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P(Biological Index of Pollution) : 현미경적 생물을 대상으로 전생물 수에 대한 동물성 생물수의 백분율을 나타낸 것으로 값이 클수록 오염이 심하다.
2.
BI(Biotix Index) : 육안적 동물을 대상으로 전생물 수에 대한 청수성 및 광범위 출현 미생물의 백분율을 나타낸 것으로, 값이 클수록 깨끗한 물로 판정된다.
3.
TSI(Trophic State Index) : 투명도에 대한 부영양화지수와 투명도-클로로필농도의 상관관계에 의한 부영양화지수, 클로로필 농도-총인의 상관관계를 이용한 부영양화 지수가 있다.
4.
SDI(Species Diversity Index) : 종의 수와 개체수의 비로 물의 오염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값이 클수록 종의 수는 적고 개체수는 많다.
정답 : [
4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SDI값이 클수록 종의 수가 많은 것 [해설작성자 : 꼬소]
8.
콜로이드 입자가 분산매 분자들과 층돌하여 불규칙하게 움직이는 현상은?
1.
투석현상(Dialysis)
2.
틴들현상(Tyndall)
3.
브라운운동(Brown motion)
4.
반발력(Zeta potential)
정답 : [
3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브라운 운동: 콜로이드 입자가 분산매의 열운동에 의한 충돌로 인해 보이는 불규칙적인 운동 -오답 투석현상: 콜로이드 용액에 섞여 있는 용질분자나 이온을 반투막을 이용하여 분리함으로써 콜로이드 용액을 정제하는 방법 틴들현상: 콜로이드 용액에 빛을 비추면 빛의 진로가 뚜렷이 보이는데, 큰 입자들이 가시광선을 산란시켜 나타나는 현상 [해설작성자 : 하성]
9.
수질분석결과 Na+=10mg/L, Ca+2=20mg/L, Mg+2=24mg/L, Sr+2=2.2mg/L일 때 총경도(mg/L as CaCO3)는? (단, 원자량 : Na=23, Ca=40, Mg=24, Sr=87.6)
1.
112.5
2.
132.5
3.
152.5
4.
172.5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20×(50/20)+24×(50/12)+2.2×(100/87.6/2) =152.51mg/L as CaCO3 [해설작성자 : Oui]
20×(50/20)+24×(50/12)+2.2×(50/87.6) =152.51mg/L as CaCO3 [해설작성자 : 1일 빡공러]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문제 해설> TLm 은 어류에 대한 독성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값으로 어류를 급성 독성물질이 들어 있는 배수의 희석액 중에 일정시간 사육하고, 그 사이에 공시어의 50%가 살아남는 배수 농도를 표시함. 24,48, 96 각 시간의 TLm이 구해짐. [해설작성자 : 아무개]
20.
하천의 자정작용 단계 중 회복지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물이 비교적 깨끗하다.
2.
DO가 포화농도의 40% 이상이다.
3.
박테리아가 크게 번성한다.
4.
원생동물 및 윤충이 출현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회복지대 특징 분해가능한 유기물이 거의 분해됨, DO가 점점 증가하기 시작함, 질산화 발생, 혐기성균이 호기성균으로 대체됨 Fungi 발생, 조류 발생, 세균수 감소 [해설작성자 : 하성]
2과목 : 상하수도계획
21.
취수관로 구조 결정 시 바람직하지 않은 것은?
1.
취수관로를 고수부지에 부설하는 경우, 그 매설깊이는 원칙적으로 계획고수부지고에서 2m 이상 깊게 매설한다.
2.
관로에 작용하는 내압 및 외압에 견딜 수 있는 구조로 한다.
3.
사고 등에 대비하기 위하여 가능한 한 2열 이상으로 부설한다.
4.
취수관로가 제방을 횡단하는 경우, 취수관로는 원지반보다는 가능한 한 성토부분에 매설하여 제방을 횡단하도록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취수관로 구조- ㄱ.관거에 작용하는 내압 맟 외압에 견딜 수 있는 구조로 한다. ㄴ.관거를 제외지에 부설하는 경우 원칙적으로 계획고수부지고에서 2m이상 깊게 매설한다. ㄷ.관거가 제방을 횡단하는 경우 원칙적으로 유연한 구조로 한다. 또 비상시에 지수가 확실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원칙적으로 제수밸브 등을 설치한다. ㄹ.시공한 다음 제방에 영향응 주지 않도록 제방법면의 보호공을 설치한다. ㅁ.사고 등에 대비하기 위하여 가능한 한 2열 이상으로 부설한다. [해설작성자 : 기린맨]
22.
