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저자는 신종 기재 시 완모식을 지정하고 공인된 전문 학술지에 공표해야 하는데 그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모식표본의 라벨에 기입된 정보도 기록한다.
2.
숙주의 종명은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된다.
3.
유충이나 유생 또는 연령 등의 발생단계를 기록한다.
4.
표본이 채집된 해발고도 및 심도를 기록하지만 화석의 경우에는 발견된 지층은 중요하지 않다.
정답 : [
4
] 정답률 : 94%
14.
국제식물명명규약에서 규정한 과(family)의 문법적 어미는 어느 것인가?
1.
-opsida
2.
-ales
3.
-aceae
4.
-alnus
정답 : [
3
] 정답률 : 92%
15.
자포동물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조직 수준의 체계
2.
2배엽성 방사대칭동물
3.
히드라, 산호, 빗해파리
4.
풀립과 메두사의 다형현상을 보임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자포(강장)동물 1번 말장난/제 생각엔 해면동물이 무배엽,동정세포 다음에 자포동물인데 2배엽으로 해면세포 다르게 조직이 생겨서 조직수준체계 갖춰졌다고 해서 나온듯. 2번 2배엽성생물,자세포,방사대칭 3번 히드라,산호는 자포동물 이지만 빗해파리는 자포동물문에 속하는 해파리류와 다른 유즐동물문(빗해파리류)이다. 원래는 강장동물이라고 한꺼번에 묶었는데 자포동물,유즐동물으로 나뉘면서 빗해파리는 다른 자포동물과 다르게 자포라는게 없고, 폴립단계 안거치고 바로 메두사형으로 자람 특징은 즐판대있음. 촉수유무에 따라 유촉수강 무촉수강 나뉨 05년도 문제이고,,유즐동물문이 100종정도 밖에없어서 잘 알려지지 않아서 그런듯 답3번 맞습니다. 4번 부유형(메두사형).해파리형/고착형(풀립형) 다형현상
그래서 3번이 정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뉴발인디]
●자포동물 -. 2배엽성이다 -. 종류에는 말미잘, 산호, 히드라, 상자해파리 등이 있다 -. 빗해파리 : 해파리는 자포동물이지만, 빗해파리는 유즐동물이라는 완전히 다른 카테고리에 속한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16.
어떤 분류군의 정명은 그 분류군에 적용된 명칭 중에서 명명법에 맞게 가장 먼저 발표된 학명이다. 이러한 조건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표결권
2.
출판권
3.
기대권
4.
선취권
정답 : [
4
] 정답률 : 91%
17.
피자식물의 화관(corolla)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꽃잎(petal)으로 구성된다.
2.
꽃잎이 서로 분리되어 있는 화관을 이판화관이라 한다.
3.
꽃잎의 형태 및 크기가 모두 동일한 것을 부정제 화관이라 한다.
4.
화관이 없는 종류도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부정제화관: 꽃잎이 각각 다르게 생긴 화관 [해설작성자 : isp]
18.
동물분류에 이용되는 7개 기본 범주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속
2.
과
3.
족
4.
목
정답 : [
3
] 정답률 : 95%
<문제 해설> *식물의 분류 체계 : 계-문-강-목-과-속-종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19.
조류의 용골돌기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늑골이 발달한 것이다.
2.
모든 조류에서 볼 수 있다.
3.
날개를 움직이는 근육이 부착한다.
4.
호흡기능을 도와 몸을 가볍게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용골돌기: 조류의 흉골중앙에 있는 돌기. 날개를 움직이는 근육이 붙어있음으로 나는 힘이 강한 새들이 이 부분이 매우 발달함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해설작성자 : dd]
20.
포유류의 이빨에 관한 특징으로 앞니의 위 아래는 각각 1쌍으로 일생동안 자라고 끝모양이며, 송곳니는 없고, 앞니와 앞어금니 사이에 넓은 틈을 보이는 종류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식육목
2.
쥐목
3.
장비목
4.
말목
정답 : [
2
] 정답률 : 88%
2과목 : 환경생태학
21.
생태계의 점이대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높은 종풍부도와 밀도가 높다.
2.
종의 진화에서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3.
둘 이상의 서식처를 필요로 하거나 자주 이용하는 종이 서식한다.
4.
희귀종의 서식확률이 높다.
정답 : [
4
] 정답률 : 69%
22.
한 영양 단계에서 상위 영양단계로 에너지가 전달되는 과정을 잘 설명한 것은?
1.
풀이 가지고 있는 모든 에너지는 토끼에게 전달된다.
