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부문은 품질, 수량, 인도일, 제조기간 등 구매활동에 필요한 정보를 구매부문에 제공하여 최적의 구매를 할 수 있도록 한다.
2.
구매부문은 기술(설계)부문의 요구에 따라 자재와 설비를 구입하고 기술을 서비스하며, 새로운 자재나 설비상황 보고 등으로 지원한다.
3.
기술(설계)부문은 구매부문에게 구입품의 표준, 적정품질에 대해 권고한다.
4.
경리부문에서 관리하는 자금 상황에 따라 지불조건이 좌우될 수 있으며 그 지불조건에 따라 구입가격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5.
조달기간 및 제품원가는 운송부문에서 관리하는 운송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정답 : [
5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조달기간이 길 수 록 제품원가가 높을 수록 운송비에 영향줌 [해설작성자 : 진실혹은거짓]
24.
다음 제시하는 표를 토대로 분석한 내용이다. 옳은 것은?
1.
GMROI는 재고투자 매출총수익률로서 소매공간활용의 밀도를 평가하는 수단이 된다.
2.
(ㄱ), (ㄴ), (ㄷ) 중 (ㄱ)의 숫자가 가장 크다.
3.
(ㄱ), (ㄴ), (ㄷ) 중 (ㄴ)의 숫자가 가장 작다.
4.
(ㄴ)에 들어갈 숫자는 6이다.
5.
(ㄱ), (ㄴ), (ㄷ)에 들어갈 숫자는 모두 동일하다.
정답 : [
5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GMROI : 총마진율 X 재고회전율 [해설작성자 : 야호]
25.
소매점의 안정성을 측정하는 경영지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자기자본비율
2.
유동비율
3.
매출원가 대 매출액비율
4.
매입채무 대 재고자산비율
5.
순운전자본 대 총자본비율
정답 : [
3
] 정답률 : 38%
2과목 : 상권분석
26.
점포방문동기는 제품구매(buying) 동기를 제외하면 개인적(personal) 동기와 사회적(social) 동기로 분류될 수 있다. 다음 중 사회적 동기에 해당하는 것은?
1.
지위와 권위
2.
기분전환
3.
자기만족
4.
새로운 추세에 대한 학습
5.
감각적 자극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 지위와 권위는 사회적 동기임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사람]
27.
다음은 어떤 상권분석 기법에 대한 설명인가?
1.
Huff모델
2.
수정Huff모델
3.
MCI모델
4.
MNL모델
5.
유사점포법
정답 : [
2
] 정답률 : 39%
28.
점포를 도시형점포, 교외형점포, 인스토어형점포로 구분할 때, 인스토어형점포의 고객유도시설에 일반적으로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지하철역
2.
주 출입구
3.
주차장 출입구
4.
에스컬레이터
5.
엘리베이터
정답 : [
1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인스토어는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동네마트 같은 곳을 생각하면 된다. (월드마트 , 행복식자재) 이런곳을 생각하면 되는데 이런 지점들은 역세권 보다 주로 동네에 있으니 지하철역은 배제되는것이다 [해설작성자 : 합격하자~~]
29.
점포의 경쟁상황을 분석할 때는 경쟁의 다양한 측면을 다루어야 한다. 대도시의 상권을 도심, 부도심, 지역중심, 지구중심 등으로 분류하고 각 수준별 및 수준간 경쟁관계의 영향을 함께 고려하는 것은?
1.
업태별·업태내 경쟁구조 분석
2.
위계별 경쟁구조 분석
3.
절대위치별 경쟁구조 분석
4.
잠재 경쟁구조 분석
5.
경쟁·보완관계 분석
정답 : [
2
] 정답률 : 59%
30.
크리스탈러(Christaller)의 중심지이론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개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최대도달거리
2.
최대수요충족거리
3.
육각형 형태의 배후지
4.
초과이윤공간
5.
상업중심지
정답 : [
2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최소수요충족거리 [해설작성자 : 이번엔 제발]
31.
신규점포의 개설과정에서 소매점포의 일반적인 전략수립과정을 가장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점포계획→입지선정→상권분석→소매믹스설계
2.
점포계획→상권분석→입지선정→소매믹스설계
3.
상권분석→입지선정→점포계획→소매믹스설계
4.
상권분석→점포계획→입지선정→소매믹스설계
5.
입지선정→상권분석→점포계획→소매믹스설계
정답 : [
3
] 정답률 : 48%
32.
