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체 0.2g을 기화시켰더니 그 증기의 부피가 97℃, 740mmHg에서 80mL였다. 이 액체의 분자량에 가장 가까운 값은?
1.
40
2.
46
3.
78
4.
121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PV=NRT=W/M x RT , 분자량 M=WRT/PV = 0.2 x 0.08205 x (273+97) / (740/760) x 0.08 = 77.947 [해설작성자 : 긋밤]
0.2g 액체 물질이 기화되었을 때 → 1mol = 0.2g x 22.4SL / 분자량 (0도, 1기압일때 1mol 기체의 부피는 22.4SL) 97도 740mmHg 80mL의 액체가 STP(0도, 1기압)일때의 부피로 변환 → 0.08L x 273 / (273+97) x 740 / 760 = 0.05747SL 따라서 같은 1mol은 0.2g x 22.4SL/mol / 분자량 = 0.05747SL/mol 분자량 = 0.2g x 22.4SL/mol / 0.05747SL/mol = 77.95 [해설작성자 : 이재훈]
기본식:PV=W/M*RT 각 기호의 뜻 P:기압(단위:atm) 760mmHg=1atm 문제에서는 740mmHg라고 했기 때문에 740/760 하면 0.97atm V:부피(단위:L) 80mL를 L로 바꾸면 0.08L가 된다 W:무게(단위:g) 문제에서는 액체 0.2g이라고 되어있다. T:절대온도(K):주어진 온도값에 273을 더한 값, 문제에서는 97도씨 라고 했기 때문에 97+273=370, 370K가 된다. R:0.082 이 값은 그냥 외워야 한다. 그게 편하다. 만약 다른 문제에서는 분자량이 나와 있다면 아마 다른 값이 제시가 안되있을 확률이 높다. 아마 분자량을 가장 많이 물어보는 문제가 나올 것 같다. 여튼 지금까지 구한 수를 다 식에 대입하고 계산기를 두드리면 78.19587629가 나온다.문제에서 다른 말 없으면 소수 둘째 자리싸지 나타낸다. 그래서 약 78.2가 나온다. 문제에서 물어본 것은 가장 가까운 값을 찾는것이다. 보기에서 78.2와 가장 가까운 답은 당연히 3번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 벼락]
2.
원자량이 56인 금속 M 1.12g을 산화시켜 실험식이 MxOy인 산화물 1.60g을 얻었다. x, y는 각각 얼마인가?
1.
x = 1, y = 2
2.
x = 2, y = 3
3.
x = 3, y = 2
4.
x = 2, y = 1
정답 : [
2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M의 질량 1.12g O의 질량 1.6-1.12 = 0.48g
1. 산소 0.48g 당량 8:1=0.48:x, x = 0.48/8 = 0.06
2,M의 1.12g당량 1.12:0.06=x:1, x = 1.12/0.06 = 18.66
3.원자가 구하기 원자가 = 원자량/당량 = 56/18.66 = +3 M=+3, O=-2 MxOy -> x=2, y=3 [해설작성자 : 위산기]
패러데이 전기분해시에는 전자량의 이동을 봐야합니다. 1F의 전기량이라 했으니 물이 산화 또는 환원 반응시 전자 1몰당 수소기체나 산소기체가 얼마나 발생했느냐를 판단 할 수 있습니다. 물의 전기분해 산화(전자방출)식 H2O -> 1/2O2(g) + (2H+) + (2e-) 물의 전기분해 환원(전자받음)식 H2O + (e-) -> 1/2H2(g) + OH- 즉 산소기체는 물의 전기분해 산화시 전자 2몰당 산소기체 1/2몰이 나옵니다 (전자 대 산소 비율 2:1/2 -> 4:1) 환원반응시에는 전자 1몰당 수소기체 1/2몰이 나옵니다 (전자 대 수소 비율 1:1/2 -> 2:1)
이 문제에선 산소기체가 얼마나 방출되느냐 묻는 문제이기 때문에 전자 대 산소 비율 4:1을 적용해 전자 1몰에서 산소 1/4몰이 나오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모든 기체는 0도씨 1기압에서 22.4L이므로 1/4몰은 22.4L의 1/4인 5.6L [해설작성자 : 화학공학부]
1F = 1g 당량 분해시 쓰는 전기량 1g당량 = 18/2 = 9g(분자량/전하량 이 1g 당량인데 물은 양이온의 전하수를 따름) 물 분자량의 절반값이 1F 이니 (H20 -> 02 + 0.5H2) 식에서 절반해주면 물은 0.25 몰 22.4 x 0.25 = 5.6 [해설작성자 : 양배추]
에듀윌 문제집 2020년 1회 기출문제 9번에는 수소기체가 0도라고 되어있어 답이 11.2L이고 2020년 3회 기출문제 6번엔~ 생성되는 기체 중 산소는 0도라고 표기되어있습니다. 수소, 산소 문제 모두 나오니깐 주의 하세요. [해설작성자 : banggu]
12.
