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빈(Lewin)의 인간 행동 특성을 다음과 같이 표현하였다. 변수 'E'가 의미하는 것은?
1.
연령
2.
성격
3.
환경
4.
지능
정답 : [
3
] 정답률 : 95%
<문제 해설> 레윈의 법칙 B = f (P*E)
B : behavior(행동) f : function(함수) P : person(사람) E : environment(환경) [해설작성자 : MY, 제주도가고싶당]
2.
다음 중 안전교육의 형태 중 OJT(On The Job of training) 교육에 대한 설명과 거리가 먼 것은?
1.
다수의 근로자에게 조직적 훈련이 가능하다.
2.
직장의 실정에 맞게 실제적인 훈련이 가능하다.
3.
훈련에 필요한 업무의 지속성이 유지된다.
4.
직장의 직속상사에 의한 교육이 가능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OJT는 on the job training으로 개별교육에 적합하다 * OFF JT의 경우 외부강사를 초청하여 근로자를 일정한 장소이 집합시켜 실시하는 교육으로, 단체교육에 적합하다. [해설작성자 : MY]
3.
다음 중 안전교육의 기본 방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생산성 향상을 위한 교육
2.
사고사례중심의 안전교육
3.
안전작업을 위한 교육
4.
안전의식 향상을 위한 교육
정답 : [
1
] 정답률 : 92%
<문제 해설> 안전교육의 기본방향 1. 사고사례 중심의 안전교육 2. 안전작업(표준작업)을 위한 안전교육 3. 안전의식 향상을 위한 안전교육 [해설작성자 : 민트초코쿠키]
4.
다음 설명의 학습지도 형태는 어떤 토의법 유형인가?
1.
포럼(Forum)
2.
버즈세션(Buzz session)
3.
케이스 메소드(case method)
4.
패널 디스커션(Panel Discussion)
정답 : [
2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포럼: 자료제시후 25명이상의 집단구성원과 1명 이상의 전문가, 사회자의 진행으로 15~60분 공개적 토의 케이스: 먼저 사례를 제시, 그 문제와 상호관계에 대해 검토하고 대책을 토의 패널 디스커션: (배심토의) 특정 주제에 대해 의견을 달리하는 3~6인의 참가자들이 사회자의 진행에 따라 청중 앞에서 토의 [해설작성자 : 공방카페]
심포지엄 두명 이상 전문가가 과제 발표, 참가자의 의견 & 질문하며 토의 [해설작성자 : 해설 달며 공부]
5.
안전점검의 종류 중 태풍, 폭우 등에 의한 침수, 지진 등의 천재지변이 발생한 경우나 이상사태 발생시 관리자나 감독자가 기계, 기구, 설비 등의 기능상 이상 유무에 대하여 점검하는 것은?
1.
일상점검
2.
정기점검
3.
특별점검
4.
수시점검
정답 : [
3
] 정답률 : 95%
<문제 해설> 1. 일상점검 : 매일 수시로 작업 전/중/후 실시 ( = 수시점검 ) 2. 정기점검 : 매월 1회 주기로 설비의 손상 점검 ( = 계획점검 ) 3. 특별점검 : 설비 신설/변경 시, 천재지변 등 4. 임시점검 : 갑작스런 이상 시 진행 [해설작성자 : succ949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표지의 종류 중 다음 표지의 명칭은? (단, 마름모 테두리는 빨간색이며, 안의 내용은 검은색이다.)
1.
폭발성물질 경고
2.
산화성물질 경고
3.
부식성물질 경고
4.
급성독성물질 경고
정답 : [
4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독극물 먹으면 깨꼬닥 해서 해골된다고 생각하시면 편해요 어릴 때 만화보면 독극물 표시에 전부 해골표시 있었잖아요 ㅇㅇㅇ 급성독성물질은 깨꼬닥 해골 [해설작성자 : 양념돼지주물럭]
14.
하인리히의 재해발생 이론이 다음과 같이 표현될 때, α가 의미하는 것으로 옳은 것은?
1.
노출된 위험의 상태
2.
재해의 직접적인 원인
3.
물적 불안전 상태
4.
잠재된 위험의 상태
정답 : [
4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하인리의 재해발생 이론 - 재해의 발생 = 물적 불안전상태 + 인적 불안전행위 + 잠재된 위험의 상태 = 설비적 결함 + 관리적 결함 + 잠재된 위험의 상태 [해설작성자 : 또오리]
15.
허즈버그(Herzberg)의 위생-동기 이론에서 동기요인에 해당하는 것은?
1.
감독
2.
안전
3.
책임감
4.
작업조건
정답 : [
3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허즈버그의위생-동기 이론 (1) 위생요인 ① 조직의 정책과 방침 ② 작업조건 ③ 대인관계 ④ 임금, 신분, 지위 ⑤ 감독 등
(2) 동기유발유인 ① 직무상의 성취 ② 인정 ③ 성장 또는 발전 ④ 책임의 증대 ⑤ 도전 ⑥ 직무내용자체(보람된 직무) 등 [해설작성자 : DoubleM2]
히즈버크의 2요인론 1. 위생요인(직무환경): 안전,작업조건, 임금 지위 대인관계(개인 상호간의 관계) 회사 정책과 관리 감독 등으로 환경적 요인을 뜻한다. 2. 동기요인(직무내용): 성취감 인정 작업 자체 책임감 성장과 발전, 도전감 등으로 직무 만족과 생산력 증가에 영향을 준다 [해설작성자 : 밍]
* 위생적요인 : 사람의 불만족을 제거하기 위한 것 - 조직의 정책과 방침이 있어야 (노동법) 같은 것들이 있어야 노동착취를 면할 수 있다. - 작업조건은 쾌적해야 불만이 없다. - 대인관계가 좋아야, 회사 다닐 맛 난다. - 임금, 신분, 지위는 회사를 다니는 이유중에 하나다 - 감독관이 있어야 나를 해치려는 사람을 막아준다.
