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 양치식물 -. 양치식물은 포자로 번식하며 뿌리, 줄기, 잎을 가지고 있는 유관속식물 중에서 가장 오래되고 원시적인 식물이다 -. 고사리과, 쇠뜨기과, 실내 재배용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고사리가 대표적임)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2.
구과식물 중 소나무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주로 교목 또는 관목이다.
2.
씨에 육질종피가 발달하여 전체를 둘러싼다.
3.
잎은 단엽이거나 또는 2, 3, 5개가 속생하는 침엽이다.
4.
소포자엽의 배축면에 소포자낭 또는 화분낭이 달려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77%
3.
계통학의 분석방법 중 “조상과 후손의 계통적 관계로서 각 후손으로부터 공동조상까지의 유연관계를 나타내는 방법론”에 해당하는 것은?
1.
전형질 분석
2.
분계 분석
3.
수리질 분석
4.
생식적 분석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분계적 방법(cladistics) _.공통 조상으로부터 후손들까지 종분화되는 형질의 분지 경로(branching sequence)에 의거한 유연관계 -.가상적이던 실제적이든 간에 조상과 후손 분류 간의 형질의 분지 패턴을 추적하는 방법 (점점 더 각광받아 가고 있음) [해설작성자 : 어쩌더서울촌놈]
4.
진드기목(응애목)은 절지동물문의 어느 강에 해당하는가?
1.
거미강
2.
배각강
3.
갑각강
4.
곤충강
정답 : [
1
] 정답률 : 81%
5.
분류의 단계(카테고리)가 큰 것에서부터 작은 것으로 옳게 나열된 것은?
1.
계 – 강 - 종 - 속
2.
과 - 목 – 속 - 종
3.
강 - 목 - 과 - 속
4.
문 – 목 – 강 - 과
정답 : [
3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계 - 문 - 강 - 목 - 과 - 속 - 종 [해설작성자 : 도오트]
6.
가래아강(택사아강, Alismatidae)의 특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꽃은 대개 이생심피이다.
2.
화분은 항상 1핵성이다.
3.
자방이 하위이다.
4.
유관속계는 목질화 되어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 심피 : 꽃의 암술을 만드는 구성요소로 잎의 변형의 하나이다 * 심피가 떨어져 있으면 이생심피(단자예), 융합하여 붙어 있으면 합성심피(복자예) 이 정도 난이도는 분류학 박사보다도 위급. 너무 어렵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7.
학명(scientific name)과 비교하여 지방명(local name)의 장점인 것은?
1.
국제적으로 인식된다.
2.
단 하나씩이므로 안정성과 정확성을 기하기 쉽다.
3.
생물학적으로 이용성이 많다.
4.
기억하기 편리하고 익숙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87%
8.
남조류(cyanobacteria)는 다음 중 어느 생물에 해당하는가?
1.
원핵생물(Monera)
2.
원생생물(Protista)
3.
균류(Fungi)
4.
동물(Animalia)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남조류 : 원핵생물에 속하며 세균과 조류의 중간에 위치하고 광합성을 하는 미생물이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9.
다음 중 화분을 설명하는 용어와 거리가 먼 것은?
1.
적도면
2.
향축면
3.
극축
4.
발아구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잎이 벋어 나올때 줄기 쪽을 향해서 있는 면. 보통의 잎의 앞면 또는 윗면을 향축면이라 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화분(pollen) -. 종자식물 수술의 꽃밥 안에서 만들어지는 가루 형태의 배우체인 꽃가루를 말한다 -. 화분의 구조 : 극축면(극축),적도면,화분립의 발아구 문제의 난이도가 극상입니다. 너무 어렵다 *향축면 : 잎에 관한 용어이다. 대부분의 잎몸은 상면(향축면)과 하면으로 이루어진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10.
모든 단세포생물들을 포함하기 위해 새로운 계인 원생생물을 제안하여 생물을 원생생물(모네라 포함), 식물, 동물의 3군으로 나누고 이것들을 모네라에서 갈라져 나온 것으로 표시한 학자는?
1.
Haeckel
2.
Whittaker
3.
Aristotle
4.
Hickman
정답 : [
1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헤켈 : 3계 분류 체계 정립 휘태커 : 5계 분류 체계 정립 우즈 : 3역 6계 분류 체계 정립(고세균 처음 제안) [해설작성자 : 시리우스베인]
11.
선형동물의 특징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몸은 좌우대칭이며 원통모양이다.
2.
체표에는 섬모가 발달하였다.
3.
유체골격으로 몸을 지지한다.
4.
대부분 암수딴몸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섬모= 윤형동물 [해설작성자 : Susia]
2번의 설명은 중생동물입니다. [해설작성자 : 갱얼쥐]
12.
일반적으로 피자식물의 주요 형질 진화방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방상위에서 자방하위로 진화했다.
2.
배유가 없는 데서 있는 데로 진화했다.
3.
망상맥에서 평행맥으로 진화했다.
4.
다년생에서 일년생으로 진화했다.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 피자식물에 대해 이해하기 피자식물은 속씨식물로, 종자가 씨방에 둘러싸여 있는 특징을 가집니다. 이는 나자식물(겉씨식물)과 구분되는 핵심 차이입니다. <주요 특징> *구조적 특징 -.종자가 씨방에 보호되어 있으며, 꽃이 피고 수정 후 과실로 발달합니다. -.잎은 활엽(넓은 잎)이며, 망상맥(그물 모양의 잎맥)을 가집니다. *분류 -.쌍자엽식물(예: 사과나무,백합)과 단자엽식물(예: 벼,옥수수)로 나뉩니다. *가도관 존재 여부 -.피자식물은 물관(수분 이동)과 체관(탄수화물 이동)을 모두 가진 유관속을 발달시킵니다. -.따라서 가도관(헛물관)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13.
다음 식물 중 분열과를 갖고 있지 않는 것은?
