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에는 족보가 배우자를 구하거나 붕당을 구별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3.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족보는 성종 7년 1476에 간행된 안동권씨 성화보.
16.
다음 (가)~(라)를 내용으로 하는 헌법이 적용되던 시기에 일어난 사건으로 바르게 연결한 것은?
1.
(가)-남한과 북한은 함께 유엔에 가입하였다.
2.
(나)-판문점에서 휴전 협정이 체결되었다.
3.
(다)-평화통일론을 주장한 진보당의 정당등록이 취소되었다.
4.
(라)-민족 통일을 위한 남북 공동 성명이 발표되었다.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가 - 8차개헌(전두환) 나 - 1948 제헌헌법 다 - 1954 2차 사사오입 개헌 라 - 7차개헌 1972년.
1.1991년 노태우 9차개헌 2.1953년 7월. 1950년 발췌개헌시절 3.1958년 조봉암 진보당사건 4.7.4남북공동성명 이후 남북한은 각자의 독제체제강화로 법개정을 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이승만 정부 48 5.10총선 - 52 발췌개헌(직선제) - 54 2차 개헌(사사오입) - 56 위기 - 40 3.15 부정선거 - 4.19 혁명 52 발췌개헌: 대통령 직선제, 이승만 세력 자유당 창당 54 사사오입: 초대 대통령의 3선 제한(중임 제한) 철폐 + 58 조봉암 진보당 사건: 평화통일론을 주장한 진보당의 정당등록 취소
가: 전두환, 1: 노태우 나: 제헌헌법, 2: 53.7 휴전협정 조인 (52 발췌개헌 때) * 제헌헌법: 대통령과 부통령은 국회에서 무기명 투표로 선거 다: 54 2차, 3: 2차 개헌 후 58 진보당 사건 (진보당: 이승만 2차 시기) 라: 유신, 4: 박정희 72.7(유신체제는 72.1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 사절단 파견 1차 수신사(76.4): 김기수, 귀국 후 일동기유 저술 * 2차 수신사(80.6): 청 외교관 황준헌의 조선책략 입수(미국과 수교) 조사시찰단(81.4): 홍영식, 유길준 등 영선사(청, 81.9): 김윤식, 기기창 3차 수신사(82.8): 3차 수신사(차관교섭) 보빙사(83.7): 민영익, 홍영식, 유길준 등 (사료) 민영익이 귀국하여 고종을 알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