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복숭아나무 잎오갈병 자낭균류 24도 이하 저온에서 발병 발아전 디티아논 살포로 방제가능 주로 잎에 발생하며 꽃에도 발생 전형적 병징은 이상비후 분생포자 형태로 침입 *복숭아 잎오갈병, 소나무류 잎떨림병은 한해에 1차감염만 일어나고 2차감염은 일어나지 않는다
[추가 해설] 복숭아나무 잎오갈병은 파이토플라즈마가 아닌 진균 중 자낭균에 의한 병이고 그렇기에 병징이 존재한다 병징은 이상비후(대)
5.
다음 중 세균의 그람염색반응을 결정하는 것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편모의 유무
2.
편모의 두께
3.
펙틴의 물리적 구조
4.
세포벽의 화학적 구조
정답 : [
4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세균의 그람염색을 결정하는 것은 세포벽의 구조이다 양성: 보라색, 주로 펩티도글리칸으로 구성 음성: 분홍색, 펩티도글리칸 내층과 지질, 당등으로 구성
6.
식물체에 암종을 형성하며, 유전공학 연구에 많이 쓰이는 식물병원 세균은?
1.
Brassica campestris var
2.
Agrobacterium tumefaciens
3.
Clavibacter michiganesis
4.
Xanthomonas campestris
정답 : [
2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암종은 뿌리혹병이고 이는 Agrobacterium 속에 의한 병임
7.
식물병 진단 중 해부학적 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파지검출법
2.
유출검사법
3.
괴경지표법
4.
즙액접종법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조심. 해부학적 진단법과 혈청학적 진단법 헷갈림 해부학적 진단법: 현미경과 유출검사법 혈창학적 진단법: ELISA, 형광항체법, 한천, 슬라이드법 즙액진단법은 식물의 즙액을 가지고 진단하는 것으로 생물학적 진단법으로 들어간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파지검출법: 박테리아가 어떤 박테리오파지에 저항성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내어 활용 유출검사법: 줄기 단면을 잘라보고 나오는 분비물을 보고 진단 괴경지표법: 하나의 감자(괴경)을 발아시켜 발병유무 검정 즙액접종법: 병든 식물체를 갈아 즙액을 낸 후 건강한 기주에 접종하여 병원체 판별 [해설작성자 : 딸기를먹자]
8.
다음 중 중간 기주인 향나무를 제거하면 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는 것은?
1.
무 균핵병
2.
사과나무 탄저병
3.
사과나무 붉은별무늬병
4.
복숭아 검은무늬병
정답 : [
3
] 정답률 : 94%
<문제 해설> 향나무를 중간기주로 가지는건 붉은별무늬병
9.
다음 중 크기가 가장 작은 식물 병원체는?
1.
세균
2.
진균
3.
바이러스
4.
바이로이드
정답 : [
4
] 정답률 : 95%
<문제 해설> 진균>세균>바이러스>바이로이드 [해설작성자 : 김애용]
10.
다음 중 병원균의 분생포자각과 자낭각이 보이는 것은?
1.
오이 잘록병
2.
밤나무 줄기마름병
3.
수수 오갈병
4.
보리 이삭누룩병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밤나무 줄기마름병 ds-RNA 저병원성 균주를 이용한 생물적 방제 20세기 미국 동부지방 큰 피해 각피를 통해 직접침입X 병반부위 병징: 궤양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밤나무 줄기마름병은 진균에 의한 병이다 분생포자와 자낭각은 진균에서만 볼 수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이종기생균=순환물기생체=절대기생체가 틀린말은 아니지만 절대기생체에는 노균병도 속하기 때문에 맞지 않는 해설이고 이종 기생하는 균을 선택해야함 잣나무 털녹병은 잣나무와 중간기주(까치밥나무) 두 종류의 식물을 반드시 거쳐야 하므로 대표적인 이종기생균에 속함 [해설작성자 : 2026년 농약사 사장]
<문제 해설> 편모를 가지고 있는 건 유주자 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유주자(遊走子 , zoospore): 하등균류에서 볼 수 있는 섬모 또는 편모를 갖는 운동성 포자로 무성생식 포자 [해설작성자 : 산들로]
19.