1.
꿀풀
2.
꽃마리
3.
현호색
4.
미나리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현호색의 열매는 삭과, 납작한 방추형을 하고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거북왕]
*분열과 : 으름,미나리아재빗과,꿀풀과 식물의 열매처럼 하나의 꽃에서 여러 개의 열매가 맺히는 것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14.
아래 계통수에서 단계통군(monophyletic group)이 아닌 것은?
1.
(F, G)
2.
(F, G, H, I, J, K)
3.
(K, J, I, H)
4.
(B, C, D, E)
정답 : [
4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단계통군 -.계통군(系統群, 영어: clade)은 같은 공통의 선조로부터 진화한 생물군(단계통군)을 말하며, -.단일 계통군(monophyletic group) 또는 분지군(分枝群) 또는 자연 계통군(natural group)이라고도 한다. -.설치류나 곤충처럼 대부분의 생물 분류군은 계통군이나, 원숭이나 도마뱀처럼 계통군이 아닌 경우도 있다 기사시험으로는 너무 어렵습니다.(이해가 안되면 답만 암기 要望)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15.
다음 중 생태적 변이(ecological variation)가 아닌 것은?
1.
사고 및 기형적 변이
2.
숙주에 따른 변이
3.
일시적 기후조건에 따른 변이
4.
서식처에 따른 변이
정답 : [
1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생태적 변이-서식처에 따른 변이, 일시적 기후조건에 따른 변이, 숙주에 의한 변이, 신경원성 색 변이 서식밀도에 따른 변이, 비비례생장에 따른 변이 [해설작성자 : 히어리]
16.
다음은 분류학적 형질에 관한 설명이다. ( ) 안에 공통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생리적
2.
생태적
3.
형태적
4.
행동적
정답 : [
2
] 정답률 : 86%
17.
국제식물명명규약에서 규정한 과(family)의 문법적 어미는 어느 것인가?
1.
-opsida
2.
-ales
3.
-aceae
4.
-alnus
정답 : [
3
] 정답률 : 75%
18.
식물과와 수술의 특징이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국화과-취약웅예
2.
아욱과-단체웅예
3.
콩과(콩아과)-양체웅예
4.
꿀풀과-돌기웅예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꿀풀과-2강웅예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9.
다음 척추동물 중 턱이 없는 동물은?
1.
도롱뇽
2.
칠성장어
3.
귀상어
4.
철갑상어
정답 : [
2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칠성장어: 7쌍의 아가미 구멍이 몸옆에 있어 붙여진 이름/척삭동물문-칠성장어과. 주둥이 구조가 빨판형태로 되어 있음 [해설작성자 : 열공줌마]
20.
식물분류계급에 따른 학명의 어미 중 아계(亞界)에 해당하는 것은?
1.
-aceae
2.
-bionta
3.
-opsida
4.
-ales
정답 : [
2
] 정답률 : 64%
2과목 : 환경생태학
21.
호수의 수질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호수의 3가지층 중 표수층과 심수층 사이의 수온약층은 통상 1m당 0.1℃의 수온 차이를 나타낸다.
2.
여름의 성층현상은 겨울보다 강력한데 단지 몇 ℃의 수온차이만으로 혼합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
3.
호수의 물은 물의 밀도특성과 낮은 열전도율로 인해 봄에는 혼합, 여름에는 성층, 가을에는 혼합, 겨울에는 성층현상으로 하천과는 달리 다양한 변화를 갖는다.
4.
여름철 성층현상은 봄철의 기상조건에 의해 달라지는데 봄철 기온이 높고 바람이 약할 경우 성층이 늦게 이루어진다.
정답 : [
1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표수층-수온약층-심수층 수온약층: 깊이에 따라 수온이 급격하게 변하는 층, 수심 1m에 3℃~10℃이상 차이 [해설작성자 : swim]
*성층현상 : (여름,겨울철은 수심에 따른 온도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물의 밀도차로 호소에서 여러 개의 층이 분리되는 현상) 물의 경우 약 4℃에서 밀도가 가장 높아지며, 밀도가 높아진 물은 아래로 가라앉게 된다. 호소의 성층화는 수심에 따른 온도변화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데, 호소에서 온도의 안정화로 수직방향의 물 운동이 없다면 상부의 물과 하부의 물은 서로 이동 없이 매우 안정적으로 되고 성층화가 형성된다. 특히, 여름과 겨울에 호소의 수온은 뚜렷한 성층을 나타나게 된다. 성층화가 발생하게 되면, 호소 표면 부근에는 대류작용으로 수온이 거의 일정하게 되고, 그 밑으로는 온도가 급격하게 떨어지는 수온약층이 된다. 이 층에서 수온의 저하는 때로 심도 1m에 대해 약 3도씨 정도로 급격히 떨어진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22.
육상생태계의 천이과정을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1.
음수림-양수림-초본-관목림
2.
관목림-초본-음수림-양수림
3.
초본-관목림-양수림-음수림
4.
음수림-양수림-관목림-초본
정답 : [
3
] 정답률 : 88%
23.
다음 중 해양생물의 서식지로서 연안천해역(연안역: neritic)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조간대
2.
심해대
3.
상부천해대
4.
하부천해대
정답 : [
2
] 정답률 : 85%
24.
두 종이 상호작용하는데 있어, 한 종은 이익을 얻지만 다른 종은 이해관계가 없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경쟁(competition)
2.
상리공생(mutation)
3.
편리공생(commensalism)
4.
편해작용(amensalism)
정답 : [
3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상리공생 (相利共生, Mutualism) - 쌍방의 생물이 둘다 이 관계에서 서로 이익을 얻을 경우. *편리공생 (片利共生, Commensalism) - 한쪽만 이익을 얻고, 다른 한쪽은 아무 영향 없는 경우. *편해공생 (片害共生, Amensalism) - 한쪽만 피해를 입고, 다른 한쪽은 아무 영향 없는 경우.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25.