다음 화합물 중에서 가장 작은 결합각을 가지는 것은?
1.
BF3
2.
NH3
3.
H2
4.
BeCl2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NH3는 삼각뿔형으로 약 107도의 결합각을 가진다. BF3는 평면삼각형으로 120도, H2와 BeCl2는 직선형으로 180도의 결합각을 가진다. [해설작성자 : 1110]
H2는 무극성 공유결합을 하는 이원자분자로 분자구조는 직선형입니다. 따라서 결합각은 180도가 맞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는 오류가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일반화학 A+]
BF3 (삼플루오린화붕소): 120° (삼각 평면) NH3 (암모니아): 107° (삼각뿔) H2 (수소): 수소 분자는 두 개의 원자로만 구성되므로 결합각이라는 개념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선형 분자로 간주할 수 있으며, 만약 결합각을 굳이 따진다면 180°로 볼 수 있습니다. BeCl2 (염화베릴륨): 180° (선형) [해설작성자 : 도련]
13.
지방이 글리세린과 지방산으로 되는 것과 관련이 깊은 반응은?
1.
에스테르화
2.
가수분해
3.
산화
4.
아미노화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지방이 글리세린과 지방산이 되는 것은 가수분해 글리세린과 지방산이 지방이 되는 것은 에스테르화 [해설작성자 : 요정]
[H+]*[OH-]=10^(-14) 항상 성립하는 식 [OH-]가 10^(-5)mol/L 만큼 있다면 [H+]은 10^(-9)mol/L 만큼 있음 10^(-5) > 10^(-9) 이므로 용액에는 [OH-]의 양이 더 많습니다. [OH-]의 양이 더 많을경우 염기성 [해설작성자 : 화학공학부]
15.
다음에서 설명하는 법칙은 무엇인가?
1.
헨리의 법칙
2.
라울의 법칙
3.
아보가드로의 법칙
4.
보일-샤를의 법칙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헨리의 법칙 : 난용성 기체일 때, 기체의 용해도는 압력에 비례한다. 아보가드로의 법칙 : 같은 온도와 압력 하에서 모든 기체는 같은 부피 속에 같은 수의 분자가 있다. (표준상태(0도씨, 1기압)에서 기체 1mol은 22.4L) 보일-샤를의 법칙 : 보일 : 온도가 일정할 때 압력과 부피는 반비례 (PV = k(일정)) 샤를 : 압력이 일정할 때 절대온도와 부피는 비례 (V/T = k(일정)) ->PV/T = k(일정), PV/T = P'V'/T' [해설작성자 : 챔]
16.
질량수 52인 크롬의 중성자수와 전자수는 각각 몇 개인가? (단, 크롬의 원자번호는 24이다.)
1.
중성자수 24, 전자수 24
2.
중성자수 24, 전자수 52
3.
중성자수 28, 전자수 24
4.
중성자수 52, 전자수 24
정답 : [
3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1) 전자 수 = 원자 번호 = 24 2) 중성자 수 = 질량 수 - 전자 수 52 - 24 = 28 [해설작성자 : 임곰임다]
중성원자에서 원자번호는 양성자수와 전자수와 같습니다. 또한 질량수는 양성자수와 중성자수를 더한 값입니다. 네이버 두산백과 기준으로 양성자의 질량은 1.673*10^-27kg, 중성자의 질량은 1.674*10^-27kg이고 전자는 9.10*10^-31kg입니다. 따라서 양성자, 중성자의 질량에 비해 전자의 질량이 작기 때문에 원자의 질량수를 계산할 때는 무시합니다. 1. 원자번호 = 양성자수 = 전자수(중성원자) 2. 질량수 = 양성자수 + 중성자수 따라서 전자수는 원자번호와 같은 24이고 중성자수는 질량수에서 양성자수를 뺀 28입니다. [해설작성자 : 일반화학 A+]
17.
다음 중 물이 산으로 작용하는 반응은?
1.
NH4+ + H2O → NH3 + H3O+
2.
HCOOH + H2O → HCOO- + H3O+
3.
CH3COO- + H2O → CH3COOH + OH-
4.
HCl + H2O → H3O+ + Cl-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브뢴스테드 산염기는 수소를 주고 받고에 따라 나뉜다. H를 주면 산, H를 얻으면 염기. [해설작성자 : 다음주시험]
18.
일정한 온도하에서 물질 A와 B가 반응을 할 때 A의 농도만 2배로 하면 반응속도가 2배가 되고 B의 농도만 2배로 하면 반응속도가 4배로 된다. 이 경우 반응속도식은? (단, 반응속도 상수는 k 이다.)