* 동기적요인 : 사람의 만족을 위한 것 - 동기적 요인은 모두 내적인 만족을 위한 것 - 인정 받고, 성취한다고 외적요인(돈과 성공)이 따라오는 것은 아니다. [해설작성자 : 합격하자]
Swain의 인간 오류 분류 1. 생략 오류(Omission Error) 2. 작위 오류(Commission Error): 불필요하거나 잘못된 행동을 수행하여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예를 들어, 잘못된 버튼을 누르거나 절차를 잘못 이해하여 실행하는 경우입니다. 3. 순서 오류(Sequence Error) 4. 시간 오류(Timing Error) [해설작성자 : 닥터김]
23.
다음은 유해위험방지계획서의 제출에 관한 설명이다. ( )안의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 : 7일전, ㉡ : 2
2.
㉠ : 7일전, ㉡ : 4
3.
㉠ : 15일전, ㉡ : 2
4.
㉠ : 15일전, ㉡ : 4
정답 : [
3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사업주가 제조업 대상 사업 , 대상 기계.기구설비에 해당하는 유해.위험방지계획서를 제출하려면 해당공사 착공 15일 전까지 공단에 2부를 제출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채시호수]
24.
그림과 같이 FTA로 분석된 시스템에서 현재 모든 기본사상에 대한 부품이 고장난 상태이다. 부품 X1부터 부품 X5 까지 순서대로 복구한다면 어느 부품을 수리 완료하는 시점에서 시스템이 정상가동 되는가?
1.
부품 X2
2.
부품 X3
3.
부품 X4
4.
부품 X5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and gate에서는 모든 입력 신호가 1이 돼야 출력신호가 1이 됨 or gate에서는 입력신호 어느 것이든 1개 이상이 1이 된다면 출력신호 1이 출력됨 1)X1이 복구될 때 (1+0+0)*(1+0)*(0+0)=1*1*0=0 2)X2가 복구될 때 (1+1+0)*(1+0)*(0+0)=1*1*0=0 3)X3가 복구될 때 (1+1+1)*(1+0)*(1+0)=1*1*1=1 4)X4가 복구될 때 (1+1+1)*(1+1)*(1+0)=1*1*1=1 5)X5가 복구될 때 (1+1+1)*(1+1)*(1+1)=1*1*1=1 부품을 1부터 5까지 순차적으로 복구 할 때, X3을 복구하는 시점부터 신호1이 출력됨 [해설작성자 : 전기3기사]
간단하게 푸는방법 - 셋다 OR 게이트 (합게이트, 아무거나 하나만 동작하면 된다고 생각) 이므로 3개의 or 게이트들이 모두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순서대로 123이 최소 수리되었을때 부터 동작 가능함
THERP(Technique for Human Error Rate Prediction)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 ㉡
2.
㉠, ㉢
3.
㉡, ㉢
4.
㉠, ㉡, ㉢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THERP : 인간의 과오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여 개발된 기법 ㄴ 이 오답임으로 ㄴ이 포함되지 않은 2번이 정답 [해설작성자 : DoubleM2]
인간의 과오가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적방법인 인간 실수율 예측 기법 그래프적이란건 수치를 나타내는것이니 정량적 [해설작성자 : 원조로미]
Rate : 비율 수치 -> 수치는 정량적!
32.
차폐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차폐음과 배음의 주파수가 가까울 때 차폐효과가 크다.
2.
헤어드라이어 소음 때문에 전화 음을 듣지 못한 것과 관련이 있다.
3.
유의적 신호와 배경 소음의 차이를 신호/소음(S/N) 비로 나타낸다.
4.
차폐효과는 어느 한 음 때문에 다른 음에 대한 감도가 증가되는 현상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차폐효과(은폐) : 높은음과 낮은음이 공존할때 낮은 음이 강한 음에 가로막혀 들리지 않게 되는 현상 [해설작성자 : SEN]
바탕음에 대해서 진동수가 정수배(整數倍) 관계에 있는 상음을 배음(倍音)이라고 한다. 출처)네이버 [해설작성자 : 요니야호]
33.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 '강렬한 소음 작업'에 해당하는 기준은?
1.
85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4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2.
85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8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3.
90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4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4.
90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8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정답 : [
4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1.소음작업 : 하루8시간 동안 85dB 이상의 소음이 발생하는 작업 2.강렬한 소음 작업 1) 8시간(일) 90db 이상 2) 4시간(일) 95db 이상 3) 2시간(일) 100db 이상 4) 1시간(잃) 105db 이상 5) 30분(일) 110db 이상 6) 15분(일) 115db 이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최대치를 90db 에 8 시간으로 잡고, 5db 올라갈 때마다 시간이 반으로 줄어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4.
HAZOP 기법에서 사용하는 가이드 워드와 의미가 잘못 연결된 것은?