2.
토끼가 가진 에너지 중 극히 일부(5% 미만)는 자연계로 흩어진다.
3.
땅에 전달되는 태양에너지의 대부분(90% 이상)은 토끼에게 전달된다.
4.
토끼가 가진 에너지의 약간(약 10%) 정도만 늑대에게 전달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86%
23.
개체군의 생존 전략에 대하여 잘못 설명한 것은?
1.
생존전략에 따라 K, r 전략자로 나뉜다.
2.
K 전략 생물은 자손의 개체수가 적다
3.
r 전략 생물은 어릴 때에 생존율이 낮다.
4.
동물의 배설물은 K 전략 미생물의 수를 늘린다.
정답 : [
4
] 정답률 : 86%
24.
천이 초기에 출현하는 식물종의 생태학적 특징 중 옳지 않은 것은?
1.
종자의 생산수가 많다.
2.
종자의 크기가 작다.
3.
종자의 수명이 길다.
4.
내음성이 높다.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내음성: 어두운 곳에서는 잘 견디는 성질 [해설작성자 : isp]
25.
개체군의 생장곡선이 S자 형을 보이는 것은 몇가지 제한요인이 작용하여 출생율이 감소하거나 사망률이 증가되거나 또는 유출하는 개체가 생겼기 때문이다. 환경저항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개체수의 증가로 먹이가 부족하여 개체간의 경쟁이 심하다.
2.
개체수의 증가로 생활공간이 상대적으로 좁아진다.
3.
개체수의 증가에 따른 노폐물의 양도 증가하여 환경오염이 심해진다.
4.
개체군 감소에 다른 배우자 선택이 풍부해진다.
정답 : [
4
] 정답률 : 92%
26.
세계 일차생산성의 분포가 가장 낮은 것에서 높은 순으로 연결된 것은?
1.
심해 - 사막 - 깊은 호수 - 다습한 초원
2.
사막 - 심해 - 깊은 호수 - 다습한 초원
3.
사막 - 깊은 호수 - 심해 - 다습한 초원
4.
사막 - 깊은 호수 - 다습한 초원 - 심해
정답 : [
1
] 정답률 : 69%
27.
초본과 관목층이 잘 발달되고, 부식질이 풍부한 지역으로 사계절이 뚜렷하며, 다양한 인류의 문명이 발달함으로 인하여 다른 군계에 비하여 인위적인 영향을 많이 받은 지역을 대표하는 생물군계는 다음 중 어는 것인가?
1.
온대침엽수림
2.
온대낙엽수림
3.
온대활엽수림
4.
온대초원수림
정답 : [
2
] 정답률 : 73%
28.
위도가 높은 지역으로 평균온도가 낮고 강수량이 적으며, 툰드라(tundra), 타이가(taiga)를 형성하는 대표적인 지역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온대지방
2.
열대지방
3.
한 대지방
4.
사막
정답 : [
3
] 정답률 : 91%
29.
다음 내용을 생태적 용어로 정의하면 무엇인가?
1.
생물군계
2.
생활형
3.
생태형
4.
경관구조
정답 : [
1
] 정답률 : 82%
30.
다음 중 생물적 개체군 조절(biotic population control)의 예가 아닌 것은?
1.
흑사병
2.
가뭄
3.
경쟁
4.
개체군 밀도의 증가
정답 : [
2
] 정답률 : 76%
31.
생태계의 생물적 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독립영양 구성요소는 광합성을 통하여 태양에너지를 고정하고 유기물로부터 식량을 생산한다.
2.
유기물은 체구성 성분 또는 에너지원이다.
3.
종속영양 구성요소는 생산자, 소비자, 부식자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4.
종속영양 구성요소는 독립영양 생물들에 의해 합성된 복잡한 물질들을 활용하고 분해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6%
32.
개체군의 생존곡선에 있어서 오목형 곡선에 해당되지 않는 생물은?
1.
인간
2.
조개
3.
물고기
4.
식물
정답 : [
1
] 정답률 : 82%
33.
생태계에서 에너지는 각 영양단계를 옮겨갈 때마다 일부만 옮겨가고, 나머지는 한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옮겨가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생태 피라미드
2.
에너지 효율
3.
에너지 생산
4.
에너지 피라미드
정답 : [
2
] 정답률 : 65%
34.
인의 순환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하천으로 과다하게 유입될 경우 부영양화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2.
인산염의 형태로 식물체에 흡수되어 단백질, ATP, 유전물질 등의 성분이 된다.
3.
