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생물분류기사(동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5월08일(1314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생물분류기사(동물)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계통분류학


1. 다윈의 진화론에 담긴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집단 내 개체간의 변이
     2. 자연선택
     3. 과잉번식
     4. 돌연변이

     정답 : []
     정답률 : 84%

2. 다음 중 분류계급에 관련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절(節, section)은 동물분류에서는 과와 목 준위 사이의 계급이다.
     2. 동물분류에서 종하계급으로 변종과 품종이 명명규약상 인정되고 있다.
     3. 종(種, species)은 분류계급의 기본이다.
     4. 족(族, tribe)은 식물 분류, 동물 분류 공히 속과 과의 중간계급으로 다루어진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 2번은 식물분류의 경우이다
    식물분류학에서 사용하는 종하위 분류 계급 : (종-아종-변종-품종)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3. 종에 관련된 용어로서 자매종(Sibiling species)은 매우 비슷하고, 가까운 관계에 있는 종들의 쌍 또는 군을 말하며, 동소종(Sympatric species)은 같은 장소에 함께 있는 종들이다. 이 때 다음이 의미하는 종은?

   

     1. 이소종
     2. 다형종
     3. 단형종
     4. 우산종

     정답 : []
     정답률 : 92%

4.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 척추동물은?

   

     1. 어류
     2. 조류
     3. 포유류
     4. 양서류

     정답 : []
     정답률 : 94%
     <문제 해설>
* 양서류(兩棲類)
    -. 동물계 척삭동물문의 한 강(class)을 이루고 있다.
    -. 물과 뭍 양(兩)쪽에서 서식(棲息)하는 동물이다
    -. 개구리, 두꺼비, 도롱뇽, 맹꽁이 등이 있다
    -. 폐가 없는 건 아니지만 대부분의 호흡이 피부를 통해 이루어진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5. 절지동물의 발생학적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원장으로부터 중배엽이 형성된다.
     2. 입은 원구로부터 발생한다.
     3. 방사난할을 한다.
     4. 조정란이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 절지동물(節肢動物, arthropod)
    -. 절지동물은 외골격과 체절, 관절이 있는 무척추동물이다
    -. 몸은 머리·가슴·배로 구분되며, 각 체절에 부속지가 한 쌍씩이 있다
    -. 지구상 동물 종의 80% 이상을 차지한다
    -. 절지동물은 탈피를 하는 특징이 있다
    -. 곤충·거미·갑각류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6. 편형동물의 특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내부 혹은 외부 기생성이거나 대개 자유생활을 한다.
     2. 생식계는 복잡하고, 대부분 암수한몸이다.
     3. 촌충류는 표피가 섬모로 덮여 있으나, 와충류는 표피가 없다.
     4. 삼배엽성 동물이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촌충(조충)류의 몸의 표면은 큐티클로 덮여 있고 상피세포는 없다.
와충류의 몸은 섬모가 있는 체표로 덮여 있어 바다에 사는 종류는 섬모운동으로 이동한다.
[해설작성자 : 유서준]

* 편형동물
    -. 편형동물 좌우대칭이다
    -. 자유생활을 하는 종도 있으나 대부분의 종이 다른 생물에 기생하며 살아간다
    -. 편형동물은 플라나리아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기생충들이다
    -.    유성 또는 무성 생식을 한다
    -. 삼배엽성이며, 체강이 없다
         ☞ 2배엽 : 해면동물
         ☞ 3배엽 : 절지동물, 연체동물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7. 다음 식물 과 중 육수화서를 갖는 것은?
     1. 미나리과
     2. 천남성과
     3. 벼과
     4. 뽕나무과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미나리과 - 산형화서
벼과         - 원추화서, 수상화서
뽕나무과 - 수상화서, 두상화서
[해설작성자 : 뿅나무]

8. 다음 중 체강이 없는 동물은?
     1. 새예동물
     2. 구두동물
     3. 유형동물
     4. 절지동물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 체강이 없는 동물 : 유형동물, 편형동물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9. 다음 중 백합강(Liliposida)에 속하는 아강은?
     1. 조록나무아강
     2. 오아과아강
     3. 생강아강
     4. 석죽아강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조록나무아강 장미아강
오아과아강
석죽아강은 목련아강에서 진화로 추정되는 분류군
[해설작성자 : 찬초]

10. 다음 중 기재 분류 논문에서 기재의 요건상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원기재(original description) 표시
     2. 새로운 학명의 어원(etymology)
     3. 동물이명(synonymy) 관계와 인용문헌 표시
     4. 관찰재료의 목록

     정답 : []
     정답률 : 73%

11. 다음 중 곤충강이 가지는 형질로 옳지 않은 것은?
     1. 보통 복부에 다리를 갖고 있으며, 복부는 원칙적으로 18 체절로 되어있다.
     2. 간단한 관상의 소화기를 가지며, 순환계는 개방혈관계이다.
     3. 배설기는 말피기관이 있다.
     4. 성체에서 체강은 퇴화하고 혈액으로 충만한 혈강을 가진다.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복부는 7~13체절, 보통은 11체절
[해설작성자 : 찬초]

[곤충강]
* 대부분 복부에 11체절(마디)이 있다
* 흉부(가슴)에는 다리 3쌍과 날개 2쌍이 있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12. 다음 식물과 중에서 수술이 화판과 대생인 것은?
     1. 물푸레나무과
     2. 지치과
     3. 감나무과
     4. 앵초과

