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조셉 팩스턴 설계, 1843년 역사상 최초로 시민의 힘과 재정으로 조성된 시민공원. 리젠트 파크와 같이 공적 위락지와 사적 주택지로 구분 중앙에 건물을 두지 않아 중심점이 없는 임의적 전망 창출 풍경식 정원의 전통에 이오니아식, 고딕식, 이탈리아풍이나 노르만 스타일, 중국식 등이 가미된 절충주의적 경향표현. 이 공원의 영향으로 빅토리아파크, 버터시아 파크 등의 대공원이외에 소공원도 많이 축조 [해설작성자 : 기술사꿈나무]
<문제 해설> 모모야마시대 때 잠깐 태평성대를 누리며 화려한 정원이 성행 [해설작성자 : 메롱이]
6.
고대 각 국가의 정원 특징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이집트-신원(Shrine garden)
2.
바빌로니아-공중(Hanging) 공원
3.
그리스-아카데미(academy)
4.
로마-페리스타일(peristyle) 가든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peristyle 정원은 그리스에 기원을 둔 열주로 이루어진 회랑식 정원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페리스탈리움은 로마시대의 제2중정 아닌가요? 그래서 옳은 것 이라고 생각합니다. [해설작성자 : 조경기사 조경사]
[추가 오류 신고] ‘페리스타일’이라는 구조 자체는 그리스에서 유래했지만, ‘페리스타일 정원(peristyle garden)’이라는 조경양식은 로마 시대의 전형적인 정원 형태이기 때문에, 문제에서 ④번은 로마의 정원 특징으로 맞는 설명이고, ③번 ‘그리스 - 아카데미’가 조경 특징으로 부적절합니다
7.
Radburn 계획의 개념과 관계가 먼 것은?
1.
쿨데삭(cul-de-sac)
2.
보행자도로(pedestrian road)
3.
슈퍼블럭(super block)
4.
격자 가로망(grid system)
정답 : [
4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1929년 라이트와 스타인이 슈퍼블럭 설정, 보차분리, 쿨데삭으로 근린성을 높이고, 학교와 쇼핑센터 또는 주거지와 공원을 보도로 연결하여 소규모 전원도시를 건설하였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
다음 설명에 적합한 형태의 대상자는?
1.
창경궁 통명전 옆의 연지
2.
경복궁 후원의 향원지
3.
창덕궁 후원의 부용지
4.
창경궁 후원의 춘당지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창덕궁 부용지 _ 땅을 상징하는 네모난 연못 속에 하늘을 상징하는 둥근 섬이 자리하고 있다(방지원도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정원에서의 생활을 중요시하여 생전에는 정원에 정자 등 화려한 건물을 지어 친구들과 즐기다가 사후에는 그 곳을 그대로 묘소나 기념관으로 사용하였던 국가는?
이슬람권의 정원은 파라다이스(Paradise)의 개념을 갖는 정원이 대부분이다. 다음 이와 같은 성격으로 분류하기 어려운 정원은?
1.
이졸라 벨라(lsola Bella)
2.
샤리마르-바그(Shalimar Bagh)
3.
헤네랄리페(Generalife)
4.
타지마할(Taj Mahal)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이졸라 벨라(Isola Bella)는 <아름다운 섬>이라는 뜻으로 이탈리아 북부 마조레 호수(Lago Maggiore)에 있는 작은 섬이다. 카를로 3세(Carlo III )가 그의 부인 이자벨라 다다(Isabella d’Adda)를 위해 바위산을 절개하고 흙을 채워 40여 년간의 공사로 보로메오 궁(Palazzo Borromeo)과 아름다운 정원을 조성하였다 정원은 10단의 테라스에 조각, 오벨리스크, 분수 등으로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다.
11.
화목부(花木部)에 식물 특성과 함께 배식법을 다루고 있는 중국 명나라 때의 저술서는?
1.
계성의 원야(園冶)
2.