도시 공간구조의 변화가 발생하는 일반적인 도심재생과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단, 법률 등에 의한 인위적 개입을 받지 않는다고 가정함)
1.
Ⓓ→Ⓑ→Ⓐ→Ⓒ
2.
Ⓐ→Ⓒ→Ⓓ→Ⓑ
3.
Ⓑ→Ⓓ→Ⓒ→Ⓐ
4.
Ⓑ→Ⓒ→Ⓐ→Ⓓ
5.
Ⓒ→Ⓐ→Ⓑ→Ⓓ
정답 : [
1
] 정답률 : 22%
33.
유통산업발전법에 의거한 소매점포의 개설 및 입지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규모점포를 개설하려는 자는 영업을 시작하기 전에 특별자치시장·시장·군수·구청장에게 등록하여야 한다.
2.
준대규모점포를 개설하려는 자는 영업을 시작하기 전에 특별자치시장·시장·군수·구청장에게 등록하여야 한다.
3.
전통상업보존구역에 준대규모점포를 개설하려는 자는 영업을 시작하기 전에 상권영향평가서 및 지역협력 계획서를 첨부하여 등록하여야 한다.
4.
대규모점포등의 위치가 전통상업보존구역에 있을 때에는 등록을 제한할 수 있다.
5.
대규모점포등의 위치가 전통상업보존구역에 있을 때에는 등록에 조건을 붙일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44%
34.
상권의 계층적 구조에 따라 국내시장에서 영업하는 도매상을 전국도매상, 지역도매상, 지방도매상, 산지도매상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구조 사이의 관계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매상 사이의 거래 고리는 산지도매상 (→) 전국도매상 (→) 지역도매상 또는 지방도매상의 형태를 가진다.
2.
대부분의 전국도매상은 원도매상 또는 중계도매상이다.
3.
대부분의 지역도매상은 분산도매상이다.
4.
대부분의 지방도매상은 분산도매상이다.
5.
상품의 생산지가 집중될수록 산지도매상과 전국도매상 사이의 직거래 비중이 높아진다.
정답 : [
5
] 정답률 : 45%
35.
상권분석의 직접적 필요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구체적인 입지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2.
잠재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3.
고객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보다 표적화된 구색과 판매촉진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4.
점포의 접근성과 가시성을 높이기 위해
5.
기존 점포들과의 차별화 포인트를 찾아내기 위해
정답 : [
4
] 정답률 : 50%
36.
주변에 인접한 점포가 없는 큰 길가에 위치한 자유입지를 '고립된 점포입지' 라 한다. '고립된 점포입지'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이 입지에 대형점포를 개설하면 소비자의 일괄구매(one-stop shopping)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2.
주변에 빈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주차가 용이하다.
3.
노출이 잘 되므로 개점 초기에 소비자를 점포 내로 유인하기가 쉽다.
4.
토지 및 건물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싸다.
5.
비교구매를 원하는 소비자에게는 매력적이지 않다.
정답 : [
3
] 정답률 : 62%
37.
상권과 상품유형의 관련성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편의품의 경우 소규모 점포의 상권 범위는 대개 도보로 5분 정도의 거리 범위 내라고 볼 수 있다.
2.
선매품의 경우 승용차와 대중교통을 이용한 접근성이 상권범위를 결정하는 영향요인이 되기도 한다.
3.
일상의 편의품을 취급하는 경우 임대료와 지가가 높지 않은 곳에 입지하여야 한다.
4.
선매품의 경우 소비자가 이미 충분히 탐색하였으므로 공간적 편리를 주기 위해 취급하는 점포의 숫자가 최소인 곳이 좋다.
5.
전문품의 경우 브랜드에 대한 애호도가 강하여 상권범위는 도시 전체로 넓어질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64%
38.
쇼핑센터와 같은 대형 상업시설의 테넌트(tenant)관리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테넌트(tenant)는 상업시설의 일정한 공간을 임대하는 계약을 체결하고 해당 상업시설에 입점하여 영업을 하는 임차인을 일컫는 말이다.
2.
테넌트 믹스(tenant mix)를 통해 상업시설의 머천다이징 정책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시설내 테넌트간에 끊임없는 경쟁을 유발해야 한다.
3.
앵커 테넌트(anchor tenant)는 상업시설 전체의 성격을 결정짓는 요소로 작용하며 해당 상업시설로 많은 유동인구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4.
앵커 테넌트(anchor tenant)는 핵점포(key tenant) 라고도 하며 백화점, 할인점, 대형서점 등 해당 상업시설의 가치를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5.
