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집단 내의 주요 변이와 그 종류 1. 유전적 변이 1-1. 성에 관련된 변이 : 1차 성징(性徵)의 차이, 2차 성징의 차이, 세대교번(世代交番), 암수 모자이크 및 간성(間性) 1-2. 성에 관련 없는 변이 : 연속적 변이, 불연속적 변이 2. 비유전적 변이 2-1. 시간 경과에 따른 개체 변이 : 연령적 변이, 한 개체 또는 세대에 따른 계절적 변이 2-2. 사회적 변이 2-3. 생태적 변이 : 서식처에 따른 변이, 일시적 기후조건으로 인한 변이, 숙주(宿主)에 의한 변이, 서식 밀도에 따른 변이, 비비례(非比例) 생장에 따른 변이, 신경원성(神經原性) 색 변이 2-4. 외상적(外傷的) 변이 : 기생충이 일으키는 변이, 상처 및 기형적 변이 [네이버 지식백과] 변이 [變異, variation] (지구과학사전, 2009. 8. 30., (사)한국지구과학회) [해설작성자 : psyfamer]
●유전적과 비유전적 차이--(형질이 자손에게 유전되는가?) * 유전적 변이 -. 암수모자이크 및 간성 -. 연속적 개체변이 / 불연속적 개체변이 -. 세대 교번 * 비유전적 변이 -. 시간에 따른 개체변이(연령적 변이) -. 사회적 변이(곤충의 계급) -. 생태적 변이(서식처에 따른 변이,숙주에 의한 변이,신경원성 변이)) -. 외상성 변이(사고 및 기형적 변이)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2.
다음 식물 과 중 육수화서를 갖는 것은?
1.
미나리과
2.
천남성과
3.
벼과
4.
뽕나무과
정답 : [
2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육수화서 : 꽃대에 이삭처럼 작은 꽃들이 빽빽하게 붙어 있는 꽃의 배열 빙식.(천남성과,옥수수,채송화,돌나물)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3.
다음 계통분류 형질 중 분자분류학적 접근에서 볼때 가장 다양한 분류계급에서 적용이 가능한 것은?
1.
플라보노이드
2.
동위효소
3.
셀룰로오즈
4.
핵산
정답 : [
4
] 정답률 : 88%
4.
다음 분류군 중 세계의 바다플랑크톤으로 먹이연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무리는?
1.
윤충류(Rotifera)
2.
요각류(Copepoda)
3.
지각류(Cladocera)
4.
섬모충류(Cilliata)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요각류 -. 널리 분포하는 갑각강 요각아강에 속하는 동물들이다 -. 여러기지 물고기의 먹이가 돠는 생태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무리이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5.
종자식물중 은행나무강의 특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중복수정한다.
2.
물관요소가 발달한다.
3.
운동성있는 정자를 형성한다.
4.
잎은 그물맥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81%
6.
다음 중 환형동물의 특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혈관계는 개방혈관계이고 호흡색소가 없다.
2.
유생이 있을 때는 담륜자유생이다.
3.
체벽에는 종주근과 환상근이 발달해 있다.
4.
소화계는 완전하며 체절제로 배열되어 있지 않다.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혈관계는 폐쇄혈관계이고 호흡색소를 가진다. 배설계는 체절마다 한 쌍의 신관이 있다. [해설작성자 : 히어리]
7.
다음 연체동물 중 낙지, 문어, 앵무조개 등을 포함하는 무리로 유영에 적합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사새아강, 이새아강으로 나뉘는 것은?
1.
두족강
2.
복족강
3.
굴족강
4.
미공강
정답 : [
1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 두족류 : 두족강(頭足綱)에 속하는 연체동물의 총칭 -. 낙지, 문어, 오징어, 앵무조개 등을 지칭하는 생물 분류. 척추 구조가 없는 무척추동물이며, 뼈도 없는 연체동물의 한 강을 이루고 있는 무리를 이른다 -. 좌우대칭형이며 몸통이 머리의 위에 붙어있고 -. 머리의 밑에 바로 다리가 존재하는 것을 공통적인 특징으로 하는 동물들을 부류한 것이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8.
다음 중 조직과 기관이 가장 명확하게 분리되어 있지 않은 동물은?
1.
회충
2.
곤봉히드라
3.
해로동굴해면
4.
관이끼벌레
정답 : [
3
] 정답률 : 75%
9.
다음 설명은 어느 문(Phylum)에 해당되는가?
1.
Arthropoda
2.
Echiurida
3.
Echinodermata
4.
Chordata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Arthropoda: 절지동물문 [해설작성자 : isp]
10.
다음은 분류학적 형질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공통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생리적
2.
생태적
3.
형태적
4.
행동적
정답 : [
2
] 정답률 : 91%
11.
다음은 어떤 식물이며 생활사에서 어느 세대에 속하는가?
1.
나자식물의 배우체
2.
양치식물의 배우체
3.
나자식물의 포자체
4.
양치식물의 포자체
정답 : [
2
] 정답률 : 85%
12.