피식자의 종들이 위험하거나 맛이 없거나 또는 잡기 어려운 종들과 매우 흡사하거나, 속이기 위한 모델로서 어떤 종이 다른 종과 형태나 행동이 매우 흡사한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순응(accommodation)
2.
경계(vigilance)
3.
적응(adaptation)
4.
의태(mimicry)
정답 : [
4
] 정답률 : 89%
26.
유기체와 환경 간의 생지화학적 순환(biogeochemical cycle)의 기본 형태는 크게 기체형과 퇴적형(침전형)으로 나눌 수 있다. 다음 중 주로 퇴적형 순환으로 이루어진 것은?
1.
질소 순환
2.
인 순환
3.
황 순환
4.
탄소 순환
정답 : [
2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기체형 순환: 대기를 저장소로 이용 ex) 질소 퇴적형 순환: 토양을 저장소로 이용 ex) 인 [해설작성자 : swim]
다음 중 종 다양성이 낮아서 하나 또는 두 종이 넓은 단순림을 이루는 산림형태는 어느 것인가?
1.
열대 낙엽수림
2.
북방 침엽수림
3.
온대 낙엽수림
4.
온대 우림
정답 : [
2
] 정답률 : 83%
29.
지구에서 생물이 존재하는 부분을 일컫는 말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생물군계(biome)
2.
생물권(biosphere)
3.
환경(environment)
4.
군집(community)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 생물권 : 생물권은 지구상의 모든 생태계와 생물체를 포함하는 가장 큰 생물학적 단위로, 기권,수권,지권을 포괄합니다. 이는 생태학적 연구에서 가장 넓은 범위로, 생명체와 환경의 상호작용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데 사용됩니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30.
다음 중 점오염원(point source)과 거리가 먼 것은?
1.
가정하수
2.
공단폐수
3.
공장폐수
4.
농경지 유출수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 점오염원 : 점오염원은 특정 지점에서 명확한 배출 경로를 통해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오염원을 의미합니다. 주로 가정하수,공장폐수,축산폐수(축산농가) 등 인공적 활동으로 발생하며, 관로나 수로를 통해 집중적으로 배출됩니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31.
물에 난용성이므로 수용성 가스와는 달리 강우에 의한 영향을 거의 받지 않을 뿐 아니라, 다른 물질의 흡착현상도 나타내지 않으며, 유해한 화학반응도 거의 일으키지 않는 오염물질은?
1.
이황산가스
2.
일산화탄소
3.
황화수소
4.
암모니아
정답 : [
2
] 정답률 : 69%
32.
다음 토양수(水) 중 식물이 주로 이용하는 물은?
1.
중력수
2.
결합수
3.
모관수
4.
포장용수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 모관수 -. 토양 입자 사이의 공극에 존재하는 수분이다 -. 이 수분은 중력에 저항하여 토양 내에서 이동한다 -. 식물이 흡수할 수 있는 유효 수분이다 * 결합수 : 토양 내에서 화학적으로 결합된 수분이며, 식물이 흡수할 수 없다 * 중력수 : 토양에서 중력의 영향으로 배수되는 물이다.(주로 시설재배시 관수로 활용) (토양이 포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는 자유수이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33.
토양의 생성과정과 그 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소음
2.
기후
3.
시간
4.
인간의 활동
정답 : [
1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 토양의 생성과정 -.기후는 토양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특히 강수량과 기온의 영향이 크다 -.토양 형성은 여러 요인의 영향을 받는 복잡한 과정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양한 토양 유형이 발달하게 된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34.
산호초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일반적으로 하조대로부터 깊이 50m 정도까지 서식한다.
2.
산호초는 육지로부터 유입된 영양분이 풍부한 곳으로 한류의 영향을 받는 대륙의 서해안에서 주로 서식한다.
3.
산호초에서 실제 살아있는 부분은 얇은 표면뿐이며, 그 아래는 죽은 골격인 탄산칼슘으로 되어 있다.
4.
육지와 바다의 상대적인 관계에 따라 거초(fringing reef), 보초(barrier reef), 환초(atoll) 등으로 나눈다.
정답 : [
2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산호초(Coral reef): 산호에서 분비되는 탄산칼슘 구조에 의해 함께 결합된 수중 생태계 영양분이 거의 없는 바닷물에 둘러싸여 있음 [해설작성자 : swim]
35.
2종의 짚신벌레(Paramecium)를 동시배양할 때와 따로 배양할 때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 과정을 설명하는 법칙은?
1.
최소량의 법칙
2.
경쟁 배제의 법칙
3.
한계 효용의 법칙
4.
내성의 법칙
정답 : [
2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최소량의 법칙: 식물의 성장에서 여러 영양소가 아무리 풍부해도 그 중에 어느 한 가지가 최소량을 충족하지 못할 때 그 식물은 제대로 성장할 수 없다 -경쟁 배제의 법칙: 같은 생태적 지위를 차지하는 두 종은 분서를 제외하고 공존할 수 없다 -내성의 법칙: 생물이 지니고 있는, 환경 조건 변화에 견딜 수 있는 성질(또는 적응의 범위가 좁은 요소)이 그 생물의 생존을 제한한다 [해설작성자 : swim]
36.
산림토양과 경작토양에 관한 비교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자연성은 산림토양이 높고 경작토양이 낮다.
2.
생산성은 일반적으로 산림토양이 높고 경작토양이 낮다.
3.
양분공급은 산림토양은 자체 순환되나 경작토양은 외부의 공급을 받는다.
4.
하층토양의 중요성은 산림토양의 경우가 크다.
정답 : [
2
] 정답률 : 86%
37.
주어진 환경에서 무기한으로 지속할 수 있는 개체군(또는 종)의 최대 개체수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번식능력
2.
환경수용력
3.
한정요인
4.
독립요인
정답 : [
2
] 정답률 : 86%
38.
