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소매차륜(수레바퀴)이론 ㄱ.상품믹스 변화 ->아코디언이론 수레바퀴는 가격이나 마진에 초점을 둔다, ㄴ.수레바퀴 (정답) ㄷ.진입-성장-쇠퇴 (정답) ㄹ.진화과정을 나타내지 소매기관의 소멸에 대해는 말하고 있지않다.
2.
발주 및 발주시점관리에 관련된 내용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발주시점관리란 재고가 품절되지도 과잉되지도 않게 발주시점을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2.
재고유지비, 재고부족비, 주문비의 관계에서 전체 비용이 최소가 되는 점이 최적주문량이 된다.
3.
발주에서 입고까지의 조달기간의 평균 판매량에 안전재고량을 더한 것이 발주점이다.
4.
정기발주는 주로 부정량발주를 하게 되는데 이는 정기적으로 필요한 재고량을 파악하여 주문하는 방식이다.
5.
경제적 주문량(EOQ) 공식에서는 주문비와 재고유지비가 항상 변동하는 것으로 본다.
정답 : [
5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1.발주시점관리란 재고가 품절되지도 과잉되지도 않게 발주시점을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2.재고유지비, 재고부족비, 주문비의 관계에서 전체 비용이 최소가 되는 점이 최적주문량이 된다.
3.발주에서 입고까지의 조달기간의 평균 판매량에 안전재고량을 더한 것이 발주점이다.
5. EOQ=√2DS/H D=연간 수요량 S=주문비용 H=단위당 연간 유지비용 (품목 가격에 대한 비율로도 표시합니다)
3.
다음 글상자에서 설명하는 이것에 해당하는 것은?
1.
집중적 유통경로(intensive channel)
2.
선택적 유통경로(selective channel)
3.
전속적 유통경로(exclusive channel)
4.
세분적 유통경로(segmented channel)
5.
네트워크 유통경로(network channel)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 집중적 유통경로 = 개방적/집약적 유통경로 : 희망하는 소매점이면 누구나 자사의 상품을 취급할 수 있게 하는 개방적 유통경로 2. 선택적 유통경로 : 개방적 유통경로와 전속적 유통경로의 중간. 3. 전속적 유통경로 : 일정한 상권 내에 제한된 수의 소매점에게 배타적으로 취급 가능하게 하는 경로.
A, B, C 세 점포의 크기와 소비자의 집으로부터 각 점포까지의 거리는 아래와 같다. 이 경우 Huff 모델을 적용하였을 때 이 소비자가 구매확률이 가장 높은 점포 및 그 점포를 선택할 확률은? (가정 : 이 소비자는 A, B, C 세 점포들에서만 상품을 구매할 수 있음. 소비자가 부여하는 점포 크기에 대한 효용은 1, 거리에 대한 효용은 -2임.)
B C도 같은 방식으로 분모에는 ABC의 모든 거리/면접^(제곱임)를 더하고 분자에는 A의 확률 구할때는 A값만 분자에 올리고 B확률 구할때는 B값만 분자에 올리는 식으로 ABC값을 각각 구하시면 정답이 나옵니다.
41.
라일리(Reilly)의 소매인력법칙과 관련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뉴턴(Newton)의 중력법칙을 상권분석에 활용한 것이다.
2.
도시규모가 클수록 주변의 소비자를 흡인하는 매력도가 커진다고 가정한다.
3.
쇼핑시 주변도시의 매력도는 이동거리의 제곱에 반비례 한다고 가정한다.
4.
광역상권의 경쟁상황에서 쇼핑센터의 매출액 추정에도 활용할 수 있다.
5.
거리, 인구 뿐만 아니라 매장면적, 가격 등 최소한의 변수를 활용할 수 있다.
정답 : [
5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라일리의 소매인력법칙 2.허프모형과 얼추비슷함 면적면에선 5.인구와 거리만 봄
매장이랑 가격은 보지않음.. (허프모형은 면적과 거리, 라일리 인구 거리)
42.
