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시키다를 하다로 바꿨을때 말이 되면 과도한 피동표현. 소개하다 설득하다 해소하다는 하다를 그대로 써도 가능.
입원의 경우 아이를 입원하게 하는것 이므로 피동 표현 시키다를 사용하는것이 맞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밑줄 친 부분의 이유에 대한 필자의 견해로 볼 수 없는 것은?
1.
노력은 적게 들이고 성과를 빨리 얻는다.
2.
자신이 범한 과오를 감추고 남의 잘못을 드러낸다.
3.
자신은 같은 자리에 있으나 감독자가 자주 교체된다.
4.
자신의 세력이 밑에서 강한 반면 상부는 외롭고 우매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셋째줄 부터 간악함이 일어나기 쉬운것을 쭉 나열했다. 자신이 범한 과오를 감추고 남의 잘못을 드러내는것은 지문에 나와있지않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
다음 시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묘사된 자연이 상상적, 허구적이다.
2.
이상적 세계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하고 있다.
3.
시적 공간이 원경에서 근경으로 옮아오고 있다.
4.
사건 발생의 시간적 순서에 따라 제재가 배열되고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위 시에서 시간의 흐름을 나타내는 단어가 나타나지 않음 [해설작성자 : 공시생활 1일차]
박목월의 청노루.
시는 원경에서 근경으로 이동하며 사물을 배열하고 있음. 산-청운사-느릅나무-속잎-청노루-맑은눈-구름
사건발생의 시간적 순서인 서사적 사건이 없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은 ㉣의 결정에 의해 세상에 이름이 드러나게 되었다.
2.
㉡은 ㉠의 단점보다는 앞으로의 발전 가능성에 주목하였다.
3.
㉢은 ㉡에게 자신의 견해를 펼칠 기회를 제공하였다.
4.
㉣은 ㉢의 이상적인 모습을 본받고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제시된 작품은 임춘의 <공방전(孔方傳)>으로 돈을 의인화한 가전체 문학이다. ㉡ ‘관상을 보는 사람’에게 공방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펼칠 기회를 제공한 사람은 ㉢ ‘왕자’가 아니라 ㉣ ‘폐하’이다. ㉢은 일반적인 의미의 ‘임금’을 뜻한다.
오답 풀이 ① ㉣ ‘폐하’(황제)가 ㉠ ‘공방’을 버리지 말고 쓰라는 ㉡ ‘관상을 보는 사람’의 의견을 받아들여 “그가 세상에 이름을 드러냈다”고 하였으므로 적절한 설명이다. ② ㉡ ‘관상을 보는 사람’이 ㉠ ‘공방’에 대해 “산야의 성질이어서 쓸 만하지 못하지만 폐하의 풀무와 망치 사이에 놀아 때를 긁고 빛을 갈며 그 자질이 마땅히 점점 드러날 것”이라고 평가하고 있으므로 적절한 설명이다. ④ “왕자 된 이는 사람을 그릇으로 만듭니다”는 ‘임금이란 모든 것을 쓸모 있게 만드는 사람이다’라는 것으로, (일반적인) 임금의 이상적인 모습을 의미하는 말이다. ㉣ ‘폐하’(황제)는 ㉠ ‘공방’을 버리지 않고 쓸모 있게 만들었으므로, ㉣이 ㉢의 이상적인 모습을 본받았다는 진술은 적절하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
다음 글의 전개 순서로 가장 자연스러운 것은?
1.
(가)-(다)-(나)-(라)
2.
(가)-(다)-(라)-(나)
3.
(가)-(라)-(나)-(다)
4.
(가)-(라)-(다)-(나)
정답 : [
4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가 생명체를 기억을 얻는 부류 아닌부류로 구별 이후 기억을 얻는 부류 중 청각의 유무에 따라 또 분류 -라 인간을 가에서 나눈 두 분류 중 후자로 분류하고 있음 -다 라에서 언급한 기술을에 대한 정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
다음 글에서 알 수 없는 것은?
1.
무스가 움직이지 않는 것은 생존을 위한 선택이다.
2.
무스는 소화를 잘 시키기 위해 식물을 가려먹는 습성을 가지고 있다.
3.
갈퀴발도마뱀은 움직이지 않는 방식으로 먹이를 구한다.
4.
갈퀴발도마뱀은 모래 속에 몸을 묻을 때 생존 확률을 높일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음식물을 잘 소화되게 하려면 움직여서는 안 된다. 라고만 설명. 식물을 가려서 먹어야 되는지는 안나와있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
(가)와 (나)를 비교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1.
(가)와 달리 (나)는 읽을 때의 리듬이 규칙적이다.
2.
(가)와 (나)는 모두 상황을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3.
(가)와 (나)는 현재의 상황을 운명으로 수용하고 있다.
4.
(가)는 상황을 긍정적으로, (나)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가-판소리계 소설. 운율감이 있긴 하나 규칙적 리듬이 있지는 않음. 나-가사. 4음보의 규칙적 리듬이 있음.
