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주택건물 사이에 만들어지는 중정 1.주로 전돌로 포장되어 있어 포지라 지칭 2.포지는 한나라때부터 전통적으로 이어짐 3.강남지방 포지엔 여러무늬가 하나의 구성료소로발전 4.면적이 좁아 몇그루의 수목,화분,어항 배치 [해설작성자 : mate4u]
중국정원의 세부 기법 화창: 실내에서 건축물에 접해있는 정원을 보기위해 중앙에 무늬없이 유리를 끼워 시게를 확보하고 주택 방의 장식용으로 이용 누창 : 화창의 일종으로 유리가 없다. 정원에 면한 회랑이나 연못이 있는 건물에 주로 이용 공창 : 정원을 보기위한 액자와 같은 역할을 하며 정원 회랑이나 누에 설치, 뇌문장식이나 유리가 없음 포지(鋪地 펼 포,땅 지) : 전돌을 이용하여 부채꼴모양 등 여러 문양으로 바닥을 포장하는 것 동문 : 통로의 역할을 하는 정원 담 회랑 : 정원에서 건물을 연결하는 통로로 곡선형이 대부분 곡교(曲橋 굽을 곡, 다리 교)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2.
경주 황룡사를 중심으로 방위와 산의 연결이 틀린 것은?
1.
동쪽-명활산
2.
서쪽-선도산
3.
남쪽-황룡산
4.
북쪽-소금강산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3. 남쪽 - 남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옥녀산발형(玉女散發型)의 풍수 형국을 보이는 옵성은?
1.
정의읍성
2.
해미읍성
3.
고창읍성
4.
낙안읍성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옥녀산발형(玉女散發型)옥녀산발형(玉女散髮形) 여자가 화장을 하기 위해 머리를 풀어헤치고 있는 모습입니다. 옥녀는 몸과 마음이 옥처럼 깨끗한 여인으로서 도교에도 자주 등장하여 옥황상제와도 관련이 깊고 절세의 미인인 동시에 풍요와 다산을 나타내는 표상이기도 합니다. 이런 형국이 있는 고을에서는 만인이 부러워하는 인물이나 재자가인(才子佳人)이 많이 나온다고 합니다.
옥녀가 머리를 풀어헤친 모습인 옥녀산발형 명당으로 유명한 곳이다. 옥녀산발형은 사방으로 뻗은 산자락을 머리카락으로 본다. 머리카락마다 혈을 맺는다고 본다.
재자가인 才子佳人(재주 재,아들 자,아름다울 가,사람 인) 재주 있는 남자와 아름다운 여자를 아울러 이르는 말.
4.낙안읍성 순천 낙안읍성은 조선시대 대표적인 지방계획도시로 대한민국 3대 읍성 중 하나로 사적 제302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연간 120만명의 관광객이 방문하는 주요 관광지로 현재 세계문화유산 잠정목록 등재 및 CNN선정대한민국 대표 관광지 16위로 선정되었다.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4.
남송(南宋)시대 30여개소 명원(名闧)을 소개한 정원서는?
1.
원야
2.
낙양명원기
3.
오흥원림기
4.
장물지
정답 : [
3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1.원야 : 명 2.낙양명원기 : 북송 3.오흥원림기 : 남송 4.장물지 : 명 [해설작성자 : 일월조경]
해설 추가 무굴인도 왕조의 변천 바브르 ->후마윤->아쿠바르->자한기르->샤자한->우란지브
샤-자한 시대 · 타지마할 : 이슬람 건축의 백미, 샤 자한이 왕비 몸타즈 마할을 추념하기 위해 만듬, 높은 울담으로 둘러싸이고 흰 대리석 능묘와 대분천지, 수로에 의한 4분원 :물의 반사성을 이용 · 차스마 -샤하 : 왕의 샘이라는 뜻으로 약효가 있다고 전해지는 샘이 나오는 물이 수로를 따라 정원 전체에 정교하게 배치 · 샤리미르 -바그 : 델리와 라호르지방에도 이궁 조성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7.
문헌에 나타난 고려시대 기홍수의 원림(園林)을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이규보의 문집인 “동국이상국집”에 전한다.
2.
