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송파 전력이 20[kW]일 때 변조율 70[%]로 진폭 변조하였다면 상측파 전력[kW]은?
1.
25
2.
10.5
3.
4.9
4.
2.45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반송파와 측파대의 전력비는 1 : m^2/4 이므로,
20 x 0.7^2 / 4 = 2.45[kW] [해설작성자 : 나대로]
2.
논리식 을 간단히 하면?
1.
A
2.
B
3.
AB
4.
A+B
정답 : [
2
] 정답률 : 83%
3.
진폭변조(AM)방식에서 변조된 높은 주파수의 파형인 피변조파의 표현으로 옳은 것은? (단, VC는 반송파의 진폭, m(t)는 변조도, ωs는 변조 신호 각주파수, ωc는 반송파 각주파수이다.)
1.
øAM=VCcos(ωst)cos(ωct)
2.
øAM=VC[1+m(t)cos(ωst)]cos(ωct)
3.
øAM=VC[1+m(t)cos(ωst)]
4.
øAM=VC[1+m(t)cos(ωct)]cos(ωct)
정답 : [
2
] 정답률 : 89%
4.
5MHz의 하한 임계주파수와 15MHz의 상한 임계주파수를 가지는 교류증폭기의 대역폭(MHz)은?
1.
5
2.
10
3.
15
4.
20
정답 : [
2
] 정답률 : 80%
5.
e(t)=Esin(2πft+θ)에서 f를 변화시키는 변조방식은?
1.
AM
2.
PM
3.
FM
4.
평형 변조
정답 : [
3
] 정답률 : 92%
6.
주파수 대역폭이 B인 동조증폭기를 n단의 다단증폭기로 연결할 때 전체 주파수 대역폭 Bn은?
1.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55%
7.
다음 중 입력신호에 따라 잠기거나 동기화될 수 있는 회로는?
1.
비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
2.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
3.
위상 검출기
4.
PLL 회로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위상동기회로(영어: Phase-Locked Loop, PLL): - 입력 신호와 출력신호에서 되먹임된 신호와의 위상차를 이용해 출력신호를 제어하는 시스템 - 입력된 신호에 맞추어 출력 신호의 주파수 조절이 목적 - 입력과 출력의 되먹임 위상차가 동기되면 위상 잠금이 되고, 잠금 상태가 유지되도록 입력에 대한 출력의 주파수를 조절
위상동기란 기준신호원에 관해 일정한 위상각에서 동작하도록 발진기 또는 주기신호발생기를 제어하는 것을 말함. [해설작성자 : 나대로]
8.
첫째 단의 잡음지수 F1=10, 이득 G1=20이며, 다음 단의 잡음 지수 F2=21, 이득 G2=50일 때 단 증폭기의 종합 잡음지수는?
1.
10
2.
11
3.
21
4.
110
정답 : [
2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종속연결된 System 전체 잡음지수 NI_total = F1 + (F2 -1)/G1 + (F3 - 1)/G1G2 + ... = 10 + (21 - 1)/20 = 11 [해설작성자 : 나대로]
9.
연산증폭기 동작 중 부궤환(N.F.B) 상태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입력임피던스가 높아진다.
2.
전압이득이 높아진다.
3.
출력임피던스가 낮아진다.
4.
대역폭이 넓어진다.
정답 : [
2
] 정답률 : 68%
10.
8진 PSK의 오류확률은 2진 PSK 오류 확률의 몇 배인가?
1.
2배
2.
3배
3.
4배
4.
5배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오류 확률 (Error Probability) - Digital 통신 System에서 System 성능 평가의 중요 척도, Pe - 이상적인 것에서 얼마나 벗어나는지 계산 가능해야, 공학적으로, 통신 System의 비교, 평가, 설계, 예측이 가능
Bit 오류 확률(Bit Error Probability) : 부정확한 Bit 판정을 하게되는 확률
PSK(Phase Shift Keying: 위상 편이 변조) - 반송파의 위상을 각각 다르게 하여, Digital Data를 전송하는 방식. - M진 PSK의 M은 2의 n승(제곱)을 의미하며, 1회 변조시 전송되는 Bit 수임.