사체나 배설물을 미생물이 분해하면 그 속의 인은 토양이나 대기중에 유출된다.
4.
식물에 흡수된 인은 죽어도 분해되거나 먹이연쇄에 의해 동물체로 이동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1%
35.
용해도가 높아서 사람의 기도에 용이하게 흡수되어 초기에는 자극만 주다가 나중에는 기도저항을 일으키게 되며, 기관지점막을 자극하는 대기오염물질은?
1.
아황산가스
2.
이산화탄소
3.
일산화탄소
4.
납
정답 : [
1
] 정답률 : 67%
36.
부영양화된 호수에서는 따뜻한 물을 선호하는 종이 서식하고 있다. 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농어
2.
개복치
3.
창꼬치
4.
송어
정답 : [
4
] 정답률 : 73%
37.
맹그로브 늪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산호초의 배후면이나 만의 내부, 섬으로 둘러싸여 있음
2.
조간대의 갯벌 해안에 잘 발달
3.
낙엽활엽교목 및 수생식물로 구성
4.
식물의 기근이 발달
정답 : [
3
] 정답률 : 69%
38.
온대 및 열대지방에서 나타나는 건조한 곳으로 주로 북반구와 남반구의 15도와 40도 사이의 위도에서 나타나며, 공기의 습도가 낮고, 일교차가 심하며, 연 강수량이 250mm이하 이고, 비가 내리는 시기가 일정치 않은 지역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툰드라
2.
사막
3.
타이가
4.
열대우림
정답 : [
2
] 정답률 : 92%
39.
밀물과 썰물사이의 지역으로 다양한 해양생물이 서식하는 장소로서 기능을 발휘하는 지역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조간대
2.
연안대
3.
연해구
4.
해안사구
정답 : [
1
] 정답률 : 89%
40.
다음은 무엇을 설명한 것인가?
1.
유수생태계
2.
정수생태계
3.
해양생태계
4.
습지생태계
정답 : [
4
] 정답률 : 91%
3과목 : 형태학
41.
아래의 그림은 조류의 최적 한배란수(clutch size)에 관련된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어미의 한배란수는 b1보다 b2를 낳아야 생애를 통해 가장 큰 많은 새끼를 얻을 수 있다.
2.
어미는 이익곡선과 비용곡선이 만나는 교차점 사이의 한배란수를 낳으면 손실이 없다.
3.
어미는 이익과 비용의 차이를 최대로 하여야 가장 큰 이익을 얻을 수 있다.
4.
어미는 한배란수가 크면 클수록 새끼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생애를 통해 가장 큰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75%
42.
자포동물에서 소화와 순환의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주머니 모양의 장은?
1.
진체강
2.
의체강
3.
혈강
4.
위수강
정답 : [
4
] 정답률 : 77%
43.
일생 중 양성생식은 물론 단위생식도 함께 하는 곤충은?
1.
왕사슴벌레
2.
배추흰나비
3.
창매미
4.
복숭아흑진딧물
정답 : [
4
] 정답률 : 89%
44.
두꺼운 세포벽을 갖고 식물을 지지하는 작용을 하는 조직은?
1.
유조직과 표피조직
2.
유조직과 후각조직
3.
유조직과 후벽조직
4.
후각조직과 후벽조직
정답 : [
4
] 정답률 : 75%
45.
곤충의 겹눈과 홑눈, 그리고 시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곤충의 겹눈(복안)은 수많은 낱눈(facet, ommatidium)으로 구성되러 있고, 이들이 시력을 좌우한다.
2.
곤충의 시력은 겹눈보다는 홑눈에 의해서 좌우된다.
3.
홑눈의 기능이나 시력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별로 없다.
4.
보통 두 개의 겹눈과 세 개의 홑눈을 가지고 있으나, 홑눈이 퇴화된 경우도 많다.
정답 : [
2
] 정답률 : 83%
46.
기공장치에서 뚜렷한 부세포가 따로 없고, 공변세포가 기본 표피세포사이에 끼어있는 형태를 무엇이라 하는가?
1.
평행형
2.
불규칙형
3.
방사형
4.
불균등형
정답 : [
2
] 정답률 : 70%
47.
각 호르몬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티록신은 다양한 동물 종에서 발견되며 올챙이가 성체로 변태할 때 필요하다.
2.
히스타민은 번식을 위해 해수와 담수를 오가는 어류에서 삼투압평형을 유지하게 한다.
3.
에피네프린은 위험한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한 기회를 증가시키는데 기여한다.
4.
유충호르몬은 유충의 탈피, 용화(번데기), 성체가 되는 것을 조절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9%
48.