마그넷 스토어(magnet store)는 쇼핑센터의 이미지를 높이고 쇼핑센터의 회유성을 높이는 점포를 말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시설내 테넌트간 심한 경쟁은 오히려 테넌트의 입주를 저하시킨다 [해설작성자 : 진실혹은거짓]
39.
시장의 매력도를 분석할 때 활용하는 개념들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매포화지수(IRS)는 한 지역내 특정 소매업태에 대한 수요를 매장 면적의 합으로 나누어 계산한다.
2.
소매포화지수(IRS)는 공급에 대한 수요수준을 나타내며 지수의 값이 클수록 신규점포 개설의 매력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3.
시장확장잠재력(MEP)은 지역의 가구당(혹은 1인당) 실제 지출액을 예상지출액과 비교하여 계산한다.
4.
시장확장잠재력(MEP)의 값이 크면 수요의 증가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5.
소매포화지수(IRS)는 소비자들이 거주지역 밖의 다른 지역에서 쇼핑(outshopping)하는 상황을 반영한 것이다.
정답 : [
5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MEP값은 거주자들이 다른 지역에서의 쇼핑 지출액을 추정한 계산. MEP가 크다는 것은 다른 지역에서의 쇼핑정도가 높다는 것이고, 이에 확대 잠재력이 높다고 평가
40.
귀금속상점이나 떡볶이 가게들이 한 곳에 몰려 있어 더 큰 집객력을 갖는 경우는 다음 중 어느 입지원칙이 적용된 것인가?
1.
접근가능성원칙
2.
동반유인원칙
3.
보충가능성의 원칙
4.
점포밀집원칙
5.
고객차단원칙
정답 : [
2
] 정답률 : 51%
41.
어느 지역의 소비자가 이용할 수 있는 마트가 아래와 같이 A, B, C의 3개가 있다. Huff모델을 적용할 때, 그 소비자의 이용확률이 가장 큰 마트와 그 이용확률은? (단, 마트면적에 대한 민감도는 3, 거주자의 거리에 대한 민감도는 2로 가정한다.)
1.
A 마트, 46%
2.
B 마트, 51%
3.
B 마트, 46%
4.
C 마트, 64%
5.
C 마트, 81%
정답 : [
4
] 정답률 : 48%
42.
특정지역 상권의 전반적인 수요를 평가하는 도구로 활용되는 구매력지수(BPI)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역상권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변수를 선정하고, 이에 일정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지수화한 것을 의미한다.
2.
전체 인구에서 해당 지역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반영된다.
3.
전체 매장면적에서 해당 지역의 매장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이 반영된다.
4.
전체 가처분소득(또는 유효소득)에서 해당 지역의 가처분소득(또는 유효소득)이 차지하는 비율이 반영된다.
5.
전체 소매매출에서 해당 지역의 소매매출이 차지하는 비율이 반영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구매력지수는 소매점포의 입지분석시 해당 지역시장의 구매력을 측정하는 기준으로 사용되며, 해당 시장에서 구매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낸다. 인구 및 소매매출, 유효소득에 대해 전체규모 및 특정지역에서의 규모를 활용하여 계산하는 방식이다. [해설작성자 : 아이후에호]
43.
상권분석에서 활용하는 조사기법 중에서 조사대상과 조사장소가 점두조사법과 가장 유사한 것은?
1.
가정방문조사법
2.
지역할당조사법
3.
고객점표법
4.
내점객조사법
5.
편의추출조사법
정답 : [
4
] 정답률 : 62%
44.
상가임대차 과정에서 다루게 되는 권리금을 산정할 때 근거가 되는 유무형의 재산적 가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영업시설·비품
2.
거래처
3.
신용
4.
상가건물의 위치
5.
임대료 지불수단
정답 : [
5
] 정답률 : 52%
45.
레일리(Reilly) 법칙을 이용하여, C지점의 구매력이 A도시와 B도시에 흡인되는 비율을 구하면?
1.
4:1
2.
1:4
3.
16:1
4.
1:16
5.
1:1
정답 : [
1
] 정답률 : 50%
3과목 : 유통마케팅
46.
CRM의 도입 배경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고객 데이터를 통해서 계산원의 부정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2.
고객과의 지속적 관계를 발전시켜 생애가치를 극대화하려는 것이다.
3.
상품계획 시 철수상품과 신규취급 상품을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려는 것이다.
4.