<문제 해설> Pulse Width = Duty Cycle x period 0.3 = DC x 1.5 DC = 0.3/1.5 = 0.2 [해설작성자 : 나대로]
12.
정전압회로에 주로 사용되는 다이오드는?
1.
제너 다이오드
2.
에사키 다이오드
3.
터널 다이오드
4.
바렉터 다이오드
정답 : [
1
] 정답률 : 82%
13.
그림과 같은 연산증폭기의 출력전압은?
1.
출력전압은 입력전압을 미분한 형태로서, 위상이 반전된다.
2.
출력전압은 입력전압을 미분한 형태로서, 위상이 같다.
3.
출력전압은 입력전압을 적분한 형태로서, 위상이 반전된다.
4.
출력전압은 입력전압을 적분한 형태로서, 위상이 같다.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C의 impedance/reactance는 1/sC[Ω]
전류의 대수합은 0이므로,
Vi/(1/sC) + Vo/R = 0
Vo = -sCRVi
입력 전압에 음수부호가 붙으므로, 위상이 반전됨을 알 수 있고, 미분 개념인 s가 분모가 아닌 분자에 있는 개념이니, 입력 전압을 미분한 형태에 C와 R을 곱한 값이 출력임을 파악 가능. [해설작성자 : 나대로]
14.
16진 PSK 변조방식을 사용하고, 채널의 대역폭이 4kHz일 때 채널 용량(bps)는?
1.
16000
2.
32000
3.
48000
4.
56000
정답 : [
2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PSK(Phase Shift Keying: 위상 편이 변조) - 반송파의 위상을 각각 다르게 하여, Digital Data를 전송하는 방식. - M진 PSK의 M은 2의 n승(제곱)을 의미하며, 1회 변조시 전송되는 Bit 수임.
채널 용량(Channel capacity) - 어떤 곳에서 다른 곳으로 정보를 보내기 위해 사용되는 물리적인 통로인 채널(Channel)에서, 정보가 Error를 발생시키지 않고 전송될 수 있는 최대의 속도 - 채널 용량은 또한 전송에 쓰이는 매체가 수용할 수 있는 정보의 전송 능력이라 할 수 있으며,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은 그 채널의 대역폭(Bandwidth)에 비례
16진 은 2^4 (4 bits) 이고, 초당 Bit 수는 대역폭에 비례하며, 주파수 f[Hz] = 1/T 에서 T[sec] = 1/f = 1/4000[sec]의 주기 동안 위(+), 아래(-)로 진동하므로, 즉, 대역폭의 2배를 표본화 가능하기에 2배를 해줘야 Channel 용량임. 4 x 4000 x 2 = 32,000[bps] [해설작성자 : 나대로]
15.
전가산기(full adder)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자리올림을 무시하고 일반 계산과 같이 덧셈하는 회로이다.
2.
아랫자리의 carry를 더하여 짝수의 덧셈을 행하는 회로이다.
3.
아랫자리의 carry를 더하여 홀수의 덧셈을 행하는 회로이다.
4.
아랫자리의 자리올림을 더하여 2진수의 덧셈을 완전히 행하는 회로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75%
16.
FM파의 순시 주파수는 변조신호 f(t)와 어떤 관계를 갖고 있는가?
1.
변조신호 f(t)에 비례한다.
2.
변조신호 f(t)의 제곱에 비례한다.
3.
변조신호 f(t)의 미분값에 비례한다.
4.
변조신호 f(t)의 적분값에 비례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1%
17.
RS-FF에서 2개의 입력 R, S가 동시에 1인 경우에도 불확정한 출력 상태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인버터(inverter) 하나를 RS-FF의 입력 양단에 부가한 회로는?
1.
D-FF
2.
JK-FF
3.
master-slave JK-FF
4.
T-FF
정답 : [
1
] 정답률 : 41%
18.
다음 그림과 같은 회로의 논리식은?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70%
19.