1.
No/Not – 설계 의도의 완전한 부정
2.
More/Less – 정량적인 증가 또는 감소
3.
Part of – 성질상의 감소
4.
Other than – 기타 환경적인 요인
정답 : [
4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as well as : 성질상의 증가 part of : 성질상의 감소, 일부변경 reverse : 설계의도의 논리적인 역 other than : 완전한 대체 no 또는 not : 완전한 부정 more 또는 less : 양의 증가 및 감소 [해설작성자 : DoubleM2]
35.
그림과 같이 신뢰도가 95%인 펌프 A가 각각 신뢰도 90%인 밸브 B와 밸브 C의 병렬밸브계와 직렬계를 이룬 시스템의 실패확률은 약 얼마인가?
항공사진의 피사체나 말소리처럼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복잡한 자극의 형태를 식별할 수 있다.
4.
수신 상태가 나쁜 음극선관에 나타나는 영상과 같이 배경 잡음이 심한 경우에도 신호를 인지할 수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기계는 정보의 저장 능력이 매우 뛰어나다. [해설작성자 : gunner]
정보 저장은 인간 기계 다 우수함. 구별은 “암호화된” 정보가 나오면 기계가 우수 [해설작성자 : 정종대짱]
37.
FTA에서 사용되는 최소 컷셋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적으로 Fussell Algorithm을 이용한다.
2.
정상사상(Top event)을 일으키는 최소한의 집합이다.
3.
반복되는 사건이 많은 경우 Limnios와 Ziani Algorithm을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4.
시스템에 고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모든 사상의 집합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minimal cut set : 정상사상(Top event)(=고장)을 일으키는 최소한의 사상 집합 4번의 경우는 path set 설명 [해설작성자 : 운릿]
38.
직무에 대하여 청각적 자극 제시에 대한 음성 응답을 하도록 할 때 가장 관련 있는 양립성은?
1.
공간적 양립성
2.
양식 양립성
3.
운동 양립성
4.
개념적 양립성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공간 양립성 :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오른쪽 기계가 작동하는 것 운동 양립성 : 자동차 핸들 조작 방향으로 바퀴가 회전하는 것 개념적 양립성 : 온수 손잡이는 빨간색, 냉수 손잡이는 파란색인 것 양식 양립성 : 기계가 특정 음성에 대해 정해진 반응을 하는 것 [해설작성자 : 에이지]
이와 비슷하게 시각적 부호에서의 부호의 양립성(인간의 기대와 모순되지 않아야 한다.) 와 같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청각, 음성 - 양식 양립성 청양 고추 라 외우면 쉬움^^ [해설작성자 : 루처]
39.
컴퓨터 스크린 상에 있는 버튼을 선택하기 위해 커서를 이동시키는데 걸리는 시간을 예측하는 가장 적합한 법칙은?
1.
Fitts의 법칙
2.
Lewin의 법칙
3.
Hick의 법칙
4.
Weber의 법칙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피츠의 법칙(Fitts' Law)은 인간-컴퓨터 상호작용과 인간공학 분야에서 인간의 행동에 대해 속도와 정확성의 관계를 설명하는 기본적인 법칙이다. 시작점에서 목표로 하는 지역에 얼마나 빠르게 닿을 수 있을지를 예측하고자 하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에이지]
F1 보시는 분들은 피트 스탑 연계해서 외우시면 되실 것 같아요 피트 스탑은 얼마나 빠르게 하는지가 중요하니까 [해설작성자 : 경북도립대노경환]
40.
설비의 고장과 같이 발생확률이 낮은 사건의 특정시간 또는 구간에서의 발생횟수를 측정하는 데 가장 적합한 확률분포는?
1.
이항분포(Binomial distribution)
2.
푸아송분포(Poisson distribution)
3.
와이블분포(Weibulll distribution)
4.
지수분포(Exponential distribution)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푸아송 분포 : 확률론에서 단위 시간 안에 어떤 사건이 몇 번 발생한 것 인지를 표현하는 이산 확률 분포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과목 : 기계위험방지기술
4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양중기를 사용하여 작업하는 운전자 또는 작업자가 보기 쉬운 곳에 해당 양중기에 대해 표시하여야할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단, 승강기는 제외한다.)
1.
정격 하중
2.
운전 속도
3.
경고 표시
4.
최대 인양 높이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양중기에는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규칙 제133조(정격하중등의 표시)에 의거 정격하중, 운전속도, 경고표시 등을 부착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컨베이어를 사용하여 작업을 할 때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원동기 및 풀리(pulley) 기능의 이상 유무
2.
이탈 등의 방지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3.
유압장치의 기능의 이상 유무
4.
비상정지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 원동기 및 풀리기능의 이상 유무 2. 이탈등의 방지장치 기능 이상 유무 3. 비상정지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4. 회전축등의 덮개 또는 울 등의 이상유무 [해설작성자 : jeon]
컨베이어는 유압장치로 작동 되는것이 아닌 모터로 작동되기 때문에 정답은 3번이 된다. [해설작성자 : 현제 모의고사 점수30점]
54.
다음 중 기계설비에서 반대로 회전하는 두 개의 회전체가 맞닿는 사이에 발생하는 위험점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물림점
2.
협착점
3.
끼임점
4.