다음 중 1950년 멕시코의 공업지대인 포자리카에서 공장조작 중 누출된 오염물질로 인근마을에 누출되어 분지를 이룬 곳에서 기온역전으로 피해를 일으킨 주 오염물질에 해당하는 것은?
1.
다이옥신
2.
수은
3.
카드뮴
4.
황화수소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포자리카 사건 ●원인: 1950년 11월에 발생한 멕시코의 포자리카 대기오염사건은 부주의로 인하여 발생된 인재의 대표적인 사건이다. 이 사건은 천연가스에서 황화수소를 추출하여 황을 생산하는 공장에서 작업중 부주의로 인하여 황화수소가 다량 누출되어 공장주변의 주민에게 피해를 주었다. ●피해: 황화수소에 의한 호흡기 및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미쳤으며 급성 중독자는 320명이었고, 이중 22명이 사망하였다고 한다. [해설작성자 : swim]
39.
다음 중 일반적으로 우점도를 비교하는데 사용되는 지수로 각 종류에 대한 비를 제곱하여 합함으로써 산출되는 것은?
1.
알리(Allee) 지수
2.
심프슨(Simpson) 지수
3.
K-전략지수
4.
r-전략지수
정답 : [
2
] 정답률 : 77%
40.
다음 중 해수와 담수가 합해지는 지점에 형성되는 습지는?
1.
저층습지
2.
담수습지
3.
기수습지
4.
염습지
정답 : [
3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 기수습지 : 바다와 육지가 만나는 강어귀에 있는, 수심이 얕고 습하며 염분을 함유하고 있는 땅. 주변 생물에 서식지를 제공하고 홍수가 났을 때 유량을 조절하며 퇴적물과 오염 물질을 줄여 준다. * 담수습지 : 지표면이 담수로 덮인 생태 공간으로, 습기가 많고 축축한 땅. * 염습지 : 조석에 따라 바닷물이 드나들어 소금기의 변화가 큰 축축하고 습한 땅. 거머리말, 해조류 따위의 염생 식물이 서식한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
3과목 : 형태학
41.
척수(Spinal cord)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척수는 신경배가 형성될 때 신경관의 전단부, 즉 뇌가 형성될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로부터 발생된다.
딱총나무속, 갈매나무속 식물의 엽병에서 볼 수 있는 후각조직으로서, 세포벽 물질의 축적이 절선단면 벽에 균일하게 이루어져서 두꺼우며, 방사단면 벽은 절선단면 벽보다 얇게 비후되어 있는 것은?
1.
각우후각조직
2.
환상후각조직
3.
간극후각조직
4.
판상후각조직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각후후각조직 : 후각세포들에서 세포벽 물질이 주로 세포들이 만나는 모서리에 집적되어 두꺼워지는 것 -근대속, 무화과속, 베고니아속, 뽕나무속, 삼속, 포도속, 호박속, 감자속 판상후각조직 : 후각세포에서 세포벽 물질이 주로 접선면에 집적되어 두꺼워진 것 -코스모스속, 딱총나무속, 갈매나무속, 등골나무속, 머위속, 쑥속
간극후각조직 : 후각세포들의 세포벽 물질이 세포간극을 향한 쪽의 세포벽에 집적되어 두꺼워지는 것 -국화과, 살비아속, 아욱속, 접시꽃속 환상후각조직 : 조직의 횡단면에서 세포들의 내강이 둥근 모양으로 나타날 때 [해설작성자 : 합격기원]
44.
다음 ( ) 안에 알맞은 것은?
1.
㉠ 조류, ㉡ 식물극
2.
㉠ 조류, ㉡ 동물극
3.
㉠ 개구리, ㉡ 식물극
4.
㉠ 개구리, ㉡ 동물극
정답 : [
4
] 정답률 : 81%
45.
다음 중 8개의 단순한 판으로 구성된 패각을 갖는 연체동물은?
1.
삿갓조개
2.
달팽이
3.
군부
4.
앵무조개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군부 -.군부는 다판류 연체동물이다 -.몸은 타원형 이고 등족에 손톱 모양의 판(조가비)이 기왓장처럼 포개져 있다 -.등쪽의 판이 8개인 것이 특징 이고,조간대 암초지대의 바위나 돌에 붙어 산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46.
날개를 가지고 있는 곤충(유시류)들 중 고시류(Palaeoptera)에 속하는 것은?
1.
집게벌레목과 흰개미목
2.
딱정벌레목과 부채벌레목
3.
매미목과 메뚜기목
4.
하루살이목과 잠자리목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고시류: 날개는 있으나 날개를 접을 수 없는 곤충 (※신시류: 날개 접을 수 있음) ex) 하루사리, 잠자리 [해설작성자 : swim]
47.
해버스골공동계(Haversian system)[또는 골단위(osteon)]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치밀골(compact bone)을 구성하는 반복되는 구조 단위이다.
2.
적골수(red marrow)를 포함하고 있다.
3.
해면골로 되어 있다.
4.
죽어 있는 물질만을 포함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2%
48.
다음 중 힘줄과 인대를 구성하는 결합조직은?
1.
뼈
2.
연골
3.
성긴결합조직
4.
섬유성결합조직
정답 : [
4
] 정답률 : 76%
49.
다음 중 중축골격(axial skeleton)에 속하는 것은?
1.
상완골(humerus)
2.
슬개골(patella)
3.
가슴뼈(sternum)
4.
요대(pelvic girdle)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중축골격: 몸의 중앙선 (두개골, 가슴뼈 등) 부속지골격: 흉대, 요대의 뼈 및 이들과 연결된 사지(상완골 등) [해설작성자 : 혜동]
50.
시중에서 판매되는 둥굴레차는 식물의 어느 기관으로 만드는가?
1.
씨(seed)
2.
줄기(stem)
3.
잎(leaf)
4.