변조 신호가 f(t)=10cos(2π103t)일 때 FM의 변조지수는? (단, 주파수 감도 계수는 Kf=100Hz/V이다.)
1.
1
2.
10
3.
100
4.
1000
정답 : [
1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주파수 감도계수(Kf) = 변조신호 주파수 x 변조지수 / 변조신호 진폭 100[Hz/V] = 10^3 x m / 10 m = 1 [해설작성자 : 나대로]
20.
다음의 회로에서 출력전압 VO(V)는? (단, R1=R3=1kΩ, R2=R4=5kΩ, V1=4V, V2=3V 이다.)
1.
1
2.
-1
3.
-5
4.
-7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차동 증폭기
Vo = R2/R1 x (V2 - V1) = 5/1 x (3 - 4) = -5[V] [해설작성자 : 나대로]
2과목 :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21.
송전선로에서 전압이 3×108m/s인 광속으로 전파할 때 200MHz인 주파수에 대한 위상정수는 몇 rad/m 인가?
1.
4/3π
2.
2/3π
3.
π/3
4.
π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파장(Wavelength) - 한 주기 동안 파(波)가 진행한 거리 (1 주기분의 길이) : (공간 주기성을 나타냄) - 파장 표기 : λ (람다, lamda)
위상 정수, 位相定數, phase constant - 분포 정수 회로를 전파(傳播)하는 전압이나 전류는 전파 방향을 따라 위상의 지연이 생김 - 이때 선로의 단위 길이당 위상차를 나타내는 것 - 단위 길이당 radian[rad/m] - 위상 정수 β는 파장 λ에 대하여 λ = 2π/β[m]의 관계가 있으므로 파장 정수라고도 함.
β = 2π/λ = 2π/1.5[rad/m] [해설작성자 : 나대로]
22.
내부 임피던스가 0.3+j2(Ω)인 발전기에 임피던스가 1.7+j3(Ω)인 선로를 연결하여 전력을 공급한다. 부하 임피던스가 몇 Ω 일 때 부하에 최대전력이 전달되는가?
1.
1.4-j
2.
1.4+j
3.
2-j5
4.
2+j5
정답 : [
3
] 정답률 : 50%
23.
DC 12V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하여 10V용 전압계 두 개를 직렬로 연결하였을 때 전압계 V1의 지시값은 몇 V인가? (단, 전압계 V1의 내부저항은 8kΩ, V2의 내부저항은 4kΩ이다)
1차 전압 6600V, 권수비 30인 단상변압기로 전등 부하에 20A를 공급할 때의 입력은 몇 kW인가? (단, 변압기의 손실은 무시한다.)
1.
4.4
2.
5.5
3.
6.6
4.
7.7
정답 : [
1
] 정답률 : 72%
52.
NS형 전기 선로전환기에 사용되는 전동기의 종류로 옳은 것은?
1.
2상 2극 콘덴서 기동형 단상 유도전동기
2.
2상 4극 콘덴서 기동형 단상 유도전동기
3.
3상 4극 농형 유도전동기
4.
3상 8극 농형 유도전동기
정답 : [
2
] 정답률 : 70%
53.
그림과 같은 단상 반파제어정류회로에 사용된 다이오드에 D2에 관한 설명으로 적합한 것은?
1.
순저항 부하에서도 사용된다.
2.
부하 전류의 평활화에 사용된다.
3.
D2에 의해 회로의 역률이 저하된다.
4.
D2에 인가되는 역바이어스 전압은 일정하지 않다
정답 : [
2
] 정답률 : 69%
54.
전기기계에서 히스테리시스손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보극설치
2.
성층철심
3.
규소강판 사용
4.
보상권선 설치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보극설치 (Installation of Interpoles): 주로 직류기에서 정류 작용을 개선하여 정류 불량으로 인한 손실(스파크 등)을 줄이는 역할
성층철심 (Laminated Core): 자성 재료를 얇은 판으로 만들어 서로 절연시키는 방법입니다. 이는 와전류가 흐르는 경로의 저항을 크게 만들어 와류손을 현저히 감소시킵니다.