곡지를 만들고 꽃을 심어 선선정원으로 조성했다.
3.
버드나무, 소나무, 자두나무, 모란 등의 목본 식물과 창포를 식재했다.
4.
퇴식재 팔영의 제6영인 연의지(連漪地)는 장방지(長方地)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 퇴식재의 팔영 1영 : 퇴식재(退食齋 물러날 퇴,밥 식/먹을 식, 집 재) : 퇴청할 때 술을 싣고 와서 풍류를 즐기는 곳 2영 : 영천동 : 물줄기가 돌구멍 사이로 흐러 그 밑에 샘으로 떨어지는 곳 3영 : 척서정 : 더위를 식히는 정자로 대나무를 심어 그늘을 만들고 샘물이 흐르는 곳에 정자 조성 4영 : 독락원 : 고요함을 홀로 즐기는 곳으로 샘물을 조성 5영 : 연목당 : 거처지로 산을 끌어들이는 차경수법으로 경관을 감상하면서 명상을 취함 6영 : 연의지(連漪地 잇닿을 연,잔물결 의,땅 지) : 곡지의 형태로 조성해 연꽃을 심어 감상한 장소 7영 : 녹균헌 : 대나무를 심어 사시사철 식물을 감상 8영: 대호석 : 석가산을 조성하듯 대호석으로 돌을 배치하여 중국의 형산과 여산에 비유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8.
일본 평성궁 동원의 곡수유구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바닥에 목상을 묻고 계정 수초를 심어 꽃을 감상했다.
2.
조영 시기는 나라시대 중기로 추정된다.
3.
자연석에 홈을 파서 유배거로 사용하였다.
4.
지중에는 경사가 있는 암도(岩島)를 배치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자연석 그대로 사용 [해설작성자 : ㅇㅇ]
9.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계획을 수립할 때에 환경 보전계획과의 부합 여부 확인 및 대안의 설정ㆍ분석 등을 통하여 환경적 측면에서 해당 계획의 적정성 및 입지의 타당성 등을 검토하여 국토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는 것은?
1.
환경영향평가
2.
토지적성평가
3.
전략환경영향평가
4.
소규모환경영향평가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환경영향평가와 햇갈리지말자 [환경영향평가]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실시계획,시행계획 등의 허가,인가,승인,면허 또는 결정을 할 때에 해당 사업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미리 조사,예측,평가하여 해로운 환경영향을 피하거나 제거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 하는 것 [해설작성자 : 망둥어]
10.
공원관리청이 아닌 자의 공원사업 시행 및 공원 시설의 관리 중 ()에 해당되는 것은?
1.
2분의 1
2.
3분의 1
3.
3분의 2
4.
4분의 3
정답 : [
3
] 정답률 : 77%
11.
조경계획의 접근방법 중 물리적 자원 혹은 자연자원의 레크레이션의 유형과 양을 결정하는 접근방법은?
그리스인들이 일상 생활을 영위하는 도로와 생활 공간 등을 계획할 때, 효용과 기능의 측면에서 추구하였던 사항이 아닌 것은?
1.
지형조건에 맞게
2.
기능에 충실하게
3.
즐겁고 편안하게
4.
호화롭게
정답 : [
4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그리스인들의 평소 생활을 생각해보면 사치를 부리지 않았다 [해설작성자 : 망둥어]
13.
다음 ()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식재계획
2.
토지이용계획
3.
교통동선계획
4.
레크레이션계획
정답 : [
4
] 정답률 : 73%
14.
종래의 스타일과는 달리 녹음이 많은 우수한 환경위에 인구가 모이고 산업이 성립되어 형성된 도시는?
1.
메가로폴리스형 도시
2.
메트로폴리스형 도시
3.
에페로폴리스형 도시
4.
리비에라형 도시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리비에라 Riviera 지명 프랑스 동남부와 이탈리아 서북부의 지중해 연안 지역. 기후가 따뜻하고 풍경이 아름다워 관광ㆍ휴양지로 널리 알려져 있다.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15.
그림과 같이 화살표 방향이 정면일 경우 우축 면도로 가장 적합한 투상도는?
1.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75%
16.
시각 디자인에 관련되는 착시(錯視)에 대한 다음의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우리 눈은 예각은 크게, 둔각은 작게 보는 경향이 있다.
