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호분층은 종자발아에 필요한 가수분해효소를 방출한 후 세포사멸 과정을 거쳐 없어진다 [해설작성자 : zk]
3.
종ㆍ속간 교잡종자를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에 활용하는 조직배양기술은?
1.
소형 씨감자의 대량생산
2.
무병주 식물체 생산
3.
꽃가루배양
4.
배주배양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소형 씨감자의 대량생산, 무병주 식물체 생산→조직배양의 이용사례 꽃가루배양 : 반수체 식물을 만들기 위해 사용. 반수체를 얻어 이 개체의 염색체를 두 배로 만들면 동일한 유전자를 가지게 되고 그 후대에서도 분리되지 않음 배주배양 : 종간 또는 속간교잡 후 수정은 되었으나 종자 발달 초기에 배주 조직이 붕괴되면서 배가 퇴화되어 잡종종자를 얻기 어려운 경우에 이용 배배양 : 수정 후 초기 발생과정을 관찰하거나 종자의 형성과정을 관찰하는 데 유용함 [해설작성자 : 빰빰]
배주배양 : 종속 간 교잡 시에 자주 발생하는 배의 생육 정지 현상을 피하기 위하여, 수정 직후 배의 퇴화가 일어나기 전에 배주를 분리하여 인공 배지에서 기르는 일. [해설작성자 : zk]
4.
다음과 같은 특징을 나타내는 작물은?
1.
완두
2.
벼
3.
감자
4.
옥수수
정답 : [
4
] 정답률 : 90%
5.
벼의 기공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공의 수는 생육조건에 따라 다른데 하위엽일수록 많다.
2.
기공의 수는 품종에 따라 다른데 차광처리에 의해 감소된다.
3.
기공의 수는 온대자포니카벼보다 왜성의 인디카벼에 더 많다.
4.
기공은 잎몸의 표피뿐만 아니라 녹색을 띠는 잎집ㆍ이삭축ㆍ지경 등의 표피에도 발달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기공 수는 상위엽일수록 많고 차광 처리에 의해 감소되며 온대자포니카보다 왜성의 인디카,통일계벼에 많다. 잎몸의 상하표피, 녹색을 띠는 잎집, 이삭축, 지경 표피에도 발달한다. [해설작성자 : 빰빰]
6.
벼 직파재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담수직파에서 건답직파보다 도복이 더 발생하기 쉽다.
2.
담수직파는 논바닥을 균평하게 정지하기 곤란하다.
3.
담수직파는 대규모일 때 항공파종이 가능하다.
4.
담수직파에서 건답직파보다 분얼절위가 낮아 과잉분얼에 의한 무효분얼이 많다.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담수직파는 비가 올 때에도 파종이 가능하고 논의 배수에 신경 쓸 필요가 없고, 소규모는 손으로 파종할 수 있고 대규모는 항종파종이 가능하고 건답직파보다 잘초발생이 적다는 장점이 있음 하지만 물속에서 발아하기 때문에 산소부족에 의해 발근, 착근이 불량해지고 뜸모가 발생하기 쉽고 결실기에 도복되기 쉬움
단일식물은 낮의 길이가 짧아지는 가을에 주로 꽃을 피우며, 밤의 길이가 일정량 이상 길어야 꽃눈 형성이 이루어집니다.
장일식물 봄이나 여름, 낮이 길어지는 시기에 꽃피거나 개화가 촉진되는 식물 [해설작성자 : zk]
12.
기장의 형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줄기는 지상절의 수가 1~10마디이고, 둥글며 속이 차 있다.
2.
종근은 1개이고 지표에 가까운 지상절에서는 부정근이 발생하지 않는다.
3.
종실은 영과로 소립이고 방추형이다.
4.
이삭의 지경이 대체로 짧아 조ㆍ피와 비슷하고 벼나 수수와는 다르다.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1. 줄기는 지상절 수가 10~20마디이고 둥글고 속이 비어있어 도복하기 쉬움 2. 종근이 1본이고 지표에 가까운 지상절에서 부정근이 발생함
4. 이삭의 지경(1~3차)이 대체로 길어 이삭의 모양이 조, 피와 다르고 벼, 수수와 비슷함 [해설작성자 : 빰빰]
13.
보리의 발육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아생기-배유의 양분이 거의 소실되고 뿌리로부터 흡수되는 양분에 의존하는 시기
2.
이유기-주간의 엽수가 2~2.5장인 시기로 발아 후 약 3주일에 해당하는 시기
3.
신장기-유수형성기 이후 이삭과 영화가 커지며 생식세포가 형성되는 시기
4.
수잉기-절간신장이 개시되어 출수와 개화에 이르기까지 줄기 신장이 지속되는 시기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 아생기 : 발아 후 주로 배유의 양분에 의하여 생육하는 어린 시기 - 이유기 : 대체로 주간의 엽수가 2~2.5매인 시기로, 배유의 양분이 거의 소실되고 뿌리로부터 흡수되는 양분에 의존하는 전환기. 배유 전분의 83~85%가 소실되는 시기는 주간의 엽수가 약 2매인 시기로 발아 후 약 3주일에 해당되며, 완전 독립 영양기는 주간의 본 잎이 3.5~4매인 시기부터이다. - 신장기 : 절간신장이 개시되어 출수ㆍ개화에 이르기까지 줄기의 신장이 지속되는 기간이다. - 수잉기 : 유수형성기 이후부터 출수 직전까지의 기간, 이삭과 영화가 커지며 생식세포가 형성되고, 감수분열을 거쳐 암수의 생식세포가 완성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4.
작물의 수분생리작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물은 작물생육에 필수원소인 수소원소의 공급원이 된다.
2.
물은 작물이 필요물질을 흡수하는 데 용매 역할을 한다.
3.
작물체 내 함수량이 적어지면 용질의 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세포액의 삼투포텐셜이 높아진다.
4.
세포조직 내 물의 이동은 수분포텐셜이 평형에 도달할 때까지 이루어진다.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3. 작물체 내 함수량이 적어지면 용질의 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세포액의 삼투포텐셜이 낮아진다. 용질의 농도가 높거나 압력과 온도가 낮아지면, 수분퍼텐셜은 감소한다. [해설작성자 : 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