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은 각 유물과 그것이 사용되던 시기의 사회 모습에 대한 설명이다.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1.
ㄱ, ㄴ
2.
ㄱ, ㄷ
3.
ㄴ, ㄹ
4.
ㄷ, ㄹ
정답 : [
3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ㄱ. 슴베찌르개(구석기 시대 후기의 끝이 뾰족하고 날카로운 뗀석기) - 벼농사를 시작한 것은 청동기 ㄴ. 붉은 간토기(민무늬 토기, 미송리식 토기와 함께 청동기 토기) - 거친무늬거울은 청동기의 유물 ㄷ. 반달 돌칼(청동기 시기의 간석기로 곡식 이삭을 자르는데 사용 - 청동기 시기에 계급이 발생 ㄹ. 눌러찍기무늬 토기(이른 민무늬 토기, 덧무늬 토기, 빗살무늬 토기 등과 더불어 신석기 유물) - 가락바퀴와 뼈바늘은 신석기 유물 [해설작성자 : 벼리]
2.
다음과 같은 불교 사상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문화재는?
1.
성덕대왕신종
2.
쌍봉사 철감선사탑
3.
경천사지 십층석탑
4.
금동미륵보살 반가사유상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선종: 승탑 [해설작성자 : AB6IX 박우진]
3.
밑줄 친 ‘이곳’에서 일어난 일로 옳은 것은?
1.
이곳에서 현존 세계 최고의 직지심체요절이 간행되었다.
2.
지눌이 이곳을 중심으로 수선사 결사 운동을 전개하였다.
3.
조위총이 정중부 등의 타도를 위해 이곳에서 반란을 일으켰다.
4.
강조가 군사를 이끌고 이곳으로 들어와 김치양 일파를 제거하였다.
정답 : [
3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고려 정종은 개경 중심의 외척세력과 공신세력으로부터 벗어나기위해 풍수지리설을 바탕으로 서경 천도계획을 함. 3.서경유수 조위총 무신정권때 서북면 지방민의 불만을 이용하여 난을 일으켰으나 실패 (1174 명종)
<문제 해설> 문무왕 즉위(661)-기벌포 전투(676) ㄱ. 검모잠이 안승을 고구려 왕으로 추대(670) -> 신라가 안승을 보덕국 왕으로 봉함(674) ㄴ. 당이 신라에 계림대도독부 설치(663) ㄷ. 황산벌 전투(660) ㄹ. 당 보장왕을 요동도독 조선군왕 임명(677) -> 이후 고구려 유민을 규합하고 말갈과 내통하여 고구려 부흥 운동 도모 정답 : ㄱ, ㄴ [해설작성자 : 벼리]
[삼국의 통일과정] 나당동맹: 백제 의자왕의 신라 대야성 함락(*선덕여왕 때) -> 김춘추가 나당동맹 체결(*진덕여왕 때) 백제멸망+황산벌(*무열, 이후 모두 문무왕), 사비성 함락: 복신, 도침, 흑치상치, 임존성 + 계림, 백강전투 -> 취리산 회맹 고구려멸망+연정토, 평양성: 고연무, 거모잠, 안승(문무왕 지원, 신문왕 때 진골 귀족 편입) 나당전쟁: 압, 소, + 안승 보덕국왕 임명 + 매, 기 -> 삼국통일 [해설작성자 : 올해는 합격!]
ㄹ.10정은 통일신라 시대의 지방군. 통일 전 신라의 지방군은 6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
성격이 유사한 것끼리 옳게 짝지은 것은?
1.
대대로-대내상
2.
중정대-승정원
3.
2성 6부-5경 15부
4.
기인 제도-녹읍 제도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대대로 : 고구려 수상 대내상 : 발해 수상 중정대 : 발해의 비위감찰 승정원 : 조선시대 왕명출납 2성6부 : 고려의 중앙관제 5경15부 : 발해의 행정구역 기인제도 : 고려 태조의 호족견제책 녹읍제도 : 신라의 급료
8.
다음 각 문화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화엄사 각황전은 다층식 외형을 지녔다.
2.
수덕사 대웅전은 주심포 양식의 건물이다.
3.
부석사 무량수전은 배흘림 기둥을 갖고 있다.
4.
덕수궁 석조전은 서양 고딕 양식의 건물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4. 덕수궁 석조전은 르네상스 양식의 건물이다 [해설작성자 : 벼리]
덕수궁석조전: 르네상스 양식 건물 명동성당: 서양 고딕 양식의 전물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다음에서 설명하는 인물의 저술로 옳은 것은?
1.
색경
2.
산림경제
3.
과농소초
4.
임원경제지
정답 : [
4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4.규장각 초계문신 서유구의 임원경제지. 조선에서 살아갈 때 필요한 모든 것이 들어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농업부터 시작하여 의학, 무술, 방적, 요리, 악기 다루는 법, 제사 지내는 법, 낚시 하는 법 등등 별의별 지식이 망라되었다. 물론 서유구가 모두 지은 것은 아니다. 이미 존재하던 같은 농서인 증보산림경제 및 조선과 중국, 일본, 심지어 서양에서 들여온 서적까지 종합하여 조선 실정에 맞게 뺄 것은 빼고, 자신과 다른 유학자들의 연구를 더하고 가다듬어 만든 성격이 강하다.
3 통리기무아문 1880년설치후 임오군란때 까지 존재 1880 ~ 1882 [해설작성자 : DK]
13.
㉠ 조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공화주의를 주창하는 내용의 대동단결선언을 작성해 발표하였다.
2.
이 조직에 속한 이봉창이 일왕이 탄 마차 행렬에 폭탄을 던졌다.
3.
일부 구성원을 황푸군관학교에 보내 군사 훈련을 받도록 하였다.
4.
새로 부임하는 사이토 조선 총독에게 폭탄을 투척하는 의거를 일으켰다.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김익상 총독부 폭탄 -> 의열단
의열단은 조직원 일부를 항푸군관학교에 보내 군사 훈련을 시킴.
1.대동단결선언은 1917년 신규식 신채호 조소앙 박은식 등 14인 독립혁명가들이 발표한 선언. 공화제 건국 표방 최초선언 2.한인애국단 4.사이토 총독 암살 강우규. 1919년 9월 노인동맹. 실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4.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 조선 후기 역사서는?
1.
허목의 동사
2.
유계의 여사제강
3.
한치윤의 해동역사
4.
안정복의 동사강목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1. 동사(허목, 1667) 북벌 운동과 붕당 정치를 비판하는 시각에서 쓰여짐 우리 나라의 자연환경과 풍속, 인성의 독자성을 강조 2. 여사제강(유계, 1667) 서인의 입장에서 북벌 운동을 고취 3. 해동역사(한치윤, 1823) 단군 조선에서 고려까지 기록한 열전이 없는 기전체 고구려사를 중심으로 서술(발해는 외기로 처리) 4. 동사강목(안정복, 1778) 우리 역사의 독자적 정통론을 세워 이를 체계화(단군->기자->마한->삼국->신라->고려) 역사적 사실들을 치밀하게 고증하여 고증 사학의 토대를 닦음 [해설작성자 : 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