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 연소 반응 2Cu + O2 > CuO CuO + CH3OH > HCHO + H2O + Cu 산화구리는 메탄올 산화 시키는 산화제로 작용 포름알데히드 생성 [해설작성자 : 이링]
2.
다음과 같은 기체가 일정한 온도에서 반응을 하고 있다. 평형에서 기체 A, B, C가 각각 1몰, 2몰, 4몰이라면 평형상수 K의 값은 얼마인가?
1.
0.5
2.
2
3.
3
4.
4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주어진 반응식을 통해 평형상수식을 세우면 [C]^2/[A][B]^3=K 주어진 평형일 때 농도를 대입하면 4^2/(1×2^3)=K=2 thx:)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평형상수식 K=생성물계수거듭제곱의 곱/반응물계수거듭제곱의 곱 [해설작성자 : 훠훠]
3.
“기체의 확산속도는 기체의밀도(또는 분자량)의 제곱근에 반비례한다.”라는 법칙과 연관성이 있는 것은?
1.
미지의 기체 분자량을 측정에 이용할 수 있는 법칙이다.
2.
보일-샤를이 정립한 법칙이다.
3.
기체상수 값을 구할 수 있는 법칙이다.
4.
이 법칙은 기체상태방정식으로 표현된다.
정답 : [
1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분자량의 측정 중 그레이엄 법칙 : 같은 온도와 압력에서 두 기체의 확산속도는 분자량의 제곱근에 반비례한다. [해설작성자 : DoubleM2]
4.
다음 중 파장이 가장 짧으면서 투과력이 가장 강한 것은?
1.
α-선
2.
β-선
3.
γ-선
4.
X-선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α-선<β-선<γ-선 [해설작성자 : S.B]
5.
98% H2SO4 50g에서 H2SO4에 포함된 산소 원자수는?
1.
3×1023개
2.
6×1023개
3.
9×1023개
4.
1.2×1024개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순도가 98%이므로 50g중 순수 황산은 50g×0.98=49g이다. 황산의 분자량을 98이라고 했을 때 0.5mol이므로 황산의 분자수는 0.5mol×6×10^23개/mol=3×10^23개이다. 황산 하나의 분자당 산소원자가 4개이므로 산소원자의 수는 4×3×10^23개=1.2×10^24개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6x10^23은 아보가르도수(원자의개수)입니다. [해설작성자 : 울과대화공]
6.
질소와 수소로 암모니아를 합성하는 반응의 화학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암모니아의 생성률을 높이기 위한 조건은?
1.
온도와 압력을 낮춘다.
2.
온도는 낮추고, 압력은 높인다.
3.
온도를 높이고, 압력은 낮춘다.
4.
온도와 압력을 높인다.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르샤틀리에의 원리에 의해 발열반응이므로 온도를 낮추어야 정반응이 우세 (온도가 낮으면 정반응 시에 온도가 올라가기에) 반응물의 기체몰수가 4몰이고 생성물의 기체몰수가 2몰이므로 압력을 높여야 정반응이 우세 (압력이 높으면 정반응 시에 압력이 낮아지기에) thx:)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7.
다음 그래프는 어떤 고체물질의 온도에 따른 용해도 곡선이다. 이 물질의 포화용액을 80℃에서 0℃로 내렸더니 20g의 용질이 석출되었다. 80℃에서 이 포화용액의 질량은 몇 g인가?
1.
50g
2.
75g
3.
100g
4.
150g
정답 : [
1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그래프를 통해 80℃에서 0℃가 되면 80g의 용질이 석출됨을 알 수 있다. (용해도는 용매(물) 100g당) 문제에서는 20g이 석출되었다고 했으므로 용매가 4배가 적은 용액이다. 즉 용매인 물은 25g이다. 80℃에서 용해도가 100g/100g(물)이므로 25g의 물에는 25g의 용질이 녹는다. 따라서 용액(=용매+용질)은 50g이다. thx:)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200:120=x:x-20 200x-120x=4000 x=50 [해설작성자 : Xx]
8.
1패러데이(Faraday)의 전기량으로 물을 전기분해 하였을 때 생성되는 수소기체는 0℃, 1기압에서 얼마의 부피를 갖는가?
1.
5.6L
2.
11.2L
3.
22.4L
4.
