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사회계획모델-합리성에 기반한 과업중심 모델. 지역사회 문제 해결. 사회복지사 위주. 사회복지사는 분석가, 전문가, 관리자, 협상가 역활.
3)사회행동모델-소외된 지역사회 구성원 위주. 과정+과업. 갈등적 접근 등 적극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활동. 선동가, 조직가, 행동가, 대변가, 교육가. [해설작성자 : K]
5.
핀커스(Pincus)와 미나한(Minahan)이 제시한 사회복지사의 활동체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변화매개체계는 사회복지사와 사회복지사를 고용하고 있는 기관 및 조직을 의미한다.
2.
클라이언트체계는 변화노력을 달성하기 위해 상호작용하는 모든 체계들을 의미한다.
3.
행동체계는 변화목표를 설정하거나 표적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4.
표적체계는 목표달성을 위하여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거나 변화가 필요한 사람들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73%
6.
다음의 상황에서 사회복지사 A가 겪을 수 있는 윤리적 쟁점은?사회복지사 A는 신입사회복지사 B의 이야기를 듣고 상사에게 보고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이 생겼다. 동료사회복지사 C가 신입사회복지사 B에게 자신의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자료 제작을 지시하였을 뿐만 아니라, 개인적인 대학원 과제도 시키는 일이 있어 어떻게 해야 할지 난감하다고 하였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