     정답 : []
     정답률 : 66%

13. 종자식물 중 은행나무강의 특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중복수정한다.
     2. 물관요소가 발달한다.
     3. 운동성 있는 정자를 형성한다.
     4. 잎은 그물맥이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 은행나무-은행나무강
    -. 은행(銀杏)은 중국 원산의 나무로, 암수딴그루이다
    -. 은행은 침엽수도 활엽수도 아닌 독자 계통군을 형성하는 식물이다.
         예전에는 은행나무를 구과식물문의 하위로 분류했으나
         구과식물문에는 없는 정충(정자)을 생산한다는 특징 때문에 현재는 은행나무문이라는 독자 계통군으로 분류한다
    -. 화분이 발아하게 되면 2개의 정자가 나타난다
    -. 1문 1강 1목 1과 1속 1종만이 현존하는 식물로 살아있는 화석으로 취급된다
    -. 현재 은행나무는 IUCN 적색 목록에서 멸종위기종에 속해 있다.(야생에서 자생력이 없다/유일한 매개동물은 인간)
    -. 현재에는 동아시아에 딱 1종만이 남아 있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14. 다음 중 피자식물에 있어 소포자낭(microsporangium)에 해당하는 것은?
     1. 약(꽃밥)
     2. 자방(씨방)
     3. 종자(씨)
     4. 화주(암술대)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 소포자낭
    -. 소포자가 들어 있는 주머니 모양의 생식 기관.
    -. 종자식물의 꽃밥을 의미한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15. 동물의 경우 과의 명칭은 모식속 명칭의 어간에 접미사를 이용한다. 명명법상 과군의 접미사로 옳은 것은?
     1. -idae
     2. -ini
     3. -inae
     4. -oidea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 상과(superfamily)명의 어미에 사용 : -oidea
* 족 : -ini
* 과 : -idae
* 아과 : -inae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16. 생물학적 종의 개념(biological species concept)에서 종을 인식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은?
     1. 형태적 불연속성
     2. 파생형질의 공유
     3. 생식적 격리
     4. 생태적 동질성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 생물학적 종의 개념
    -. 공동체를 벗어날 경우 번식을 할 수 없는, 혹은 하지 않는 생명체
    -. 한 종은 그 자체의 생리적인 특성 때문에 서로 간에 완전한 임성을 가지나
         다른 유사한 그룹과는 이종 교배가 되지 않는 개체들의 집합.
* 생식적 격리
    -. 두 종의 구성원이 생식 능력이 있는 자손을 만들지 못하도록 방해하는 생물학적 요인의 존재를 말한다.
    -. 생물의 생식 기관의 구조나 생식 시기의 차이가 원인이 되어 교미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이 결과 유전자 교환이 진행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17. 다음 중 유전적 변이에 해당하는 것은?
     1. 계절적 변이
     2. 개체변이
     3. 서식처 변이
     4. 불연속성 변이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유전적 변이     :    연속적 변이, 불연속적 변이 등..
비유전적 변이 :    연령적 변이, 계절적 변이, 사회적 변이, 생태적 변이 등..
[해설작성자 : 유서준]

18. 식물의 분류체계는 학자에 따라 다르다. 그 중에서 가능한 모든 분류학적 증거를 이용하여 친소성을 체계에 반영시켰고, 피자식물을 단계원으로 하여 목련목을 원시형군으로 두고 이 노선에서 다른 여러 피자식물군들이 진화한 것으로 본 분류체계는?
     1. Takhtajan
     2. Cronquist
     3. Thorne
     4. Dahlgren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 타크타잔(Takhtajan) 분류체계 : 피자식물을 단계원으로 하여 목련목을 원시형군으로 두고 이 노선에서 다른 여러 피자식물군들이 진화한 것으로 본 분류체계이다
    -. 목련강에 속하는 아강
    -. 백합강에 속하는 아강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19. 다음 중 잎의 특징을 나타내는 기재용어가 아닌 것은?
     1. 원두(round)
     2. 이저(auriculate)
     3. 전연(entire)
     4. 저착(basifixed)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저착(basifixed) : 꽃밥의 밑 부분에 수술대 끝이 붙어 있는 것.
[해설작성자 : 유서준]

20. 다음 현화식물의 기재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경침(莖針)은 가지의 끝이나 전체가 가시로 변화된 것으로 주엽나무의 가시와 같이 부러질지언정 가지에서 잘 떨어지지 않는다.
     2. 피침(皮針)은 껍질에서 돋아나온 것으로 장미, 음나무 등의 가시가 이에 속하며, 손으로 떼면 곱게 떨어진다.
     3. 엽흔(葉痕)은 잎이 가지에서 떨어진 자국을 말하며, 각 엽흔의 표면에는 가지에서 잎속으로 연결된 관속조직이 잘라진 흔적이 있다.
     4. 눈(bud)에 있는 정아(頂芽)는 줄기의 성장을 유도하여 환경조건이 허락하는 한 생장을 계속할 수 있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78%

2과목 : 환경생태학


21. 다음 중 온실효과의 주원인이 되는 물질은?
     1. 탄화수소
     2. 이산화탄소
     3. 이산화황
     4. 질소산화물

     정답 : []
     정답률 : 88%

22. 지구는 6개의 주된 생물지리학적 지역으로 나누는데 우리나라가 속한 생물지리학적 지역은?
     1. 구북구(Palearctic)
     2. 동양구(Oriental)
     3. 신북구(Neartic)
     4. 오스트랄라시구(Australasian)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 구북구 : 이란,유라시아,아프가니스탄,히말라야,중국 남부,북아프리카 등이 포함된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23. 다음 중 개체군내 개체들의 3가지 공간분포에 해당하지 않는 형은?
     1. 분산형
     2. 집중형
     3. 균일형(규칙형)
     4. 불규칙형(임의형)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 개체군내 개체들의 3가지 공간분포
    -. 집중형 : 집중분포(aggregated or clumped)
    -. 균일형(규칙형) : 규칙분포(regular)
    -. 불규칙형(임의형) : 무작위분포(random)로 구분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24. 생태적 지위(ecological niche)에 포함되는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군집내 영양단계 등의 기능적 역할
     2. 시간에 따른 군집의 변화
     3. 그 생물이 차지하는 물리적 공간
     4. 기후, 온도, pH 등 여러 가지 환경구배에서 그 생물이 차지하는 적정범위(위치)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생태적 지위 : 생태적 지위란 생태계 내에서 삶의 모든 방식 또는 한 종의 역할을 의미하며 생태계 내에서 한 종이 살고 번식하는데 필요한 모든 물리, 화학, 생물학적 조건들을 포함한다
[해설작성자 : 도오트]

●생태적 지위(ecological niche)란 한 종이 생태계 내에서 차지하는 고유한 역할과 환경 조건을 의미하는 개념이다
    -. 어떤 종의 개체군이 번식하며 유지될 수 있는 공간적 서식지
    -. 군집 내에서 먹이사슬 내 위치와 역할 그리고 영양지위
    -. 생물적(먹이, 온도 등)과 비생물적(빛, 수분 등) 환경 요인을 모두 포함하는 다차원적 지위로 확장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25. 대기 및 하천오염원 중 비점오염원에 대한 관리 및 통제가 어려운 현실이다. 다음 중 비점오염원으로만 연결된 것은?
     1. 경작지, 산림벌채지, 도로
     2. 목장, 폐수처리장, 발전소
     3. 도시지역, 주차장, 석유탱크
     4. 공사장, 공장, 하수처리장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점오염원 : 오염 물질의 배출지점을 확실히 식별
비점오염원 : 배출지점을 확실히 식별할 수x
[해설작성자 : isp]

26. 다음은 생물군계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차파렐
     2. 툰드라
     3. 타이가
     4. 온대 낙엽수림

     정답 : []
     정답률 : 78%

27. 다음은 암모니아의 질산화에 관한 설명이다. ( )에 알맞은 것은?