다음 중 평활근(smooth muscle)이 발견되지 않는 곳은?
1.
내장
2.
혈관벽
3.
이두근
4.
홍채
정답 : [
3
] 정답률 : 91%
49.
진딧물류의 발생과정을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진딧물은 일반 곤충들과 같이 양성생식에 의해서만 번식된다.
2.
진딧물은 일반 곤충들과 같이 난생에 의해서만 번식한다.
3.
진딧물은 일반 곤충들과 같이 태생에 의해서만 번식한다.
4.
진딧물은 양성생식에 의한 난생, 태생 그리고 단위생식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서 번식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90%
50.
공변세포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은?
1.
①, ②
2.
③, ④
3.
①, ③
4.
②, ④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공변세포: 식물체 내 이산화탄소 등의 기체 출입과 증산작용을 조절하는 세포 [해설작성자 : isp]
51.
식물세포의 2차벽은 3층으로 나뉘어 진다. 이 층들은 어떤 차이에 의해 구별되는가?
1.
미세원섬유의 배열방향
2.
미세원섬유의 두께
3.
펙틴질의 존재여부
4.
섬유소의 비율
정답 : [
1
] 정답률 : 79%
52.
중심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관상중심주는 원생중심주에서 분화되었다.
2.
양치식물강은 원생중심주로 되어 있다.
3.
유관속조직이 수(pith)를 둘러싸고 있는 것은 원생중심주이다.
4.
방사중심주는 원생중심주에 속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7%
53.
갑각강(Crustaceae)의 설명으로 부적절한 것은?
1.
게, 새우 등 수서생활을 하는 절지동물을 포함하며, 반육서나 육서군도 있다.
2.
외골격은 키틴질로 되어 있다.
3.
촉각은 없고, 앞다리가 촉각 역할을 한다.
4.
물벼룩도 갑각류에 속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2%
54.
아래의 그림은 초지의 계층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각 번호에 들어갈 용어를 옳게 나열한 것은?
1.
① 뿌리층, ② 초본층, ③ 지표층, ④ 상층
2.
① 뿌리층, ② 지표층, ③ 초본층, ④ 상층
3.
① 뿌리층, ② 표토층, ③ 관목층, ④ 상층
4.
① 뿌리층, ② 지표층, ③ 아교목층, ④ 상층
정답 : [
2
] 정답률 : 86%
55.
어느 곳의 세포들이 코르크형성층(cork cambium)을 생성하는가?
1.
피층(cortex)
2.
수피(bark)
3.
표피(epidermis)
4.
중심주(stele)
정답 : [
1
] 정답률 : 63%
56.
자포동물문(Cnidaria)에 속하는 것은?
1.
히드라, 해파리류
2.
흡충류, 촌충류
3.
해면동물
4.
갯지렁이
정답 : [
1
] 정답률 : 86%
57.
건생식물 잎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증산을 감소시키기 위해 잎의 크기는 작아진다.
2.
표면의 각피층과 납질층이 비후되는 경향이 있다.
3.
모용과 다육성 저수조직이 발달하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다.
4.
공변세포는 주변표피세포보다 돌출되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88%
58.
곤충의 중 말피기기관(Malpighian tube)은 어떤 기관인가?
1.
곤충의 중장과 후장 사이에 있는 배설기관이다.
2.
곤충의 음식물의 소화흡수가 이루어지는 소화기관이다.
3.
곤충의 청각기관이다.
4.
곤충의 후각기관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90%
59.
다음 설명은 어떤 곤충에 대한 설명인가?
1.
하루살이목
2.
잠자리목
3.
풀잠자리목
4.
날도래목
정답 : [
4
] 정답률 : 83%
60.
좌우상칭화[左右相稱花, 또는 부정제화(不整齊花)]의 설명중 맞지 않는 것은?
1.
좌우상칭인 꽃의 형태는 곤충이나 새 등과 같은 수분매개체 몸의 좌우상칭과 잘 맞는다.
2.
꽃잎이 똑같이 발달하지 않기 때문에 오직 1개의 축에서만 좌우의 거울상으로 나누어 질 수 있다.
3.
꽃가루가 암술머리로 직접 운반될 수 있어서 꽃가루의 낭비를 막을 수 있고 타가수분(수정)을 극대화할 수 있는 선택적 이점이 있다.
4.
꽃가루가 암술머리로 직접 운반될 수 없어서 꽃가루를 더 많이 생산해야 하며 타가수분(수정)의 효율이 떨어지므로 선태적으로 불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