중심상업지역(CBD : Central Business District)의 입지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도시나 대도시의 전통적인 도심지역을 말한다.
2.
대중교통의 중심이며, 도보통행량이 매우 적다.
3.
상업활동으로도 많은 사람을 유인하지만 출퇴근을 위해서도 이곳을 통과하는 사람이 많다.
4.
주차문제, 교통혼잡 등이 교외 쇼핑객들의 진입을 방해하기도 한다.
5.
백화점, 전문점, 은행 등이 밀집되어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71%
43.
Huff모델과 관련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비자의 점포선택행동을 결정적 현상으로 본다.
2.
소비자로부터 점포까지의 이동거리는 소요시간으로 대체하여 계산하기도 한다.
3.
소매상권이 연속적이고 중복적인 공간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한다.
4.
특정 점포의 효용이 다른 선택대안 점포들의 효용보다 클수록 그 점포의 선택가능성이 높아진다.
5.
점포크기 및 이동거리에 대한 민감도계수는 상권마다 소비자의 실제구매행동 자료를 통해 추정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1.소비자의 점포선택행동 고려 미미.. 면적이나 거리 위주로 생각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소비자의 점포 선택행동을 확률적 현상으로 본다. [해설작성자 : 진짜]
44.
신규점포의 개설과정에서 소매점포의 일반적인 전략수립과정을 가장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점포계획 → 입지선정 → 상권분석 → 소매믹스설계
2.
점포계획 → 상권분석 → 입지선정 → 소매믹스설계
3.
상권분석 → 입지선정 → 점포계획 → 소매믹스설계
4.
상권분석 → 점포계획 → 입지선정 → 소매믹스설계
5.
입지선정 → 상권분석 → 점포계획 → 소매믹스설계
정답 : [
3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상식적으로 생각하면 쉽습니다. 상권을 먼저 분석하고 입지를 선정 그리고 점포에 대한 계획을 세워야겠죠 마지막에 소매믹스설계를 합니다. 신규점포는 항상 소매믹스설계와 연결되어 나온다는점 명심하세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5.
두 개 이상의 점포를 운영하는 경우 소매점포 네트워크의 설계, 신규점포 개설시 기존 네트워크에 대한 영향 분석, 기존점포의 재입지 또는 폐점 의사결정 등의 상황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분석방법은?
1.
입지배정모형
2.
회귀분석모형
3.
라일리(Reilly)모형
4.
MCI모형
5.
시장점유율모형
정답 : [
1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2.회귀분석 모형 A >B 독립변수 > 종속변수 미치는 영향 시간순분석 3.라일리 소매인력 (소매인력법칙) 2개 도시의 구매지향 비율(상거래흡인력)은 각 도시의 인구에 비례하고, 각 도시의 분기점으로 부터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 한다.
두 도시간의 구매 지향 비율은, Ba / Bb = A 도시의 구매지향 비율 / B 도시의 구매지향 비율 = (a / x2) / (b / y2) = (a/b) x (y/x)2
(MCI모형)- 허프모형(면적, 거리만 고려) 의 발전 MCI 모형은 신규점포의 상권분석방법 중에서 확률적 모형으로, 이 방법은 huff모형을 발전시킨 것으로, 허프모형이 거리와 매장면적만을 고려했다면, MCI모형은 소비자의 구매시설에 대한 선택행동에 대해 거리와 매장 면적뿐만 아니라, 정량적, 정성적인 여러 다요인을 고려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3과목 : 유통마케팅
46.
점포 레이아웃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구석구석까지 고객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도하도록 설계한다.
2.
상품운반이 용이하고 고객의 이동은 방해받지 않도록 통로를 구성한다.
3.
구매를 촉진시키기 위해 연관성 있는 상품을 한 곳에 모은다.
4.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상품을 결합하여 고객의 불필요한 동선을 줄인다.
5.