도시의 인구가 매년 일정한 비율로 증가한 결과라면 연 평균 증가율은? (단, 현재인구 450000명, 10년전 인구 200000명, 장래에 크게 발전할 가망성이 있는 도시)
-원칙적으로 철근콘크리트구조로 하며 부력에 대해서도 안전한 구조로 한다. -표면부하율은 200~500 mm/min 을 표준으로 한다. -지내 평균유속은 2~7 cm/s 를 표준으로 한다. -지의 길이는 폭의 3~8배로 한다. -지의 고수위는 계획취수량이 유입될 수 있도록 취수구의 계획최저수위 이하로 정한다. -지의 유효수심은 3~4m 를 표준으로 한다. -한랭지에서는 저온으로 지의 수면이 결빙되거나 강설로 수중에 눈얼음 등이 보이는 곳에서는 기능장애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붕을 설치한다. [해설작성자 : 김기원]
바닥은 모래배출응 위하여 중앙에 배수로를 설치하고 길이방향에는 배수구로 향하여 1/100, 가로방향은 중앙배수로를 향하여 1/50 정도의 경사를 둔다. [해설작성자 : 기린맨]
31.
펌프효율 η=80%, 전양정 H=16m인 조건하에서 양수량 Q=12L/sec로 펌프를 회전시킨다면 이 때 필요한 축동력(kW)는? (단, 전동기는 직결, 물의 밀도 r=1000kg/m3)
P=pgQH p : 밀도 g : 중력가속도 Q : 양수량 H : 전양정 으로 계산하여 watt에 대한 단위를 맞춘 후 효율로 나눠서 계산해도 나옴 [해설작성자 : 소표]
32.
상수취수를 위한 저수시설 계획기준년에 관한 내용으로 ( )에 알맞은 것은?
1.
7개년에 제1위 정도의 갈수
2.
10개년에 제1위 정도의 갈수
3.
7개년에 제1위 정도의 홍수
4.
10개년에 제1위 정도의 홍수
정답 : [
2
] 정답률 : 81%
33.
상수도시설인 도수시설의 도수노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원칙적으로 공공도로 또는 용지로 한다.
2.
수평이나 수직방향의 급격한 굴곡을 피한다.
3.
관로상 어떤 지점도 동수경사선보다 낮게 위치하지 않도록 한다.
4.
몇 개의 노선에 대하여 건설비 등의 경제성, 유지관리의 난이도 등을 비교·검토하고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결정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관로상 어떤 지점도 동수경사선보다 높게 위치하지 않도록 한다. [해설작성자 : 플라워리]
34.
상수도시설 중 저수시설인 하구둑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전용댐, 다목적댐과 비교)
1.
개발수량 : 중소규모의 개발이 기대된다.
2.
경제성 : 일반적으로 댐보다 저렴하다.
3.
설치지점 : 수요지 가까운 하천의 하구에 설치하여 농업용수에 바닷물의 침해방지기능을 겸하는 경우가 많다.
4.
저류수의 수질 : 자체관리로 비교적 양호한 수질을 유지할 수 있어 염소이온 농도에 대한 주의가 필요 없다.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 상수도시설 중 저수시설인 하구둑 ] 개발수량 : 중소규모의 개발이 기대된다. 경제성 : 일반적으로 댐보다 저렴하다. 설치지점 : 수요지 가까운 하천의 하구에 설치하여 농업용수에 바닷물의 침해방지 기능을 겸한 경우가 많다. 저류수의 수질 : 염소이온농도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해설작성자 : 뱃살곰]
35.
상수도시설인 급속여과지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여과속도는 단층의 경우 120∼150m/d를 표준으로 한다.
2.
여과지 1지의 여과면적은 100m2이하로 한다.
3.
여과면적은 계획정수량을 여과속도로 나누어 계산한다.
4.
급속여과지는 중력식과 압력식이 있으며 중력식을 표준으로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급속여과지 -중력식과 압력식이 있으며 중력식을 표준으로 한다. -여과면적은 1지당 150 m^2 이하 -직사각형을 표준으로 함 -지수는 예비지 포함 2지이상으로 하며, 10지를 넘을 경우 10지당 1지의 비율로 예비지를 설치한다. -여과속도는 단층의 경우 120~150m/일 -여과속도는 유입유량을 여과면적으로 나눈값 v=Q/A -> A=Q/v (여과면적이 커지면 여과속도가 감소하는것이 아니라 처리 할 수 있는 유량이 면적이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이다. 즉, 여과면적이 커져도 여과속도는 변화 없다.) [해설작성자 : 김기원]
36.