절지동물을 강으로 나누는 기준과 이에 따른 분류군의 명칭이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몸의 구분 : 머리, 가슴, 배의 3부분 - 다지(류)강
2.
몸의 구분 : 머리와 가슴배의 2부분 - 곤충강
3.
협각 : 없음 - 거미강
4.
눈 : 겹눈 - 갑각강
정답 : [
4
] 정답률 : 67%
13.
식물분류계급에 따른 학명의 어미 중 아계(亞界)에 해당 하는 것은?
1.
-aceae
2.
-bionta
3.
-opsida
4.
-ales
정답 : [
2
] 정답률 : 80%
14.
다음 중 몸의 특정 부위가 다른 부분에 비해 성장률이 다를 때 일어나는 변이(variation)의 종류에 해당하는 것은?
1.
neurogenic variation
2.
ecophenotypic variation
3.
traumatic variation
4.
allometric variation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 allometric variation(이형성 변화) -. 생물의 형태(모양이나 크기)가 비례적으로 자라지 않는 현상을 말한다 -. 몸의 다른 부위들이 서로 다른 속도로 성장하면서 나타나는 차이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15.
개체발생(Ontogeny)은 계통발생(Phylogeny)을 반복한다는 반복설(Recapitulation theory)을 주장하여 계통탐구에 크게 이바지 하였고 1866년 즈음에 알려진 생물의 주요 분류군들을 대상으로 나무 모양의 계통수를 작성한 생물학자는?
린네는 동물범주를 5계급으로 설정하였고, 그후 알려진 동물의 종류가 많아짐에 따라 그 수가 20여개 이상으로 늘어났는데, 그중 기본적인 7범주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Kingdom
2.
Genesis
3.
Family
4.
Class
정답 : [
2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 린네식 분류 체계 (Linnaean Classification) -. 유래: 18세기 스웨덴의 식물학자 칼 폰 린네(Carl Linnaeus)가 개발한 체계이다 -. 특징: 린네는 모든 생물을 계통적으로 분류하였다 계(Kingdom)-문(Phylum)-강(Class)-목(Order)-과(Family)-속(Genus)-종(Species)의 7단계로 분류하는 체계를 만들었다. 이 체계는 이항 명명법(예: Homo sapiens)으로도 유명하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18.
쌍자엽식물과 단자엽식물의 일반적인 특징을 비교한 것으로 옳지않은 것은?
1.
①
2.
②
3.
③
4.
④
정답 : [
4
] 정답률 : 91%
19.
동물의 각 범주에 배치되는 분류군에는 학명이 주어진다. 다음 중 과(Family)의 어미가 바르게 표기된 것은?
1.
Homininae
2.
Hominidae
3.
Hominoidea
4.
Hominini
정답 : [
2
] 정답률 : 79%
20.
다음 현화식물의 기재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경침(莖針)은 가지의 끝이나 전체가 가시로 변화된 것으로 주엽나무의 가시와 같이 부러질지언정 가지에서 잘 떨어지지 않는다.
2.
피침(皮針)은 껍질에서 돋아나온 것으로 장미, 음나무 등의 가시가 이에 속하며, 손으로 떼면 곱게 떨어진다.
3.
엽흔(葉痕)은 잎이 가지에서 떨어진 자국을 말하며, 각 엽흔의 표면에는 가지에서 잎속으로 연결된 관속조직이 잘라진 흔적이 있다.
4.
눈(bud)에 있는 정아(頂芽)는 줄기의 성장을 유도하여 환경조건이 허락하는 한 생장을 계속할 수 있도록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 현화식물 -. 현화식물은 꽃을 피우는 식물로, 속씨식물(피자식물)과 동일한 개념이다. -. 이들은 꽃을 통해 번식하며, 씨앗이 열매 안에 보호되는 구조를 가진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 정아 : 줄기 끝에 생기는 눈(끝눈 또는 꼭지눈이라고도 한다) * 측아 : 줄기 옆에서 생기는 눈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2과목 : 환경생태학
21.
독일의 과학자 리비히(Liebig)에 의해 주장된 최소량의 법칙(law of minimum)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식물의 생장은 생장에 필요한 영양원소의 양이 많고 적음에 상관없이 공급이 부족한 원소에 의해 제한된다.
2.
필요한 양을 기준으로 이용될 수 있는 양이 가장 많은 영양소에 의해 유기체의 생장이 제한된다.
3.
인과 질소가 모두 부족할 경우 두 성분 중 하나를 보충하면 절반정도의 생산량을 기대할 수 있다.
4.
생물의 생자에 필요한 양보다 적어서 생존이나 생장을 제한하는 상태를 최적조건(optimum condition)이라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 최소량의 법칙 -. 생물의 성장은 가장 부족한 요소에 의해 제한된다는 원리 -. 인산, 칼리가 아무리 풍부해도 ‘질소’ 성분 하나가 부족하면 식물은 ‘질소가 소진할 때까지만 성장한다’는 말이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22.
다음 중 폐기물의 해양투기로 인한 해양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국제협약(의정서)은?
1.