문진향의 장물지(長物志)
3.
주밀의 오흥원림기(吳興園林記)
4.
이도헌추리의 축산정조전(築山庭造傳)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장물지』는 문진향이 천계원년(1621)에 완성한 책으로, 실려(室廬)ㆍ화목(花木)ㆍ수석(水石)ㆍ금어(禽魚)ㆍ서화(書畵)ㆍ궤탑ㆍ기구(器具)ㆍ의식(衣飾)ㆍ주거(舟車)ㆍ위치(位置)ㆍ소과(蔬果)ㆍ향명(香茗)의 12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 계성의 원야 - 중국 정원을 전문적으로 다룬 책자 2. 문진형의 장물지 - 명시대, 화목과 수석 등 정원에 관해 서술 3. 주밀의 오흥원림기 - 중국 남송시대의 기록으로 오흥은 태호 남쪽에 있는 도시로 많은 명원이 있고, 원림기는 명원 33개소를 소개하고 있다. 4. 이도헌추리의 축산정조전 - 정원의 종류를 축산, 평정, 노지로 분류하고 이것을 다시 진, 행, 초로 나누었다. 각각을 상세히 그림으로 풀어 설명함으로써 이해하기 쉽도록 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2.
문헌상 우리나라의 정원에 식물인 연(連)이 최초로 나타난 시기는?
1.
기원전 16년경
2.
서기 123년경
3.
서기 372서기
4.
서기 600서기
정답 : [
2
] 정답률 : 75%
13.
르 노트르 양식의 영향을 받은 오스트리아 정원 유적으로 옳은 것은?
1.
쇤부룬성
2.
샤블롱 정원
3.
님펜부르크 성관
4.
페트로드보레츠 궁전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앙드레 르 노트르(Andre Le Notre) -이탈리아의 노단식정원을 바탕으로 프랑스의 지형과 풍토에 알맞은 형태의 평면기하학식 정원수법을 고안. -대표작으로는 보르비콩트정원, 베르사유궁원, 퐁텐블루, 샹티이, 생클루 등
쉔브른(Schonbrunn)성의 정원 -오스트리아에서 가장 대표적인 프랑스풍 바로크 정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르 노트르 양식의 영향을 받은 정원 -오스트리아: 쇤부룬성, 벨베데레원 궁전 -독일: 칼스루해 성관, 슈베이친겐 이궁, 님펜바우그 궁전 -포르투갈: 퀼루츠성 -이탈리아: 카세르타성 [해설작성자 : 임나나]
14.
창경궁과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낙선재 지역은 후궁들의 침전이었다.
2.
통명전 옆에는 장대석을 쌓아올린 원형지당과 중앙에 부정형의 섬을 만들었다.
3.
동궐도에 보면 큰 황새 조류나 동물, 해시계, 풍기(風旗) 등의 기물을 대석 뒤에 설치한 것이 보인다.
4.
홍화문에서 명정문에 이르는 보도는 삼도로 중앙을 높게 해 단을 두고 박석을 깔았다.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지당은 생태적이고 장식위주의 연못과 생활, 방화용수 공급처로서의 저수지를 합친 우리나라의 독특한 구조물로서 통명전의 지당은 방형으로 가운데에 돌다리를 두었다.
[추가 해설] 지당은 창덕궁내에 나타나는 수경시설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방형 : 네모반듯한 모양, 각형, 네모꼴, 사각형 [해설작성자 : jeangjg]
15.
불국사의 구품연지를 지나 대웅전으로 올라가는 청운교와 백운교에 33계단이 조성되었는데, 이 “33계단”의 상정적 의미는?
1.
한국 사람이 좋아하는 행운의 숫자
2.
입신공명과 부귀영화를 뛰어넘는 해탈
3.
세속의 번외로 부산히 흩어 진 마음을 하나로 모아두는 시간
4.