44.8L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2H2O → 2H2 + O2 반응에서, 즉 2 mol의 H2 기체가 생성될 때 이동한 전자는 4 mol이고, 1 패러데이의 전하량 = 전자 1 mol의 전하량 이므로, 따라서 전자 1 mol이 이동할 때 생성되는 수소 기체의 부피는
내림상수=kg/mol 1키로에 1몰이 추가 되었을 때=1.86도 물이 1키로보다 많을 때는 상수에 배수만큼 감소 반대는 증가 녹이는 물질의 몰 수의 배수만큼 상수에 곱하기 200g=1/5 물질 몰 수=1/20 5* 1/20 *1.86=0.465 내림상수니 저만큼 내려간다는 거 답은 2번 [해설작성자 : ㅎㅇㅎㅇ]
아세트산은 분자구조상 1mol당 1mol의 [H+]를 내어놓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1N당 [H+] 1mol 0.01mol의 아세트산에서 0.01mol의 [H+]를 내어 놓을 수 있지만 산의 해리도(전리도)가 0.01이므로 0.01mol의 아세트산에서 0.01의 비율만큼만 [H+]가 떨어져 나옵니다. 따라서 용액속에 존재하는 [H+]는 0.01*0.01=10^(-4)mol 만큼 존재 pH=-log([H+]) 에 대입하면 pH=4 [해설작성자 : 화학공학부]
13.
액체나 기체 안에서 미소 입자가 불규칙적으로 계속 움직이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틴들 현상
2.
다이알리시스
3.
브라운 운동
4.
전기영동
정답 : [
3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브라운운동은 액체나 기체 등 유체 안에 존재하는 거대한 입자가 끊임없이 불규칙적으로 움직이는 현상을 뜻한다. -출처 네이버- [해설작성자 : 냥냥펀치]
콜로이드 용액에 강한 직사광선을 비추었을 때 빛의 진로가 보이는 현상이 틴들현상 [해설작성자 : 자격증30개보유자]
14.
ns2np5의 전자구조를 가지지 않는 것은?
1.
F(원자번호 9)
2.
Cl(원자번호 17)
3.
Se(원자번호 34)
4.
I(원자번호 53)
정답 : [
3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np5를 보고 아 17족 원소(F, Cl, Br, I)를 묻고 있구나를 떠올리시면 쉽게 푸실 수 있습니다. (기출 내에선 전이금속들의 전자배치를 물어보는 경우는 극히 드뭅니다.) 참고) Se은 16족원소 입니다(흔히 산소족 라인) [해설작성자 : Teno]
디에틸에테르는 에탄올과 진한 황산의 혼합물을 가열하여 제조할 수 있는데 이것을 무슨 반응이라고 하는가?
1.
중합 반응
2.
축합 반응
3.
산화 반응
4.
에스테르화 반응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축합반응은 두개이상의 분자가 일부 원자를 손실하면서 하나의 분자가 되는 반응을 말한다. 디에틸에테르는 두개의 에탄올이 진한 황산에 의해 H2O를 손실하고 반응이 일어남으로 생성된것이다. 따라서 디에틸에테르는 탈수축합반응으로 생성이 된다. 여기서 진한 황산은 강한 탈수제로 두 개의 에탄올 분자에서 물을 빼내고 축합반응이 일어나게 해준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축합도 중합에 속해있는데 여기서는 축합이라는 보기를 줬기때문에 중합을 고를 이유가 없음 [해설작성자 : 123]
20.
다음의 금속원소를 반응성이 큰 순서부터 나열한 것은?
1.
Cs>Rb>K>Na>Li
2.
Li>Na>K>Rb>Cs
3.
K>Na>Rb>Cs>Li
4.
Na>K>Rb>Cs>Li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족의 원소는 아래로 갈수록 반응성이 커집니다 Li < Na < K < Rb < Cs < Fr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과목 : 화재예방과 소화방법
21.
1기압, 100℃에서 물 36g이 모두 기화되었다. 생성된 기체는 약 몇 L인가?
1.
11.2
2.
22.4
3.
44.8
4.
61.2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기압 0℃(273K)일 때 기체는 1몰당 22.4L입니다. 100℃(373K)일 때의 1몰당 부피는 22.4L/mol×(373/273)=30.6L/mol 36g의 물은 2mol이므로 30.6L/mol×2mol=61.2L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물(H2O)= 1mol, 18g 물 = 2mol,36g
PV=nRT V = nRT/P
P=1, n=2, R=0.082 T=100+273
V = 2x0.082x373 = 61.172 = 61.2 [해설작성자 : PV=nRT]
PV=nRT 물 2몰 1 X V = 2 X 0.082 X (273+100) =61.172 [해설작성자 : 양배추]
22.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분말소화설비의 기준에서 가압용 또는 축압용 가스로 알맞은 것은?
1.
산소 또는 수소
2.
수소 또는 질소
3.
질소 또는 이산화탄소
4.
이산화탄소 또는 산소
정답 : [
3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분말소화설비의 가압용/축압용 가스로 쓰이는 것은 질소 또는 이산화탄소 이다 [해설작성자 : 인하공전]
소화기인데 산소? 불이더 커지죠 수소?가연성가스죠 [해설작성자 : ㅎㅎ]
23.