항균력이 있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식물병을 방제하는 것은?
1.
물리적 방제
2.
경종적 방제
3.
화학적 방제
4.
생물적 방제
정답 : [
4
] 정답률 : 93%
20.
다음 중 병원체가 주로 각피를 통해 직접 침입하지 않는 것은?
1.
벼 도열병균
2.
밤나무 줄기마름병균
3.
사과나무 탄저병균
4.
장미 잿빛곰팡이병균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밤나무 줄기마름병균의 병원균은 자낭균으로 상처를 통해 침입한다. [해설작성자 : 몽미맘]
각피를 통해 직접 침입하는 균은 벼 도열병, 사과나무 탄저병, 밀 줄기녹병, 잿빛곰팡이병, 보리 흰가루병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 병원이 각피를 통해 직접 침입하지 않는 것은? 밤나무 줄기마름병 11.2
♣ 병원체가 주로 각피를 통해 직접 침입하지 않는 것은? 밤나무 18.2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과목 : 농림해충학
21.
곤충의 배설기관으로 척추동물의 신장과 같은 기능을 하는 것은?
1.
말피기관
2.
알라타체
3.
사구체
4.
전장
정답 : [
1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말피씨기관(Malpighian tube)은 곤충의 중장과 후장사이에 위치하며 pH나 무기이온농도 등을 조절하면서 비틀림운동으로 배설작용을 한다. [해설작성자 : 갓톡토기]
22.
곤충을 잡아먹는 포식성 곤충류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무당벌레류
2.
진딧물류
3.
파리매류
4.
사마귀류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진딧물은 농업 해충이며 곤충을 잡아먹지 않고 식물을 가해함 [해설작성자 : 파이리]
23.
채소해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이세리아깍지벌레
2.
도둑나방
3.
땅강아지
4.
알톡톡이
정답 : [
1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이세리아깍지벌레는 과수해충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피해수목은 감귤나무, 감탕나무, 돈나무, 협죽도 등이다 성충과 약충이 잎,가지에서 집단으로 수액을 빨아먹어 수세를 떨어뜨리거나 나무를 죽인다 [해설작성자 : 행복한 2막인생]
24.
다음에서 설명하는 것은?
1.
부화
2.
용화
3.
세대
4.
우화
정답 : [
4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부화: 알껍질 속의 배자가 일정기간 경과 후 완전히 발육하여 알껍질을 깨뜨리고 밖으로 나오는 현상 용화: 충분히 자란 유충이 먹는 것을 중지하고 유충시대의 껍질을 벗고 번데기가 되는 현상 세대: 곤충이 알에서 유충(약충), 번데기를 거쳐 성충이 다시 알을 낳게 될 때까지를 세대 또는 생활사라 한다. [해설작성자 : 김애용]
25.
다음에서 설명하는 해충은?
1.
가루깍지벌레
2.
점박이응애
3.
밤나무혹벌
4.
땅강아지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점박이응애 성충 월동 연 5~ 10회 이상 기주범위가 대단히 넓음 잎에 흰점, 알은 투명 고온 건조시 피해 증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점박이응애 알은 투명, 성충 월동, 연 5~ 10회 이상 발생, 기주범위가 대단히 넓다. 고온 건조시 피해가 심하고 잎에 흰점이 생긴다. 점박이응애의 약충은 3가지 형태(유충, 제 1약충, 제 2약충)로 구분된다. 유충은 알보다 약간 크며 처음에는 투명하지만 점차 연녹색으로 변하고 검은 점이 생기며 눈은 빨갛고 다리가 3쌍인 것이 특징이다. 제 1, 2약충은 유충보다 몸과 검은점이 점점 커지며 녹색이 진해지고 성충과 같이 다리가 4쌍이다.
26.
누에 암나방이 발산하는 성 페르몬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봄비콜
2.
알로몬
3.
카이로몬
4.