뿌리(root)
정답 : [
2
] 정답률 : 67%
51.
진딧물상과(上科)에 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유시형의 날개는 투명한 막상이며, 2쌍이다.
2.
다리는 가늘고 길며, 발목마디는 2마디이나, 가끔 첫 마디는 퇴화하였고, 1쌍의 발톱이 있다.
3.
진딧물은 남반구의 열대지방이 원산지인 것으로 보이며, 동일종은 계절이나 세대에 따라 형태가 같고, 종의 구분이 용이하다.
4.
정상적인 생식방법은 양성생식이나, 더운 지방에 사는 종 중에는 단위생식을 하거나 또는 세대교번을 하기도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6%
52.
다음과 같은 엽맥의 종류는?
1.
차상맥
2.
장상맥
3.
평행맥
4.
우상맥
정답 : [
2
] 정답률 : 86%
53.
다음 중 측근은 주로 어디에서 분화되는가?
1.
외피
2.
내초
3.
피층
4.
유관속 형성층
정답 : [
2
] 정답률 : 85%
54.
공변세포가 형성하는 구조는?
1.
상표피
2.
하표피
3.
기공
4.
해면조직
정답 : [
3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공변세포 -.기공 혹은 수공(물구멍)을 구성하는 1쌍의 세포 -.일반적으로 소시지 모양 이고, 개폐운동을 한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55.
인두와 기관을 이어주는 구조로 갑상연골, 피열연골, 윤상연골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 기관은?
1.
후두
2.
기관지
3.
아가미
4.
횡격막
정답 : [
1
] 정답률 : 67%
56.
하나의 마디에 3개 이상의 잎이 나는 잎차례(葉序)는?
1.
대생
2.
저생
3.
윤생
4.
호생
정답 : [
3
] 정답률 : 78%
57.
단자엽식물인 벼과식물의 씨와 열매 구조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씨 속의 배는 배반이라는 자엽에 의해 배유와 맞닿아 있다.
2.
벼과식물의 열매는 수과로서, 과피와 종피가 잘 구별되며 과피가 잘 벗겨진다.
3.
배유(배젖)는 주로 단백질과 지방을 함유하는 호분층으로 둘러싸여 있다.
4.
슈트 및 뿌리 정단부의 어린 눈(유아)과 어린 뿌리(유근)는 각각 자엽초 및 유근초로 덮여서 보호되어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볏과는 영과입니다. [해설작성자 : 물의숙면]
58.
피자식물의 중복수정 과정에 포함된 핵의 종류와 개수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2개의 정핵, 1개의 난핵, 2개의 극핵
2.
2개의 정핵, 2개의 난핵, 1개의 극핵
3.
2개의 정핵, 2개의 난핵, 2개의 극핵
4.
1개의 정핵, 2개의 난핵, 1개의 극핵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 중복수정 : 속씨식물에서 볼 수 있는 생식 과정으로, 수정 과정이 2번 일어나서 중복수정이라 불린다. 첫 번째 수정은 수술머리의 화분이 암술머리에 붙는 '수분'이 일어난다. 두 번째 수정은 화분관을 따라 배낭까지 도달한 2개의 정핵 중 하나가 난세포와 결합하여 수정란(2n)이 된 후 배(2n)가 되고, 다른 한 개의 정핵은 2개의 극핵과 결합하여 3n의 배젖이 되는 과정이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59.
다음 중 상피조직(epithelial tissue)으로 이루어져 있지 않은 것은?
1.
입의 내피
2.
혈액
3.
비강의 내피
4.
분비선을 덮고 있는 조직
정답 : [
2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혈액은 지지조직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혜동이]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혈액은 결합조직
60.
다음 동물의 뇌 중 상대적으로 후각엽(Olfactory lobes)이 큰 것은?
1.
shark(상어)
2.
frog(개구리)
3.
alligator(악어)
4.
chicken(닭)
정답 : [
1
] 정답률 : 82%
4과목 : 보존 및 자원생물학
61.
생물다양성의 감소 및 쇠퇴에 대응하여 발전을 이루어 온 보전생물학은 종합과학이다. 이러한 보전생물학의 중추를 이루는 학문 분야들로만 이루어진 것은?
1.
농학, 임학, 분류학
2.
임학, 분류학, 환경윤리학
3.
개체군생태학, 분류학, 유전학
4.
동물경영학, 어류학, 생태학
정답 : [
3
] 정답률 : 88%
62.
세계적으로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의 상업적인 국제거래를 규제하고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하여 1973년 워싱턴에서 채택된 협약은?
1.
WWF
2.
UNEP
3.
WCMC
4.
CITES
정답 : [
4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 국제보호동물협약(CITES) : 사이티즈 체결 -. 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의 국가간 교역에 관한 국제적 협약이다 -. 워싱턴에서 체결되었기 때문에 워싱턴 협약, 워싱턴 조약으로도 불리운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63.
멸종하기 쉬운 성질을 가진 종이 아닌 것은?
1.
한정된 지역에 서식하는 종, 단일 또는 적은 수의 개체군으로 구성된 종, 개체군의 크기가 작은 종
2.
개체군 크기가 축소되고 있는 종, 개체군 밀도가 낮은 종, 넓은 서식지가 필요한 종
3.
몸 크기가 큰 종, 분산 능력이 없는 종, 계절적으로 이동하는 종, 유전적 변이가 적은 종
4.
생태적 지위의 폭이 큰 종, 일반인의 관심이 적은 종, 조류의 경우 일반종
정답 : [
4
] 정답률 : 82%
64.
국내의 고유종과 희귀종 및 법적으로 보호가 필요한 종들을 보전하기 위한 보전활동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희귀한 생물이 살거나 민감한 군집이 있는 지역을 적극 개발하고, 생태 보전지의 생태학적 중재는 불필요하다.
2.
희귀하고 위태로운 종과 군집에 대한 보호와 연구를 한다.