고객 동선은 가능한 한 짧게, 작업 동선은 가능한 한 길게 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5번 반대임 고객동선은 길게, 작업동선은 짧게
47.
다음 글상자에서 설명하고 있는 용어는?
1.
상품 카테고리 관리
2.
구색 계획
3.
단품 관리
4.
상품 라인 확장
5.
세그먼트 머천다이징
정답 : [
1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매입에서 판매까지 수직통합이라는' 말 있으면 상품카테고리관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8.
생산업체가 2개, 소매상이 2개, 소비자가 4명일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총 거래의 수는 몇 개인가?
재고와 판매공간에 대한 수익률을 분석하기 위해 활용하는 GMROI(Gross Margin Return On Inventory investment)와 GMROS(Gross Margin Return On Selling area)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유통경로상에서 추가 또는 제거해야 할 품목의 결정에 도움을 준다.
2.
문제가 되는 상품계열의 수익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머천다이징 전략을 강구할 수 있다.
3.
공급업자에게 더 많은 판매촉진과 배달시간 개선을 요구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4.
두 가지 척도 모두 단기적 수익성보다는 장기적 수익성을 측정하는 척도이다.
5.
매출채권과 외상매입금 등은 재고투자의 계산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정답 : [
4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GMROI-재고투자의 총이익 얼마나 달성 GMROS- 재고투자에 대한 수익성 투자가 면적,밀도와 얼마나 관련있는가.
4.둘다 단기적인 수익성을 측정하는 척도
55.
점포의 판매공간에서 활용하는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랙(rack) - 상품 진열 혹은 보관을 위해 사용되는 기둥과 선반으로 구성된 구조물
2.
블랙룸(black room) - 점포에서 고객이 들어갈 수 없는 시설 또는 공간
3.
일배식품 – 일일배송 상품으로 매일 일정한 시간대에 점포로 배송하는 상품
4.
페이싱(facing) - 그룹화된 상품의 배치로서 관련 상품을 한 곳에 모아두는 것
5.
샌드위치진열 – 진열대 내에서 잘 팔리는 상품 곁에 이익은 높으나 잘 팔리지 않는 상품을 진열하는 것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4번 관련상품을 한 곳에 모아두는 것은 -Zoning 입니다. 페이싱은 단품을 옆으로 세워주는 방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조닝은 말그대로 zone + ing 큰 개념이고 페이싱은 face + ing 약간 직면한 느낌(진열된 느낌) 작은 개념입니다. ex) 양념장이 조닝되어있다. 그중에서도 간장이 페이싱 되어있다 약간 이런느낌으로 가시면 될 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6.
서비스품질(SERVQUAL)의 구성차원과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
1.
유형성(tangible)
2.
신뢰성(reliability)
3.
공감성(empathy)
4.
확신성(assurance)
5.
정보성(information)
정답 : [
5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정보성이 아닌 대응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7.
플래노그램(planogram)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사용자가 모델번호, 제품마진, 회전율, 제품 포장의 크기 등 관련정보를 입력해야 한다.
2.
소매업체가 정한 우선순위를 바탕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활용해 플래노그램을 작성할 수 있다.
3.
과거의 웨보그램(webogram)을 개선하여 발전시킨 것이다.
4.
상품을 점포 내에 어디에 어떻게 진열하는 것이 효과적인지를 알 수 있다.
5.
진열공간의 생산성을 평가하게 해주는 지침이나 분석프로그램에 해당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3.플래노그램을 온라인에 적용시킨 것이 웨보그램 (Webogram)
58.
다음 글상자 안의 진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1.
㉠, ㉡
2.
㉠, ㉢
3.
㉡, ㉢
4.
㉢, ㉣
5.
㉡, ㉣
정답 : [
1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ㄷ.전면진열 ㄹ.적재진열
59.
다음 자료를 이용하여 A소매기업의 2017년 매출총이익과 매출총이익률을 계산한 것으로 옳은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