글리세롤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같은 종간에 통신화합물을 페로몬 다른 종간에 통신화합물을 카이로몬, 알로몬
성 페로몬은 같은 종간에서 사용하는 페르몬의 일종이므로 카이로몬, 알로몬이 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성유인물질 : 봄비콜, 지풀러가 있음 [해설작성자 : 섬향기]
27.
기피제를 놓아 해충을 방제하고자 할 때 곤충의 어떤 행동을 이용한 것인가?
1.
음성주화성
2.
양상주화성
3.
양성주촉성
4.
음성주촉성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해충이 기피하는 화학물질을 이용한 것으로 음성주화성이 맞다 양성주화성은 유인제
28.
곤충 개체간의 통신수단에 사용되는 물질로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
1.
allomone
2.
pheromone
3.
hormone
4.
kairomone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통신 수단으로는 페로몬, 알로몬, 카이로몬이 있다
29.
성충은 뽕나무의 눈을 가해하고, 유충은 목질부에 구멍을 뚫고 먹어 들어가는 뽕나무 해충은?
1.
뽕나무혹파리
2.
뽕나무명나방
3.
뽕나무깍지벌레
4.
뽕나무애바구미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4. 뽕나무애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 뽕나무애바구미 바구미는 딱정벌레목에 속하는 천공성 해충이다. [해설작성자 : 임학과]
30.
다음 중 초본류 혹은 목본류의 줄기 속을 식해하여 가해하는 해충은?
1.
콩풍뎅이
2.
거세미나방
3.
숯검은밤나방
4.
박쥐나방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초본류 목본류 줄기를 가해하는 것은 박쥐나방 그래서 수목 주변의 초본 잡초들을 제거하면 방제가 큰 것이 박쥐나방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콩풍뎅이: 주로 꽃잎 거세미나방: 뿌리, 새싹, 특히 줄기(지재부) 숯검은나방: 줄기(지재부) [해설작성자 : 딸기를먹자]
31.
다음에서 설명하는 해충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깍지벌레류
2.
진딧물류
3.
방패벌레류
4.
흰불나방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최근에 침입 버즘나무 방패벌레 성충으로 월동 노린재목에 속함 잎 뒷면에 모여 흡즙가해
[추가 해설] N P K Ca Mg S Fe 등은 다량원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쉽게 외우게 해드림 c,h,o,n ca,k p,s,mg 촌에 가면 목이 칼칼해서 인삼막걸리를 마신다. [해설작성자 : 농과 18학번]
42.
C3식물과 C4식물의 형태와 생리적 특성으로 옳은 것은?
1.
C4식물은 Kranz 구조가 있다.
2.
C3식물은 C4 보다 내건성이 강하다.
3.
C3식물의 CO2 보상점은 C4 보다 낮다.
4.
C4 식물의 광포화점은 C3 보다 낮다.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C3식물은 C4식물 보다 보상점이 높고 광포화점이 낮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 광보상점: 광합성량과 호흡량이 같을때의 빛세기로 식물이 가지는 최소한의 생존 유효점. 보상점 이하의 빛세기가 계속 된다면 광합성량보다 호흡량이 많아져 식물 생장이 차츰 느려지다 죽게된다. * 광포화점: 식물의 광합성 속도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 정도의 빛의 세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3.
다음 중 웅성불임성을 주로 이용하는 작물로만 나열된 것은?
1.
무, 양배추
2.
당근, 고추
3.
배추, 브로콜리
4.
순무, 가지
정답 : [
2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웅성불임성 작물은 양파, 당근, 고추, 토마토, 옥수수 등의 일대잡종 채종에 많이 이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우성과 열성 차이 때문에 생기는 현상으로 종자의 배젖에 화분한 쪽에 형질이 보이는 현상을 크세니아(Xenia)현상이라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중복 수정이 원인 [해설작성자 : 산들로]
크세니아(Xenia): 중복수정 때문에 종자의 배유(3n)에 우성유전자의 표현형이 나타나는 현상. 예)메벼와 찰벼를 교배하여 얻은 종자의 배유가 메벼의 형질을 보임 [해설작성자 : 산들로]
Apomixis: 무성생식 (처녀생식), 수분/수정없이 개체가 분열하여 새로운 개체를 만든다. Pseudogamy: 무수정생식 (위수정), 배 발달을 자극하기 위해 수분하지만 수정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딸기를먹자]
45.