불교의 우주관인 수미산에서 33천(天)을 뛰어 넘어 부처의 세계로 나아감
정답 : [
4
] 정답률 : 89%
16.
알베르티의 저서 “데 레 아에디피카토레(De re Aedificatoria)" 에서 제시한 정원의 입지 조건이 아닌 것은?
*알베르디의 저서 [데 레 아에디피카토레]에서 제시한 정원의 입지조건 - 수원의 적절성을 확인할 것 - 배수가 잘 되는 견고한 부지가 좋다 - 부지의 향방은 태양이 이루는 수평, 수직각도를 고려한다. - 여름에는 시원한 바람이 불어오고, 겨울에는 찬바람을 막을 수 있게 풍향과 부지와의 관계를 고려할 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7.
고려시대의 의종(毅宗)이 민가 50여구를 헐어 터를 다듬고 여기에 많은 정자를 세워 명화이과(名花異果)를 심었으며, 괴석으로 가산을 꾸미고 인공폭포를 만들었는데, 그 원렴은 치려(侈麗)하기 그지 없었다고 하였다. 이와 관련된 정자는?
1.
만수정(萬壽亭)
2.
양성정(養性亭)
3.
중미정(衆美亭)
4.
태평정(太平亭)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만수정: 고려 의종 때 수창궁 안에 지어진 정자 양성정: 고려 의종 이 선구보 곁에 지은 정자 중미정: 고려 의종이 현화사 남쪽 골짜기로 흐르는 물을 막아 호수를 만들고 그 언덕위에 세운 정자 [해설작성자 : 이슬아빠]
18.
다음 설명에 적합한 용어는?
1.
영지(影池)
2.
연지(連池)
3.
계담(漠睪)
4.
귀루(署湯)
정답 : [
1
] 정답률 : 71%
19.
다음 설명 중 “도산서원”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사산오대(四山五臺)
2.
연(造)을 식재한 애련설(愛蓮說)
3.
매(梅), 죽(竹), 송(松), 국(菊)
4.
정우당(淨友糖)과 몽천(夢泉)을 축조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사산오대: 조선 중기를 대표하는 성리학자 회재 이언적이 낙향한 후 주변의 산과 계곡에 이름을 붙였는데 이를 사산오대라 함 사산: 화개산, 자옥산, 무학산, 도덕산 오대: 세심대, 관어대, 탁영대, 영귀대, 징심대 [해설작성자 : 이슬아빠]
<문제 해설> 오픈 스페이스의 효용성 도시개발형태의 조절 - 도시의 확산과 연담의 방지, 도시개발의 촉진 도시환경의 질 개선 - 도시생태계의 기반조성 환경조절(화재와 공해 방지 또는 완화, 미기후 조절) 시민생활의 질 개선 - 창조적 생활의 기틀 제공, 도시경관의 질 고양 [해설작성자 : 짱구]
오픈 스페이스는 도시 내 자연이 지배적인 상태에 있는 지역 또는 자연이 회복되고 있는 지역을 말하며 오락용지, 보전지, 풍경지 또는 도시 개발을 조절하기 위한 토지로 사용된다. 오픈스페이스의 주요 기능은 도시민에게 각종 레크리에이션의 장소 제공, 자연보존, 도시 성장의 잠재적 유도이다. (*제고 : 수준이나 정도 따위를 끌어올림)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2.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상 “근린생활시설”의 설명 중 ()안에 알맞은 기준값은?
1.
500
2.
1000
3.
2000
4.
2500
정답 : [
2
] 정답률 : 67%
23.
자연공원법의 “공원별 보전ㆍ관리계획의 수립 등”대한 설명 중 A, B에 적합한 값은?
1.
A:10, B:5
2.
A:10, B:7
3.
A:15, B:5
4.
A:15, B:7
정답 : [
1
] 정답률 : 85%
24.
대상 부지 분석의 목적이 아닌 것은?
1.
부지계획의 목표 수립
2.