콘크리트조의 장방형 수로(폭 2m, 깊이 2.5m)가 있다. 이 수로의 유효수심이 2m인 경우의 평균유속(m/sec)은? (단, Manning 공식 이용, 동수경사=1/2000, 조도계수=0.017) (문제오류로 인하여 실제 시험에서는 1, 2, 3, 4번이 모두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유역면적이 100ha이고 유입시간(time of inlet)이 8분, 유출계수(C)가 0.38일 때 최대계획우수유출량(m3/sec)은? (단, 하수관거의 길이(L)=400m, 관유속=1.2m/sec로 되도록 설계, , 합리식 적용)
1.
약 18
2.
약 24
3.
약 36
4.
약 42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유달시간t=유입시간+유하시간 유입시간=8분 유하시간=400 (m)/1.2 (m/sec) = 5.55555...min = 5.6 min 유달시간t= 13.6 min 강우강도I= 655/(sqrt(13.6)+0.09)= 173.7 최대계획우수유출수량Q= C*I*A/360 = 0.38*173.7*100/360 = 18.335 -> 약 18 [해설작성자 : 김기원]
38.
하수관로의 접합방법을 정할 때의 고려 사항으로 ( )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 60° ㉡ 5배
2.
㉠ 60° ㉡ 3배
3.
㉠ 30∼45° ㉡ 5배
4.
㉠ 30∼45° ㉡ 3배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2개의 관거가 합류하는 경우 중심교각은 60도 이하이고 곡선을 갖고 합류하는 경우 곡률반경은 내경의 5배 이상으로 한다. 구민사 필기 이론 책에는 이렇게 나와있는데 정답에 오류가 없다면 60도 이하가 맞는 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아이씨]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유속이 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2개의 관로가 합류하는 경우의 중심교각은 되도록 30~45도로 하고 장애물 등이 있을 경우에는 60도 이하로 한다. 개구경관에 합류하는 소구경관은 대구경관의 지름의 1/2이하이고 수면접합 또는 관정접합으로 붙이는 경우의 중심교각은 90도 이내로 할 수 있으며, 곡선을 갖고 합류하는 경우의 곡률반경은 내경의 5배 이상으로 한다. 그래서 답은 3번. [해설작성자 : 예문사 최신 수험서에는 이렇게 나와있던데]
[오류신고 반론] 위에 오류신고 해주신 내용은 국가설계기준에 나온 내용입니다. 환경부가 제정한 하수도시설기준을 살펴보면, "이때 중심교각은 30~45°가 이상적이지만 도로의 폭, 그 밖의 장애물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60°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는 내용이 있습니다. 맥락상 60도 이하가 기준이고 그 중 이상적인 각도가 30~45도라고 해석하는게 맞는거 같습니다. 답은 1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시시함속에]
[오류신고 반론] 적정 30~45도로 하고 최대60도까지 가능. [해설작성자 : 123]
39.
하수도시설인 유량조정조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조의 용량은 체류시간 3시간을 표준으로 한다.
2.
유효수심은 3∼5m를 표준으로 한다.
3.
유량조정조의 유출수는 침사지에 반송하거나 펌프로 일차침전지 혹은 생물반응조에 송수한다.
4.
조내의 침전물의 발생 및 부패를 방지하기 위해 교반장치 및 산기장치를 설치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조의 용량 : 계획1일최대오수량의 1.5배 이하 [해설작성자 : 너굴]
유량조정조는 체류시간이 따로 명시되어있지 않음 [해설작성자 : 오옹]
40.
단면형태가 직사각형인 하수관로의 장·단점으로 옳은 것은?
1.
시공장소의 흙두께 및 폭원에 제한을 받는 경우에 유리하다.
2.
만류가 되기까지는 수리학적으로 불리하다.
3.
철근이 해를 받았을 경우에도 상부하중에 대하여 대단히 안정적이다.
4.
현장 타설의 경우, 공사기간이 단축된다.
정답 : [
1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단면형태가 직사각형인 관로는 만류되기 전이 수리학적으로 유리하다. 만류가 되면 마찰손실 때문에 수리학적으로 더 불리하기 때문이다. [해설작성자 : 합격하자]
장점 : 시공장소의 흙 두께 및 폭원에 제한을 받는 경우에 유리하며 공장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역학계산이 간단하다. 만류가 될 때까지 수리학적으로 유리하다. 단점 : 철근이 해를 받았을 경우 상부하중에 대해 대단히 불안해진다. 현장타설일 경우에는 공사기간이 지연된다. 따라서, 공사의 신속성을 도모하기 위해 상부를 따로 제작해 나중에 덮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뱃살곰]
3과목 : 수질오염방지기술
41.