매장의 판촉활동을 평가하는 정보를 제공하여 효율적인 판매촉진을 하려는 것이다.
5.
각종 판매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상품 회전율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67%
47.
진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조명, 색채, 특수 디자인으로 상품의 미적인 부분을 부각한다.
2.
상품의 특색과 개성이 풍부하게 나타날 수 있도록 진열한다.
3.
충동구매 상품에 대해서는 진열 공간을 넓게 할당한다.
4.
연관 상품의 경우 쉽게 찾을 수 있도록 가까운 위치에 진열해야 한다.
5.
상품의 고급스러움을 강조하기 위해서는 점블 진열(jumble display)을 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점블 진열(jumble display) 과자,라면등 스낵류을 뒤죽박죽 진열하는방식 진열시간절감 과 소비자들에게"저렴하다"라는 인상을 줌 [해설작성자 : AJ29]
48.
매스미디어 광고와는 다른 POP(Point-Of-Purchase)광고의 특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매스미디어 광고의 소구대상은 불특정 다수이나 POP광고는 매장을 방문한 특정인을 대상으로 소구한다.
2.
매스미디어 광고는 소비자의 정보처리 시점에 메시지가 전달되지만 POP광고는 소비자의 구매시점에서 메시지를 전달한다.
3.
매스미디어 광고는 상품의 정보제공과 이미지 형성에 초점을 두지만 POP광고는 소비자의 선택에 초점을 둔다.
웹로봇을 이용한 크롤링 : 웹문서를 돌아다니면서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색인해 정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주로 검색엔진에서 사용
3.
센싱 : 온도, 습도 등 각종 센서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
4.
RSS 리더 :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주소를 등록하면, PC나 휴대폰 등을 통하여 자동으로 전송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5.
Open-API : WWW를 탐색하는 프로그램, 방문한 사이트의 모든 페이지 복사본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며 검색엔진은 이렇게 생성된 페이지의 빠른 검색을 위해 인덱싱 수행
정답 : [
5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Open API는 개발이나 그런 소프트웨어를 다른 사람들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풀어놓은 것을 말함 [해설작성자 : 진실혹은거짓]
75.
( ) 안에 들어갈 용어로 옳은 것은?
1.
드론(Drone)
2.
무인자동체
3.
비콘(Beacon)
4.
딥러닝(Deep-learing)
5.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비콘(Beacon) 위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어떤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기기 [해설작성자 : AJ29]
76.
복합운송은 운송수단간 결합 형태에 따라 구분되어 지는데, 화물차량을 철도차량에 적재하고 운행하는 방식에 해당되는 것은?
1.
Fishy Back System
2.
Sky-Rail System
3.
Piggy Back System
4.
Train-Ship System
5.
Birdy Back System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피기백=화물+철도 [해설작성자 : AJ29]
77.
조직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일련의 절차에 관한 사항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운영계층에서 매일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거래처리정보시스템은 정확하고 구체적인 데이터를 다룰 수 있도록 구축되어야 한다.
2.
각각의 운영DB로부터 발생하는 대량의 데이터를 ETL 도구를 활용하여 통합관리할 수 있도록 데이터웨어하우스를 구축한다.
3.
중요한 데이터를 다른 사용자가 알아보지 못하도록 은닉하고, 변형시켜 조직 내부 구성원 중 인가받은 경우만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정보세탁이라 한다.
4.
데이터 마이닝은 원래의 자료 그 자체만으로는 제공되지 않는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여 대량의 정보 속에서 일정한 경향과 관계를 찾아내고, 미래 행위를 예측하고 의사결정을 이끌어내도록 지원한다.
5.
W.H.Inmon에 의하면 DW를 경영자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주제 중심적(subject-oriented)이고 통합적(integrated)이며, 비휘발성(nonvolatile)이고, 시간에 따라 변화(time-variant)하는 데이터의 집합이라 정의하였다.
정답 : [
3
] 정답률 : 65%
78.
엘리 골드렛의 제약조건이론에서는 '공정의 원자재 투입시점만을 지정하여 공정내 종속성과 변동성을 관리하는 기법으로, 전체 프로세스 중 가장 약한 것을 능력제약자원이라 지칭하고, 이 부분이 최대한 100% 가동을 할 수 있도록 공정 속도를 조절하여 흐름을 관리하는 기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지칭하는 용어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CCPM(Critical Chain Project Management)
2.
쓰루풋(Through put)
3.
DBR(Drum-Buffer-Rope)
4.
DT(Data Transmission)
5.