    

     1. ㉠ Azotobacter, ㉡ Rhizobium
     2. ㉠ Rhizobium, ㉡ Azotobacter
     3. ㉠ Nitrosomonas, ㉡ Nitrobacter
     4. ㉠ Nitrobacter, ㉡ Nitrosomonas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 니트로소모나스(Nitrosomonas)가 번식하여 암모니아를 아질산염으로 변환시킨다
* 니트로박터(Nitrobacter)는 아질산염(NO2-)을 질산염(NO3-)으로 산화시키는
    호기성 독립영양 박테리아이다

<니트로소모나스와 니크로박터>
Nitrosomonas와 Nitrobacter는 질산화 과정의 1단계(암모니아 → 아질산)와
2단계(아질산 → 질산)를 각각 담당하는 화학독립영양 세균이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28. 다음 중 수질오염에서 적조현상이나 녹조현상이 나타나는 주 원인이 되는 것은?
     1. 영양염류
     2. 중금속
     3. 산성비
     4. 열폐수

     정답 :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 적조현상/녹조현상
    -. 질소·인 등 영양염류가 하천을 통해 유입되어 플랑크톤의 대량 번식으로 발생한다
    -. 적조현상 : 바다에서, 영양염류 유입...주로 여름철 수온상승시 발생한다
    -. 녹조현상 : 강이나 호수 등 담수에서,농업용 비료, 생활 하수 등 영양염류 유입이 주요 원인이다
* 적조는 바다, 녹조는 담수에서 발생하며, 모두 영양염류 과다 유입이 원인이다.
    적조는 해양 생태계와 어업에, 녹조는 수질과 생활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29. 생물군집에서 생물종 간의 상호관계에 있어 두 종이 반드시 서로를 필요로 하며, 서로 떨어져 있을 경우 생존하지 못하는 관계를 나타내는 용어는?
     1. 편리공생(commensalism)
     2. 경쟁(competition)
     3. 상리공생(mutualism)
     4. 기생(parasitism)

     정답 : []
     정답률 : 92%
     <문제 해설>
* 상리공생 : 두 종 모두 생존과 번영에 직접적인 이익을 얻는다.(상호협력 생존 도모)
* 편리공생 : 한 종은 이익을 얻지만 다른 종은 무관하다
* 기생 : 한 종이 이익을 얻고 다른 종은 피해를 입는 관계이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30. 한 지역에서 최근 1만년 동안의 기후와 식생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다음 중 가장 유용한 분석방법은?
     1. 나이테 너비 변동
     2. 퇴적된 화분 분석
     3. 식물사회학적 군락분류
     4. 칼륨-아르곤 동위원소분석

     정답 : []
     정답률 : 75%

31. 생태계에서의 영양소의 순환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질소순환에서 혐기성 조건이 형성되면 탈질화 작용을 하는 박테리아가 우세하게 된다.
     2. 질소순환에서 암모니아는 물에 쉽게 이온화되고 암모니아 이온(NH4)을 형성한다.
     3. 인은 지용성 인산염 이온(HPO42-)으로 식물의 뿌리를 통해 흡수되며, 인의 순환은 비교적 복잡하다.
     4. 칼슘은 뼈와 패각에 흔히 결합해 있으므로, 매우 느리게 순환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 인은 수용성 인산염의 형태로 물에 잘 녹아 존재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오르토인산(H3PO4), 이인산(H2PO4−), 삼인산(HPO4−)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32. 사막화의 진행에 원인이 되는 현상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산림파괴
     2. 인구의 유입
     3. 지나친 방목
     4. 관개에 의한 염류화

     정답 : []
     정답률 : 82%

33. 단위 면적당 생물의 전체무게를 무엇이라 하는가?
     1. Biomass
     2. Gross Primary Productivity
     3. Net Primary Productivity
     4. Primary Trophic Level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 바이오매스(Biomass) : (특정 지역 내의) 생물량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34. 개체군의 밀도조사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방형구법은 식생조사에서 특히 광범위하게 이용되어 왔으며, 동물의 경우는 활동범위가 넓지 않은 토양절지동물 및 무척추동물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2. 대상개체군을 구성하는 일부 개체를 임의로 포획하고 적당한 방법으로 표지한 후, 다시 풀어주어 개체군 중에 흩어지게 한 다음, 다시 임의 포획하여 그 개체 중 표지된 개체의 비율을 기본으로 밀도를 추정하는 방법을 표지-재포획법이라 한다.
     3. 상대밀도는 절대밀도와 달리 정량적인 밀도이며, 단위면적(용적)이 적용된 개념이다.
     4. 피도조사, 빈도조사 등은 상대밀도 조사법에 해당한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 개체군 상대밀도
    -. 어떤 하나의 포획방법으로 잡힌 개체 수를 측정하여 밀도를 잰 것
    -. 특정 공간 내에서 개체군의 개체 수를 전체 개체군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낸 값을 의미한다
* 개체군 절대밀도
    -. 단위 공간(면적)당 개체의 수를 측정하여 밀도를 잰 것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35. 농경생태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연생태계와 인공생태계의 중간형태이다.
     2. 생산성을 높이는 보조에너지원은 자연에너지라기 보단 가공된 연료이다.
     3. 종 다양성은 인간의 관리로 인하여 감소한다.
     4. 종속영양적인 특성을 가진다.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 농경생태계는 종속영양적보다는 독립영양적인 특성을 가진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36. 대장균(E. coli)과 같이 소수의 세균을 영양분이 풍부한 실험실 배양배지에서 배양했을 때 처음 24시간 동안 관찰되는 생장곡선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직선증가 곡선
     2. J형 곡선
     3. S형 곡선
     4. R형 곡선

     정답 :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 생장곡선(시간에 따른 개체수의 증가 및 감소)
    -. J형곡선 :    J형 그래프는 이론적인 그래프.
                                즉, 환경저항을 받지 않는 그래프로 개체수는 계속 증가하는 모양을 띤다.
    -. S형곡선 :    S형 그래프는 환경저항을 고려하여 나타난 그래프로
                                개체수가 증가하다 환경 수용력에 도달하면 일정한 수를 유지한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영양분이 풍부하고 24시간 관찰이라는 부분이 중요한 부분이다.
즉 영양분이 풍부하더라고 오랜기간 관철하면 성장하다가 정체되어서 S형 곡선를 만드는데
짧은 24시간이므로 영양분이 충분하다는 가정하에서는 J형곡선이 타당하다
[해설작성자 : 단교배]

37. 습지 보전을 위한 국제협약으로 1971년 체결되었으며, 더 이상의 습지 손실을 막고, 지속 가능한 습지가 될 수 있도록 국제적 협력을 목적으로 하는 협약은?
     1. 빈협약
     2. 람사협약
     3. 이동동물 국제협약
     4. 종 다양성에 관한 국제협약