규소강판 사용 (Use of Silicon Steel Sheets): 철에 소량의 규소(실리콘)를 첨가하면 재료의 전기 저항률이 증가하여 와류손이 감소하는 효과도 있지만, 더 중요한 것은 히스테리시스 루프의 면적을 줄여 히스테리시스손을 크게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전기기계의 철심 재료로 규소강판을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입니다.
보상권선 설치 (Installation of Compensating Windings): 주로 대형 직류기에서 전기자 반작용에 의한 주자속의 왜곡을 보상하여 정류 및 전압 변동률을 개선하는 역할
55.
직류 분권전동기의 전압이 일정할 때 부하 토크가 2배이면 부하전류는?
1.
√2배로 증가한다.
2.
2배로 증가한다.
3.
1/2로 감소한다.
4.
1/4로 감소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8%
56.
8극 60Hz, 400kW, 유도전동기가 있다. 전부하시의 슬립이 2.5%일 때 회전수는 약 몇 rpm인가?
1.
978
2.
878
3.
778
4.
678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N = 120f/P x (1-S) = 7200/8 x 97.5[%] = 877.5[rpm] [해설작성자 : 나대로]
57.
기동 및 정지가 빈번하고 토크의 변동이 심한 부하의 전동기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직권전동기
2.
분권전동기
3.
가동복권전동기
4.
차동복권전동기
정답 : [
1
] 정답률 : 82%
58.
다음 중 건널목 경보 장치에 건널목 제어기를 사용하는 이유가 아닌 것은?
1.
건널목이 중첩된 곳
2.
건널목 제어장이 서로 다를 때
3.
신호케이블의 소요가 적을 때
4.
전철구간 등 별도 궤도회로 구성이 곤란한 곳
정답 : [
3
] 정답률 : 81%
59.
전기 선로전환기 운전 중에 콘덴서 회로가 단선될 경우 전동기의 동작 상태는?
1.
계속 회전한다.
2.
회전 방향이 달라진다.
3.
정지 후 다시 동작한다.
4.
선로전환기 동작이 정지된다.
정답 : [
1
] 정답률 : 80%
60.
정격전압에서 전동차단기(일반형) 차단봉의 하강시간과 상승시간에 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하강시간 6±2초, 상승시간 10초 이하
2.
하강시간 8±2초, 상승시간 12초 이하
3.
하강시간 10±2초, 상승시간 14초 이하
4.
하강시간 12±2초, 상승시간 16초 이하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차단봉 하강시간 : 일반형 4초~10초, 장대형 5초~12초 <2015.03.27 > 개정 차단봉 상승시간 : 12초 이하 [해설작성자 : 철도신호새내기]
개정된 바에 따라, 보기 2번을 하강시간 6±4초 로 수정 바랍니다! [해설작성자 : 나대로]
61.
경부고속선에 운용중인 UM71C형 궤도회로에 전기적 절연을 위해 사용되는 주파수가 아닌 것은?
경부고속철도 열차자동제어장치(ATC)에서 루프코일을 통하여 차상장치로의 정보전송 내용이 아닌 것은?
1.
ATC구간으로의 진, 출입 정보
2.
절대정지구간 제어정보
3.
건넘선용 궤도회로 주파수채널 변경정보
4.
폐색구간의 길이
정답 : [
4
] 정답률 : 55%
65.
MJ81형 전기선로전환기의 전환시간으로 옳은 것은?
1.
3초 이하
2.
5초 이하
3.
7초 이하
4.
9초 이하
정답 : [
2
] 정답률 : 72%
66.
단선구간의 선로용량 산출 공식은? (단, N : 역사이의 선로용량(편도 1일 열차횟수), T : 역사이의 평균열차운행시간(분), C : 운전취급시분(분), f : 선로이용률(통상0.6))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Crw = 1440 / (Tao + Tb) x U where, Crw: railway capacity of single-track section, Tad: train average operation time between stations[min], Tb: time of blockading[min], U: utilization rate [해설작성자 : 나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