1.
v = k [A][B]2
2.
v = k [A]2[B]
3.
v = k [A][B]0.5
4.
v = k [A][B]
정답 : [
1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v=k[A]^m[B]^n [A],[B] = 농도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
A를 2배를 했더니 반응속도 가 2배가 되었죠? 그럼 2^1=2 즉 1[A]는 1승인것을 알 수 있어요
*시험장 가서 만약 반응속도가 8배가 되었다가 나온다면? [C]^3 3승(3제곱) 고르면 되겠죠?
2의 제곱 알고있으면 됩니다. 2/4/8/16 ... [해설작성자 : 문과를 위해서]
19.
다음 물질 1g 당 1kg의 물에 녹였을 때 빙점강하가 가장 큰 것은? (단, 빙점강하 상수값(어느점 내림상수)은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1.
CH3OH
2.
C2H5OH
3.
C3H5(OH)3
4.
C6H12O6
정답 : [
1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빙점 강하는 몰에 비례하고 분자량에 반비례한다. [해설작성자 : SSH]
어는점내림(빙점강하) 식 ΔTf=k(어는점내림상수)*m(몰랄농도) 몰랄농도는 용액 1kg당 용질이 몇mol 존재하는지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몰랄농도가 크면 어는점 내림이 큽니다.(어는점이 많이 내려감) 이 문제에서 모든 물질이 1g이고 용액의 양은 1kg으로 동일합니다. 따라서 용질의 mol 수가 높으려면 분자량이 작아야합니다. 분자량이 가장 작은 1번이 답 [해설작성자 : 화학공학부]
20.
다음 밑줄 친 원소 중 산화수가 +5 인 것은?
1.
Na2Cr2O7
2.
K2SO4
3.
KNO3
4.
CrO3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 Na2 + Cr2 + O7 계산식: (+1*2) + 2x + (-2*7)=0, x=+6 2. K2 + S + O4 계산식: (+1*2) + x + (-2*4)=0, x= +6 3. K + N + O3 계산식: (+1) + X + (-2*3)=0, x= +5 4. Cr + O3 계산식: x + (-2*3)=0, x= +6 [해설작성자 : 신화창조]
2과목 : 화재예방과 소화방법
21.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이동탱크저장소에 의한 위험물의 운송 시 위험물운송자가 위험물안전카드를 휴대하지 않아도 되는 물질은?
1.
휘발유
2.
과산화수소
3.
경유
4.
벤조일퍼옥사이드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위험물 안전카드를 휴대해야 하는 경우는 4류위험물 중에서는 특수인화물 그리고 제1석유류다 [해설작성자 : 위험물 다리우스]
저도 그렇게 했었는데 해설보니까 탄산수소나트륨이랑 이산화탄소 분자량:질량 비례식으로 이산화탄소 질량구하고 이산화탄소 이상기체방정식 이용해서 V값 구하는거라 합니다 [해설작성자 : 아니야]
이게 맞아님 설명이 맞는 것 같아요 마지막에 2로 나눠주는거는 갯수비로 나오는 것 2Nahco3 = na2co3 + co2 + h2o 2탄산수소나트륨이 = 1이산화탄소기 때문 [해설작성자 : 꼭따자]
두 방식 모두 가능함 [해설작성자 : 둘다맞아]
탄산수소나트륨 분해반응식 2nahco3->na2co3+h2o+co2룰 그냥 외우시고 비례식을 사용해서 co2의 몰수를 구합니다. 2x84 - 1 10000 - X 84 x 2 x X = 10000 x 1 = 59.52mol의 이산화탄소 몰수가 나옵니다 pv=nrt를사용해서 대입 후 계산하면 1 x V = 59.52 x 0.082 x (273+270) = 2.650L = 2.65m3 [해설작성자 : 히오스왕]
맨 처음 풀이는 안될거 같습니다. 결론적으로 답은 같은데 위의 방식은 탄산수소나트륨을 기체로 보고 이상기체 상태방정식을 대입하는건데 확실히 기체인지는 모릅니다. 실제로 베이킹파우더가 탄산수소나트룸인데 기체라고 생각하긴 어려울 수 있습니다.(결론적으론 문제의 상황에선 기체가 맞긴 합니다) 따라서 해당 질량에 분자량을 나눠 몰 수를 구하고 분해반응식을 이용해 이산화탄소의 몰 수를 구하는 방식이 맞을 것 같습니다. 이산화탄소는 기체형태로 표준상태의 22.4L를 적용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답은 2650L가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처음풀이 이상함]
문제가 불친절하기는 하지만 1. 분말소화약제(s)가 분사 후 열분해되어 이산화탄소(g)를 발생했다는 것과 2. 대략적인 부피를 물어보는 것으로 보아 완전히 분해되었을 경우를 구하는 것이 출제자의 의도 같습니다.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문제를 만들다보니 어렵지 않은 문제를 오히려 어렵게 해석하게 되는 것 같아요. [해설작성자 : 복합동]
식은 알고 있어야 합니다. 2NaHCO3 = Na2CO3 + CO2 + H2O
STP 상태(0'C, 1기압) 에서 2x84kg : 22.4 m^3 = 10kg : x m^3
탄화칼슘이 물과 반응하면 수산화칼슘과 아세틸렌가스가 생성된다. [해설작성자 : 떡잎마을방범대장]
인화칼슘-포스핀 탄화칼슘-아세틸렌 탄화알루미늄-메탄 발생임 [해설작성자 : 김미]
44.