몬트리올의정서
2.
리우협약
3.
도쿄의정서
4.
런던협약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몬트리올 의정서 : 오존층 파괴물질의 규제에 관한 국제협약 리우협약(리우회의) : 지구온난화, 산업폐기물 등 지구 환경문제 등 지구 환경 보전을 위해 실시한 회의, 환경 파괴에 대한 책임 부여, 지구 생태계의 보존, 환경 훼손 방지에 대한 연구, 환경 분쟁의 평화적 해결 등의 원칙을 담고 있으며 기후변화협약, 생물다양성 협약등이 채택됨 도쿄의정서 : 기후변화협약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목표에 관한 의정서 [해설작성자 : 사용자1]
23.
호수는 자체의 물리적 특징과 생물의 독특한 분포에 따라 연안대, 준조광대, 심연대 수역으로 나뉘어지는데 다음 영양단계 중 호수의 심연대에서 주로 분포하는 것은?
환경적응과정에서 개체간의 협동이 이루어질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특정서식 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게 된다.
3.
서식단위간 밀도의 분산값이 0인 특성을 보이며, 수리적으로는 (+)이항분포형을 따른다.
4.
개체들이 무리단위로 생활하는 경우 각 무리의 분포는 임의적이더라도 개체단위로 파악하면 집중분포를 보인다.
정답 : [
3
] 정답률 : 79%
27.
농경생태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연생태계와 인공생태계의 중간형태이다.
2.
생산성을 높이는 보조에너지원은 자연에너지라기 보단 가공된 원료이다.
3.
종다양성은 인간의 관리로 인하여 감소한다.
4.
종속영양적인 특성을 가진다.
정답 : [
4
] 정답률 : 77%
28.
다음 중 두 종개체군의 상호 작용을 유형별로 구분할 때, 한 편은 이익을 얻고 다른 편은 해를 받는 것은?
1.
편해공생(amensalism)
2.
중립(neutralism)
3.
기생(parasitism)
4.
경쟁(competition)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1. 편해작용: 한쪽은 해를 받지만 다른 한쪽은 영향을 받지 x [해설작성자 : 혜동이]
29.
라운키에르(Raunkiaer)의 식물생활형으로 나누었을 때 반지중식물에 해당하는 것은?
1.
소나무
2.
국화
3.
민들레
4.
튤립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 라운키에르(Raunkiaer)의 식물생활형 -. 덴마크의 라운키에르에 의해 창안된 분류법이다 -. 분류의 기준은 휴면아(휴면눈)의 위치이다---(겨울눈의 지표면으로부터의 높이) -. 휴면형에 따라 휴면아가 어디에 위치하고 어떤 특징이 있는지를 분류한다 ▶ 지상식물 : 참나무, 벚나무, 진달래 ▶ 지표식물 : 국화, 수국, 쑥 ▶ 반지중식물 : 민들레, 달맞이꽃, 질경이 ▶ 지중식물 : 나리, 감자, 튤립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30.
Shannon index(H)로 흔히 계산할 수 있는 지수는? (단, H=-ΣPi(log Pi), Pi는 i번째 종의 개체수 비율(ni/N))
1.
유사도(Similarity) 지수
2.
중요도(Importance) 지수
3.
다양도(Diversity) 지수
4.
빈도(Frequence) 지수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 샤논지수 -. 종 다양성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로 활용된다. -. 종 다양성은 종의 수 (종풍부도)와 다른 종과 비교했을때의 상대적 풍부도 (종균등도)를 결합한 개념이다. 즉, 군집 내 종 다양성이 높다는 것은, 군집내 종의 개수 (전체 개체수가 아니라 서로 다른 종의 수)가 많고, 종들이 균등하게 분포해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출처] 생태학 - 2 샤논지수 (Shannon index)의 활용|작성자 어떤인턴의연구생활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31.
지구는 6개의 주된 생물지리학적 지역으로 나누는데 우리나라가 속한 생물지리학적 지역은?
1.
구북구(palearctic)
2.
동양구(Oriental)
3.
신북구(Nearctic)
4.
오스트랄라시구(Australasian)
정답 : [
1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 생물 지리구 : 생물 지리구(生物地理區)는 생물의 지리학적 분포에 따라 나눈 지역이다 -. 구북구 : 유라시아(아시아+유럽을 하나로 보는 개념)와 북아프리카의 대부분 -. 동양구 :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인도 아대륙, 동남아시아 등을 포함 -. 신북구 : 북아메리카의 대부분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32.
수질 및 대기오염과 상대 비교시 토양오염의 특성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오염경로가 다양하다.
2.
원상복구가 어렵다.
3.
오염영향이 광역적이다.
4.
타 환경인자와의 영향관계가 모호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73%
33.
다음 중 생물권에서 연간 유입되는 태양 방사 에너지의 소산율이 가장 낮은 것은?
1.
광합성
2.
직접적 열 전환
3.
반사
4.
증발, 강우
정답 : [
1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 소산율 : 단위 시간 동안 마찰열과 같이 재사용이 불가능한 형태로 소모되는 에너지양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34.