벼의 추락현상이 발생할 때 벼뿌리를 상하게 하는 주된 물질은?
1.
황화수소
2.
탄산가스
3.
불화수소
4.
메탄가스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벼 추락현상은 여름에 작물이 잘 자라다가 가을에 급격히 쇠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는 토양에 황이 환원되기 때문에 토양에 황화수소가 많아진것이 원인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담수조건(논)에서 환원층에서 황산염이 환원되어 황화수소가 만들어진다. 이는 여름철 유기물 분해가 왕성할 때 많이 발생하며 논이 노후화되기 아직 양분이 많을 때는 황화수소가 철과 결합하여 황화철 상태로 존재, 침전하므로 별로 피해가 없다. 그러나 토양에서 무기이온이 용탈되고 철이 부족해지면 황화수소가 벼 뿌리의 양분 흡수를 막게 된다. [해설작성자 : 딸기를먹자]
46.
저장 중 작물의 종자가 발아력을 상실하는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원형질 단백의 응고
2.
효소의 활력 저하
3.
저장양분의 소모
4.
유리지방산 감소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작물의 종자 발아력 상실 원인 원형질 단백질 응고, 효소 활력 저하, 저장양분 소모, 호흡억제
47.
맥류의 좌지현상을 볼 수 있는 경우는?
1.
봄보리를 가을에 파종
2.
봄보리를 봄에 파종
3.
가을보리를 가을에 파종
4.
가을보리를 봄에 파종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가을보리를 봄에 파종하면 잎만 자라다가 출수하지 못하고 주저 앉고 마는데 이를 좌지라고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봄보리를 가을에 파종: 1월에 월동하지 못하고 얼어죽는다. 가을보리를 봄에 파종: 영양생장만 계속하다가 출수하지 못한다. 추파맥류는 생육초기 저온이 이어지다가 장일조건으로 접어드는 환경이 아니면 출수/개화가 유도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딸기를먹자]
<문제 해설> 희석할 증량제의 양 = 원분제의 중량 x (원분제의 농도/원하는 농도 -1) 3x(20/0.5 -1)=117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7.
증량제를 사용하여 분제의 가비중(假比重 ; bulk density)을 조절할 때 가장 적절한 가비중 범위는?
1.
0.2 ~ 0.4
2.
0.4 ~ 0.6
3.
0.6 ~ 0.8
4.
0.8 ~ 1.0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분제의 가비중은 0.4~0.6으로 조정해야한다
68.
Phenol계 살균제로서 과수의 월동 방제용이나 목제방부제로도 사용될 수 있는 약제는?
1.
Carboxin + thiram
2.
Captan
3.
Neoasozin-6, 5
4.
Pentachlorophenol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펜타클로로페놀: 펜타클로로페놀이라고 한다. 유기 염소계의 살충제. 나트륨염이나 바륨 수화물로서 사용되고, 전자는 과수의 소독용에, 후자는 도열병의 특효약이다. [해설작성자 : 이번에는 붙자!!]
69.
농약 원제의 효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보조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증량제
2.
유화제
3.
살충제
4.
협력제
정답 : [
3
] 정답률 : 83%
70.
훈증제가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휘발성이 크고 농도가 균일하여야 한다.
2.
훈증할 목적물에 이화학적으로 변화를 주어야 한다.
3.
비인화성이야 한다.
4.
침투성이 커서 약제가 쉽게 도달하여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목적물에 이화학적 변화를 주지 말아야한다. [해설작성자 : 농과 18학번]
71.
다음 중 살충력이 강하고, 적용범위가 넓으며 저렴한 값에 대량생산의 장점이 있으나 잔류독성의 문제를 일으킬 위험요인이 가장 큰 계통의 농약은?
1.
유기황계
2.
유기인계
3.
유기염소계
4.
카바메이트계
정답 : [
3
] 정답률 : 63%
72.