다음 중 물이 접촉되었을 때 위험성(반응성)이 가장 작은 것은?
1.
Na2O2
2.
Na
3.
MgO2
4.
S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1. Na2O2(과산화나트륨)은 1류 위험물 중 무기과산화물에 해당하고, 화재시 주수금지다.(마른모래 사용) 2. Na은 물과 반응시 수소기체가 발생한다. 4. S는 물에 녹지 않는다.(반응을 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4번 ! [해설작성자 : 이번주시험인데오늘부터시작ㅋㅋ]
과산화마그네슘 + 물 2MgO2 + 2H2O → 2Mg(OH)2 + O2 + 발열
과산화마그네슘은 제 1류 위험물 무기과산화물로서 산화성고체입니다. 무기과산화물은 금수성 물질로 물과 접촉 시 산소를 발생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위산기 재수생 윤씨]
정답이 4번인 것은 이견이 없습니다.
문제의 보기 3번은 MgO2로 이는 산화 마그네숨이 아닌 과산화마그네슘입니다. Mg는 +2가의 양이온이 되고 O는 -2가의 음이온이 되므로 산화마그네슘은 MgO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보기 3번은 MgO2이므로 과산화마그네슘(제1류위험물 중 무기과산화물)입니다. 무기과산화물은 물과 반응하면 활성산소가 방출됩니다. [해설작성자 : 일반화학 A+]
45.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6류 위험물에 해당하는 물질로서 햇빛에 의해 갈색의 연기를 내며 분해할 위험이 있으므로 갈색병에 보관해야 하는 것은?
1.
질산
2.
황산
3.
염산
4.
과산화수소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질산의 경우 빛을 받게되면 분해가 되기 때문에 갈색 유리병에 보관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SMU]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위험물제조소의 위험물을 취급하는 건축물의 구성부분 중 반드시 내화구조로 하여야 하는 것은?
1.
연소의 우려가 있는 기둥
2.
바닥
3.
연소의 우려가 있는 외벽
4.
계단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기둥, 바닥, 계단은 불연구조로 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시험 5일전]
55.
물보다 무겁고, 물에 녹지 않아 저장 시 가연성 증기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수조 속의 위험물탱크에 저장하는 물질은?
1.
디에틸에테르
2.
에탄올
3.
이황화탄소
4.
아세트알데히드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이산화황 물보다 무겁고 물에 안 녹으며 독성이 있다. 연소시 유독가스인 이산화황(SO2)발생 가연성 가스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물(수조)속에 보관한다. [해설작성자 : DoubleM2]
CS2 이황화탄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6.
금속나트륨의 일반적인 성질로 옳지 않은 것은?
1.
은백색의 연한 금속이다.
2.
알코올 속에 저장한다.
3.
물과 반응하여 수소가스를 발생한다.
4.
물보다 비중이 작다.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나트륨 융점 97.8도씨, 비중 0.97 은백색의 무른 경금속. 석유류(등/경유,유동파라핀)에 저장 물과 반응하면 수소 발생 [해설작성자 : DoubleM2]
금속나트륨은 공기 중의 수분이나 알코올과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하며 자연발화를 일으키기 쉬우므로 석유, 유동파라핀 등에 저장해야 한다. 나트륨과 물의 반응 : 2Na + 2H2O -> 2NaOH + H2 나트륨과 알코올의 반응 : 2Na + 2C2H2OH -> 2C2H5ONa + H2 [해설작성자 : 떡잎마을방범대장]
57.
다음 위험물 중에서 인화점이 가장 낮은 것은?
1.
C6H5CH3
2.
C6H5CHCH2
3.
CH3OH
4.
CH3CHO
정답 : [
4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이 문제는 4류 위험물의 인화점 문제인데 각 석유류 별로 인화점 범위, 보기의 위험물질들이 몇 석유류인지만 알면 문제 풀기 쉬움 스틸렌이 32도씨 <--- 이렇게 인화점 외울 필요X
***인화점 범위 특수인화물 : -20도 이하 1석유류 : 21도 미만 2석유류 : 21도 이상 70도 미만 3석유류 : 70도 이상 200도 미만 4석유류 : 200도 이상 250도 미만 동식물유류 : 250도 미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