생태적 천이(ecological succession)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1차천이는 파괴된 곳(농토, 벌목지 등)에서 군집이 발달하는 것이다.
2.
타생천이는 불이나 홍수 같은 물리적 힘에 의해 영향을 받는 군집에서 발생한다.
3.
자생천이는 타생천이보다 그 변화를 예측하기 힘든 편이다.
4.
2차천이는 1차천이보다 느린 속도로 일어난다.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천이의 종류> * 발생시점에 따른 분류 -. 1차천이 : 식물군락이 전혀 없었던 토지에서 시작되는 천이 -. 2차천이 : 약간의 생물이 존재한 입지에서 일어나는 천이(산림 벌채 후 방치된 곳에서 시작되는 천이) * 발생원인에 따른 분류 -. 자생천이 : 토양 속 유기물,수분,PH 등의....변화의 결과로 인한 천이 -. 타생천이 : 외부의 물리적 영향에 의한 천이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35.
생태계의 에너지 흐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에너지는 생물군 사이에 생성된 환(cycle)을 통하여 열에너지로 전환하고, 안정된 생태계에서는 체제내에서 증가된다.
2.
생물의 활동에 이용된 에너지는 열의 형태로 체외로 방출된다.
3.
에너지는 생산자, 소비자, 분해자를 거쳐 흘러간다.
4.
에너지의 흐름은 한쪽 방향으로만 진행된다.
정답 : [
1
] 정답률 : 69%
36.
다음 중 온실효과를 유발하는 대기 중의 가스상 물질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이산화탄소
2.
메탄
3.
아산화질소
4.
수소
정답 : [
4
] 정답률 : 87%
37.
대장균(E. coli)과 같이 소수의 세균을 영양분이 풍부한 실험실 배양배지에서 배양했을 때 처음 24시간 동안 관찰되는 생장곡선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직선증가 곡선
2.
J형 곡선
3.
S형 곡선
4.
R형 곡선
정답 : [
2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 J 자형 곡선 -. 환경저항이 존재하지 않는 이상적인 환경에서 개체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하는 상태 -. 적합 : 수명(짧은 생활사), 크기(작음), 천이단계(천이 초기종)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38.
일반적으로 중독시 Hunter-Russel증후군으로 일컬어지고 있으며, 사지 감각이상, 구음장애, 청력장애, 구심성 시야흡착, 소뇌성 운동실조 등의 증상을 수반하는 오염물질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카드뮴
2.
납
3.
메틸수은
4.
비소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 메틸수은 -. 헌터 러셀 증후군으로 일컸는다 -. 메틸수은은 수은과 메틸기(-CH3)가 결합한 유기수은 화합물로, 생물농축과 독성 때문에 환경 및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39.
A군집에는 5종이 서식하며, 각각 96개체, 1개체, 1개체, 1개체, 1개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B군집에는 5종이 석식하며, 각각 20개체씩으로 이루어져 있을 경우, 두 군집의 종풍부도와 종다양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두 군집의 종풍부도는 동일하며, 종 다양성은 B군집이 크다.
2.
두 군집의 종풍부도와 종다양성은 모두 동일하다.
3.
종풍부도는 B군집이 크고, 군집의 종다양성은 동일하다.
4.
B군집이 종풍부도와 종다양성에서 모두 크다.
정답 : [
1
] 정답률 : 72%
40.
물에 난용성이므로 수용성 가스와는 달리 강우에 의한 영향을 거의 받지 않을 뿐 아니라, 다른 물질의 흡착현상도 나타내지 않으며, 유해한 화학반응도 거의 일으키지 않는 오염물질은?
1.
SO2
2.
CO
3.
H2S
4.
NH3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CO: 일산화탄소 [해설작성자 : isp]
3과목 : 형태학
41.
다음은 오래된 줄기의 목재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환재
2.
심재
3.
추재
4.
춘재
정답 : [
2
] 정답률 : 91%
42.
일정한 기능을 가진 세포가 집단을 이루고 있는 것을 조직(Tissue)이라고 하며 동물조직은 4가지 기본조직(Primary Basic Tissue)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기본조직 4가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지지조직
2.
상피조직
3.
근육조직
4.
신경조직
정답 : [
1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상피, 결합, 근육, 신경 조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3.
다음 설명하는 기관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pharynx
2.
anus
3.
pancreas
4.
vill
정답 : [
1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pharynx - 인두 anus - 항문 pancreas - 췌장 vill l [해설작성자 : 히어리]
44.
배(embryo)에서 장차 줄기나 잎으로 발달하게 될 부분은?
1.
하배축(hypocotyl)
2.
상배축(epicotyl)
3.
유근(radicle)
4.
근초(coleorhiza)
정답 : [
2
] 정답률 : 69%
45.
다음 중 현화식물의 자성배우자체(female gametophyte)인 것은?
1.
밑씨
2.
꽃가루관
3.
7개의 세포(8핵)로 된 배낭
4.
2 또는 3개의 세포로된 꽃가루
정답 : [
3
] 정답률 : 75%
46.