소화 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산소공급원 차단에 의한 소화는 제거효과이다.
2.
가연물질의 온도를 떨어뜨려서 소화하는 것은 냉각효과이다.
3.
촛불을 입으로 바람을 불어 끄는 것은 제거효과이다.
4.
물에 의한 소화는 냉각효과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산소공급원 차단은 질식소화 [해설작성자 : Dr.Dre]
1.산소공급원 차단에 의한 소화는 제거효과x(질식소화0)이다 (사람이 산소가 없으면 질식하죠!?). 2.가연물질의 온도를 떨어뜨려서 소화하는 것은 냉각효과이다. (온도가 올라간걸 떨어 뜨리려면 에어컨을 키는 것처럼 냉각이 필요하겠죠) 3.촛불을 입으로 바람을 불어 끄는 것은 제거효과이다. (여기서 헛갈리는 분들이 많으실수있는데 불자체를 입으로 불어 제거한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4.물에 의한 소화는 냉각효과이다.- 당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4.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 따른 옥내소화전설비의 기준에서 펌프를 이용한 가압송수장치의 경우 펌프의 전양정(H)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h1은 소방용 호스의 마찰손실수두, h2는 배관의 마찰손실수두, h3는 낙차이며, h1, h2, h3의 단위는 모두 m이다.)
<문제 해설> 스프링클러의 약제는 주로 물이며 제 4류위험물 인화성액체는 물분무로 질식소화가 효과적이다 [해설작성자 : 밍크르릉]
제4류 위험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장소의 살수기준면적에 따라 스프링클러설비의 살수밀도가 특정 기준 이상인 경우에는 당해 스프링클러설비가 제4류 위험물에 대하여 적응성이 있다. [해설작성자 : 라빠레뜨]
28.
위험물제조소에서 옥내소화전이 1층에 4개, 2층에 6개가 설치되어 있을 때 수원의 수량은 몇 L 이상이 되도록 설치하여야 하는가?
1.
13000
2.
15600
3.
39000
4.
46800
정답 : [
3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관리자 입니다. 소방법관련하여 옥내소화전 안전기준 개정(21.04.01)이 된것은 사실이나 본 문제에서는 별도오 소방법이라는 명시가 없으므로 '위험물안전관리에 관한 세부기준'에 관한 법률에 의건하여야 합니다. 현재 2022년 09월 20 확인한 바로는 아직 개정되지 않았으므로 기존과 같이 최대 수량은 5개로 보시고 계산하시는 것이 맞을듯 합니다. 추가적으로 확인하시어 위험물안전관리법이 바뀌었다면 정확한 근거 링크 포함하여 신고해 주시면 문제와 답을 수정할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위험물은 5개에 7.8^3 그대로 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은「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옥내소화전설비의 기술기준으로서의 효력을 가짐.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제5조(다른법률과의 관계) 특정소방대상물 가운데 「위험물안전관리법」에 따른 위험물 제조소등의 안전관리와 위험물 제조소등에 설치하는 소방시설등의 설치기준에 관하여는 「위험물안전관리법」에서 정하는 바에 따른다. 이 문제는 위험물안전관리법에 따른 위험물 제조소에서의 옥내소화전이므로 위험물안전관리법에 따른 옥내소화전설비기준을 따라야함.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17] 소화설비, 경보설비 및 피난설비의 기준 Ⅰ.5.소화설비의 설치기준 마.옥내소화전설비의 설치기준은 다음의 기준에 의할 것 2) 수원의 수량은 옥내소화전이 가장 많이 설치된 층의 옥내소화전 설치개수(설치개수가 5개 이상인 경우는 5개)에 7.8m3를 곱한 양 이상이 되도록 설치할 것 참고. 옥외소화전은 또 다름 바. 옥외소화전설비의 설치기준은 다음의 기준에 의할 것 2) 수원의 수량은 옥외소화전의 설치개수(설치개수가 4개 이상인 경우는 4개의 옥외소화전)에 13.5m3를 곱한 양 이상이 되도록 설치할 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9.
다음 중 고체 가연물로서 증발연소를 하는 것은?
1.
숯
2.
나무
3.
나프탈렌
4.
니트로셀룰로오스
정답 : [
3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고체연소> 증발연소는 황, 나프탈렌, 파라핀 표면연소는 코크스, 목탄, 금속분 분해연소는 목재, 종이, 석탄, 플라스틱, 제 3석유류, 자기연소하는 물질(화합물 자체가 산소를 함유해 산소없이 연소하는 것들) [해설작성자 : 분석가]
자기연소-질산에스테르류, 니트로화합물 [해설작성자 : SPACE]
숯-표면 나무-분해 나프탈렌-증발 니트로-자기 [해설작성자 : 연소]
30.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조소등에서의 위험물의 저장 및 취급에 관한 기준에 따르면 보냉장치가 있는 이동저장탱크에 저장하는 디에틸에테르의 온도는 얼마 이하로 유지하여야 하는가?