폐수를 활성슬러지법으로 처리하기 위한 실혐에서 BOD를 90% 제거하는데 6시간의 aeration이 필요하였다. 동일한 조건으로 BOD를 95% 제거하는데 요구되는 포기시간(hr)은? (단, BOD 제거반응은 1차반응(base 10)에 따른다.)
1.
7.31
2.
7.81
3.
8.31
4.
8.81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x = ln(0.05)/-(ln(10)/6)... x = 7.81 [해설작성자 : 카레맛카레]
BOD잔존식 BODt=BODu*10^(-k*t)
BODt/BODu=10^(-k*t)
log(BODt/BODu)=-k*t -> log(10/100)=-k*6 즉, k=1/6 log(5/100)=-1/6*t 즉, t=7.81 [해설작성자 : 김기원]
42.
활성탄 흡착 처리 공정의 효율이 가장 낮은 것은?
1.
음용수의 맛과 냄새물질 제거 공정
2.
트리할로메탄, 농약, 유기 염소 화합물과 같은 미량 유기 물질 제거 공정
3.
처리된 폐수의 잔존 유기물 제거 공정
4.
산업폐수 및 침출수 처리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활성탄 흡착 처리법은 유기물 제거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냄새나 맛 유발물질, 잔류농약, 트리할로메탄의 전구물질, 페놀류 등의 미량 유해화합물 처리목적으로 적용되며 합성세제나 색도성분을 처리하는데에도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맹]
산업폐수, 침출수는 유기고형물질의 크기가 크거나 양이 많아 활성탄의 공극이 폐색될 우려가 있으므로 효율 낮음 [해설작성자 : sooa]
43.
수처리 과정에서 부유되어 있는 입자의 응집을 초래하는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제타 포텐셜의 감소
2.
플록에 의한 체거름 효과
3.
정전기 전하 작용
4.
가교현상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정전기 전하 작용은 응집 원리가 아님 [해설작성자 : 건머]
44.
폐수 처리시설을 설치하기 위한 설계 기준이 다음과 같을 때 필요한 활성슬러지 반응조의 수리학적 체류시간(HRT, hr)은? (단, 일 폐수량= 40L, BOD농도=20000mg/L, MLSS=5000mg/L, F/M=1.5kg BOD/kg MLSS·day)
1차반응의 반감기 공식 (1/2)^n * Ci = Cx -> (1/2)^n = 0.01 n = 6.64.. [해설작성자 : 김기원]
반응속도랑 농도가 비례하는건 1차 1차 반감기 t = ln2/k t가 1hr이므로 따라서 k = ln2
-ln(Ca/Ca0) = kt 에서 대입만히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뾱]
51.
1일 10000m3의 폐수를 급속환화지에서 체류시간 60sec, 평균속도경사(G) 400sec-1인 기계식고속 교반장치를 설치하여 교반하고자 한다. 이 장치에 필요한 소요 동력(W)은? (단, 수온 10℃, 점성계수(-μ)=1.307×10-3kg/m·s)
1.
약 2621
2.
약 2226
3.
약 1842
4.
약 1452
정답 : [
4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W = G^2*μ*V V = Q*t = 10000m^3/day * 60sec * 1day/86400sec = 6.944m^3 W = (400^2) * (1.307×10^-3) * 6.944 [해설작성자 : 쭈리는 세젤귀]
52.
다음 중 폐수처리방법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시안(CN) 함유 폐수를 처리하기 위해 pH를 4 이하로 조정하고 차아염소산나트륨(NaClO)을 사용하였다.
2.
카드뮴(Cd) 함유 폐수를 처리하기 위해 pH를 10 정도로 조정하고 수산화나트륨(NaOH)을 사용하였다.
3.
크롬(Cr) 함유 폐수를 처리하기 위해 pH를 3 정도로 조정하고 황산철(FeSO4)을 사용하였다.
4.
납(Pb) 함유 폐수를 처리하기 위해 pH를 10 정도로 조정하고 수산화나트륨(NaOH)을 사용하였다.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보기 1.의 산화제를 첨가한 시안 처리방법은 알칼리염소 주입법이다. 이 방법을 사용할 경우, 산화제를 첨가할 때의 적정 ph농도는 10 ~ 12 (염기성) 을 유지해야한다.
보기 2. 카드뮴의 수산화물 침전법 보기 3. 크롬의 환원침전법 보기 4. 납의 수산화물 침전법 [해설작성자 : 카레맛카레]
53.