3.
보전의 중요성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강화한다.
4.
기금 모금 및 제공 등은 보전활동에 기여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88%
65.
세계 각 지역으로 외래종이 도입된 주요 배경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식민지 개척을 위한 가축의 이동
2.
원예와 농업의 발달
3.
운송의 발달
4.
질병의 확산
정답 : [
4
] 정답률 : 85%
66.
다음 각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길드(guild) - 다른 동물에서 서로 다른 방법으로 환경자원을 이용하는 무리를 일컫음
2.
생태적 지위(ecological niche) - 생물이 생태계에서 차지하는 구조적, 기능적 역할을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개념
3.
지위유사종(synusia) - 군집에서 생활형이 같은 종의 무리
4.
주행성(dinurnal) - 낮에 활동하고 밤에는 자거나 활동하지 않는 종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길드(guild): 서로 다른 종이지만 유사한 방식으로 동일한 자원을 이용하는 생물의 무리. 즉, 서식지는 달라도 유사한 생태적 역할(예: 먹이 섭취 방식)을 수행하는 종들의 집합. ex) 꿀을 빠는 벌, 새, 박쥐는 모두 다른 종이지만 "꿀을 먹는 길드" [해설작성자 : ㅎㅎㅎ]
67.
보전생물학 이해를 위한 일반적인 가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생태적으로 복잡한 것이 좋다.
2.
진화는 이로운 현상이다.
3.
생물다양성은 본질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다.
4.
개체군과 생물종의 때아닌 절멸은 지극히 이로운 것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89%
68.
복원생태학에서 훼손된 생태계에 대한 접근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방치(no action)
2.
대체(replacement)
3.
회복(rehabilitation)
4.
개발(development)
정답 : [
4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개발은 훼손 생태계의 접근 방법이 아닌, 생태계의 훼손 원인이다. [해설작성자 : 거북왕]
69.
라이트(Wright)의 식을 이용하여 생식에 관여하는 개체수가 50인 개체군에서 희귀한 대립유전자의 소실로 인해 예상되는 세대당 이형접합율의 감소분은?
1.
0.1%
2.
0.5%
3.
1.0%
4.
5.0%
정답 : [
3
] 정답률 : 60%
70.
동물원에서 종을 보존하는데 있어서 현재의 지식으로는 인위적인 사육이 “무척추동물에서” 불가능한 이유를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사육에 엄청난 비용이 소모되기 때문
2.
생활주기가 복잡하여 생장 단계에 따라 먹이 습성과 생육에 요구되는 환경조건이 현저하게 다르기 때문
3.
생식률이 매우 낮기 때문
4.
체구가 매우 크거나 특수한 환경조건이 필요하기 때문
정답 : [
2
] 정답률 : 87%
71.
망그로브 생태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온대 지역의 염분이 높은 초지 생태계이다.
2.
새우나 어류의 산란과 서식장소가 된다.
3.
건축자재, 숯 등 목재 공급원이 된다.
4.
동남아시아의 망그로브 산림은 벼의 재배와 상업용 새우의 부화를 위한 벌채로 파괴되고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망그로브 : 열대와 아열대의 갯벌이나 하구에서 자라는 목본식물의 집단 [해설작성자 : 멜루아빠]
72.
다음은 대상종의 보전 범주에 관한 설명이다. (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희귀종
2.
지표종
3.
깃대종
4.
핵심종
정답 : [
1
] 정답률 : 89%
73.
과학자들이 동물원에서 한 종의 보존을 위한 사육방법을 결정하기 전에 검토하여야 할 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보호구역을 연결하는 생태통로는 동물의 보존에 필요한 방안이다. 다음 중 생태통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보호지역과 다른 보호지역 간의 분산과 이주를 가능하게 한다.
2.
야생동물이 서식처 및 배우자를 찾아가는데 도움을 준다.
3.
생태통로는 포식자를 피하는 장소로 활용되며, 해충과 질병의 확산방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4.
동물과 차량 간의 충돌을 감소시켜 인명과 재산을 구할 수도 있는 장점이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86%
76.
세계자연보호재단은 생물다양성은 많은 중요성을 내포하고 있다고 했는데, 다음 생물다양성의 가치 중 최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무엇인가?
1.
생태계의 유지와 지속성
2.
의약품의 제공
3.
교육적 가치
4.
과학적 가치
정답 : [
1
] 정답률 : 88%
77.
국가들은 유전적 다양성의 손실에 대한 대책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데, 이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려는 노력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정부, 법, 개인 차원에서 두루 노력하고 있다.
2.
선진국에서 행해지고 있는 최신화된 기계화 농업이 특히 주목받고 있다.
3.
유전자은행 설립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다.
4.
유전자원 확보와 이익 공유에 관한 국제지침을 마련하고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88%
78.
어떤 두 종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설명 중 두 개체군이 모두 이익을 얻으며, 서로 상호작용을 하지 않으면 생존하지 못하는 관계를 의미하는 용어는?
1.
편리공생(commensalism)
2.
항생(antibiosis)
3.
상리공생(mutualism)
4.
기생(parasitism)
정답 : [
3
] 정답률 : 88%
79.
지구상에서 발생한 대절멸(mass extinction) 사건 중 가장 거대한 절멸 사건으로 77~96% 정도로 추산되는 해양 동물종이 사라진 시기로 옳은 것은?
1.
5억년전 Ordovician기
2.
3억4천5백만년전 Devonian기
3.
2억5천만년전 Permian기
4.
1억8천만년전 Triassic기
정답 : [
3
] 정답률 : 81%
80.
생물다양성과 생물 군집의 보존을 위한 목적을 위해 가장 강력한 법적 조치로 일정한 곳을 보호지역을 지정하게 된다. 이러한 목적의 보호지역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1.
국립공원
2.
습지보호지역
3.
천연기념물 보호지역
4.