     정답 : []
     정답률 : 93%

38. 툰드라 토양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회갈색포드졸 토양
     2. 영구동토
     3. 포드졸 토양
     4. 몰리솔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회갈색포드졸 토양 : 습윤온대지역
영구동토 : 일년 내내 항상 얼어 있는 땅
포드졸 토양 : 습윤냉온대 침엽수림
몰리솔 : 아습윤기후의 초생지에 나타나는 토양
[해설작성자 : 찬초]

39. 외부환경이 달라져도 생태계 또는 생물체 내부의 환경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향을 일컫는 말은?
     1. 극상(climax)
     2. 타생천이(allogenic succession)
     3. 자생천이(autogenic succession)
     4. 항상성(homeostasis)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 항상성(恒常性)
    -. 항상성은 생명체가 내부 환경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려는 성질로,
         외부 변화에 대응해 체온, 혈당, 수분 균형 등을 조절한다
    -. 생명의 특성 중 하나로, 자신의 최적화 상태를 오랫동안 유지하려는 특성이다.
         대부분의 생물들은 이 현상을 유지하기 위해 일어난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40. 생물권에서 일부 특수한 물질이 먹이 연쇄 단계를 거치면서 확산 및 희석되지 않고 오히려 농축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생물농축
     2. 먹이연쇄
     3. 생태피라미드
     4. 생물량

     정답 : []
     정답률 : 93%

3과목 : 형태학


41. 다음 그림은 식물배주의 구조이다. ㉮~㉱가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 합점, ㉯ 주심, ㉰ 주공, ㉱ 주병
     2. ㉮ 주공, ㉯ 주피, ㉰ 합점, ㉱ 주병
     3. ㉮ 합점, ㉯ 주심, ㉰ 주공, ㉱ 배병
     4. ㉮ 주공, ㉯ 주피, ㉰ 합점, ㉱ 배병

     정답 : []
     정답률 : 68%

42. 뿌리의 내피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카스파리선(casparian strip)이 발달한다.
     2. 표피조직의 일부이다.
     3. 미생물방어가 주기능이다.
     4. 엽육조직의 보호가 주기능이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 카스파리선 (Caspary線) : 식물의 내피층에서 세포벽의 일차 막 내의 세포막 일부가
    목질화 또는 코르크화하여 형성되는 가는 띠 모양의 구조. 세포의 초기 발생 단계에서 형성되며,
    위아래와 방사 방향의 4면 벽 안쪽을 둘러싸는 끈 모양을 하고 있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43. 인간의 호르몬 작용에 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여포자극호르몬은 남성의 정자형성을 자극한다.
     2. 배아에서 여성의 발달을 유도하는데 안드로겐이 필요하다.
     3. 여성은 황체형성호르몬에 의해 배란이 촉진된다.
     4. 자궁내막의 발달은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에 의해 조절된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안드로겐은 남성 생식계의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호르몬을 모두 총칭하는 것으로 통상 남성호르몬이라고 불린다.
(여성의 발달을 유도하는 호르몬은 에스트로겐)
[해설작성자 : 유서준]

44. 개구리의 3방 심장 구조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1. 우심실, 좌심실, 우심방
     2. 좌심실, 우심실, 심방
     3. 좌심방, 좌심실, 우심실
     4. 좌심방, 우심방, 심실

     정답 : []
     정답률 : 80%

45. 다음 중 메뚜기목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베짱이
     2. 방아깨비
     3. 사마귀
     4. 벼메뚜기

     정답 : []
     정답률 : 90%

46. 식물세포의 2차벽은 3층으로 나뉘어진다. 이 층들은 주로 어떤 차이에 의해 구분되는가?
     1. 미세원섬유의 배열방향
     2. 미세원섬유의 두께
     3. 펙틴질의 존재여부
     4. 섬유소의 비율

     정답 : []
     정답률 : 72%

47. 갑상샘(갑상선, Thyroid gland)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갑상샘은 척추동물에만 존재하는 기관이기 때문에 척삭과 함께 척추동물의 대표적인 기관으로 볼 수 있다.
     2. 어류의 갑상샘의 대부분은 쌍을 이루고 있으며, 경골어류의 경우 보통 2쌍이 첫째 인두궁인 턱궁부근에 있다.
     3. 조류는 기관 분기부에 1쌍의 갑상샘을 가지고 있다.
     4. 사람의 갑상샘은 갑상연골 아래 부분과 기관 위부분에 걸쳐 왼·오른엽이 갑상샘 좁은 부분에 의해 U자 또는 H자 모양으로 붙어 있다.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 갑상샘(갑상선, Thyroid gland)
    -. 척추동물에만 존재하는 기관이다
    -. 경골어류에는 1쌍이 첫째 인두궁인 턱궁 부근에 있다
    -. 조류는 기관 분기부터 1쌍의 갑상샘을 가진다
    -. 양서류의 갑상샘은 2개의 엽으로 갈라져 쌍을 이룬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48. 연체동물의 일반적인 형태적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스교환은 아가미, 폐, 외투막 또는 체표에서 이루어진다.
     2. 체강은 퇴화하여 심장 주위에 국한된다.
     3. 나선형 난할을 하며, 담륜자 유생을 지닌다.
     4. 몸은 비슷한 형태의 체절로 구성되어 있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4. 연체동물은 체절이 없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 연체동물(mollusk , 軟體動物)
    -. 연체동물은 부드러운 몸을 가진 무척추동물이다
    -. 연체동물은 8개의 강으로 나뉜다
    -. 특징으로는 몸에 골격이 없고, 피부는 점액을 분비하며, 보통 석회질의 패각이 있다
    -. 입에는 치설이 있고, 발과 머리는 좌우대칭이다
    -. 오징어, 문어, 낙지, 꼴뚜기, 대합, 바지락, 홍합, 굴, 전복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49. 곡류를 섭취하는 조류의 소화계를 입에서부터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식도, 전위, 소낭, 사낭
     2. 식도, 전위, 사낭, 소낭
     3. 식도, 소낭, 전위, 사낭
     4. 식도, 사낭, 전위, 소낭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 소낭 : 모이주머니
* 사낭 : 모래주머니
☞ 소낭-전위 : 소낭은 식도의 일부분이 팽창한 것이며
                             음식이 맨 처음 이곳에 모여서 반죽상태로 되어 전위로 보내지는데
                             전위는 소낭에서 들어온 음식물을 효소의 작용으로 분해시킨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50. 사람의 위(stomach)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위의 위아래 양끝은 괄약근으로 되어 있다.
     2. 위의 내벽 점액층은 판상선이 많이 분포하며, 염산을 분비하는 주세포와 펩시노겐을 분비하는 부세포를 포함한다.
     3. 위의 근육층은 제3의 근육층이 존재하는데 쥐어짜는 환상근, 늘이고 줄이는 종주근과 함께 비트는 기능을 맡고 있다.
     4. 염산으로 인해 위액은 pH 1.6~2.4 정도의 강산성을 띤다.