유량 20000m3/day, BOD 2mg/L인 하천에 유량 500m3/day, BOD 500mg/L인 공장 폐수를 폐수처리시설로 유입하여 처리 후 하천으로 방류시키고자 한다. 완전히 혼합된 후 합류지점의 BOD를 3mg/L 이하로 하고자 한다면 폐수처리시설의 BOD 제거율(%)은? (단, 혼합 후의 기타변화는 없다고 가정)
지름이 0.05mm이고 비중이 0.6인 기름방울은 비중이 0.8인 기름방울보다 수중에서의 부상속도가 얼마나 더 큰가? (단, 물의 비중=1.0)
1.
1.5배
2.
2.0배
3.
2.5배
4.
3.0배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부상속도 v = (d^2*(Sw - S )*g)/18 * m(=액체의 점성계수) 비중을 제외한 모든 요소가 동일하고, {물의 비중-기름방울의 비중}에 부상속도가 비례하므로, (1-0.6) : (1-0.8) 로서 차이가 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0.4;0.2 이므로 2배차이가 난다. [해설작성자 : 카레맛카레]
55.
생물학적 질소, 인 제거공정에서 포기조의 기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질산화
2.
유기물 제거
3.
탈질
4.
인 과잉섭취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탈질은 무산소조에서 일어난다. [해설작성자 : J]
56.
입자의 침전속도가 작게 되는 경우는? (단, 기타 조건은 동일하며 침전속도는 스톡스법칙에 따른다.)
1.
부유물질 입자 밀도가 클 경우
2.
부유물질 입자의 입경이 클 경우
3.
처리수의 밀도가 작을 경우
4.
처리수의 점성도가 클 경우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Stokes 침강 공식에 따라서 침강속도는 밀도와 직경의 제곱에 비례, 점성도에 반비례 한다. 따라서 처리수의 점성도가 클수록 입자의 침전속도는 작아진다. [해설작성자 : 아이씨]
57.
유입유량 500000m3/day, BOD5 200mg/L인 폐수를 처리하기 위해 완전혼합형 활성슬러지 처리장을 설계하려고 한다. 1차침전지에서 제거된 유입수 BOD5 34%, MLVSS 3000mg/L, 반응속도상수(K) 1.0 L/g MILVSS·hr 이라면, 일차반응일 경우 F/M비(kg BOD/kg MLVSS·day)는? (단, 유출수 BOD5=10mg/L)(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0.24
2.
0.28
3.
0.32
4.
0.36
정답 : [
1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0.26답인데 답이없네요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보기 내용은 이상 없습니다. 0.26은 보기에 없었습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문제 해설> 온도는 20 ~ 30정도로 적절한 온도이고, ph는 6.5이므로 적정 ph 6 ~ 8에 해당하는 ph를 가지고 있으며 적정 영양비율 bod : n : p = 100 :5 : 1 과 거의 동일한 비율의 bod,n,p를 함유하고있는 유입수이다. 그러나 DO가 2ppm 이하이고 시안을 함유하고 있다.
이 유입수에 대한 처리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보기 4번이다. [해설작성자 : 카레맛카레]
59.
부유입자에 의한 백색광 산란을 설명하는 Raleigh의 법칙은? (단, I:산란광의 세기, V:입자의 체적, λ:빛의 파장, n:입자의 수)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Raleigh 법칙에 의하면 산란광의 세기는 빛의 파장 4승에 반비례하고 입자의 체적의 2승과 입자의 수와 비례한다. [해설작성자 : 카레맛카레]
60.
플록을 형성하여 침강하는 입자들이 서로 방해를 받으므로 침전속도는 점차 감소하게 되며 침전하는 부유물과 상등수간에 뚜렷한 경계면이 생기는 침전형태는?
1.
지역침전
2.
압축침전
3.
압밀침전
4.
응집침전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지역침천(III형침전, 간섭침전, 방해침전)에 대한 설명이다 [해설작성자 : zl존섭]
4과목 :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61.
수질분석 관련 용어의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수욕상 또는 수욕중에서 가열한다라 함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수온 100℃에서 가열함을 뜻한다.
2.
용액의 산성, 중성 또는 알칼리성을 검사할 때는 규정이 없는 한 유리전극법에 의한 pH 미터로 측정하고 구체적으로 표시할 때는 pH 값을 쓴다.
3.
진공이라 함은 15mmH2O 이하의 진공도를 말한다.
4.
분석용 저울은 0.1mg까지 달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진공이라 함은 15mmHg 이하의 진공도를 말한다. [해설작성자 : 101210]
62.
배수로에 흐르는 폐수의 유량을 부유체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수로의 평균단면적 0.5m2, 표면 최대속도 6m/s 일 때 이 폐수의 유량(m3/min)은? (단, 수로의 구성, 재질, 수로단면의 형상, 기울기 등이 일정하지 않은 개수로)
1.