2.
동일한 도형을 상하로 두면 위쪽이 아래쪽보다 커 보인다.
3.
피로하거나 시신경에 이상이 있을 때 눈의 착시 현상이 생긴다.
4.
눈의 착각 현상을 역이용하여 착각교정을 함으로써 시각적으로 훌륭한 구조물을 만들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피로하거나 시신경의 문제가 아니라 도형의 마감에 따라 착시현상이 발생한다 [해설작성자 : ㅇㅇ]
17.
혼합되는 각각의 색 에너지(energy)가 합쳐져서 더 밝은 색을 나타내는 혼합은?
1.
가산혼합
2.
감산혼합
3.
중간혼합
4.
색료혼합
정답 : [
1
] 정답률 : 87%
18.
공장조경 계획 시 공장 부지나 건물에 다음 시설의 설치 목적은?
1.
환경개선
2.
환경미화
3.
환경보호
4.
환경보존
정답 : [
1
] 정답률 : 79%
19.
다음 중 조경설계기준 상의 휴게시설 설계와 관련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휴게시설은 각 시설별로 본래의 설치목적에 부합되도록 설계하며, 복합적인 기능을 갖는 경우 본래의 기능을 먼저 충족시키도록 한다.
2.
시설의 형태는 표준화된 형태 또는 조형적인 형태로 할 수 있으며, 조형적인 형태로 설계 할 경우 이 설계기준을 적용하지 아니할 수 있다.
3.
목재의 경우 보의 단면은 폭과 높이의 비를 1/3~1/5로 하고, 기둥은 좌굴현상을 고려하여 좌굴계수(재료의 허용압축응력×단면적÷압축력)는 4를 적용하며, 세장비(좌굴장/최소단면 2차 반경)는 250 이하를 적용한다.
4.
휴게시설은 연속ㆍ시설간의 조합에 의해 미적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며, 통합 이미지를 연출하기 위하여 CI(Cooperation Identity)를 적용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그늘시렁 그늘막 정자 등에 사용하는 목재의 경우 보의 단면은 폭과 높이의 비를 1/1.5~1/2로 하고, 기둥은 좌굴현상을 고려하여 좌굴계수(재료의 허용압축응력×단면적÷압축력)는 2를 적용하며, 세장비(좌굴장/최소단면 2차 반경)는 150 이하를 적용한다. [해설작성자 : 망둥어]
20.
가시도(可視度)가 가장 높은 배색(配色)은?
1.
백색 바탕에 검정색 형상
2.
황색 바탕에 녹색 형상
3.
황색 바탕에 청색 형상
4.
검정색 바탕에 황색 형상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가시도(可視度옳을 가,볼 시,법도 도) = 가시성, 명시도 눈으로 보려고 하는 대상이 주변 배경과 구분되어 잘 보이는 정도.
가시성, 가시도라고도 하며 물체의 색이 얼마나 잘 보이는가를 나타내는 뚜렷한 정도를 말한다. 명시도가 가장 높은 배색은 검정과 노랑의 배색이다.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2과목 : 조경식재
21.
여름철 기식화단(assorted flower bed)에 적당한 초화류를 키가 큰 식물에서 작은 식물순으로 나열된 것은?
1.
채송화→해바라기→튤립
2.
칸나→다알리아→글라디올러스
3.
나팔꽃→페튜니아→물망초
4.
백일홍→샐비어(조생종)→페튜니아
정답 : [
4
] 정답률 : 67%
22.
봄철 수목의 화아분화를 지배하는 가장 중요한 체내성분은 무엇인가?
1.
질소화합물과 유기산의 비율
2.
지질과 탄수화물의 비율
3.
질소화합물과 탄수화물의 비율
4.
유기산과 지질의 비율
정답 : [
3
] 정답률 : 66%
23.
생태계의 공생과 관련된 설명이 틀린 것은?
1.
중립:두 종간에 어떠한 영향을 주지도 받지도 않는다.
2.
종내경쟁:서로 다른 두 생물종이 서로에게 피해를 준다.
3.
상리공생:서로 또는 모두에게 유리하거나 도움이 된다.
4.