절단점
정답 : [
1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왕복운동 : 협착점 2. 고정부분과 회전하는 동작 사이 : 끼임점(연삭숫돌) 3. 회전하는 운동부 자체(날,커터) : 절단점 4. 회전하는 두개의 회전체 물려들어가는 위험(롤러) : 물림점 5.회전하는 부분의 접선 방향으로 물려 들어가는 위험(벨트와 풀리) 접선 물림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협착 = 왕복+고정 절단 = 회전 날 물림 = 회전+회전 끼임 = 회전+고정 [해설작성자 : 똘마이콩]
산업안전보건법령상 형삭기(slotter, shaper)의 주요 구조부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단, 수치제어식은 제외)
1.
공구대
2.
공작물 테이블
3.
램
4.
아버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형삭기": 공작물을 테이블에 고정시키고, 램에 의해 절삭 공구가 수평 또는 상하 운동하면서 공작물을 절삭하는 공작 기계를 말합니다. 즉, 셰이퍼 또는 플레이너와 같은 공작 기계를 뜻합니다 [해설작성자 : 김툴툴]
아버 : 공작 기계로서 절삭 공구(切削工具)를 부착하는 작은 축(軸). 그 한쪽 끝은 기계의 주측 끝에 삽입할 수 있도록 테이퍼 가공이 되어 있다. 밀링 머신에 장치하여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비니비니]
4과목 : 전기위험방지기술
61.
피뢰기가 구비하여야할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제한전압이 낮아야 한다.
2.
상용 주파 방전 개시 전압이 높아야 한다.
3.
충격방전 개시전압이 높아야 한다.
4.
속류 차단 능력이 충분하여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반복동작이 가능할것 2.구조가 견고하며 특성이 변하지 않을 것 3.점검,보수가 간단할것 4.충격방전 개시 전압과 제한 전압이 낮을것 5.뇌전류의 방전능력이 크고 속류의 차단이 확실하게 될 것 [해설작성자 : jeon]
충격방전 개시전압이 높아야 한다. => 낮아야 한다. [해설작성자 : 갈맥이]
상용주파 방전 개시전압: 선로에 정격 주파수에 해당하는 정격전압(계통의 정격전압)에서 방전이 시작되는 전압을 의미함. 이 때 방전이 발생하면 정상상태에서 지락사고가 발생하게 되므로 방전개시전압을 높여서 방전이 일어나지 않게 해야 한다. 충격방전 개시 전압: 충격시 차단하는 전압으로, 기기의 손상을 막기 위해 빠른 차단이 필요하므로 전압이 낮아야 한다! 그렇다고 합니다 [해설작성자 : 이건 전기기사 내용임]
62.
다음 중 정전기의 발생 현상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파괴에 의한 발생
2.
분출에 의한 발생
3.
전도 대전
4.
유동에 의한 대전
정답 : [
3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3. 전도 대전 → 전도가 되면 정전기가 안생기겠쥬?? [해설작성자 : 갈맥이]
방폭기기에 별도의 주위 온도 표시가 없을 때 방폭기기의 주위 온도 범위는? (단, 기호 “X"의 표시가 없는 기기이다.)
1.
20℃ ~ 40℃
2.
-20℃ ~ 40℃
3.
10℃ ~ 50℃
4.
-10℃ ~ 50℃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전기설비 표준환경 조건
주변온도 : -20도 ~ +40도 표고 : 1000미터 이하 상대습도 : 45~85% (19년3월 잘못된것 고르는 문제의 보기 2번 40~80% 으로 나옴) 압력 : 80~110kpa 산소함유율 : 21%v/v [해설작성자 : 떠든아이]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024 구민사 19년 3월 KS C IEC 60079 계열 준수하는 기기 조건 -온도 -20~+60 -압력 80~110kpa -산소함유율 21%
상대습도없음. [해설작성자 : 네번째기사]
[오류신고 반론] 오류신고 온도 수치 잘못 표기되어 있습니다. 방폭전기설비 설계, 선정, 설치 및 최초 검사에 관한 기술지침(2023.8) KS C IEC 60079-0의 표기에 따라 주위온도가 -20 °C ~ 40 °C 인 경우, 인증서에 기재 의무가 부과되어 있지 않다. 2번 맞습니다.
64.
정전기로 인한 화재 및 폭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조치가 필요한 설비가 아닌 것은?
1.
드라이클리닝 설비
2.
위험물 건조설비
3.
화약류 제조설비
4.
위험기구의 제전설비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4. 위험기구의 제전설비 -> 제전 설비 자체가 정전기를 막는 설비쥬?? [해설작성자 : 갈맥이]
제전설비는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한 설비이고 그렇다면 이미 설비가 되어 있으므로 정전기로 인한 화재 및 폭발을 방지 위한 조치가 따로 필요치 않다. [해설작성자 : 산안기합격빠탱]
저처럼 1번 고르신분들 있으실 것 같은데, 드라이클리닝 설비 또는 모피류 등을 씻는 설비는 물 대신 휘발성 유기용제(솔벤트, 미네랄테르펜, 트리클로로에틸렌, 퍼클로로에틸렌)를 사용하는 설비라서 정전기에 대한 조치가 반드시 필요한 설비입니다 [해설작성자 : 떠든아이]
유자격자가 아닌 근로자가 방호되지 않은 충전전로 인근의 높은 곳에서 작업할 때에 근로자의 몸은 충전전로에서 몇 cm 이내로 접근할 수 없도록 하여야 하는가? (단, 대지전압이 50kV이다.)