     정답 : []
     정답률 : 68%

51. 척추동물의 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뼈기질은 석회화된 세포사이물질로서 뼈의 건조 중량 중 약 85%를 차지하며, 칼슘과 마그네슘이 주성분을 이룬다.
     2. 뼈는 연골과 더불어 동물이 갖는 결합조직의 하나이다.
     3. 뼈몸통은 해면뼈와 치밀뼈로 되어 있고, 그 안쪽 가운데에 골수강이 있으며 그 속에 골이 있다.
     4. 일차뼈조직은 아교섬유가 불규칙하게 배열되어 있고, 소량의 무기염류가 분포되어 있으며 이차뼈조직보다 뼈세포의 비율이 높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 석회화가 진행되지 않은 유골형태. 골아세포에 의한 합성. 분비. 성분의 50~60% 가 Ca. P중심의 무기질.
대부분이 히드록시아파타이트의 결정구조를 취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2. 뿌리 끝 근관(root cap)의 고유 역할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뿌리표피세포 형성
     2. 점액분비
     3. 뿌리털 형성
     4. 뿌리관다발 형성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 뿌리 끝 근관(root cap)의 기능
    -. 점액물질을 분비하여 뿌리와 흙 사이의 마찰을 줄인다
    -. 뿌리 끝(근단)에 있는 분열조직을 보호한다
    -. 근관의 한 가운데에 있는 세포들은 중력을 인식한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53. 다음은 척추동물의 뇌에 관한 설명이다. ( )에 가장 적합한 동물로 옳게 나열된 것은?

    

     1. ㉠ 닭, ㉡ 고양이
     2. ㉠ 상어, ㉡ 개구리
     3. ㉠ 개구리, ㉡ 상어
     4. ㉠ 개구리, ㉡ 고양이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시엽: 간뇌와 소뇌 사이에 있는 뇌의 일부분. 몸의 자세균형유지.눈알의 움직임 및 동공조절 반사운동의 중심역할을 하는 기능.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4. 단자엽식물 줄기가 갖는 중심주(stele)의 유형은?
     1. 진정중심주
     2. 망상중심주
     3. 관상중심주
     4. 부제중심주

     정답 : []
     정답률 : 67%

55. 목본식물의 줄기에서 잎이 떨어진 자리가 흔적으로 남아 잇는 엽흔에서 볼 수 있는 것은?
     1. 관속흔
     2. 겨울눈
     3. 잎눈
     4. 꽃눈

     정답 : []
     정답률 : 77%

56. 척추골과 관절하여 체벽을 이루며 흉강을 만들어 폐, 심장 등의 장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유양막류에서는 호흡운동에 관여하는 기능을 갖는 골격은?
     1. 쇄골
     2. 늑골
     3. 요추골
     4. 천추골

     정답 : []
     정답률 : 89%

57. 감자와 같이 지하경이 비대하여 육질의 덩어리로 된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포복경(runner)
     2. 괴경(tuber)
     3. 편경(cladodium)
     4. 인경(bulb)

     정답 : []
     정답률 : 89%

58. 표면상피 중 세로길이가 가로길이보다 큰 기둥 모양의 세포가 한 줄로 배열된 상피로써 위점막이나 장점막이 대표적인 것은?
     1. 단층입방상피
     2. 단층원주상피
     3. 중층편층상피
     4. 중층입방상피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세로>가로: 원주
세로<가로: 편형
한 줄: 단층
두 줄: 다층
[해설작성자 : isp]

59. 다음 중 복엽 또는 그 일부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우상복엽
     2. 장상복엽
     3. 소엽
     4. 단엽

     정답 : []
     정답률 : 75%

60. 다음 중 꿀풀과의 꿀풀 및 현삼과의 오동나무 등에서 주로 볼 수 있는 것은?
     1. 단체웅예
     2. 삼체웅예
     3. 4강웅예
     4. 2강웅예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 2강웅예
    -. 꽃 하나가 가지고 있는 4개의 수술 가운데 2개는 길고 2개는 짧은 것
    -. 꿀풀과, 현삼과 등이 대표적이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4과목 : 보존 및 자원생물학


61. 생물개체군의 보호와 관련하여 최소동태면적(minimum dynamic area)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최소생존개체군 유지에 필요한 서식처 면적
     2. 작은 포유동물의 개체군 유지를 위해 필요한 50km2의 보호지구
     3. 큰 육식동물의 개체군 보전을 위해 필요한 5000km2의 보호지구
     4. 크기가 큰 개체군을 존속시키기 위해 필요한 서식처 면적

     정답 : []
     정답률 : 89%

62. 종과 서식지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국제적인 협약이 필요하게 되는데 그 이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대기오염, 산성비 등 종이나 생태계를 위협하는 많은 문제들이 국제적인 범위에서 일어날 수 있다.
     2. 생물다양성의 이익은 일부 지역에서만 중요성을 가진다.
     3. 종은 흔히 국가 간 장벽을 넘어 이동한다.
     4. 생물생산품의 국가 간 교역에서 수요를 채우기 위해 대상자원이 과도하게 이용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88%

63. 보호지구 설정 시 면적이 넓게 보호지구를 설정할 때의 장점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가장자리 효과의 최소화
     2. 단편화 영향의 증가
     3. 교란에 의존하는 생물들에게 자연교란에 가까운 체제제공
     4. 대수층과 호수 수질보호에 유리

     정답 : []
     정답률 : 81%

64. 식물 종 보전을 위한 식물원의 기능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희귀종과 위험종보다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종의 재배에 보다 많은 비중을 둔다.
     2. 생명체를 보전함과 아울러 건조 표본을 통해 식물의 분포나 서식지 요구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확실한 공급처의 역할을 한다.
     3. 대중에게 보전의 중요성을 교육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4. 탐사대 등을 파견하여 새로운 종을 발견하고 기초적인 연구를 수행한다.