부지의 문제점 도출
3.
부지의 잠재력 파악
4.
부지의 특성을 이해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대상지 분석의 목적은 ①부지의 문제점 도출 ②부지의 잠재력 파악 ③부지의 특성을 이해를 하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겅쥬]
25.
건물의 실내정원 배치계획 수립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제한된 환경조건을 갖게 되며, 건물 내부의 환경 및 구조적 조건을 고려해야 한다.
2.
일반적으로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습도의 제공 및 관수에 의한 수분공급이 필요하다.
3.
위치 및 조경요소의 배치는 건물 내부의 전체적인 동선 흐름, 이용패턴, 내부공간의 성격 등을 고려한다.
4.
정창(top-light)을 통한 실내 자연광 유입을 위해 남향에 배치하고, 빛을 좋아하고, 생장속도가 빠른 키 큰 식물을 식재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실내 식물이기에 성장이 빠른, 큰 식물에 주의한다. (또한, 빛이 많이 필요하는 식물에 유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6.
다음 중 놀이시설 계획과 관련된 용어 설명이 부적합한 것은?
1.
“개구부”란 시설물의 일부분이 구조체의 모서리나 면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말한다.
2.
“안전거리”란 놀이시설 이용에 필요한 시설 주위의 보호자 관찰거리를 말한다.
3.
“최고 접근높이”란 정상적 또는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어린이가 오를 수 있는 놀이시설의 가장 높은 높이를 말한다.
4.
“놀이공간”이란 어린이들의 신체단련 및 정신수양을 목적으로 설치하는 어린이놀이터ㆍ유아놀이터 등의 공간을 말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안전거리 : 놀이시설 이용에 필요한 시설 주위의 이격거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7.
다음 설명에 적합한 계약은?
1.
녹지계약
2.
공지계약
3.
생태공간계약
4.
원상회복계약
정답 : [
1
] 정답률 : 81%
28.
설문조사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설문 작성을 위한 예비조사를 실시함이 바람직하다.
2.
앞부분의 질문이 나중의 질문에 영향을 줄 수 있다.
3.
표준화된 설문지를 여러 응답자에게 반복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여러 사람의 응답을 비교할 수 있다.
4.
통계적 처리를 통하여 계량적 결론을 낼 수는 있으나 비계량적 결과보다 연구결과의 설득력이 약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통계적 처리를 통한 계량적 결론이 비계량적 결과보다 연구결과의 설득력이 강하다.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29.
다음의 설명에 해당하는 계획은?
1.
환경시설계획
2.
심미적 환경계획
3.
생태환경계획
4.
환경자원관리계획
정답 : [
3
] 정답률 : 77%
30.
다음 설명에 가장 적합한 용어는?
1.
고도(古都)
2.
침상원
3.
비오톱(Biotop)
4.
계획지역
정답 : [
1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정의(고도 보존 및 육성에 관한 특별법 제 2조) [해설작성자 : 제발 꼭 붙자]
계곡선 : 등고선(주곡선)에 1개씩 굵게 나타낸 선. 국립지리원에서 발행한 지형도에서는 5개 가운데 1개씩을 계곡선으로 하고 있는데, 1/10,000 축척 지형도에서는 높이 25m마다, 1/25,000 지형도에서는 높이 50m마다, 1/50,000 지형도에서는 높이 100m마다 계곡선이 그려져 있다.
따라서 1/50,000 지형도에서 수직거리 1칸 = 100m [해설작성자 : 떡잎]
37.
주차장법상 주차장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노상주차장
2.
부설주차장
3.
노외주차장
4.
지하주차장
정답 : [
4
] 정답률 : 69%
38.
“체육시설의 설치ㆍ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공공체육시설로 분류되지 않는 것은?
1.
생활체육시설
2.
대중체육시설
3.
전문체육시설
4.