편리공생:한쪽은 분리하고 다른 쪽은 이해관계가 없다.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2. 종내경쟁은 같은 종의 생물 사이에서 생기는 경쟁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겸댕]
구덩이의 크기는 분크기의 1.5배 정도로 파고 밑바닥에는 부엽토 등을 적당량 섞고 넣어준다.
2.
수목식재는 가능한 본래 식재되었던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원래 묻혔던 깊이보다 조금 높게 식재한다.
3.
이식하는 나무의 뿌리가 많이 잘렸을 경우에는 지상부의 가지와 잎은 가능한 한 떨어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4.
뿌리의 발생이 좋지 못한 나무들이나 노거수 등은 뿌리돌림을 할 경우 활착이 어려우므로 분을 떠서 이식하는 것이 좋다.
정답 : [
1
] 정답률 : 61%
27.
다음 보기의 ‘이것’에 해당하는 것은?
1.
변종
2.
아종
3.
지역종
4.
단형종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아종1 亞種(버금 아,씨 종) 생명 종(種)을 다시 세분한 생물 분류 단위. 종의 바로 아래이다. 종으로 독립할 만큼 다르지는 않지만 변종으로 하기에는 서로 다른 점이 많고 사는 곳이 차이 나는, 한 무리의 생물에 쓴다. 상이한 이들 사이의 잡종은 흔히 번식 능력이 있으나 상이한 종 사이의 잡종은 번식 능력이 없다.
아종(亞種,: subspecies)은 분류학상 종의 하위단계로, 장래에 별개의 종으로 분화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아종 상호간은 공통된 형질을 많이 지녔고 교배가 가능하며 교배종은 번식력이 있다. 픔종, 변종은 아종의 하위단계로 아종과는 다른 개념이다. 다만 종에 따라서는 아종 없이 종 아래에 바로 품종이나 변종만 있는 경우도 있다.
변종 變種(변할 변,씨 종) 같은 종류의 생물 가운데 변이가 생겨서 성질과 형태가 달라진 종류. 같은 종이지만 생리적 성질, 형태나 지리적 분포 따위가 기준 표본을 포함하는 집단과 확실히 구별된다.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28.
식재계획의 배식원리 중 자유식재에 해당하는 것은?
1.
비대칭적 균형식재, 사실적 식재가 기본형이다.
2.
식재의 기본 양식은 교호식재, 집단식재, 열식 등이다.
3.
사례로는 아메바형, 절선형, 번개형 식재가 있다.
4.
자연풍경과 유사한 경관을 재현하는 식재 방법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60%
29.
어떤 수목을 이식하고자 다음 그림과 같이 분을 뜰 때 ㉠, ㉡, ㉢, ㉣에 맞는 항은 어떤 것인가? (단, 일반적 수종으로 보통분일 경우)
1.
㉠: 4D, ㉡:D, ㉢:2D, ㉣:2D
2.
㉠: 5D, ㉡:2D, ㉢:2D, ㉣:3D
3.
㉠: 4D, ㉡:2D, ㉢:3D, ㉣:2D
4.
㉠: 6D, ㉡:3D, ㉢:3D, ㉣:4D
정답 : [
1
] 정답률 : 78%
30.
다음 중 비비추(Hosta Iongipes)의 특성으로 틀린 것은?
1.
붓꽃과이다.
2.
잎은 근생하며 두껍다.
3.
개화기는 7~8월에 연보라색 꽃이 핀다.
4.
열매는 삭과로 긴 타원형이며, 9월에 결실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비비추는 백합과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1.
연속된 형태를 이룬 식물재료들 가운데 갑작스러운 변화를 주어 관찰자의 시선을 집중 시키는 식재 기법은?
1.
강조
2.
균형
3.
연속
4.
통일
정답 : [
1
] 정답률 : 89%
32.
보통명(common name)은 습성, 특징, 산지, 용도, 전설, 왜래어 등에서 유래되어 비롯된다. 다음 중 수목명이 나무의 특징을 반영한 것이 아닌 것은?
1.
생강나무
2.
주목
3.
물푸레나무
4.