1.
50
2.
100
3.
200
4.
300
정답 : [
4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유자격자가 아닌 근로자가 충전전로 인근의 높은 곳에서 작업할 때에 근로자의 몸 또는 긴 도전성물체가 방호되지 않은 충전전로에서 대지전압이 50킬로볼트 이하인 경우에는 300센티미터 이내로, 대지전압이 50킬로볼트를 넘는 경우에는 10킬로볼트당 10센티미터씩 더한 거리 이내로 각각 접근 할 수 없도록 할 것 [해설작성자 : 김재학]
활선근접 작업 시 안전조치 50kV 이하: 300cm 이내 50kV 초과: 300 + 10kV당 10cm 더함 [해설작성자 : 우기파워]
68.
다음 중 정전기의 재해방지 대책으로 틀린 것은?
1.
설비의 도체 부분을 접지
2.
작업자는 정전화를 착용
3.
작업장의 습도를 30% 이하로 유지
4.
배관 내 액체의 유속제한
정답 : [
3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1.접지(단 부도체는 효과없다) 2.도전성 재료 사용 (절연성 재료 절대 사용 금지) 3.대전 방지제 사용 (외부용 일시성 대전방지제(음이온계),양이온계,비이온계) 4.제전기 사용 5.유속조절(석유류 1m/s 이하) 6.습기부여(공기중 습도 60-70% 이상 유지) [해설작성자 : jeon]
69.
가스(발화온도 120℃)가 존재하는 지역에 방폭기기를 설치하고자 한다. 설치가 가능한 기기의 온도 등급은?
1.
T2
2.
T3
3.
T4
4.
T5
정답 : [
4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가연성 가스 발화도 범위에 따른 방폭 전기기기의 온도등급> 450℃ 초과 - T1 300℃ 초과 450℃ 이하 - T2 200℃ 초과 300℃ 이하 - T3 135℃ 초과 200℃ 이하 - T4 100℃ 초과 135℃ 이하 - T5 85℃ 초과 100℃ 이하 - T6 [해설작성자 : 갈맥이]
문제 답은 T5 4번이 맞습니다. T등급 중 T1과 T6중 T6이 더욱 높은 등급임 T등급 자체가 주변 대기 온도가 아니라 장비의표면온도임, T1등급이 450℃로 허용 표면온도가 가장 높고 T6등급은 85℃로 가장 낮음 방폭장비는 온도가 주요 발화원중에 하나로 장비표면온도가 높으면 좋을게 하나도 없음, 오히려 낮을수록 좋은 거임 그래서 T6등급은 모든 등급에서 다 가능하고 T5등급은 T5,T6 사용, T4는 T4~6사용, T3은 T3~6 사용 가능함 문제에서 발화온도가 120℃이므로 장비 표면 온도는 120℃을 도달하면 안됨 따라서 T5와 T6 사용만 가능함, 비슷한 예제로 에탄올의 자연발화 온도는 363℃인데 따라서 장비의 표면온도는 363℃보다 낮아야 함 T1은 450℃까지 올라가서 에탄올이 발화됨으로 표면온도가 300℃까지만 올라가는 T2등급 이상의 제품을 써야함(T2,3,4,5,6)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관리자 입니다. 본 문제는 정답이 3번이다 4번이다 논란이 많은 문제였습니다. 하지만 확정답안은 4번으로 발표되었으며 변경은 없었습니다. 해설이 너무 길어져서 오류신고 내용은 삭제하고 해설 기능을 할수 있는 반론만 남겨 두겠습니다.
오류신고는 여기까지만 받겠습니다. 차후 동일한 문제 출제시 정답은 본인의 선택입니다.]
70.
변압기의 중성점을 제2종 접지한 수전전압 22.9kV, 사용전압 220V인 공장에서 외함을 제3종 접지공사를 한 전동기가 운전 중에 누전되었을 경우에 작업자가 접촉될 수 있는 최소전압은 약 몇 V인가? (단, 1선 지락전류 10A, 제3종 접지저항 30Ω, 인체저항 : 10000Ω이다.)(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116.7
2.
127.5
3.
146.7
4.
165.6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제 2종 접지저항 = 150/1선지락전류 = 150/10 =15Ω
Im = V/ Rm(1+R2종/R3종) = 220/10000(1+15/30) = 0.01467A Vm = Im*Rm = 146.7V [해설작성자 : 화이팅]
[규정 개정] 2021년 한국전기설비규정(KEC) 개정으로 인하여 접지대상에 따라 일괄 적용한 종별접지는 폐지되었습니다. 본 문제는 참고용으로만 이용 하시기 바랍니다.
71.
제전기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전압인가식 제전기
2.
정전식 제전기
3.
방사선식 제전기
4.
자기방전식 제전기
정답 : [
2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제전기의 종류 전압인가식, 자기방전식, 방사선식 [해설작성자 : 산안기 2주 남았다....]
피뢰침은 흔히 아는 낙뢰에 대한 보호용으로 건물보호 하는 용도가 맞습니다. 피뢰기는 제1보호대상이 전주에 달린 변압기이며 변압기는 전력기기로 칭해도 맞습니다. 피뢰기는 배전용변압기 고압 및 특고압측에 설치대상이 되며 충격방전개시전압이 낮아야하는 이유로 이상전압을 줄이고 변압기 BIL보다 낮은 지점에서 방전을 시작해야 변압기 보호가 됩니다. 결론적으로 합격가즈아님의 해설대로 피뢰기와 피뢰침의 말장난으로 4번이 틀린 문장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나도 쌍기사]
5과목 : 화학설비위험방지기술
81.