과피(果皮, pericarp)는 다음 중 어느 부분이 발달된 것인가?
1.
꽃잎(petal)
2.
꽃받침(sepal)
3.
씨방벽(ovary wall)
4.
밑씨(ovule)
정답 : [
3
] 정답률 : 86%
47.
건생식물의 잎에 대한 설명중 옳지 않은 것은?
1.
증산을 감소시키기 위해 잎의 크기는 작아진다.
2.
공변세포는 주변 표피세포보다 돌출되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다.
3.
모용과 다육성 저수조직이 발달하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다.
4.
표면의 각피층과 납질층이 비후되는 경향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84%
48.
동물의 소화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소장의 내벽은 융모와 미세융모를 통해 표면적을 넓힌다.
2.
대장의 주 기능은 물과 무기염류의 흡수이다.
3.
일반적으로 초식성 동물은 육식성 동물보다 몸체에 비해 소화관이 짧다.
4.
간은 쓸개즙을 생성하고, 이자는 소화효소와 중탄산염이 풍부한 알칼리성 액체를 생산해낸다.
정답 : [
3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 장은 음식이 내장에서 부패하기 전에 내보내야 해서 육식성 동물이 초식성 동물보다 짧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49.
어떤 식물의 겨울눈은 여러장의 비늘 잎으로 싸여 있다. 비늘잎은 주로 무엇을 보호하기 위한 것인가?
1.
액포(vacuole)
2.
배(embryo)
3.
측재분열조직(lateral meristem)
4.
정단분열조직(apical meristem)
정답 : [
4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 정단분열조직 식물의 생장점(줄기, 뿌리 끝)에 위치한 세포 분열 조직으로, 식물의 길이 생장(1차 생장)을 담당한다 이 조직은 분화되지 않은 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잎, 뿌리, 줄기 등 주요 기관을 형성한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50.
척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간은 꼬리부분인 미추에 따라 한 두 개의 차이는 있지만 보통 15개의 척추가 있다.
2.
인간은 유합된 척추를 제외한 모든 척추는 추간원판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는데 추간원판은 수많은 콜라겐 섬유를 포함하는 연골이다.
3.
인간의 척주는 지지체로서의 역할 이외에도 척수를 보호하는 일을 한다.
4.
인간은 12쌍의 갈비뼈를 가지는데, 이들은 모두 흉추와 관절을 이루고 있지만 모든 갈비뼈들이 가슴뼈와 직접 연결되어 있지는 않다.
<문제 해설> * 중복수정 : 중복수정은 속씨식물(피자식물)에서 발생하는 독특한 수정 과정으로, 두 개의 정핵이 각각 난세포와 극핵과 결합해 배와 배젖을 형성하는 현상이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52.
다음 중 잎에서 광합성이 일어나는 조직은?
1.
해면조직
2.
표피조직
3.
후각조직
4.
후벽조직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 해면조직 : 해면조직은 식물 잎의 기본조직 중 하나로, 울타리조직(책상조직) 아래에 위치하며 광합성과 기체 교환을 담당한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 해면조직 : 해면조직은 식물 잎의 기본조직 중 하나로, 울타리조직(책상조직) 아래에 위치하며 광합성과 기체 교환을 담당한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53.
다음 중 극피동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몸은 방사대칭이고 장체강동물이다.
2.
소화계는 완전하고 항문이 없는 종도 있다.
3.
대부분이 암수한몸이고, 체내수정을 한다.
4.
배설기관이 없다.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3.암수 딴몸이고 유성생식한다. [해설작성자 : 열공줌마]
* 극피동물 -. 극피동물은 바다에 서식하는 동물문으로, 성게·불가사리·해삼 등이 포함된다. -. 이들은 방사대칭 구조를 가지며, 체표에 관족(觀足)이라는 투명한 관을 통해 섭식·이동·감각 기능을 수행한다 -. 대부분이 암수딴몸이고, 체외수정을 한다 -. 머리, 뇌, 배설기관이 없으며, 관족과 연결된 수관계를 가진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54.
아래 그림과 같은 줄기의 형태는?
1.
엽상경(cladophyll)
2.
구경(corm)
3.
괴경(tuber)
4.
지하경(rhizome)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 알줄기(구경,球莖) : 녹말을 저장하기 위해 둥글게 발달한 땅속줄기를 말한다.(토란,양파,글라디올러스) * 덩이줄기(괴경) : 감자, 튤립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55.
다음과 같은 엽맥의 종류는?
1.
차상맥
2.
장상맥
3.
평행맥
4.
우상맥
정답 : [
2
] 정답률 : 87%
56.
다음 동물의 뇌 중 상대적으로 후각엽(Olfactory lobes)이 큰 것은?
1.
상어
2.
개구리
3.
악어
4.
닭
정답 : [
1
] 정답률 : 88%
57.
유기영양물질을 포함하는 용질의 이동과 거리가 먼 것은?
1.
반세포(companion cells)
2.
물관세포(vessel elements)
3.