너도밤나무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너도밤나무는 설화에서 생긴 이름이다. [해설작성자 : 냉구]
【너도밤나무 민간설화】 어느 날 지나가던 스님이 어떤 아이를 보고 얼마 못 가 호환으로 죽을 운명이라 말했다. 아이 아버지가 깜짝 놀라 대책을 물으니, 스님은 사람 1000명을 구해야 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사람 일천명을 어떻게 구하냐고 묻자, 인명 1000명 대신 밤나무 1000그루를 심으면 재앙을 피하리라 답하였다. 이윽고 호랑이가 왔다. 아버지는 밤나무 1000그루를 심었으니 물러가라고 말했지만, 호랑이는 한 그루가 말라죽었다며 아이를 잡아가려 했다. 그때 옆에 있던 나무가 "나도 밤나무다." 하고 끼어들자 호랑이가 물러갔고, 아버지는 감격의 눈물을 흘리며 그 나무에게 "그래, 너도 밤나무다." 하였다. 그 후 그 나무는 너도밤나무라고 불리게 됐다.
※ 참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 으로 학명은 Fagus engleriana Seemen ex Diels이다. 울릉도 특산으로 높이 300∼900m에 분포하며, 나무높이가 20m에 달한다. 줄기는 곧게 자라서 원추형의 나무모양을 이루고, 나무껍질은 회백색으로 평평하고 매끄럽다. [네이버 지식백과] 너도밤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으로 [해설작성자 : 나그네]
<문제 해설> 식생에 대한 인간의 영향 ① 자연식생 : 인간에 의한 영향을 입지 않고 자연 그대로의 상태로 생육하고 있는 식생 ② 대상식생 : 인간에 의한 영향으로 대치된 식생, 인간의 생활 영역 속에 현존하는 대부분의 식생 ③ 원식생 : 인간에 의한 영향을 받기 이전의 자연식생 ④ 잠재자연식생 : 변화된 입지 조건하에서 인간에 의한 영향이 제거되었다고 가정할 때 성립이 예상되는 자연식생
군락식재 설계방법 ① 현존식생이 자연식생인지 대상식생인지 조사하여 잠재 자연식생을 파악 ② 군락의 기본 단위인 군집을 본보기로 식재 ③ 식재할 나무의 크기는 각기 그 생활양식을 유형화한 것 · 생활형 : 식물의 생활양식을 유형화 한 것 · 라운키에르의 생활형은 휴면아의 위치에 따라 구분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37.
다음 보기의 식물 분류에 해당되는 것은?
1.
부유식물
2.
정수식물
3.
침수식물
4.
부엽식물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정수식물(추수식물) - 뿌리를 토양에 내리고 줄기를 물위로 내놓아 대기 중에 잎을 펼치는 수생식물 - 적절한 수심 0~30cm - 갈대,부들,줄,창포,물옥잠,미나리,택사 등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문제 해설> 지명경쟁입찰은 입찰자들을 지명해서 경쟁을 시키는것 턴키입찰은 도급자가 공사의 전반적인 모든것을 포괄하는 방식으로 발주자가 요구하는 완전한 시설물을 인계 대안입찰은 독특한 공사방식으로 공사원가를 내릴 수 있는 밥법을 입찰하는 것 [해설작성자 : 망둥어]
49.
어린이놀이터 등에 사용되는 금속의 부식을 최소화하기 위한 유의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부분적으로 녹이 나면 즉시 제거할 것
2.
가능한 한 이종(異種) 금속을 인접 또는 접촉시켜 사용할 것
3.
균질한 것을 선택하고 사용 시 큰 변형을 주지 않도록 할 것
4.
큰 변형을 준 것은 가능한 한 풀림(annealing)하여 사용할 것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이종금속부식의 발생원인 이종금속간의 부식은 근본적인 원인은 이종금속간의 전위차이다. 즉 금속간의 전위차가 클수록 부식이 심화된다. [해설작성자 : 망둥어]
50.
옥외계단 설치 시 주의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계단의 재료 선택은 마모되지 않는 것이 유리하나 주의의 경관을 고려해야 한다.
2.
화강석 계단은 고저차가 없고, 안쪽으로 경사지게 설치해야 한다.
3.
단 높이(R)와 너비(T)의 경우에는 2R+T=60~65cm를 유지하되 전 구간에 걸쳐 동일하여야 한다.