     정답 : []
     정답률 : 91%

65. 다음 중 생물다양성 위협요인으로 다양성 감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1. 개발에 의한 서식처 파괴
     2. 환경오염
     3. 인구감소
     4. 외래종의 도입

     정답 : []
     정답률 : 83%

66. 지구상에는 여러 번의 대절멸(mass extinction)사건이 있었는데, 이 중 가장 거대한 절멸 사건으로 77~96% 정도로 추산되는 해양 동물종이 사라진 시기는?
     1. 플라이스토신기(Pleistocene)
     2. 트라이아스기(Triassic)
     3. 페르미안기(Permian)
     4. 데본기(Devonian)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 지구상의 대절멸의 역사]
* 두번째 대멸종 : 데본기(3억 7천만년 전)에 19%의 과와 50%의 속이 멸종함.
* 세번째 대멸종 : 페르미안기 끝날 무렵(2억 5천만년 전)에서 57%의 과와 83%의 속이 멸종함.
이를 대멸종계의 대모 또는 위대한 멸종이라 부르기도 한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67. 생물다양성의 장기적 보전을 위한 전략 중 현지 외(ex-situ) 보전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동물원
     2. 수목원
     3. 종자은행
     4. 야생방사

     정답 : []
     정답률 : 90%

68. 보전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접근방법 중 생태계 수준의 접근은 비단 종을 보호하는 것 뿐 아니라 생태계의 기능을 보호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음 중 특징적인 생물군집을 구성하고 있는 종과 환경 모두를 포함하는 지역을 나타내는 용어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생물다양성 중점지역(hot spot)
     2. 대표지점(representative site)
     3. 보충지점(complementary site)
     4. 야생지역(wilderness area)

     정답 : []
     정답률 : 65%

69. 종 다양성 비교를 위해 고안된 수학적 지수 중 알파다양성(alpha diversity)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종 조성이 다양한 환경기울기에 따라 얼마나 변하는지 그 정도를 나타낸다.
     2. 각기 다른 생태계에 서식하는 군집 간 종수를 비교할 때 흔히 사용된다.
     3. 어떤 종들이 지리적으로 다른 지역에서 같은 종류의 서식처를 만날 확률을 말한다.
     4. 이끼군집에 고도에 따라 계속 변한다면 알파다양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7%

70. 외래종의 도입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유럽인의 식민지 개발 시에는 식민지 전원풍경을 그들의 모국과 비슷하게 한다든지 사냥을 위하여 유럽의 새나 포유류를 도입하였다.
     2. 외래종 중 재래 생물종과 근연종인 경우에는 잡종이 만들어져 재래종을 절멸시키기도 한다.
     3. 모든 외래종은 새로운 서식지에 포식자, 유해동물, 기생생물 등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재래종을 대체한다.
     4. 동남아시아의 경우에 인간에 의한 환경변화 즉 간섭이 심하면 정착하는 외래종의 비율이 높다.

     정답 : []
     정답률 : 86%

71. 다음 중 보전생물학의 중추를 이루는 분야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genetics
     2. taxonomy
     3. ecology
     4. physics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physics-물리학
[해설작성자 : 도오트]

72. 대규모 서식지가 도로, 도시 또는 다른 인위적 활동장소 개발에 의해 분할되는 “서식지 단편화”로 인하여 나타나는 현상과 거리가 먼 것은?
     1. 서식지 단편화는 종이 확산되고 정착하는 능력을 제한한다.
     2. 서식지 단편화는 그 지역 토착동물이 먹이를 얻는 능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
     3. 서식지가 단편화되면 넓은 지역에 분포하는 개체군이 제한된 지역에 2개 이상의 “아개체군”으로 분할되어 개체군 쇠퇴나 절멸이 촉진된다.
     4. 서식지가 단편화되면 분할된 지역에 외래종이나 토착 병원균 종류들이 침입할 가능성은 낮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87%

73. 다음 중 생물학적 군집에 의한 생태계의 비소비적 사용가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작물의 유전적 개량
     2. 식물의 증산 작용
     3. 균류의 오수 분해
     4. 해조류의 광합성

     정답 : []
     정답률 : 77%

74. 소개체군의 절멸 원인으로 볼 수 있는 것은?
     1. 유전적 변이의 증가
     2. 출생율과 사망률의 변동에 따른 개체수 증가
     3. 공생관계를 일으키는 환경변화
     4. 불규칙적으로 발생하는 자연재해

     정답 : []
     정답률 : 71%

75.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보호 우선순위 설정 기준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도입성(invasiveness)
     2. 위험성(endangerment)
     3. 유용성(utility)
     4. 차별성(distinctiveness)

     정답 : []
     정답률 : 63%

76. 다음 중 멸종될 가능성이 높은 종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사람에게 경제적으로 유익하지 못한 종
     2. 계절에 따라 이동하는 종
     3. 서식지 조건이 까다로운 종
     4. 유전적 다양성이 부족한 종

     정답 : []
     정답률 : 86%

77. 다음은 생물다양성에 관한 설명이다. ( )에 알맞은 것은?

    

     1. delta diversity
     2. gamma diversity
     3. beta diversity
     4. alpha diversity

     정답 : []
     정답률 : 70%

78. 다음 설명은 복원에 있어 어떠한 방법을 사용한 것인가?

    

     1. 방치
     2. 회복
     3. 대체
     4. 유출

     정답 : []
     정답률 : 92%

79. 최소 생존 개체군(MVP)을 유지시키기 위해 필요한 서식지의 크기(면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최소유효면적(Minimum Effective Area)
     2. 최소역동면적(Minimum Dynamic Area)
     3. 최소보호면적(Minimum Preservation Area)
     4. 최소생존면적(Minimum Survival Area)

     정답 : []
     정답률 : 69%

80. 공공 수족관에 종사하는 전문가의 역할과 거리가 먼 것은?
     1. 희귀종을 수족관에서 유지시키기 위한 증식 기술을 개발
     2. 더 이상의 야생개체들이 포획되지 않도록 증식된 개체를 방사
     3. 위험 상태인 고래 종류 등의 보존을 위한 역할 수행
     4. 근친교배를 통한 종의 순수한 혈통을 강화

     정답 : []
     정답률 : 89%

81. 환경부장관은 수렵동물의 지정 등을 위하여 야생동물의 종류 및 서식밀도 등에 대한 조사를 최소한 몇 년마다 실시하는가?
     1. 1년
     2. 2년
     3. 3년
     4. 4년

     정답 : []
     정답률 : 76%

82. 자연환경보전법 시행규칙상 생태통로의 설치대상지역이 아닌 것은?
     1. 비무장지대
     2. 자연공원법에 따른 자연공원
     3. 생태·경관보전지역 중 전이보전구역
     4. 백두대간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른 백두대간 보호지역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자연환경보전법 시행규칙>
제28조(생태통로의 설치대상지역 및 설치기준)
①법 제45조제1항에 따른 생태통로 설치대상지역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한다.
<개정 2012. 7. 27., 2013. 9. 23.>