직장체육시설
정답 : [
2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공공체육시설의 종류 : 전문체육시설, 생활체육시설, 직장체육시설 [해설작성자 : 제발 꼭 붙자]
39.
생태관광의 범위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속가능한 환경친화적인 관광
2.
농촌보다는 도시를 소규모 그룹으로 관광
3.
관광지의 경관, 동식물, 문화유산을 고려하는 관광
4.
훼손이 덜된 자연지역을 소규모 그룹으로 관광
정답 : [
2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생태관광은 생태계 우수 지역의 자연 및 관련 문화 자원을 관찰, 감상, 이해, 체험하기 위한 개별 관광객 또는 소규모 단체 관광객의 여행으로서 자연 및 문화유산의 보전과 지역주민의 복지 증진에 기여하는 관광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0.
대상지역의 기후에 관한 조사는 계획구역이 속한 지역의 전반적인 기후에 관한 조사와 계획구역 내에 국한된 미기후에 관한 조사로 나누어진다. 다음 중 미기후에 관한 조사 사항이 아닌 것은?
1.
강우량
2.
태양열
3.
공기유통
4.
안개ㆍ서리 피해지역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미기후는 지형이나 풍향 등에 따른 부분적 장소의 독특한 기상 상태로 태양 복사열의 정도, 공기 유통의 정도, 안개 및 서리해 유무, 지형적 여건에 따른 일조시간, 대기오염 자료 등을 조사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과목 : 조경설계
41.
주차장법 시행규칙상의 “장애인전용”주차 단위 구획 기준은? (단, 평행주차형식 외의 경우를 적용한다.)
1.
2.0m 이상 ×6.0m 이상
2.
2.0m 이상 ×5.0m 이상
3.
2.6m 이상 ×5.2m 이상
4.
3.3m 이상 ×5.0m 이상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평행주차형식 경형 : 너비/1.7m,길이/4.5m 일반형 : 너비/2.0m, 길이/6.0m 보도와 차도의 구분이 없는 주거지역의 도로 : 너비/2.0m, 길이/5.0m 이륜자동차 전용 : 너비/1.0m, 길이/2.3m
***환산덩굴(삼과 덩굴성 한해살이)-훼손된 들에 흔히 자라는 초본성 덩굴식물 [해설작성자 : 구 평사공주]
환삼덩굴도 2019년부터 생태계 교란식물로 선정되었습니다. [해설작성자 : 조경남신]
78.
자연식생의 군락조사 방법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1.
모든 방형구의 크기는 5×5m 정도가 일반적이다.
2.
방위ㆍ경사 등의 입지조건을 기재한다.
3.
식생계층은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 초본층으로 구분하여 기록한다.
4.
각 계층별로 모든 출현종의 우점도와 군도를 기록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방형구 테두리의 면적은 그 군락의 성질을 완전히 갖추고 있고 군락을 대표하는 크기라야 하며, 이 결정에는 엄밀한 수속이 필요하다. 경험적으로 초원·밭 등에서는 1m2, 지의류(地衣類)나 선태식물의 군락에서는 1m2 이하로도 충분하고, 삼림군락에서는 4m2, 16m2, 100m2 또는 그 이상이 필요하다. 그리고 테두리 모양은 보통 사각형을 사용하는데, 원형일 경우도 있다. [해설작성자 : 문과생]
조사구 크기는 조사목적 및 대상으로 하는 식물군락의 성질에 따라 다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비료목 : 질소고정능력을 갖춘 식물 -아까시나무 등 콩과식물로 뿌리혹박테리아와 공생하거나 오리나무류, 보리수나무처럼 프랑키아라 불리는 방선균류와 공생하며 질소를 고정하여 다른 식물의 생장에도 도움을 주는 나무를 말한다. 콩과 : 아까시나무, 자귀나무, 싸리나무, 박태기나무, 등나무, 칡 등 자작나무과 : 사방오리나무, 산오리나무, 오리나무 등 보리수나무 : 보리수나무, 보리장나무 등 소철과 : 소철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0.