4.
계단이 길 경우에는 반드시 참을 두어야 하며 참의 폭은 계단의 높이에 따라 설계하도록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8%
51.
다음 함과 모멘트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모멘트의 단위는 kgㆍm, tㆍm이며, 기호는 M이다.
2.
모멘트의 크기는 힘의 크기(P)에 힘까지의 거리(a)를 곱한 것을 말한다.
3.
모멘트의 부호는 모멘트의 회전방향이 시계방향일 때는 (-), 반시계 방향일 때는 (+)로 한다.ㅣ
4.
크기가 작고 작용선이 평행하여, 방향이 반대인 한 쌍의 힘을 우력(偶力)이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모멘트의 부호는 모멘트의 회전방향이 시계방향일 때 +, 반시계방향일 때 -이다. [해설작성자 : .]
52.
축척 1:50000 지형도에서 3% 기울기의 노선을 선정하려면 이 노선상의 주곡선 간도상 거리는? (단, 주곡선 간격은 20m임)
1.
7.5mm
2.
10.6mm
3.
13.3mm
4.
20.4mm
정답 : [
3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주곡선 : 등고선의 기본 선을 말함. 주곡선 간격 = 20m 라는 것은 주곡선 간의 높이차가 20m라는 뜻.
문제에서 구하라고 하는것은 3%기울기를 가진 곳에서, 높이 20m인 곳을 기준으로 주곡선(등고선)을 긋는다면 그 선의 지도상에서 보이는 거리는 어떻게 되는가 임.
기울기를 구하는 공식은 h높이/d거리 임으로 20m/d=3%이니까 d거리는 666.6m가 됌. 그런데 이 값을 축척 1:50000으로 적용시켜야 하니까 666.6/50000=0.01332m = 13.3mm [해설작성자 : 다람쥐와 개구리]
53.
내열성이 크고 발수성을 나타내어 방수제로 쓰이며, 저온에서도 탄성이 있어 gasket, packing의 원료로 쓰이는 합성수지는?
1.
페놀수지
2.
실리콘수지
3.
에폭시수지
4.
폴리에스테르수지
정답 : [
2
] 정답률 : 63%
54.
석재의 성질 중 장점에 해당하는 것은?
1.
불연성이다.
2.
일반적으로 가공이 곤란하다.
3.
화열에 닿으면 강도가 없어진다.
4.
인장강도가 압축강도의 1/10~1/20 정도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74%
55.
골재의 함수상태 중 기건상태를 나타내는 것은?
1.
A
2.
B
3.
C
4.
D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A : 절건(절대건조상태) B : 기건(공기중 건조상태) C : 표건(표면건조 내부포화상태) D : 습윤(습윤상태)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56.
공원에서 클레이코트 테니스장을 만들 때 표면에 소금을 뿌렸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
1.
표면의 배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2.
흙이 뭉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3.
테니스장의 답압에 견디는 강도를 높이기 위해
4.
테니스장의 기층과 표면층과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클레이코트는 쉽게생각하면 흙으로된 테니스코트이다 [해설작성자 : 망둥어]
57.
콘크리트 공사에서 사용되는 혼화재료 중 혼화제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방청제
2.
감수제
3.
플라이애시
4.
AE제(공기연행제)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혼화제는 포틀랜드 시멘트, 배합수, 골재 이외의 콘크리트 구성 재료로, 콘크리트에 특정한 성능을 부여하는 데 쓰이는 첨가제이다. 혼화재와는 다르다.(플라이애쉬는 혼화재)
종류 기능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공기연행제 감수제 지연제 수화조절제 촉진제 특수 혼화제
방청제 [ rust inhibitor , 防錆劑 막을 방,자세할 청,약제 제] 금속이 부식하기 쉬운 상태일 때 첨가함으로써 녹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물질이다.
감수제 감수제는 콘크리트의 작업성 향상을 위해 넣는 것으로, 추가로 물을 넣으면 경화 콘크리트의 특성에 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추가 물을 넣지 않기 위해 추가하는 혼화제이다. 감수제는 시멘트 입자의 이동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작업성을 확보한다. 콘크리트 슬럼프 테스트를 해보면 감수제를 넣은 굳지 않은 콘크리트는 슬럼프가 증가한다. 감수제의 종류는 감수 범위에 따라 나뉘며, 고범위 감수제는 유동화제 또는 고성능감수제라고 부른다.