115
2.
135
3.
185
4.
245
정답 : [
2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V = 0.75*Ve(최대속도) Q = A*V [해설작성자 : JJURI]
0.5×4.5×6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3.
퇴적물 채취기 중 포나 그랩(ponar grab)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모래가 많은 지점에서도 채취가 잘되는 중력식 채취기 이다.
2.
채취기를 바닥 퇴적물 위에 내린 후 메신저를 투하하면 장방형 상자의 밑판이 닫힌다.
3.
부드러운 펄층이 두터운 경우에는 깊이 빠져 들어가기 때문에 사용하기 어렵다.
4.
원래의 모델은 무게가 무겁고 커서 윈치등이 필요하지만 소형의 포나 그랩은 윈치없이 내리고 올리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2번 보기에 대한 설명은 에크만 그랩에 대한 설명이다. 포나 그랩은 바닥에 채취기가 닿아 줄의 장력이 감소할 때 상자의 밑판이 닫힌다. [해설작성자 : 카레맛카레]
64.
시료의 전처리 방법인 필로리딘다이티오카르바민산 암모늄 추출법에서 사용하는 지시약으로 알맞은 것은?
3번. 전극을 프탈산염 표준액(pH 4.0) 또는 pH 4.01 표준용액에 담그고 표시된 값을 보정한다 전극을 인산염 표준용액(pH 6.88) 또는 pH 7.00 표준용액에 담그고 표시된 값을 보정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7.
기체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알칼수은의 분석방법으로 ( )에 알맞은 것은?
1.
㉠ 헥산, ㉡ 염화메틸수은용액
2.
㉠ 헥산, ㉡ 크로모졸브용액
3.
㉠ 벤젠, ㉡ 펜토에이트용액
4.
㉠ 벤젠, ㉡ L-시스테인용액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알킬수은화합물을 벤젠으로 추출하여 L-시스테인용액에서 선택적으로 역추출하고 다시 벤젠으로 추출하여 기체크로마토 그래프로 측정하는 방법이다. [해설작성자 : 해양연구소나미]
68.
유도결합 플라스마 발광분석장치의 측정 시 플라스마 발광부 관측 높이는 유도 코일 상단으로부터 얼마의 범위(mm)에서 측정하는가? (단, 알칼리 원소는 제외)
1.
15∼18
2.
35∼38
3.
55∼58
4.
75∼78
정답 : [
1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유도결합 플라스마 발광분석 장치는 중금속을 아르곤 플라즈마에 주입해 6000~8000K의 들뜬 상태로 만들어 원자가 바닥 상태로 전이할 때 방출하는 발광선을 측정하는 정량방식이다. 이 때, 플라즈마 발광부 관측 높이는 유도 코일 상단으로부터 15~18 mm 정도이다.
69.
다이메틸글리옥심을 이용하여 정량하는 금속은?
1.
아연
2.
망간
3.
니켈
4.
구리
정답 : [
3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을 사용할 때 다이메틸글리옥심을 이용하여 정량하는 금속은 니켈이다. 헷갈리는 것중에 다이에틸다이티오카르바민산나트륨이 있는데 이는 구리를 적정할 때 쓰인다.
70.
이온전극법에서 격막형 전극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이온이 아닌 것은?
1.
F-
2.
CN-
3.
NH4+
4.
NO2-
정답 : [
1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유리막 전극 : Na, K, NH_4 측정 격막형 전극: NH_4, NO_2, CN 측정
71.
불소화합물의 분석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단,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기준)
1.
자외선/가시선 분광법
2.
이온전극법
3.
이온크로마토그래피
4.
불꽃 원자흡수분광광도법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불꽃원자흡수분광광도법은 금속이온을 대상으로 하는 분석방법이다. 불소는 금속이 아니므로 적용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꼬소해]
72.
총질소의 측정원리에 관한 내용으로 ( )에 알맞은 것은?
1.
과황산칼륨
2.
몰리브덴산 암모늄
3.
염화제일주석산
4.
이스코르빈산
정답 : [
1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자외선/가시선 분광법 - 총질소 - 산화법 시료 중 모든 질소화합물을 알칼리성 과황산칼륨을 사용하여 120도 부근에서 유기물과 함께 분해하여 질산 이온으로 산화시킨 후 산성상태로 하여 흡광도를 220nm에서 측정하여 총질소를 정량하는 방법이다. [해설작성자 : 해양연구소나미]
73.