다음 중 압축기 운전시 토출압력이 갑자기 증가하는 이유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윤활유의 과다
2.
피스톤 링의 가스 누설
3.
토출관 내에 저항 발생
4.
저장조 내 가스압의 감소
정답 : [
3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토출관 내에 이물질 껴서 저항 생기면 압력이 못빠져나가서 증가합니디^^ [해설작성자 : 무야호]
82.
진한 질산이 공기 중에서 햇빛에 의해 분해되었을 때 발생하는 갈색증기는?
1.
N2
2.
NO2
3.
NH3
4.
NH2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H2NO3->NO2+H2O [해설작성자 : 내일안전기사시험]
NO2 이산화질소 NH3 암모니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순수한 질산은 무색을 띠나 자외선을 쪼이면 서서히 분해되어 황갈색의 이산화질소(NO2)가 되므로, 햇빛이 잘 스며들지 않는 갈색 용기에 넣어 보관한다. 4 HNO3 + hv(자외선) → 4 NO2 (g) + 2 H2O + O2
연소속도, 폭발압력은 가스폭발이 분진폭발보다 크다.. 분진은 가스보다 연소시간이 길고 발생에너지가 크다.. [해설작성자 : 열심히 노력하는자...ㅎㅎ]
2021.03.07 1회차 산업안전기사 시험 91번. 분진폭발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정답 3번 1. 가스폭발보다 발생에너지가 작다. 2. 폭발압력과 연소속도는 가스폭발보다 크다. 3. 입자의 크기, 부유성 등이 분진폭발에 영향을 준다. 4. 불완전연소로 인한 가스중독의 위험성은 작다.
정답은 3번이고, 2번 보기인 "폭발압력과 연소속도는 가스폭발보다 크다."는 옳지 않은 보기입니다. 즉, 폭발압력과 연소속도는 가스폭발보다 작습니다. [해설작성자 : 금쪽이]
3번에 분진폭발은 가스폭발에 비해서 압력은 작고 시간과 에너지가 크다. [해설작성자 : ㅇㅇ]
85.
다음 중 유류화재의 화재급수에 해당하는 것은?
1.
A급
2.
B급
3.
C급
4.
D급
정답 : [
2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A급 - 일반화재; 나무, 종이, 섬유 등으로 인한 화재 -> 재를 남기는게 특징 B급 - 유류화재; 유류, 가스 등의 액체 혹은 기체로 인한 화재 -> 재를 남기지 않는게 특징 C급 - 전기화재; 수해설비, 전선의 화재 -> 전기 설비 등에서 발생 D급 - 금속화재; 자연화재, 분진폭발 -> 다른 화재에 비해 발생이 드물다 [해설작성자 : 갈맥이]
86.
증기 배관 내에 생성하는 응축수를 제거할 때 증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응축수를 자동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장치를 무엇이라 하는가?
대기압에서 사용하나 증발에 의한 액체의 손실을 방지함과 동시에 액면 위의 공간에 폭발성 위험가스를 형성할 위험이 적은 구조의 저장탱크는?
1.
유동형 지붕 탱크
2.
원추형 지붕 탱크
3.
원통형 저장 탱크
4.
구형 저장탱크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유동형 지붕 탱크 ① 탱크 천정이 tank shell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기름과 같이 상호로 움직이는형 ② tamk shell과 roof 사이에는 seal로써 밀폐시켜 공기와 탄화수소 증기가 혼합되지 않도록 해준다. [해설작성자 : 산업기사 가즈아!!]
<유동형 지붕탱크> 저장물질 위에 띄운 지붕판이 탱크 측판부를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원통 탱크 이러한 구조로 증발에 의한 액체 손실을 방지하고 액면 위의 공간에 폭발성 위험가스를 형성할 위험이 적음 [해설작성자 : 한민우]
II형 고정지붕구조 또는 부상덮개부착 고정지붕구조(옥외저장탱크의 액상에 금속제의 플로팅, 팬등의 덮개를 부착한 고정지붕구조의 것을 말한다)의 탱크에 상부포주입법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방출된 포가 탱크옆판의 내면을 따라 흘러내려 가면서 액면 아래로 몰입되거나 액면을 뒤섞지 않고 액면을 덮을 수 있는 반사판 및 탱크내의 위험물증기가 외부로 역류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구조/기구를 갖는 포방출구 [해설작성자 : 위험물기능장]
산소결핍이나 유해가스로 인한 질식의 우려가 있으면 진행 중인 작업에 방해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환기를 강화하여야 한다.
2.
해당 작업장을 적정한 공기상태로 유지되도록 환기하여야 한다.
3.
그 장소에 근로자를 입장시킬 때와 퇴장시킬 때마다 인원을 점검하여야 한다.
4.