2.흥부 가족의 가난한 처지를 과장해서 나열./나 십 년 동안 갓 하나를 쓰거나 못 쓰거나 라며 가난한 처지를 과장하여 나열 3. 가-철모르는 자식들이 음식 노래로 조르고, 나-이리하여 어이 살리. -> 현재 상황을 수용하였다고 볼 수 없음
4.둘다 가난을 부정적으로 인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다음 시조의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鄕閭有禮
2.
相扶相助
3.
兄友弟恭
4.
子弟有學
정답 : [
1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정철 -훈민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향여유례 : 올바른 행동을 권유 2.상부상조 : 서로 도움 3.형우제공 : 형제간 우애있게 지내라 4.자제유학 : 자녀들에게 학문 권장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제자 순서에 따르면 ㄴㄷㅌ가 같은칸에 배치되는 것이 맞다. 그런데 위 보기는 파열음 ㄷㅌ와 울림소리 ㄴㄹ로 각각 배치한걸 보면 소리의 유사성을 기준으로 배치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8.
다음 글의 서술상의 특징으로 적절한 것은?
1.
서술자가 등장인물의 시선을 빌려 이야기를 전개하고 있다.
2.
시대적 배경과 밀접한 어휘를 사용하여 주제 의식을 강화하고 있다.
3.
편집자적 논평을 통해 인물들에 대한 서술자의 태도를 드러내고 있다.
4.
공간적 배경에 따라 서술자를 달리하여 상황을 입체적으로 그리고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전지적 작가 시점으로 쓰인 보기는 덕기의 시선에 초점을 두고 이야기를 전개. 잠에서 깨어나 유리구멍으로 밖을 보고 조부와 부친의 대화를 들음은 모두 덕기의 시선에서 이야기가 전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9.
다음 조건을 모두 참조하여 쓴 글은?
1.
낙엽: 낙엽은 항상 패배한다. 시간이 지나고 낙엽이 지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다. 그리고 계절의 객석에 슬픔과 추위가 찾아온다. 하지만 이 패배가 없더라면, 어떻게 봄의 승리가 가능할 것인가.
2.
비: 프랑스어로 ‘비가 내린다’는 한 단어라고 한다. 내리는 것은 비의 숙명인 것이다. 세월이 아무리 흘러도, 비는 주룩주룩 내리고, 토끼는 깡충깡충 뛴다. 자연은 모두 한 단어이다. 우리의 삶도 자연을 닮는다면 어떨까.
3.
하늘: 하늘은 언젠가 자기 얼굴이 알고 싶었다. 하지만 어디에도 자신을 비춰줄 만큼 큰 거울을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다 어느 날 어떤 소녀를 발견했다. 포근한 얼굴로 자신을 바라보는 소녀의 눈동자를 하늘은 바라보았다. 거기에 자신이 있었다.
4.
새: 높이 나는 새는 낮게 나는 새를 놀려 댔다. “어째서 그대는 멀리 보는 것을 선택하지 않는가? 기껏 날개가 있는 존재로 태어났는데.” 그러자 낮게 나는 새가 대답했다. “높은 곳의 구름은 멀리를 바라보고, 낮은 곳의 산은 세심히 보듬는다네.”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대구 : 비슷한 어조나 어세를 가진 것으로 짝 지은 둘 이상의 글귀. 특히 한시를 비롯한 시가 문장에 많이 쓴다. [해설작성자 : 공시생 1일차]
[추가 해설] 1.대구 기법 없음. // 새들의 대화를 통해 삶의 통찰을 우의적으로 표현. 2.비는 주룩주룩 토끼는 깡충깡충 - 대구 // 닮는다면 어떨까? -> 직적접 표현. 3.대구법 없음 // 하늘과 소녀의 이야기로 삶에 대한 통찰을 우의적으로 표현.
4.높은곳 구름 멀리봄, 낮은곳 산은 세심히 보듬는다 - 대구법 // 새들의 대화를 통해 삶에 대한 통찰을 우의적으로 표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0.
다음 글에서 알 수 없는 것은?
1.
사적인 글쓰기의 출현으로 작가는 독자와 직접 소통할 수 있게 되었다.
2.
자기만의 내적인 것에 대한 추구가 새로운 형태의 글쓰기를 요구하였다.
3.
소설은 사적 공간에서의 책 읽기와 글쓰기가 가능해진 시기에 출현하였다.
4.
희곡작가는 낭독을 통해 청중들과 교류하며 공통의 규범과 가치를 나누고자 하였다.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2..... 사적공간은~~~~ 자기만의 내적인 것에 대해 추구하는 사람들의 이상이 되었고~~~글쓰기 행태에 변화를 요구 3.소설의 출현 사적생활이라는 개념의 출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왜나하면~~~읽기와 쓰기에 있어 사적 생활은 필수적인 까닭. 4.이전 지배적 문학 형태인 서사시 서정시 희곡 등과 ''달리'' 소설은 낭독 전통 없음. 청중참여 전제 안함.
1.나타난 것이 사적인 글쓰기였다. 이런경우 청중들로부터 아무런 반응도 얻을 수 없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④
②
②
④
③
④
②
①
①
①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③
③
③
③
④
②
②
①
④
①
9급 지방직 공무원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5월19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