1. 「백두대간보호에 관한 법률」 제6조의 규정에 따른 백두대간보호지역
2. 비무장지대
3. 생태.경관보전지역 중 핵심구역 또는 완충구역, 시.도생태.경관보전지역
4. 생태자연도 1등급 권역
5. 「자연공원법」에 따른 자연공원
6. 야생생물 특별보호구역 및 야생생물 보호구역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83.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 보전에 관한 특별법상 특정도서보전 기본계획의 수립 주기는?
     1. 1년마다
     2. 3년마다
     3. 5년마다
     4. 10년마다

     정답 : []
     정답률 : 63%

84. 환경정책기본법령상 다음 오염물질 중 대기환경기준이 화학 발광법에 의한 24시간 평균치로써 0.06 ppm 이하인 것은?
     1. 오존(O3)
     2. 이산화질소(NO2)
     3. 아황산가스(SO2)
     4. 일산화탄소(CO)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 아황산가스(SO2)
- 연간 평균치    0.02ppm 이하
- 24시간 평균치    0.05ppm 이하
- 1시간 평균치    0.15ppm 이하

* 일산화탄소 (CO)
- 8시간 평균치    9ppm 이하
- 1시간 평균치    25ppm 이하

* 이산화질소 (NO2)
- 연간 평균치    0.03ppm 이하
- 24시간 평균치    0.06ppm 이하
- 1시간 평균치    0.10ppm 이하

* 미세먼지 (PM-10)
- 연간 평균치    50㎍/m3 이하
- 24시간 평균치    100㎍/m3 이하

* 초미세먼지 (PM-2.5)
- 연간 평균치    15㎍/m3 이하
- 24시간 평균치    35㎍/m3 이하

* 오존 (O3)
- 8시간 평균치    0.06ppm 이하
- 1시간 평균치    0.1ppm 이하

* 납 (Pb)
- 연간 평균치    0.5㎍/m3 이하

* 벤젠
- 연간 평균치    5㎍/m3 이하
[해설작성자 : 도오트]

85. 습지보전법상 용어의 뜻 또는 습지보전을 위한 국가의 책무에 관한 사항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습지라 함은 담수, 기수 또는 염수가 영구적 또는 일시적으로 그 표면을 덮고 있는 지역으로서 내륙습지 및 연안습지를 말한다.
     2. 연안습지라 함은 육지 또는 섬에 있는 호수 또는 하구 등의 지역을 말한다.
     3. 특별시장은 내륙습지에 대하여 습지보호지역·습지주변관리지역 또는 습지개선지역의 지정 및 보전에 관한 시책을 수립·시행한다.
     4. 국토교통부장관은 연안습지에 대하여 습지개선지역 지정 및 보전에 관한 시책을 수립·시행한다.

     정답 : []
     정답률 : 77%

86. 자연공원법상 금액별 과태료 부과기준 중 10만원 이하의 부과기준에 해당하는 것은?
     1. 야생동물의 포획허가를 받지 아니하고 총 또는 석궁을 휴대하거나 그물을 설치하는 행위
     2. 지정된 장소 밖에서의 상행위를 한 경우
     3. 공원구역에서 금지된 영업행위를 한 경우
     4. 지정된 장소 밖에서의 주차를 한 경우

     정답 : []
     정답률 : 84%

87. 자연공원법령상 국립공원위원회의 위원장은 누구인가?
     1. 환경부차관
     2. 환경부장관
     3. 환경부 자연보전국장
     4. 국립공원관리공단 이사장

     정답 : []
     정답률 : 81%

88.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상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에 해당하는 것은?
     1. 수달
     2. 담비
     3. 하늘다람쥐
     4. 큰바다사자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상>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시행 2025. 1. 24.] [환경부령 제1149호, 2025. 1. 24., 일부개정]

* Ⅰ급(14종) : 늑대,대륙사슴,무산쇠족제비,물범,반달가슴곰,붉은박쥐,사향노루
                             산양, 수달, 스라소니, 여우, 작은관코박쥐, 표범, 호랑이
* Ⅱ급(6종) : 담비, 물개, 삵, 큰바다사자, 토끼박쥐, 하늘다람쥐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89. 산지관리법규상 산사태위험판정기준표 중 조사자의 점수보정 인자로 틀린 것은?
     1. 조사자 또는 마을사람들이 산사태발생 위험성이 전혀 없다고 생각함 : -10
     2. 조사자 또는 마을사람들이 산사태발생 위험지역이라고 생각함 : +20
     3. 과수원 및 초지단지, 유실수조림지 등 지피식생일 불완전한 산지 : +20
     4. 인위적 산림훼손지로 방치하거나 불완전한 방재 시설지 : +20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 보정인자
1. 조사자 또는 마을사람들이 산사태발생 위험지역이라고 생각함(+10)
2. 조사자 또는 마을사람들이 산사태발생 위험성이 전혀 없다고 생각함(-10)
3. 인위적 산림훼손지로 방치하거나 불완전한 방재 시설지(+20)
4. 과수원 및 초지단지, 유실수조림지 등 지피식생이 불완전한 산지(+20)
5. 산지가 도심지에 위치하여 산사태 발생시 피해 확산 위험이 있는 지역(+10)
[해설작성자 : 도오트]

90. 산지관리법상 공익용산지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사찰림의 산지
     2.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시험림의 산지
     3. 자연공원법에 따른 공원구역의 산지
     4. 문화재보호법에 따른 문화재보호구역의 산지

     정답 : []
     정답률 : 75%

91. 환경정책기본법령상 수질 및 수생태계 하천에 대한 사람의 건강보호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6가 크롬(Cr6+) : 0.1 ㎎/L 이하
     2. 테트라클로로에틸렌(PCE) : 0.05 ㎎/L 이하
     3. 벤젠 : 0.01 ㎎/L 이하
     4. 1,2-디클로로에탄 : 0.05 ㎎/L 이하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 6가 크롬(Cr6+) : 0.05 ㎎/L 이하
2. 테트라클로로에틸렌(PCE) : 0.04 ㎎/L 이하
4. 1,2-디클로로에탄 : 0.03 ㎎/L 이하
[해설작성자 : 도오트]

92. 백두대간보호지역 중 백두대간의 능선을 중심으로 특별히 보호하려는 지역은?
     1. 완충구역
     2. 중권역
     3. 핵심구역
     4. 대권역

