS B 6225)에 따라 부상 지분 배수설비를 조립한 후 누설시험을 할 때의 규정 압력은?
     1. 1 kgf/cm2
     2. 2 kgf/cm2
     3. 3 kgf/cm2
     4. 5 kgf/cm2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API 650 (2003) 번역본의 부상 지붕(floating roof) 관련 규정 중
배수설비(Drainage system)에 대한 누설시험 조건은 다음과 같이 명시.

"H.6.4 Drainage system - 모든 배수설비는 조립 후 3 kgf/cm2의 공기압 또는 물로 누설시험을 수행해야 한다"
(참조: api-650-2003-한글번역.doc, H.6.4 항)

이 항목은 KS B 6225와 호환되며, 국내 규격에서도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적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8.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 V, Are. 10)에 따라 기포누설-진공상자 시험에서 진공 유지 최소 시간은?
     1. 30초
     2. 20초
     3. 10초
     4. 5초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The required partial vacuum (differential pressure) shall be maintained for at least 10 sec examination time.”
(ASME Sec. V 2015, Mandatory Appendix II, II-1074)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9. 다관 원통형 열교환기(KS B 6230)에서 전열관의 내면을 흐르는 유체가 통과하는 부분은?
     1. 동체쪽
     2. 관쪽
     3. 패스
     4. 개구부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전열관 내면을 흐르는 유체는 "관쪽(Tube Side)" 유체이며,
전열관 외면을 따라 흐르는 유체는 "동체쪽(Shell Side)" 유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0. 질량 분석계를 이용한 압력 및 진공 용기 누출 시험방법(KS B 5648)에 사용되는 탐지 기체로써 부적당한 것은?
     1. 염소
     2. 수소
     3. 헬륨
     4. 아르곤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염소(Cl2)는 부적절성
*질량 고유값이 뚜렷해야 함(다른 기체와 중복되지 않는 질량 수치 필요) =>35.5
*매우 높은 산화제, 금속 부식 유발=>탐지 장비(질량분석계)의 손상 위험
*고농도 노출 시 인체에 치명적=>사용 후 환기 필수, 누설 시 대기오염 우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누설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5월25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누설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5월25일(12230)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4137 누설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27일(12231)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4136 항공무선통신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10월18일(12233)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4135 항공무선통신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2월21일(12234)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4134 항공무선통신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10월10일(12235)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4133 항공무선통신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3월10일(12236)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4132 기계설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5월08일(12238)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4131 누설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9월21일(12239)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4130 생물분류기사(동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5월10일(12240)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4129 생물분류기사(식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6월12일(12241)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4128 화공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5월20일(12242)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4127 생물분류기사(동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5월09일(12243)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4126 항공무선통신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3월17일(12246)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4125 항공무선통신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10월12일(12247)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4124 항공무선통신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3월09일(12248)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4123 항공무선통신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10월04일(12249)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4122 9급 국가직 공무원 행정법총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4월24일(12250)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4121 9급 국가직 공무원 행정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5월11일(12251)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4120 9급 국가직 공무원 행정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4월24일(12252)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4119 9급 국가직 공무원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5월11일(12253)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Board Pagination Prev 1 ... 572 573 574 575 576 577 578 579 580 581 ... 783 Next
/ 7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