JIT(Just-in-time)
정답 : [
3
] 정답률 : 48%
79.
기업의 내외부적으로 산재해 있는 지식들을 부가가치 있는 지식으로 전환하기 위한 지식관리시스템의 개발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재사용 가능한 지식의 적시 제공에 따른 업무 생산성 향상
2.
마케팅이나 영업 등과 관련된 전략 정보의 제공에 따른 조직의 역량 강화
3.
정보 기술을 활용하여 형식지를 암묵지화하여 조직의 지식공유체계 구축
4.
부가가치 창출의 잠재성을 가진 지식 축적에 따른 지식의 자산화
5.
축적된 지식을 바탕으로 한 고품질 서비스 제공에 따른 기업의 경쟁력 강화
정답 : [
3
] 정답률 : 68%
80.
비밀키 암호화 기술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비밀키 암호화방식은 암호화할 때에는 상대방의 공개키로 암호화하며, 복호화할 때에는 자신만 알고 있는 개인키를 이용하여 복호화를 실행한다.
2.
비밀키 암호화방식은 암호화에 사용되는 키와 복호화에 사용되는 키가 달라 어느 한쪽이 가진 키를 이용하여 다른 쪽의 키를 쉽게 계산해 낼 수 없기 때문에 한쪽의 키를 공개할 수 있다.
3.
비밀키 암호화 방식은 암호화되는 키의 크기가 공개키 암호화 방식보다 상대적으로 작아 암호화의 속도가 빠르다.
4.
비밀키 암호화방식은 암호화에 사용되는 키와 복호화에 사용되는 키가 일치하지 않아 비대칭키 암호화 방식이라 한다.
5.
비밀키 암호화방식은 복호화를 위해 키를 전송할 필요가 없어 대칭키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전한 시스템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비밀키는 대칭키, 공개키는 비대칭키이므로 공개키가 상대적으로 크고 많아 암호화의 속도가 느림 [해설작성자 : 야호]
81.
분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지리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데이터가 실제로 어느 위치에 저장되었는가를 의식할 필요가 없이 필요한 데이터를 검색, 갱신 등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물리적으로 분산되어있으나 논리적으로는 집중되어 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2.
데이터 지역화를 통해 대규모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데 있어 상대적으로 빠른 응답시간과 낮은 비용으로 공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3.
데이터베이스 구축시 지역적으로 작은 단위로 나누어 물리적으로 분산시켜 구축하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 설계가 상대적으로 매우 단순하고 구현기술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4.
데이터를 분산하여 배치하기 때문에 화재, 지진 등 재난재해 발생시에 전체를 한번에 잃을 수 있는 위험이 낮다는 장점이 있다.
5.
대용량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경우에는 여러 사이트에서 병렬로 수행할 수 있어서 데이터 처리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어렵고 구현기술이 복잡하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2.
의사결정 과정에서 합리적인 안을 선택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정확한 사실 정보의 토대 위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2.
공익에 저해되지 않으면서 조직의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창출해야 한다.
3.
대안의 실행이 어렵거나 결과가 만족스럽지 못할 것으로 판단되어 그 대안을 취소하는 것은 합리적이지 못하다.
4.
두 가지 이상의 경쟁 대안을 가지고 있는 것이 좋다.
5.
과학적 접근이 필요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64%
83.
기업경영에서 정보자원관리의 필요성에 대한 요인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경영환경의 글로벌화
2.
가속화되는 기술의 복잡성
3.
보다 빠른 의사결정 요구
4.
관세 장벽을 통한 보호무역주의 강화
5.
경영관리의 복잡성 증대
정답 : [
4
] 정답률 : 63%
84.
바코드의 단점을 보완하며 등장한 QR 코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QR 코드 모델1과 모델2가 있으며, 현재 QR코드라하면 일반적으로 모델2를 가리킨다. 모델2 중 최대버전은 40(177x177셀)이고, 7089자의 숫자까지 취급할 수 있다.
2.
Micro-QR 코드는 위치찾기 심벌이 하나이며, 보다 더 작은 공간에 인쇄를 가능하게 해 준다.
3.
Frame QR은 코드안에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캔버스 영역을 가진 QR코드이다. 캔버스 부분에 문자나 화상을 넣을 수 있다.
4.
iQR코드는 데이터 인식 제한 기능을 가진 코드이다. 개인정보나 사내 정보 관리 등에 활용할 수 있다. 겉모양은 보통 QR 코드와 같다.
5.