공장폐수의 BOD를 측정하기 위해 검수에 희석을 가하여 50배로 희석하여 20℃, 5일 배양하였다. 희석 후 초기 DO를 측정하기 위해 소모된 0.025N-Na2S2O3의 양은 4.0mL였으며 5일 배양 후 DO를 측정하는데 0.025N-Na2S2O3 2.0mL 소모되었을 때 공장폐수의 BOD(mg/L)는? (단, BOD 병=285mL, 적정에 액량=100mL, BOD병에 가한 시약은 황산망간과 아지드나트륨 용액=총 2mL, 적정시액의 factor=1)
1.
201.5
2.
211.5
3.
221.5
4.
231.5
정답 : [
1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BOD = (DO1-DO2)*P DO = a * f * V1/V2 * 1000/V1-R * 0.2
폐수운반차량은 청색으로 도색하고, 양쪽 옆면과 뒷면에 가로 50cm, 세로 20cm 이상 크기의 노란색 바탕에 검은색 글씨로 폐수운반차량, 회사명, 등록번호, 전화번호 및 용향을 지워지지 아니하도록 표시하여야 한다. (미교원 수질환경기사/산업기사 책 발췌) [해설작성자 : 얕은물]
85.
중점관리저수지의 관리자와 그 저수지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시·도지사가 수립하는 중점관리저수지의 수질오염방지 및 수질개선에 관한 대책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으로 ( )에 옳은 것은?
1.
500m 이내
2.
1km 이내
3.
2km 이내
4.
5km 이내
정답 : [
3
] 정답률 : 66%
86.
시·도지사가 설치할 수 있는 측정망의 종류에 해당하는 것은?
1.
비점오염원에서 배출되는 비점오염물질 측정망
2.
퇴적물 측정망
3.
도심하천 측정망
4.
공공수역 유해물질 측정망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시도지사가 설치할 수 있는 측정망의 종류는 - 소권역을 관리하기위한 측정망 -도심하천 측정망 이다.
1,2,4번은 국립환경과학원장이 설치, 운영하는 측정망의 종류이다. [해설작성자 : 꼬소해]
87.
대권역 물환경관리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상수원 및 물 이용현황
2.
점오염원, 비점오염원 및 기타수질오염원의 분포현황
3.
점오염원, 비점오염원 및 기타수질오염원의 수질오염 저감시설 현황
4.
점오염원, 비점오염원 및 기타수질오염원에서 배출되는 수질오염물질의 양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 상수원 및 물 이용현황 2. 점오염원, 비점오염원 및 기타수질오염원의 분포현황 3. 점오염원, 비점오염원 및 기타 수질오염원에서 배출되는 수질오염물질의 양 4. 수질오염 예방 및 저감 대책 5. 물 환경 보전조치의 추진방향 [해설작성자 : ㅇㄹㅍ]
88.
시·도지사가 오염총량관리기본계획의 승인을 받으려는 경우 오염총량관리기본계획안에 첨부하여 환경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하는 서류가 아닌 것은?
1.
유역환경의 조사·분석 자료
2.
오염부하량의 저감계획을 수립하는 데에 사용한 자료
3.
오염총량목표수질을 수립하는 데에 사용한 자료
4.
오염부하량의 산정에 사용한 자료
정답 : [
3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추가로 오염원의 자연증감에 관한 분석자료 오염부하량의 산정에 사용한 자료 [해설작성자 : 곧 시험...]
지역개발에 관한 과거와 장래의 계획에 관한 자료 [해설작성자 : 1트]
89.
공공폐수처리시설 배수설비의 설치방법 및 구조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배수관의 관경은 안지름 150mm 이상으로 하야야 한다.
2.
배수관은 우수관과 합류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3.
배수관의 기점·종점·합류점·굴곡점과 관경·관 종류가 달라지는 지점에는 맨홀을 설치하여야 한다.
4.
배수관 입구에는 유효간격 10mm 이하의 스크린을 설치하야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배수관은 우수관과 분리하여 빗물이 혼합되지 않도록 함 [해설작성자 : 제발합격]
90.
중권역 환경관리위원회의 위원으로 될 수 없는 자는?
1.
수자원 관계 기관의 임직원
2.
지방의회의원
3.
관계 행정기관의 공무원
4.
영리 민간단체에서 추천한 자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중권역위원회의 위원은 유역환경청장 또는 지방환경청장이 다음 각 호의 사람 중에서 위촉하거나 임명한다.