그 작업장과 외부의 감시인 간에 항상 연락을 취할 수 있는 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유해가스가 문제입니다. 질식우려는 환기를 하면 되지만, 유해가스는 환기해도 흡입하기 때문에 바로 나와야합니다 [해설작성자 : 모숭이]
유해가스로 인해서 질식 우려되면 바로 대피해야함 [해설작성자 : ㅇㅇ]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620조 (환기 등)
1) 사업주는 근로자가 밀폐공간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 작업을 시작하기 전과 작업 중에 해당 작업장을 적정공기 상태가 유지되도록 환기하여야 한다. 다만, 폭발이나 산화 등의 위험으로 인하여 환기할 수 없거나 작업의 성질상 환기하기가 매우 곤란한 경우에는 근로자에게 공기호흡기 또는 송기마스크를 지급하여 착용하도록 하고 환기하지 아니할 수 있다.
2) 근로자는 제1항 단서에 따라 지급된 보호구를 착용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떠든아이]
95.
산업안전보건법령상 폭발성 물질을 취급하는 화학설비를 설치하는 경우에 단위공정설비로부터 다른 단위공정설비 사이의 안전거리는 설비 바깥 면으로부터 몇 m 이상이어야 하는가?
1.
10
2.
15
3.
20
4.
30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단위공정시설 및 설비로부터 다른 단위공정시설 및 설비의 사이 - 설비의 바깥면으로부터 10m 산안기가 외울게 더럽게 많으니 벽과 벽사이에 공간있어요로 외움 됨 1 - 0 - 1 뒤에 1빼버리면 됨 나머지는 다 20m임 (플레어스택, 위험물질, 사무실연구실 실험실 정비실 또는 식당등 [해설작성자 : 띠꾸릐비루듸]
96.
탄화수소 증기의 연소하한값 추정식은 연료의 양론농도(Cst)의 0.55배이다. 프로판 1몰의 연소반응식이 다음과 같을 때 연소하한값은 약 몇 vol%인가?
1.
2.22
2.
4.03
3.
4.44
4.
8.06
정답 : [
1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양론농도 구하기 산소갯수가 5개로 주어지면 100/1 + 4.773 x 5(산소수) = 4.02 연소하한값은 양론농도의 0.55배라 하였으니 4.02 x 0.55 = 2.211 답은 1번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양론농도 구하기 식은 연료 몰수*100/(연료몰수+산소몰수/0.21) 이라고 나옵니다. 계산하면 연료몰수 1 산소몰수 5 1*100/(1+5/0.21)=4.03 4.03*0.55=2.2165 =2.22 [해설작성자 : 화이팅]
너무 어려우면 시험장에서 생각이 안납니다. 양론농도=연료몰수 나누기 (연료몰수+산소몰수/연료몰수) 공학용 계산기 나누기 그림으로 외우면 금방 외워집니다.
<문제 해설> 진동롤러는 해체작업이 아니라 아스팔트 같은 바닥 다져주는 용도로 사용합니다. [해설작성자 : 양누누]
103.
거푸집동바리 등을 조립하는 경우에 준수하여야할 안전조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동바리로 사용하는 강관은 높이 2m 이내마다 수평연결재를 2개 방향으로 만들고 수평연결재의 변위를 방지할 것
2.
동바리로 사용하는 파이프 서포트는 3개 이상이어서 사용하지 않도록 할 것
3.
동바리로 사용하는 파이프 서포트를 이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3개 이상의 볼트 또는 전용철물을 사용하여 이을 것
4.
동바리로 사용하는 강관틀과 강관틀 사이에는 교차가새를 설치할 것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4개 이상의 볼트사용. [해설작성자 : 짱구]
파이프 서포트를 이 (2) 어 (2) 서 니깐 2+2=4 !!!! [해설작성자 : 띠꾸리비루디]
104.
다음은 말비계를 조립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관한 준수사항이다.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A : 75, B : 30
2.
A : 75, B : 40
3.
A : 85, B : 30
4.
A : 85, B : 40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말비계의 구조 1. 지주부재 하단에는 미끄럼 방지장치를 하고, 양측 끝부분에 올라 서서 작업하지 아니하도록 할 것 2. 지주부재와 수평면과의 기울기를 75도 이하로 하고, 지주부재와 지주부재 사이를 고정시키는 보조부재를 설치할 것 3. 말비계의 높이가 2m를 초과할 경우에는 작업발판의 폭을 40cm 이상으로 할 것 [해설작성자 : 민트초코쿠키]
105.
산업안전보건관리비계상기준에 따른 일반건설공사(갑), 대상액 「5억원 이상 ~ 50억원 미만」의 안전관리비 비율 및 기초액으로 옳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자동경보장치의 작업 시작 전 점검 사항 1.계기의 이상 유무 2.검지부의 이상 유무 3.경보장치의 작동상태 [해설작성자 : 시험탈락할듯]
107.
다음은 강관틀비계를 조립하여 사용하는 경우 준수해야할 기준이다. ( )안에 알맞은 숫자를 나열한 것은?
1.
A:4, B:10, C:5
2.
A:4, B:10, C:10
3.
A:5, B:10, C:5
4.
A:5, B:10, C:10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틀비계(강관 틀비계) 조립 시 준수사항 1. 밑둥에는 밑받침철물을 사용하여야 하며 항상 수평 및 수직을 유지 2. 높이가 20m를 초과하거나 중량물의 적재를 수반하는 작업은 주틀간의 간격이 1.8m 이하 3. 주틀간에 교차가새 설치, 최상층 및 5층 이내마다 수평재 설치 4. 벽이음 간격(조립간격) : 수직방향 6m, 수평방향 8m 이내마다 5. 길이가 띠장방향으로 4m 이하이고 높이가 10m를 초과하는 경우 : 10m 이내마다 띠장방향으로 버팀기둥 설치 [해설작성자 : 민트초코쿠키]
108.