제초제의 살초작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식물체의 제초제 흡수는 일반적으로 뿌리나 잎, 줄기를 통해 흡수된다.
2.
잎을 통한 흡수는 극성과 무관하게 cellulose, pectin, wax의 순으로 흡수된다.
3.
식물의 잎을 통한 흡수는 대부분 잎의 표면을 통해 이루어진다.
4.
제초제의 식물체 내로의 침투정도는 제초제의 극성 정도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비극성이 높은 정도: 큐티클납질 > 큐틴 > 펙틴 > 셀룰로오스 흡수속도는 극성과 비극성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73.
농약관리법령상 농약 및 원제의 신규등록의 경우 약효·약해 시험성적서의 인정범위로 옳은 것은?
1.
180일간 시험한 성적서
2.
1년간 시험한 성적서
3.
2~3년간 시험한 성적서
4.
4~5년간 시험한 성적서
정답 : [
3
] 정답률 : 63%
74.
보호살균제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병균이 식물체에 침투하는 것을 막기 위해 쓰이는 약제이다.
2.
포자의 발아저지 작용이 커야하고, 효과지속 기간도 길어야 한다.
3.
부착성 및 고착성이 강하고 안정된 것이어야 한다.
4.
살균력이 약하고 침투성이 었어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기생주체 내로 병원균 포자가 침입하짐 못하게 하는 약제중 가장 효과가 큰것은 석회보르도액 (보호살균제) [해설작성자 : 2022식보]
75.
작물에 대한 약해 중 농약 사용방법과 관련해서 일어나는 약해가 아닌 것은?
1.
불합리한 섞어 쓰기는 주성분의 가수분해, 금속염의 치환 등으로 약효저하 및 약해를 발생한다.
2.
파라티온을 오랫동안 저장하면 p-nitrophenol이 생성되어 벼에 약해가 발생한다.
3.
상자육묘에서 Rhizophos spp.에 의한 모마름병 방제를 위해 하이멕사졸과 클로로탈로닐을 동시 사용하면 약해가 발생한다.
4.
살균제에 침투성 유화제를 첨가함으로써 식물체 내에 침투량이 많아져 약해가 일어난다.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파라티온을 오랫동안 보관하면 약해의 원인인 p-nitrophenol이 생성된다 이는 농약 품질불량에 의한 약해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농약사용방법에 대한 약해는-혼용,섞어쓰기,근접살포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농과 18학번]
76.
한때 식물생장억제제인 낙과방지제로 사용했으나 발암물질로 지정되어 화훼농업에서 신장억제제로 주로 사용하는 것은?
1.
Pyrimethanil
2.
β-indole acetic acid
3.
Colchicine
4.
Daminozide
정답 : [
4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다미노자이드: 화색의 농록화, 성표현의 조절 및 불량환경에 대한 내성 증가 효과 [해설작성자 : ㅎㅋ]
77.
농약중독 사고 발생 시 취해야 할 응급조치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경구 중독일 경우 따뜻한 물이나 소금물로 세척한다.
2.
약물이 장내로 들어갈 염려가 있을 시 황산마그네슘(15~20g) 물에 독극물의 흡착을 위해 활성탄이나 규조토 등을 타서 먹여 배설시킨다.
3.
흡입 중독일 경우 체온을 식히기 위하여 찬물로 씻어 준다.
4.
경피 중독일 경우 오염된 의복을 벗기고 부착된 약제를 비누물로 씻는다.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흡입 중독시 환자를 신선한 장소로 옮겨 의복을 느슨하게하여 토하게하며 쉬도록하고 걷지않게 한다
78.
물에 녹지 않은 원제를 벤토나이트·고령토 같은 점토광물의 증량제와 혼합하고, 여기에 친수성·습전성 및 고착성 등을 부가시키기 위하여 적당한 계면활성제를 가하여 미분말화시킨 농약의 제형은?
1.
수용제
2.
수화제
3.
분제
4.
유제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문제의 설명(물에 녹지 않는 원제, 점토광물, 계면활성제, 미분말화)은 수화제의 정의와 정확히 일치합니다. [해설작성자 : 지누몬]
79.