생태조각공원
정답 : [
4
] 정답률 : 86%
81.
습지보전법상 습지보전기본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단, 기타사항 등은 제외)
1.
습지보호지역 지정 · 해제에 관한 계획
2.
습지조사에 관한 사항
3.
습지보전을 위한 국제협력에 관한 사항
4.
습지의 분포 및 면적과 생물다양성의 현황에 관한 사항
정답 : [
1
] 정답률 : 64%
82.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상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표범
2.
금개구리
3.
장수하늘소
4.
크낙새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금개구리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해설작성자 : 립바무]
야생생물 I급은 표범, 장수하늘소, 크낙새 [해설작성자 : 거북왕]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2년 6월부터 금개구리도 I급으로 상향 조정 [해설작성자 : 공부하기싫다]
[오류신고 반론] 25년 기준 금개구리는 멸종위기종 2급 [해설작성자 : 도도]
83.
국토기본법상 국토종합계획은 얼마의 기간을 단위로 하여 수립하는가?
1.
2년
2.
5년
3.
10년
4.
20년
정답 : [
4
] 정답률 : 69%
84.
환경정책기본법상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환경상태 상시 조사 · 평가 항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단, 그 밖의 사항 등은 고려하지 않음)
1.
환경의 질의 변화
2.
환경오염 및 환경훼손 실태
3.
글로벌환경친화 전문인력 양성현황
4.
환경오염원 및 환경훼손 요인
정답 : [
3
] 정답률 : 89%
85.
자연환경보전법규상 생태계 변화 관찰의 대상 지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지역
2.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서식지 · 도래지
3.
외래종의 유입이 빈번하여 잦은 방제가 필요한 지역
4.
자연환경의 보전가치가 높은 지역
정답 : [
3
] 정답률 : 74%
86.
습지보전법상 “습지보호지역”의 지정 기준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자연 상태가 원시성을 유지하고 있거나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지역
2.
습지생태계의 보전 상태가 불량한 지역 중 인위적인 관리 등을 통하여 개선할 가치가 있는 지역
3.
특이한 경관적, 지형적 또는 지질학적 가치를 지닌 지역
4.
희귀하거나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이 서식하거나 나타나는 지역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 습지보호지역 : 「습지보전법」에 따라 환경부장관, 해양수산부장관 또는 시ㆍ도지사는 습지 중 특별히 보전할 가치가 있는 지역을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 습지보호지역 지정기준 -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특별히 보전할 가치가 있는 지역 ① 자연 상태가 원시성을 유지하고 있거나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지역 ② 희귀하거나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이 서식·도래하는 지역 ③ 특이한 경관적·지형적 또는 지질학적 가치를 지닌 지역
- 습지주변 관리지역: 습지보전법 제8조에 따라 지정된 습지보호지역의 주변지역 - 습지개선 지역 ① 습지보호지역 중 습지의 훼손이 심화되었거나 심화될 우려가 있는 지역 ① 습지생태계의 보전상태가 불량한 지역 중 인위적인 관리 등을 통하여 개선할 가치가 있는 지역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87.
자연환경보전법상 생태·경관보전지역 중 생태·경관완충보전구역의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의 훼손방지를 위하여 특별한 보호가 필요한 지역
2.
자연경관이 수려하여 특별히 보호하고자 하는 지역
3.
생태 · 경관핵심보전구역에 둘러싸인 취락지역으로서 지속가능한 보전과 이용을 위하여 필요한 지역
4.
생태 · 경관핵심보전구역의 연접지역으로서 생태 · 경관핵심보전구역의 보호를 위하여 필요한 지역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 생태 경관 완충 보전 구역 [生態景觀緩衝保全區域] 자연환경 보전법에 따라, 생태계의 구성과 작용이 파손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각별하게 보전하거나 자연 풍경이 수려하여 특별히 보존하고 유지하고자 하는 핵심 보전 구역과 맞닿은 지역. 생태 경관 핵심 보전 구역을 보호하는 데 필요한 지역이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88.
국토기본법상 국토계획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국토종합계획 : 국토 전역을 대상으로 하여 국토의 장기적인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종합계획
2.
도종합계획 : 도 또는 특별자치도의 관할구역을 대상으로 하여 해당 지역의 장기적인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종합계획
3.
시 · 군종합계획 : 특별시·광역시·시 또는 군(광역시의 군은 제외한다)의 관할구역을 대상으로 하여 해당 지역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장기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토지이용, 교통, 환경, 안전, 산업, 정보통신, 보건, 후생, 문화 등에 관하여 수립하는 계획으로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수립되는 도시·군 계획
4.
부문별계획 : 특정 지역을 대상으로 특별한 정책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립하는 계획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4. 부문별계획: 국토 전역을 대상으로 하여 특정 부문에 대한 장기적인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계획 [해설작성자 : 도담이방구]
89.
환경정책기본법령상 NO2의 대기환경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단위는 ppm)
1.
㉠:0.15 이하, ㉡:0.05 이하, ㉢:0.02 이하
2.
㉠:0.10 이하, ㉡:0.06 이하, ㉢:0.03 이하
3.
㉠:0.15 이하, ㉡:0.06 이하, ㉢:0.03 이하
4.
㉠:0.18 이하, ㉡:0.10 이하, ㉢:0.05 이하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이산화질소(NO2) - 연간 평균치 0.03ppm 이하 - 24시간 평균치 0.06ppm 이하 - 1시간 평균치 0.10ppm 이하 [해설작성자 : 하늘다람쥐2019]
90.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상 곤충류 중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이 아닌 것은?
<문제 해설> * 자연환경보전법 제30조(자연환경조사) ①환경부장관은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조하여 5년마다 전국의 자연환경을 조사하여야 한다. <개정 2013. 3. 22.> ②환경부장관은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조하여 생태ㆍ자연도에서 1등급 권역으로 분류된 지역과 자연상태의 변화를 특별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지역에 대하여 2년마다 자연환경을 조사할 수 있다. <개정 2013. 3. 22.>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92.