지반의 종류가 다음과 같을 때 굴착면의 기울기 기준으로 옳은 것은?(2023년 11월 14일 적용됨)
1.
1:0.5 ~ 1:1.0
2.
1:1.0 ~ 1:1.5
3.
1 : 1.0
4.
1 : 0.8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2023년 11월 14일 개정된 규정(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항 규칙 [별표11]) 굴착면의 기울기 기준 (제 339조제1항 관련) ----------암반----------- 모래 : 1 : 1.8(추가) 연암 및 풍화암 : 1 : 1.0 경암 : 1 : 0.5 그 밖의 흙 : 1 : 1.2(추가) ----------보통흙---------- 습지 : 1:1.0 ~ 1:1.5 건지 : 1:0.5 ~ 1:1.0
109.
동력을 사용하는 항타기 또는 항발기에 대하여 무너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준수하여야 할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연약한 지반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각부(脚部)나 가대(架臺)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깔판·깔목 등을 사용할 것
2.
각부나 가대가 미끄러질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말뚝 또는 쐐기 등을 사용하여 각부나 가대를 고정시킬 것
3.
버팀대만으로 상단부분을 안정시키는 경우에는 버팀대는 3개 이상으로 하고 그 하단 부분은 견고한 버팀·말뚝 또는 철골 등으로 고정시킬 것
4.
버팀줄만으로 상단 부분을 안정시키는 경우에는 버팀줄을 2개 이상으로 하고 같은 간격으로 배치할 것
정답 : [
4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4. 버팀줄만으로 상단 부분을 안정시키는 경우에는 버팀줄을 2개 이상으로 하고 같은 간격으로 배치할 것 -> 버팀줄을 3개 이상 [해설작성자 : 갈맥이]
개정으로 정답없는 문제입니다 제209조(무너짐의 방지) 사업주는 동력을 사용하는 항타기 또는 항발기에 대하여 무너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해야 한다. <개정 2019. 1. 31., 2022. 10. 18., 2023. 11. 14.> 1. 연약한 지반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아웃트리거ㆍ받침 등 지지구조물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깔판ㆍ받침목 등을 사용할 것 2. 시설 또는 가설물 등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내력을 확인하고 내력이 부족하면 그 내력을 보강할 것 3. 아웃트리거ㆍ받침 등 지지구조물이 미끄러질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말뚝 또는 쐐기 등을 사용하여 해당 지지구조물을 고정시킬 것 4. 궤도 또는 차로 이동하는 항타기 또는 항발기에 대해서는 불시에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레일 클램프(rail clamp) 및 쐐기 등으로 고정시킬 것 5. 상단 부분은 버팀대ㆍ버팀줄로 고정하여 안정시키고, 그 하단 부분은 견고한 버팀ㆍ말뚝 또는 철골 등으로 고정시킬 것 6. 삭제 <2022. 10. 18.> 7. 삭제 <2022. 10. 18.>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0.
운반작업을 인력운반작업과 기계운반작업으로 분류할 때 기계운반작업으로 실시하기에 부적당한 대상은?
1.
단순하고 반복적인 작업
2.
표준화되어 있어 지속적이고 운반량이 많은 작업
3.
취급물의 형상, 성질, 크기 등이 다양한 작업
4.
취급물이 중량인 작업
정답 : [
3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3. 취급물의 형상, 성질, 크기 등이 다양한 작업 → 인력운반이 적합하다. [해설작성자 : 정유나]
111.
터널등의 건설작업을 하는 경우에 낙반 등에 의하여 근로자가 위험해질 우려가 있는 경우에 필요한 직접적인 조치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1.
터널지보공 설치
2.
부석의 제거
3.
울 설치
4.
록볼트 설치
정답 : [
3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1. 터널지보공 설치 2. 부석의 제거 3. 록볼트 설치 [해설작성자 : ㅈㄱㅇ]
울은 사다리에 설치하는 것으로 근로자의 낙하를 방지 [해설작성자 : 로동자]
112.
장비 자체보다 높은 장소의 땅을 굴착하는 데 적합한 장비는?
1.
파워 쇼벨(Power Shovel)
2.
불도저(Bulldozer)
3.
드래그라인(Drag line)
4.
클램쉘(Clam Shell)
정답 : [
1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Power shovel은 굴착기 중, 우리가 잘 아는 포크레인(excavator)의 종류중 하나임. (암기로는 간단히, 파워삽=포크레인 = ‘높은 땅을 굴착한다’ 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해설작성자 : 모숭이]
낮은 땅은 백호우 [해설작성자 : 태워닝]
113.
사다리식 통로의 길이가 10m 이상일 때 얼마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하여야 하는가?
1.
3m 이내마다
2.
4m 이내마다
3.
5m 이내마다
4.
6m 이내마다
정답 : [
3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쉽게 외우는법 공유 사(4)다리 10m의 1을 더하여 5M!!! [해설작성자 : 띠꾸리비루디]
114.
추락방지망 설치 시 그물코의 크기가 10cm인 매듭 있는 방망의 신품에 대한 인장강도 기준으로 옳은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