농약의 토양 잔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유기염소계 농약은 환경에서 매우 안정하므로 토양 중에 오래 잔류한다.
2.
아닐린유도제는 토양 중에서 토양입자에 강하게 흡착되므로 오래 잔류한다.
3.
수화제나 유제와 같이 물에 희석해서 사용된 약제는 분제나 입제보다 토양에서 분해가 빨라진다.
4.
일반적으로 유기물함량이 높은 토양에서 농약의 분해가 촉진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분해속도는 입제가 수화제 유제보다 빠르다
80.
농약의 구비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독성이 강할 것
2.
약해가 없을 것
3.
약효가 확실할 것
4.
저장상이 좋을 것
정답 : [
1
] 정답률 : 85%
81.
잡초경합 한계기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철저한 잡초 방제가 요구되는 시기이다.
2.
작물 생육기의 초기 1/4 ~ 1/3 정도의 기간이다.
3.
잡초와 작물이 경합하지만 작물의 피해가 없는 한계기간이다.
4.
한계기간 이후에는 잡초 방제를 더 하여도 작물 피해에 큰 변화가 없다.
정답 : [
3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잡초경합한계기간은 잡초와의 경합에의해 작물의 생육및 수량이 가장 크게 영향을 받는 기간으로 작물이 초관을 형성한 이후부터 생식생장으로 전환하기 이전의 시기다. [해설작성자 : 요미]
82.
다음 중 영양번식기관과 해당 잡초의 연결이 틀린 것은?
1.
지하경 – 가래, 수염가래꽃
2.
인경 – 야생마늘, 자주괭이밥
3.
괴경 – 향부자, 매자기
4.
포복경 – 올미, 벗풀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잡초의 영양번식기관으로 지하경과 괴경이 대표적이고 인경과 구경이 몇가지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괴경 - 올미, 벗풀 [해설작성자 : 르망]
83.
다음 중 액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수성현탁제
2.
과립수용제
3.
미탁제
4.
세립제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미탁제와 유탁제는 유제에 사용하는 유독한 유기용매를 바꿔 환경 안정성을 높인 제품이다
84.
다음 중 기주식물에 기생하는 잡초는?
1.
새삼
2.
피
3.
명아주
4.
물달개비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새삼 : 콩과 작물 및 목본식물에 기생하여 수분이나 양분 등을 탈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다른 식물의 영양을 빨아먹는 덩굴성 기생식물이다. 붉은빛을 띠는 줄기는 굵은 철사 같고, 물기가 많다. 줄기가 다른 식물에 달라붙어 영양분을 빨아들이기 시작하면 스스로 뿌리를 잘라낸다. 잎은 퇴화되어 비늘 모양으로 남아 있고, 열매는 '토사자'라 해서 약으로 쓴다. [네이버 지식백과] 새삼 (주머니 속 풀꽃도감, 2006. 20B25., 이영득, 정현도) [해설작성자 : 칩샷대마왕]
85.
다음 중 주로 괴경으로 번식하는 논잡초는?
1.
올방개
2.
알방동사니
3.
가막사리
4.
자귀풀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높이 50∼90㎝ 정도 자라며 군생하는 수생 다년초로 근경이 옆으로 길게 뻗어 그 끝에는 괴경이 달린다. 괴경의 직경은 5∼8mm 정도 되며 식용하기도 한다. 꽃대는 둥글며 녹색이 나고 속은 비어 있다. 엽초는 얇은 막질이며 짙은 적갈색이 난다. [네이버 지식백과] 올방개 (한국화재식물도감, 하순혜, 탕카) [해설작성자 : 칩샷대마왕]
86.
작물과 잡초의 주요 3대 경합 요소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수분
2.
토양구조
3.
영양분
4.
빛
정답 : [
2
] 정답률 : 81%
87.
다음 중 선택성 제초제는?
1.
Paraquat
2.
Glyphosate
3.
Glufosinate
4.
2,4-D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Paraquat Glyphosate 은 대표적인 비선택성 제초제 Glyphosate은 이행형 이나 Paraquat 은 접촉형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