식재로 얻을 수 있는 대표적인 기능 중 “공학적 이용”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식물의 효과에 해당하는 것은?
15ton 차륜식 불도저를 이용하여 60m 지점에 굴착토를 운반하여 사토하려 할 때 1회 왕복시간은 얼마인가? (단 전진속도 80m/분, 후진속도 100m/분, 기어변속시간 0.25분이다.)
1.
3.24분
2.
2.95분
3.
1.60분
4.
0.91분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Cm=(L/V1)+(L/V2)+t [해설작성자 : 서니]
Cm=(L/V1)+(L/V2)+t (V1: 가는속도, V2: 오는속도 t: 정체시간 L: 작업거리) 그러므로 Cm = (60(m)/80(m/분))+(100(m)/100(m/분))+0.25분 = 0.75분+0.6분+0.25분 = 1.60분 [해설작성자 : 문과생]
문제 풀이 식에서 Cm = (60/80)+(60/100)+0.25 로 계산하면 0.75분+0.60분+0.25분= 1.60분이다.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89.
다음 공식에서 A가 의미하는 것은?
1.
예민비
2.
간극비
3.
함수비
4.
포화도
정답 : [
1
] 정답률 : 67%
90.
다음 그림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차단배수시설이다.
2.
d는 콘크리트 무공관이다.
3.
a는 초기, b는 변경된 지하수위이다.
4.
c는 굵은 모래나 모래가 섞인 강자갈이 좋다.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d는 지하유공관이다 [해설작성자 : 몰량]
91.
소(小)운반(運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건설공사 표준품셈의 기준을 적용한다.)
1.
인력을 이용하는 목도운반을 소운반이라 한다.
2.
소운반의 거리는 50m 이내의 거리를 말한다.
3.
경사면의 소운반 거리는 수직고 1m를 수평 거리 6m의 비율로 계상한다.
4.
소운반로가 비포장일 경우 비용을 50% 할중 계상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 소운반은 현장에 도착된 자재를 인력 또는 소규모 동력기를 사용하여 공사하는 최종 위치로 이동시키는 운반을 말한다. 2. 소운반거리는 20m이내의 수평거리를 말한다. 4. 소운반거리가 20m를 초과할 경우 초과분에 대하여 이를 별도 계상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2.
다음 중 금속부식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부분적으로 녹이 나면 즉시 제거한다.
2.
표면을 평활하고 깨끗이 하며 가능한 한 건조한 상태를 유지한다.
3.
가능한 한 이종금속을 인접 또는 접촉시키지 않는다.
4.
콘 변형을 준 것은 가능한 한 담금질하여 사용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도장작업을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3.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에 작용하는 측압이 큰 경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거푸집 부재단면이 클수록
2.
콘크리트의 비중이 작을수록
3.
콘크리트의 슬럼프가 클수록
4.
외기온도가 낮을수록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콘크리트의 비중이 클수록 거푸집에 작용하는 측압은 커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 슬럼프 값이 클수록 - 온도 및 습도가 낮을수록 - 부어넣기 속도가 빠를수록 - 부배합일수록 - 철근량이 적을수록 - 콘크리트 비중이 클수록 - 벽 두께가 두꺼울수록 크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4.
다음에 설명하는 특징을 갖는 조명등은?
1.
할로겐등
2.
크세논램프
3.
고압나트륨등
4.
메탈할라이드등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1. 할로겐등 : 빛의 조절 및 통제가 용이하며 색채 연출이 우수하지만, 고출력의 높은 전압에서만 작동이 가능하므로 정원, 광장 등에는 사용이 곤란하다 2.크세논램프(제논램프) : 초기 발광시간이 필요치 안호 순간 재점등이 가능하다 4. 메탈할라이드등 : 고압수은등램프보다 효율, 연색성이 우수하고 옥외조명 및 옥내고천장조명에 적당하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최장기간이니 두 방향 중 오래걸리는 곳으로 가면 됨 즉, B-D-F-G, 10+8+4+3=25일 [해설작성자 : 떡잎]
97.