1.
비점
2.
인화점
3.
40℃
4.
30℃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이동저장탱크 저장 및 취급 기준 중 보냉장치가 있는 탱크의 경우 - 아세트알데히드 및 산화프로필렌 저장시 '비점' 이하 유지 보냉장치가 없는 탱크의 경우 - 아세트알데히드 및 산화프로필렌 저장시 '40도' 이하 유지
※제조소의 아세트알데히드 및 산화프로필렌 취급시 아세트알데히드는 15도 이하 유지 산화프로필렌은 30도 이하 유지 [해설작성자 : 빡상]
'~~화'는 이온결합 물질을 부를때 사용합니다. 예를들어 CaCl2 라 하면 염화칼슘이라 합니다. 따라서 보기4번의 요오드화칼륨은 KI라는 화학식을 가지는 이온결합물질로 제1류위험물의 요오드산염류와는 별개입니다. 따라서 이문항에는 오류가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일반화학 A+]
47.
제1류 위험물로서 조해성이 있으며 흑색화약의 원료로 사용하는 것은?
1.
염소산칼륨
2.
과염소산나트륨
3.
과망간산암모늄
4.
질산칼륨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질산 칼륨(KNO3, 초석) [해설작성자 : 전씨]
흑색화약 = KNO3+S+C [해설작성자 : 김마마]
흑색화약은 질산칼륨으로 외우세요` [해설작성자 : 김미]
48.
짚, 헝겊 등을 다음의 물질과 적셔서 대량으로 쌓아 두었을 경우 자연발화의 위험성이 가장 높은 것은?
1.
동유
2.
야자유
3.
올리브유
4.
피마자유
정답 : [
1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모두 제 4류 위험물인 동식물유이다. 야자유, 올리브유, 피마자유는 불건성유로 산소와 화합하기 어려워 공기 속에 방치하여도 수지상으로 고화건조하지 않는 기름이다. 여기서 동유는 건성유로 건조성이 강함으로 산소를 흡수하여 산화,중합,축합을 일으킴으로써 차차 점성이 증가하는 기름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제4류 위험물 중 제1석유류를 저장, 취급하는 장소에서 정전기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가급적 습도를 낮춘다.
2.
주위 공기를 이온화시킨다.
3.
위험물 저장, 취급설비를 접지시킨다.
4.
사용기구 등은 도전성 재료를 사용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정전기를 방지하기 위해서 습도를 70% 이상으로 유지 [해설작성자 : 합격가자]
53.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위험물을 취급 중 소비에 관한 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분사도장작업은 방화상 유효한 격벽 등으로 구획된 안전한 장소에서 실시할 것
2.
버너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버너의 역화를 방지할 것
3.
반드시 규격용기를 사용할 것
4.
열처리작업을 위험물이 위험한 온도에 이르지 아니하도록 하여 실시할 것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위험물의 취급 중 소비에 관한 기준은 다음 각목과 같다(중요기준). 가. 분사도장작업은 방화상 유효한 격벽 등으로 구획된 안전한 장소에서 실 시할 것 나. 담금질 또는 열처리작업은 위험물이 위험한 온도에 이르지 아니하도록 하여 실시할 것 다. 삭제 <2009.3.17> 라. 버너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버너의 역화를 방지하고 위험물이 넘치지 아 니하도록 할 것 [해설작성자 : Korea다람쥐]
위험물을 소비하는 기준인데. 용기에 다시 담고 있으니. 않는 것임. [해설작성자 : 이해하면 더 잘 보입니다.]
주유취급소의 표지 및 게시판의 기준에서 “위험물 주유취급소” 표지와 “주유중엔진정지” 게시판의 바탕색을 차례대로 옳게 나타낸 것은?
1.
백색, 백색
2.
백색, 황색
3.
황색, 백색
4.
황색, 황색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소방기술기준에 관한 규칙 제 236조 [주유취급소의 표지 및 게시판]
주유취급소에는 제150조의 규정에 준하여"위험물주유취급소"라는 뜻을 표시한 표지 및 방화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기재한 게시판을 설치하고 황색바탕에 흑색문자로 "주유중엔진정지"라고 표시한 표지판과적색바탕에 백색문자로 "화기엄금"이라고 표시한 게시판을 따로 설치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울과대전재성마누라]
표지 및 게시판(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4, 별표 13) 백색바탕 흑색문자 : "위험물 제조소", "위험물 주유취급소", 방화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게시한 게시판(저장 또는 취급하는 위험물의 유별·품명 및 저장최대수량 또는 취급최대수량, 지정수량의 배수 및 안전관리자의 성명 또는 직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