체관요소(sieve elements)
4.
체관부유조직(phloem parenchyma)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 반세포 -. 식물의 체관에 붙어 있으면서 체관 세포의 활동을 조절하는 세포. -. 한 개의 세포가 둘로 나누어져 생긴, 반쪽의 세포. * 물관 : 죽은 세포로 물 통로 역할을 한다 * 체관 : 살아있는 세포로 유기양분을 이동 시킨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58.
다음 중 조류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피부는 얇고 땀샘이 없다.
2.
몸은 표피성 깃털로 덮여 있다.
3.
발은 보통 5개의 발가락을 가진다.
4.
다리에 비늘이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 일반적인 조류들은 앞 세 가락, 뒤 한 가락해서 네개의 발가락이 있다 * 조류는 다리에 비늘이 있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59.
다음중 경골어류에 있는 유체기관으로 평형을 유지하고 물속에서 움직이지 않고 머물수 있게 해주는 기관은?
산림의 가장자리에서는 바람이 강해지고 습도가 낮아져 산불이 일어날 가능성이 증가하게 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82%
73.
온실효과에 의한 기후변화는 종다양성을 급격히 감소시킬 것이라는 우려가 있는데 다음 중 그 이유를 설명한 것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대부분의 생물은 현재의 서식지에 적응하여 기후가 변할 경우 이에 견디다가 결국에는 죽게 된다.
2.
기후변화의 속도에 비하여 돌연변이가 일어나는 속도가 훨씬 느리다.
3.
해수면이 상승하게 되면 저지대에 살던 생물은 서식지를 모두 잃게 된다.
4.
갑작스런 기후변화가 일어날 경우 제한된 분포범위나 분산 능력이 약한 종은 적당한 서식처를 쉽게 찾지 못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0%
74.
다음은 생물다양성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delta diversity
2.
gamma diversity
3.
beta diversity
4.
alpha diversity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 감마 다양성 : 지역의 종다양성.(어떤 종들이 지리적으로 다른 지역에서 같은 종류의 서식처를 만날 확률) * 알파 다양성 : 단일군집 내의 종수 * 베타 다양성 : 지역내에서의 군락 다양성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75.
자연적 멸종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대규모의 절멸(mass extinction)은 폐름기(Permian)에 일어났다.
2.
예상치 못한 급격한 대재앙이 지구상에서 일어났을 때 자연적 멸종은 저속화, 소량화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3.
모든 지질학적 연대기를 통해 나타난 멸종의 정도는 거의 일정하다.
4.
대절멸과 같은 사건이 일어나지 않으면 생물종의 멸종은 일어나지 않는다.
정답 : [
1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 폐름기 : 폐름기의 대멸종은 약 2억 5천만 년 전에 지구상의 생물의 대부분이 멸종한 역사상 최악의 사건이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76.
생태적 다양성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자원이 다양해지면 그 곳에 사는 생물도 다양해진다.
2.
일반적으로 생산성이 낮은 지역보다는 높은 지역에서 많은 종들이 공존할 수 있다.
3.
기후가 안정되고 변화를 예견할 수 있는 지역에서는 그렇지 못한 지역보다 많은 종이 공존한다.
4.
두 생태계가 인접하고 있는 지역인 추이대(ecotone)에는 종 다양성이 감소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4. 두 생태계가 인접하고 있는 지역인 추이대(ecotone)에는 종 다양성이 높게 나타난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77.
국제자연보전연맹-세계보전연맹이 구분한 보존대상종 중 흔히 제한된 지리적 분포나 낮은 개체군 밀도로 인하여 개체수가 작은 종으로 당장은 위험에 직면하지 않겠지만 개체수의 부족으로 위험종이 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1.
Vulnerable
2.
Rare
3.
Endangered
4.
Extinct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Rare : 희귀종 [해설작성자 : 꽁네로]
78.
다음 중 멸종되기 쉬운 종에 속하는 범주가 아닌 것은?
1.
몸체가 작은 종
2.
개체군의 크기가 감소하고 있는 종
3.
지리적 분포 범위가 좁은 종
4.
유전적 변이가 낮은 종
정답 : [
1
] 정답률 : 89%
79.
야생종을 위한 표본추출전략 중 종의 수준에서 수집의 우선 순위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개체군과 개체의 수가 빠르게 감소하고 있는 종
2.
자연적으로 재도입될 수 있는 종
3.
진화적 및 분류학적으로 유일한 종
4.
현지에서의 보전이 불가능한 종
정답 : [
4
] 정답률 : 61%
80.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보호 우선순위 설정 기준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도입성( invasiveness)
2.
위험성( endangerment)
3.
유용성( utility)
4.
차별성( distinctiveness)
정답 : [
1
] 정답률 : 71%
81.
다음 중 습지보전법의 목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습지의 효율적 보전∙관리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한다.
2.
습지오염에 따른 국민건강의 위해를 예방하고, 습지개발을 통하여 국민으로 하여금 그 혜택을 널리 향유할 수 있도록 한다.
3.