     정답 : []
     정답률 : 86%

93. 농지법규상 객토·성토·절토의 기준 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객토·성토·절토의 공통사항으로 농작물을 경작하거나 다년생식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범위 이내일 것
     2. 성토는 농작물의 경작 등에 부적합한 토석 또는 재활용골재 등을 사용하여 성토하지 아니할 것
     3. 성토는 연접 토지 보다 낮거나 해당 농지의 관개에 이용하는 용수로 보다 낮게 성토하지 아니할 것
     4. 객토는 해당 농지에 경작 중이 농작물 또는 재배 붕인 다년생식물은 수확한 후에 시행할 것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1. 공통사항
 가. 농작물의 경작 등에 적합한 흙을 사용할 것
 나. 농작물을 경작하거나 다년생식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범위이내 일 것
 다. 농지개량시설의 폐지·변경, 토사의 유출 등 인근 농지의 농업경영에 피해를 주지 않을 것

2. 객토
 가. 객토원의 흙의 성분과 그 양이 객토대상 농지의 토양개량 목적에 적합할 것
 나. 해당 농지에 경작 중인 농작물 또는 재배 중인 다년생식물을 수확한 후에 시행할 것

3. 성토
 가. 관개 용수로의 이용을 방해하는 등 인근 농지의 농업경영에 피해를 주지 아니할 것
 나. 농작물의 경작 등에 부적합한 토석 또는 재활용골재 등을 사용하여 성토하지 아니할 것

4. 절토
 가. 토사의 유출·붕괴 등 인근 농지의 피해발생이 우려되지 아니할 것
 나. 비탈면 또는 절개면에 대하여 토양의 유실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조치가 되어 있을 것
[해설작성자 : swim]

94. 환경정책기본법령상 해역의 생태기반 해수수질 기준 중 Ⅲ(보통) 등급의 수질평가 지수값은?
     1. 73 ~ 85
     2. 60 ~ 72
     3. 47 ~ 59
     4. 34 ~ 46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Ⅰ(매우좋음) 23 이하
Ⅱ(좋음) 24~33
Ⅲ(보통) 34~46
Ⅳ(나쁨) 47~59
Ⅴ(매우나쁨) 60 이상
[해설작성자 : swim]

95. 환경정책기본법령상 수질 및 수생태계 상태별 생물학적 특성 중 생물등급에 따른 생물지표종(저서생물)이 다른 하나는?
     1. 옆새우
     2. 가재
     3. 꽃등에
     4. 민하루살이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1급수 : 옆새우, 가재, 민하루살이, 강도래, 물날도래 등등 [물 : 매우맑음, 유속: 빠름, 바닥 : 바위 자갈]
2듭수 : 다슬기, 넓적거머리, 강하루살이 등등 하루살이류 [물 : 맑음 유속 : 빠른편 바닥 : 자갈 모래]
3급수 : 물달팽이, 턱거머리, 물벌레, 밀잠자리 [물 : 약간 혼탁, 유속 : 약간느림, 바닥 : 잔자갈 모래]
4급수 : 나방파리, 실지렁이, 꽃등에, 붉은깔다구 [물 : 매우혼탁, 유속 : 느림편, 바닥 : 주로 모래와 실트로 구성 (검은색)]
[해설작성자 : 찬초]

96.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 보전에 관한 특별법 시행규칙상 특정도서에서의 행위허가 신청서 작성시 첨부서류 목록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행위 대상지역의 범위 및 면적을 표시한 축척 2만 5천분의 1 이상의 도면
     2. 당해 지역의 주민 의견을 수렴한 동의서
     3. 당해 지역의 토지 또는 해역이용계획 등을 기재한 서류
     4. 당해 행위로 인하여 자연환경에 미치는 영향예측 및 방지대책을 기재한 서류

     정답 : []
     정답률 : 85%

97.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도시·군관리계획결정으로 용도지구를 세분할 수 있다. 그 중 경관지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자연경관지구
     2. 일반경관지구
     3. 수변경관지구
     4. 시가지경관지구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1. 경관지구
가. 자연경관지구 : 산지ㆍ구릉지 등 자연경관을 보호하거나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구
나. 시가지경관지구 : 지역 내 주거지, 중심지 등 시가지의 경관을 보호 또는 유지하거나 형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구
다. 특화경관지구 : 지역 내 주요 수계의 수변 또는 문화적 보존가치가 큰 건축물 주변의 경관 등 특별한 경관을 보호 또는 유지하거나 형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구
[해설작성자 : wooomk]

98. 습지보전법상 용어의 정의이다. ( )에 알맞은 것은?

    

     1. 경계습지
     2. 연안습지
     3. 조석습지
     4. 하천습지

     정답 : []
     정답률 : 85%

99. 산지관리법상 폐기물이 포함된 토석 또는 폐기물로 산지를 복구한 자에 대한 벌칙기준은?
     1.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
     2.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3.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4.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산지관리법>
제55조(벌칙)
보전산지에 대하여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6. 12. 2., 2019. 12. 3., 2020. 2. 18., 2021. 6. 15.>

8. 제39조제4항을 위반하여 폐기물이 포함된 토석 또는 폐기물로 산지를 복구한 자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 제55조(벌칙)
     보전산지 외의 산지에 대하여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8. 제39조제4항을 위반하여 폐기물이 포함된 토석 또는 폐기물로 산지를 복구한 자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100.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도시·군관리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시·군관리계획을 입안하는 경우 입안을 위한 기초조사의 내용에 도시·군관리계획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환경성검토를 포함하여야 한다.
     2. 도시·군관리계획의 수립기준, 도시·군관리계획 도서 및 계획설명서의 작성기준·작성방법 등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한다.
     3. 도시·군관리계획 결정의 효력은 지형도면을 고시한 날부터 10일 후에 그 효력이 발생한다.
     4. 특별시장·광역시장 등은 5년마다 관할구역의 도시·군관리계획에 대하여 타당성 여부를 재검토하여 정비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고시한 날부터
[해설작성자 : 찬초]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생물분류기사(동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5월08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생물분류기사(동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5월08일(13148)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3277 생물분류기사(동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5월07일(13149)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3276 생물분류기사(동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9월23일(13150)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3275 생물분류기사(식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5월20일(13151)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3274 생물분류기사(식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9월15일(13152)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3273 무선설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5월24일(13153)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3272 식물보호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8월22일(13154)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3271 유통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4월16일(13155)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3270 유통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7월02일(13156)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3269 유통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11월12일(13157)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3268 종자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8월22일(13158)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3267 유통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21일(13159)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3266 가스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8월22일(13160)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3265 유기농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8월22일(13161)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3264 가스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8월22일(13162)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3263 화학분석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8월22일(13163)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3262 건설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8월22일(13164)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3261 유통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4월10일(13165)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3260 유통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7월03일(13166)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3259 유통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11월13일(13167)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Board Pagination Prev 1 ... 615 616 617 618 619 620 621 622 623 624 ... 783 Next
/ 7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