습지보전법상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고시된 습지를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른 면허 없이 매립한 자에 대한 벌칙 기준은?
1.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
2.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3.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4.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 : [
2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습지보전법 제23조(벌칙)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ㆍ고시된 습지를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른 면허 없이 매립한 사람은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6. 1. 27.>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93.
환경정책기본법령상 수질 및 수생태계에서 “하천”의 항목별 환경기준으로 틀린 것은? (단, 사람의 건강보호 기준)
1.
6가크롬(Cr6+) : 0.05mg/L
2.
1,2-디클로로에탄 : 0.05mg/L 이하
3.
유기인 : 검출되어서는 안 됨(검출한계 0.0005mg/L)
4.
음이온계면활성제(ABS) : 0.5mg/L 이하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1,2-디클로로에탄 : 0.03mg/L 이하 [해설작성자 : 히어리]
94.
다음은 환경정책기본법상 환경영향평가에 관한 사항이다. ( ) 안에 들어갈 말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소규모환경영향평가
2.
선정환경영향평가
3.
전략환경영향평가
4.
환경영향평가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선정환경영향평가는 없습니다. 헷갈리신다면 환경영향평가가 이루어지는 곳(장소나 계획)은 이미 '선정'이 된 후에 진행이 된다고 생각해주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거북왕]
95.
자연공원법상 자연공원 지정고시 및 지정기준에 관한 사항이다. ( )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
1.
㉠ 국토관리청, ㉡ 환경부령
2.
㉠ 공원관리청, ㉡ 환경부령
3.
㉠ 공원관리청, ㉡ 대통령령
4.
㉠ 국토관리청, ㉡ 대통령령
정답 : [
3
] 정답률 : 64%
96.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 보전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상 환경부장관이 조사원으로 하여금 무인도서 등의 자연생태계 등에 대한 원활한 조사를 하도록 하기 위해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 및 시·도지사에게 협조를 요청할 수 있는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관할 출입제한구역안의 출입
2.
도서조사원증의 발급 및 조사권 부여
3.
조사에 필요한 선박 등 장비 및 인력의 지원
4.
조사관련자료의 열람 또는 대출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 보전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제4조(무인도서등의 자연생태계등 조사) ①법 제6조의 규정에 의한 무인도서등의 자연생태계등에 대한 조사(이하 이 조에서 “조사”라 한다)의 내용은 다음 각호와 같다. <개정 2004. 6. 25.> 1. 동ㆍ식물의 분포 및 현황 2. 식생현황 3. 특이한 지형ㆍ지질 및 자연환경의 현황 4. 해안의 상태 및 건축물 기타 공작물의 현황 5. 기타 자연생태계등의 보전을 위하여 특히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환경부장관이 인정하는 사항
④환경부장관은 조사원이 조사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 및 시ㆍ도지사에게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요청할 수 있으며, 요청을 받은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 및 시ㆍ도지사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이에 협조하여야 한다. <개정 2004. 6. 25., 2007. 11. 15.> 1. 관할 출입제한구역안의 출입 2. 조사관련자료의 열람 또는 대출 3. 조사에 필요한 선박 등 장비 및 인력의 지원
⑤환경부장관은 조사개시일 10일전까지 환경부령이 정하는 사항이 포함된 조사계획을 수립하여 관계행정기관의 장 및 시ㆍ도지사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개정 2007. 11. 15.>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97.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국가생물다양성전략의 수립 주기는?
1.
1년 마다
2.
2년 마다
3.
5년 마다
4.
10년 마다
정답 : [
3
] 정답률 : 66%
98.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상 환경부장관이 서식지외보전기관에서 천연기념물을 보전하게 하려는 경우 누구와 협의하여야 하는가?
1.
환경보전협회장
2.
문화재청장
3.
산림청장
4.
국토교통부장관
정답 : [
2
] 정답률 : 68%
99.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기반시설의 분류 중 환경기초시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유수지
2.
하수도
3.
폐기물처리시설
4.
폐차장
정답 : [
1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환경기초시설: 하수도, 폐기물처리 및 재활용시설, 빗물저장 및 이용시설 등 [해설작성자 : 하늘다람쥐2019]
유수지: 평지나 넓은 강물에서 일시적으로 홍수량의 일부를 저수하는 곳 [해설작성자 : isp]
100.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용도지구의 지정에 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경관제한지구 : 풍수해, 산사태, 지반의 붕괴 그 밖의 재해를 예방하고 시설경관을 보호, 형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구
2.
취락지구 : 녹지지역 · 관리지역 · 농림지역 · 자연환경보전지역 · 개발제한구역 또는 도시자연공원구역의 취락을 정비하기 위한 지구
3.
특정용도제한지구 : 주거 및 교육 환경 보호나 청소년 보호 등의 목적으로 오염물질 배출시설, 청소년 유해시설 등 특정시설의 입지를 제한할 필요가 있는 지구
4.
보호지구 : 문화재, 중요 시설물(항만, 공항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물을 말한다) 및 문화적 · 생태적으로 보존가치가 큰 지역의 보호와 보존을 위하여 필요한 지구
정답 : [
1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풍수해, 산사태, 지반의 붕괴 그 밖의 재해를 예방 = 방재지구 [해설작성자 : 혜동이]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②
②
②
①
③
①
④
①
②
①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②
②
③
④
①
②
③
④
②
②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①
③
②
③
④
②
①
②
②
④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②
③
①
②
②
②
②
④
②
③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②
②
④
④
③
④
①
④
③
②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③
②
②
③
①
③
②
①
②
①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③
④
④
①
④
①
④
④
③
②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①
①
④
①
③
①
②
③
③
④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①
②
④
③
③
②
④
④
②
②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①
②
②
②
③
②
③
②
①
①
생물분류기사(식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9월15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