습지에 관한 국제협약의 취지를 반영하고 국제협력의 증진에 이바지 한다.
4.
습지와 그 생물다양성의 보전을 도모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4%
82.
국토기본법령상 중앙행정기관의 장 및 시∙도지사가 수립하는 국토종합계획 실행을 위한 소관별 실천계획은 몇 년 단위로 작성하는가?
1.
1년
2.
3년
3.
5년
4.
10년
정답 : [
3
] 정답률 : 74%
83.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시행규칙상 경계표석의 규격 및 설치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표석의 재룔는 강화플라스틱(FRP)으로 하고, 표석의 색은 녹색으로 한다.
2.
"개발제한구역" 이라는 그씨는 양각 후 도색마감(흰색)하고, 번호( 검은색 )는 구리 압출마감으로 부착한다.
3.
강화플라스틱과 콘크리트로 된 기초가 일체가 되도록 설치한다.
4.
글자체: 고딕체, 글자색: 녹색(Pantone 370C), 흰색(White 100%), 검은색(Black 100%)으로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 표석의 재료는 강화플라스틱(FRP)으로 하고, 표석의 색은 녹색으로 한다. 2. "개발제한구역"이라는 글씨는 음각 후 도색마감(흰색)을 하고, 번호(검은색)는 알 루미늄 압출마감으로 붙인다. 3. 강화플라스틱과 콘크리트로 된 기초가 일체가 되도록 설치한다. 4. 글자체: 고딕체, 글자색: 녹색(Pantone 370C), 흰색(White 100%), 검은색(Black 100%) [해설작성자 : 수지]
84.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도시∙군관리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시∙군관리계획을 입안하는 경우 입안을 위한 기초조사의 내용에 도시∙군관리계획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환경성검토를 포함하여야 한다.
2.
도시∙군관리계획의 수립기준, 도시∙군관리계획도서 및 계획설명서의 작성기준∙작성방법 등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토해양부장관이 정한다.
3.
도시∙군관리계획 결정은 고시가 된 날부터 10일 후에 그 효력이 발생한다.
4.
특별시장∙광역시장 등은 5년마다 관할구역의 도시∙군 관리계획에 대하여 타당성 여부를 재검토하여 정비하여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 2024. 8. 7.] [법률 제20234호, 2024. 2. 6., 일부개정]
제31조(도시ㆍ군관리계획 결정의 효력) ① 도시ㆍ군관리계획 결정의 효력은 제32조제4항에 따라 지형도면을 고시한 날부터 발생한다. <개정 2013. 7. 16.>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85.
농지법규상 실습지 등으로 농지를 소유할 수 있는 공공단체 등의 범위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농약관리법⌟에 따라 등록을 한 농약의 제조업자∙수입업자 및 그 단체
2.
⌜전통음식보존법⌟에 따라 지정∙등록된 한국전통음식 연구원
3.
⌜농업기계화촉진법⌟에 따른 농업기계를 생산하는 자 및 그 단체
4.
⌜종자산업법⌟에 따라 등록을 한 종자사업자 및 그 단체
정답 : [
2
] 정답률 : 78%
86.
환경정책기본법령상 도시지역 중 녹지지역의 밤시간대(22:00~06:00) 소음환경기준은? (단, 일반지역을 대상으로 하며, 단위는 Leq dB(A))
야생동∙식물보호법상 덫∙창애∙올무 그 밖에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야생동물을 포획하는 도구를 제작∙판매∙소지 또는 보관한 자에 대한 벌칙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학술연구, 관람∙전시, 유해야생동물의 포획 등 환경부령이 정하는 경우는 제외)(2022년 12월 01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
1.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5백만원 이하의 벌금
2.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3.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4.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70조(벌칙)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3. 7. 16., 2014. 3. 24., 2016. 1. 27., 2017. 12. 12., 2019. 11. 26., 2021. 5. 18., 2022. 12. 13.> 1. 삭제 <2017. 12. 12.> 3. 제10조를 위반하여 덫, 창애, 올무 또는 그 밖에 야생동물을 포획하는 도구를 제작ㆍ판매ㆍ소지 또는 보관한 자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93.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보전에 관한 특별법 시행규칙상 특정도서에서의 행위허가신청서 작성 시 구비해야 할 서류목록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행위 대상지역의 범위 및 면적을 표시한 축적 2만 5천분의 1 이상의 도면 1부
2.
당해 지역의 주민 의견을 수렴한 동의서 1부
3.
당해 지역의 토지 또는 해역이용계획 등을 기재한 서류 1부
4.
당해 행위로 인하여 자연환경에 미치는 영향예측 및 방지대책을 기재한 서류1부
정답 : [
2
] 정답률 : 83%
94.
다음은 자연환경보전법령상 생태∙경관보전지역 지정에 사용하는 지형도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축척 5천분의 1
2.
축척 2만 5천분의 1
3.
축척 5만분의 1
4.
축척 10만분의 1
정답 : [
1
] 정답률 : 50%
95.