QR 코드는 네 모서리 중 세 곳에 위치한 위치 검출 패턴을 이용해서 360도 어떤 방향에서든지 데이터를 읽을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37%
85.
다음에서 설명하는 SCM의 추진유형으로 가장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가) 효율적 소비자 반응(ECR) (나) 신속한 보충(QR)
2.
(가) 신속한 보충(QR) (나) 크로스도킹(CD)
3.
(가) 공급자 주도 재고관리(VMI) (나) 크로스도킹(CD)
4.
(가) 효율적 소비자 반응(ECR) (나) 공급자 주도 재고관리(VMI)
5.
(가) 공급자 주도 재고관리(VMI) (나) 신속한 보충(QR)
정답 : [
2
] 정답률 : 60%
86.
전통적 상거래와 비교하였을 때, e-비즈니스 시대에서의 구매-제조-유통-판매-서비스로 이어지는 비즈니스의 전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기존의 상거래에 비해 단축된 혹은 확장된 유통채널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상품을 공급할 수 있다.
2.
시공간의 벽이 사라지게 되어 인터넷 기반으로 언제 어디에서든지 정보를 수집하고 상품거래를 할 수 있다.
3.
기업의 직접적인 시장조사를 통하여 얻은 고객의 수요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기업은 일방향적인 마케팅 활동을 추진할 수 있다.
4.
네트워크를 통한 가상적인 판매활동의 증가로 실물 세계의 판매거점의 필요성이 점점 감소하고 있다.
5.
글로벌시장으로 구매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소비자의 제품 선택의 폭이 확대되고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65%
87.
암묵지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주관적인 지식
2.
경험적인 지식
3.
초 언어적 지식
4.
명시적인 지식
5.
직관적인 지식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암묵지=언어로 표현되지 않은 지식을 의미 학습과 경험으로 체화되어 겉으로는 드러나지 않는 지식,혹은 노하우(know-how) 형식지 외부적으로 표출되는 지식인 명시지(형식지)가 있다 명시지 혹은 형식지는 문서나 매뉴얼 등을 통해 외부적으로 표출되어 여러 사람에게 공유될 수 있는 지식을 의미 [해설작성자 : AJ29]
88.
Wiig(1993)의 지식경영 모델에서 정의한 지식의 유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사실지식 : 전형적으로 직접 관찰하고 검증 가능한 콘텐츠 등을 의미한다.
2.
전문지식 : 지식근로자들에 의해 독점적으로 보유되는 지식을 의미한다.
3.
일반지식 : 일반적으로 명시적이라기 보다는 암묵적인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일상생활에서 무의식적으로 사용되는 지식을 의미한다.
4.
기대지식 : 아는 자의 판단, 가정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사결정에 이용되는 직관, 예감, 선호도, 경험적 판단 등을 들 수 있다.
5.
방법지식 : 추론, 전략, 의사결정 등에 관한 방법들을 다루는 것으로, 과거의 실수로부터 교훈을 도출하는 방법이나 추세분석을 기반으로 예측을 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3. 일반지식은 암묵적인 형태가 아닌 명시적 형태를 가짐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사람]
89.
매스마케팅과 관계마케팅간의 비교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가
2.
나
3.
다
4.
라
5.
마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마인드 쉐어(mind share) 무조건 많이 파는 것보다 지속 가능성에 무게를 둔다. 오래 공존 할수 있는방법 찾는 브랜드 [해설작성자 : AJ29]
시장점유율이 아닌 고객점유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0.
인터넷 시장 세분화를 위해서는 인구통계적, 사회심리적, 행동분석적 및 지리적 변수를 활용하고 있다. 다음 보기 중 구매 행동 변수에 속하는 것은?
1.
라이프스타일
2.
교육 수준
3.
상표 충성도
4.
개성
5.
종교
정답 : [
3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구매행동변수: 제품의 구매에 관련된 행동. 구매상황, 편익, 사용경험, 사용률, 충성도 등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①
⑤
②
①
③
④
②
②
①
②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③
⑤
⑤
③
④
①
⑤
①
②
③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④
④
⑤
⑤
③
①
②
①
②
②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③
①
②
⑤
④
③
④
②
⑤
②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④
③
④
⑤
①
②
⑤
④
③
②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③
⑤
⑤
④
⑤
②
③
①
②
⑤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④
②
①
②
③
③
③
③
①
①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②
②
⑤
⑤
③
③
③
③
③
③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③
③
④
④
②
③
④
③
④
③
유통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11월13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