플라이애시 fly ash 공업 화력 발전소 따위에서 미분탄(微粉炭작을 미,가루 분,숯 탄)을 연소시킬 때 발생하는 폐가스(廢폐할 폐/버릴 폐 gas) 가운데에 포함된 석탄재.
공기연행제 공기연행제는 배합수의 표면장력을 줄여 경화 콘크리트 내에 미세한 공기가 생기게 하여 물이 동결 팽창할 때 내부응력이 생기는 것을 완화해준다. 내부응력이 생기면 경화 콘크리트의 내구성이 감소된다. 즉 공기연행제는 경화 콘크리트의 내구성 증진에 도움이 된다. 그 외에도 제빙제 및 염분, 황산염, 알칼리 골재 반응에 대한 콘크리트의 저항성을 높여준다. 공기연행을 하면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작업성도 증대된다.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58.
공사간격의 구성 요소 중 “직접공사비”를 계산하기 위해 필요한 세부항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일반관리비
2.
재료비
3.
경비
4.
외주비
정답 : [
1
] 정답률 : 67%
59.
다음 중 한중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특별한 보온조치는 취하지 않아도 된다.
2.
한중콘크리트에는 공기연행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
하루의 평균기온이 4℃ 이하가 예상되는 조건일 때 한중콘크리트를 시공하여야 한다.
4.
양생종료 후 따뜻해 질 때까지 받는 동결 융해 작용에 대하여 충분한 저항성을 가지게 한다.
<문제 해설> 2. 성토지역에 있어서의 뿌리보호 대책으로는 메담쌓기가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노거수목의 관리요령 유합조직(callus tissue)의 조기형성을 위해 오렌지 셀락, 아스팔템 페인트 등을 도포한다. 메담쌓기 (dry well)는 성토지역에 있어서의 뿌리보호 대책이다. 부패된 줄기의 공동(Cavity)처리는 충전 재료의 선택이 중요하다. 공동충전재료로는 폴리우레탄고무, 에폭시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폴리우레탄 폼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75.
다음 설명에 해당되는 시민참여의 형태는?
1.
시민차지(citizen control)
2.
파트너십(partnership)
3.
상담자문(consultation)
4.
조작(manipulation)
정답 : [
2
] 정답률 : 70%
76.
조경공간에서 안전관리 상 관리하자에 의한 사고는?
1.
유아가 보호책을 넘어간 사고
2.
시설물 노후 파손에 의한 사고
3.
이용자 자신의 부주의에 의한 사고
4.
시설물 구조상 접속부에 손이 낀 사고
정답 : [
2
] 정답률 : 79%
77.
설치비용은 비싸나 유지관리비가 저렴하며, 열효율이 높고, 투시성이 뛰어나 산악 도로나 터널 등에 가장 적합한 조명 램프는?
1.
나트륨 램프
2.
크세논 램프
3.
수은 램프
4.
형광 램프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나트륨 램프 [ natrium lamp , sodium lamp , sodium lamp sodium (vapor) lamp ] 나트륨 증기 중의 방전으로부터 나오는 빛을 이용한 램프이다. 효율은 높지만 황색의 단색광으로, 일반 조명 광원으로는 적당하지 않다. 고속도로나 터널, 산악 도로 등의 조명에 사용된다. 전기가 통한 뒤부터 발광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고, 피부색이 회황색으로 보이는 등, 색이 자연색과 크게 다르게 보이는 것이 단점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나트륨 램프 [natrium lamp, sodium lamp, sodium lamp sodium (vapor) lamp] (자동차 용어사전, 2012. 5. 25., 자동차용어사전편찬회)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78.
연평균 조경 작업자수가 10,000명인 어느 기업의 1년 동안의 작업 관련 재해 건수는 6건, 재해자 수는 12명, 총 근로손실일수는 30일로 나타났다. 이 기업의 지난 1년 동안의 연천인율은? (단, 하루 작업시간은 8시간, 한 달은 25일로 가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