습지보전법상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고시된 습지를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의한 면허없이 매립한 자에 대한 벌칙기준은?(2014년 03월 24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
1.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
2.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3.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4.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5백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습지보전법> 제23조(벌칙)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ㆍ고시된 습지를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른 면허 없이 매립한 사람은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6. 1. 27.> [전문개정 2014. 3. 24.]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96.
농지법규상 농지전용허가신청서에 첨부하여야 할 서류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전용예정구역이 표시된 지적도 등본 또는 임야도 등본과 지형도
2.
전용면적, 시설물의 활용계획 등을 명시한 농지전용신고서
3.
해당농지의 전용이 농지개량시설 또는 도로의 폐지 및 변경이나 토사의 유출, 폐수의 배출, 악취의 발생 등을 수반하여 인근 농지의 농업경영과 농어촌 생활환경의 유지에 피해가 예상되는 경우에는 대체시설의 설치 등 피해방지계획서
4.
전용하려는 농지의 소유권을 입증하는 서류(토지등기부등본으로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 한정한다) 또는 사용승낙서∙사용승낙의 뜻이 기재된 매매계약서 등 사용권을 가지고 있음을 입증하는 서류
정답 : [
2
] 정답률 : 67%
97.
다음 중 국토기본법상 중앙행정기관의 장 또는 지방자치 단체의 장이 지역특성에 맞는 정비나 개발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 수립하는 지역계획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단, 그 밖의 다른 법률에 의하여 수립하는 지역계획 등은 고려하지 않음)
1.
특정지역을 대상으로 경제∙사회∙문화∙관광 등을 전략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하여 수립하는 개발계획
2.
광역시와 그 주변지역, 산업단지와 그 배후지역 또는 여러 도시가 서로 인접하여 같은 생활권을 이루고 있는 지역 등을 광역적∙체계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계획
3.
환경오염과 환경훼손을 예방하고 환경을 적정하고 지속 가능하게 보전시키기 위해 자연환경 보전 대상지역을 중심으로 한 자연환경 보전개발계획
4.
다른 지역에 비하여 개발수준이나 소득기반이 현저히 열악한 낙후지역의 개발을 촉진하기 위하여 수립하는 계획
정답 : [
3
] 정답률 : 46%
98.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시설보호지구를 세분한 것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항만시설보호지구
2.
주거시설보호지구
3.
학교시설보호지구
4.
공용시설보호지구
정답 : [
2
] 정답률 : 66%
99.
환경 정책기본법령상 하천의 수질 및 수생태계 환경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사람의 건강보호기준이며, 단위는 mg/L)
1.
음이온계면활성제(ABS) : 0.5 이하
2.
벤젠 : 0.05 이하
3.
클로로포름 : 0.08 이하
4.
테트라클로로에틸렌(PCE) : 0.04 이하
정답 : [
2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벤젠은 0.01이하 [해설작성자 : boyoon]
100.
다음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서 용도지역 중 주거지역의 세분사항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① 제2종전용주거지역, ② 제3종일반주거지역
2.
① 제3종일반주거지역, ② 제2종전용주거지역
3.
① 제3종전용주거지역, ② 제2종일반주거지역
4.
① 제2종일반주거지역, ② 제3종전용주거지역
정답 : [
2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제30조(용도지역의 세분) ① 국토교통부장관, 시ㆍ도지사 또는 대도시의 시장(이하 “대도시 시장”이라 한다)은 법 제36조제2항에 따라 도시ㆍ군관리계획결정으로 주거지역ㆍ상업지역ㆍ공업지역 및 녹지지역을 다음 각 호와 같이 세분하여 지정할 수 있다. <개정 2008. 2. 29., 2009. 8. 5., 2012. 4. 10., 2013. 3. 23., 2014. 1. 14., 2019. 8. 6.>
1. 주거지역 가. 전용주거지역 : 양호한 주거환경을 보호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역 (1) 제1종전용주거지역 : 단독주택 중심의 양호한 주거환경을 보호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역 (2) 제2종전용주거지역 : 공동주택 중심의 양호한 주거환경을 보호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역
나. 일반주거지역 : 편리한 주거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역 (1) 제1종일반주거지역 : 저층주택을 중심으로 편리한 주거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역 (2) 제2종일반주거지역 : 중층주택을 중심으로 편리한 주거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역 (3) 제3종일반주거지역 : 중고층주택을 중심으로 편리한 주거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역 다. 준주거지역 : 주거기능을 위주로 이를 지원하는 일부 상업기능 및 업무기능을 보완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역 2. 상업지역 3. 공업지역 4. 녹지지역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③
②
④
②
③
①
①
③
①
②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②
④
②
④
③
①
②
④
②
④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①
④
④
①
①
③
④
③
③
③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①
③
①
②
①
④
②
③
①
②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②
①
①
②
③
③
②
③
④
①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③
①
③
②
②
①
②
③
①
②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③
①
①
②
③
①
①
②
②
②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②
②
④
②
①
④
②
①
④
①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②
③
②
③
②
①
③
①
③
③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④
②
②
①
②
②
③
②
②
②
생물분류기사(식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5월20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