감리원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현장대리인이 감리원을 선정한다.
2.
그 공사에 대하여 전문적인 기술자를 선정한다.
3.
감리원은 설계도대로 시공되지 않았을 때는 수급인에게 시정을 요구한다.
4.
감리원은 발주자의 자문에 응하고 기술적으로 설계서대로의 시공여부를 확인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감리원’이란 발주자의 위촉을 받아 공사의 시공 과정에서 발주자의 자문에 응하고 설계서대로의 시공여부를 확인하는 등의 감리를 행하는 자를 말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8.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평균기온 20℃ 이상)을 사용한 경우 거푸집널의 애체 시기(기초, 보, 기둥 및 벽의 측면)로 옳은 것은? (단, 압축강도를 시험하지 않을 경우)(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4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3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확정답안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1일
2.
2일
3.
3일
4.
4일
정답 : [
3
] 정답률 : 73%
99.
15분 동안에 15mm의 비가 내렸을 때, 이것을 평균강우강도(mm/hr)로 환산할 경우 맞는 것은?
비탈면의 풍화 및 침식 등의 방지를 주목적으로 하며, 1:1.0 이상의 완구배로서 접착력이 없는 토양, 식생이 곤란한 풍화토, 점토 등의 경우에 실시하는 비탈면의 보호공은?
1.
콘크리트판 설치공
2.
돌붙임 및 블록붙임공
3.
콘크리트 격자형 블록 및 심줄박기공
4.
시멘트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뿜어붙이기공
정답 : [
2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1. 콘크리트판 설치공 - 암의 절리가 많은 지역, 모르타르 뿜어붙이기 공법으로는 약하다고 생각되는 경우 3. 콘크리트 격자형 블록 및 심줄박기공 - 식생의 생육에 적당하지 않음, 용수 있는 절토비탈면이 강우로 자주 유실되어 유지관리가 어려운 곳에 가장 적합한 비탈면 보호 공법(1:0.8 이하의 완구배 비탈) 4. 시멘트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뿜어붙이기공 - 비탈면에 용수가 없고 붕괴우려가 없는 지역, 낙석 예상지역이나 식생이 부적당한 곳 [해설작성자 : 짱구]
102.
미국흰불나방은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이다. 우리 나라에 최초로 피해를 나타낸 시기는?
1.
1948년 전후
2.
1958년 전후
3.
1968년 전후
4.
1978년 전후
정답 : [
2
] 정답률 : 60%
103.
토양으로부터 입경분석을 하고, 그리고 입경의 분포비에 의해서 토성(Soil trxture)을 결정하게 된다. 이 일련의 과정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삼각도표법
2.
스톡스(Stokes) 법칙
3.
토양의 양이온치환용량
4.
Sodium hexametaphosphate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 삼각 도표법 : 모래, 미사, 점토의 백분율을 계산하여 삼각도표법을 이용하여 토성 결정. * 스톡스 법칙: '어떤 주어진 밀도와 점성을 지닌 유체에서 중력의 영향아래 침강하는 구형 입자의 종말속도는 입자반경의 제곱에 비례한다'를 토대로 침강속도에 따라 입자크기 결정. * Sodium hexametaphosphate(헥사메타인산 나트륨) : 토양 입도 분석 실험에 사용되는 유기물 산화제 [해설작성자 : 구평사공주]
104.
살분법(殺紛法)에 이용되는 분제가 갖추어야 할 물리적 성질로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분산성
2.
비산성
3.
안정성
4.
현수성
정답 : [
4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분산성, 비산성, 안정성은 고체즉 분제에 대한 물리적 특성이며 현수성은 액체의 물리적 특성으로 균일한 분사상태를 유지하는 성질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