1. 관계 행정기관의 공무원 2. 지방의회의원 3. 수자원 관계 기관의 임직원 4. 상공(商工)단체 등 관계 경제단체ㆍ사회단체의 대표자 5. 그 밖에 환경보전 또는 국토계획ㆍ도시계획에 관한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사람 6. 시민단체(「비영리민간단체 지원법」 제2조에 따른 비영리민간단체를 말한다)에서 추천한 사람 [해설작성자 : 101210]
91.
수질 및 수생태계 환경기준에서 해역의 생활환경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소이온농도(pH) : 6.5∼8.5
2.
용매추출유분(mg/L) : 0.01 이하
3.
총대장균군(총대장균군수/100mL) : 1000 이하
4.
총인(mg/L) : 0.05 이하
정답 : [
4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해약 생활환경 기준에 "총인"이라는 항목 없이 3가지만 기준이다 [해설작성자 : 쁜진]
92.
수질오염경보(조류경보) 단계 중 다음 발령·해제 기준의 설명에 해당하는 단계는? (단, 상수원 구간)
1.
관심
2.
경보
3.
조류대발생
4.
해제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1. 관심: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세포/mL 이상 10,000세포/mL 미만인 경우 2. 경보(경계):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0세포/mL 이상 1,000,000세포/mL 미만인 경우 3. 조류대발생: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수가 1,000,000세포/mL 이상인 경우 4. 해제: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가 1,000세포/mL 미만인 경우 [해설작성자 : 시험이 얼마 안남았다...ㅜ]
<문제 해설> 1일 배출량 50미만 : 제5종 1일 배출량 50~200미만: 제4종 1일 배출량 200~700미만: 제3종 1일 배출량 700~2000미만: 제2종 1일 배출량 2000이상: 제1종 [해설작성자 : 꼬소해]
96.
위임업무 보고사항 중 보고 횟수가 연 4회에 해당되는 것은?
1.
측정기기 부착사업자에 대한 행정처분 현황
2.
측정기기 부착사업장 관리 현황
3.
비점오염원의 설치신고 및 방지시설 설치 현황 및 행정처분 현황
4.
과징금 부과 실적
정답 : [
3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1,2,4번은 연2회 [해설작성자 : 냐냥]
97.
폐수무방류배출시설의 세부설치기준에 관한 내용으로 ( )에 옳은 내용은?
1.
100
2.
200
3.
300
4.
500
정답 : [
2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 폐수무방류배출시설의 세부 설치기준(규제「물환경보전법 시행령」 제31조제7항 및 별표6) ① 배출시설에서 분리·집수시설로 유입하는 폐수의 관로는 맨눈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설치해야 합니다. ② 배출시설의 처리공정도 및 폐수 배관도는 누구나 알아 볼 수 있도록 주요 배출시설의 설치장소와 폐수처리장에 부착해야 합니다. ③ 폐수를 고체 상태의 폐기물로 처리하기 위해 증발·농축·건조·탈수 또는 소각시설을 설치해야 하며, 탈수 등 방지시설에서 발생하는 폐수가 방지시설에 재유입하도록 해야 합니다. ④ 폐수를 수집·이송·처리 또는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설비는 폐수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재질이어야 하며, 방지시설이 설치된 바닥은 폐수가 땅속으로 스며들지 않는 재질이어야 합니다. ⑤ 폐수는 고정된 관로를 통하여 수집·이송·처리·저장되어야 합니다. ⑥ 폐수를 수집·이송·처리·저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설비는 폐수의 누출을 맨눈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설치하되, 부득이한 경우에는 누출을 감지할 수 있는 장비를 설치해야 합니다. ⑦ 누출된 폐수의 차단시설 또는 차단 공간과 저류시설은 폐수가 땅속으로 스며들지 않는 재질이어야 하며, 폐수를 폐수처리장의 저류조에 유입시키는 설비를 갖추어야 합니다. ⑧ 폐수무방류배출시설과 관련된 방지시설, 차단·저류시설, 폐기물보관시설 등은 빗물과 접촉되지 않도록 지붕을 설치해야 하며, 폐기물보관시설에서 침출수가 발생될 경우에는 침출수를 폐수처리장의 저류조에 유입시키는 설비를 갖추어야 합니다. ⑨ 폐수무방류배출시설에서 발생된 폐수를 폐수처리장으로 유입·재처리할 수 있도록 세정식·응축식 대기오염방지시설 등을 설치해야 합니다. ⑩ 특별대책지역에 설치되는 폐수무방류배출시설의 경우 1일 24시간 연속하여 가동되는 것이면 배출 폐수를 전량 처리할 수 있는 예비 방지시설을 설치해야 하고, 1일 최대 폐수발생량이 200세제곱미터 이상이면 배출 폐수의 무방류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원격유량감시장치를 설치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쁜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