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해양조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27일(13220)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해양조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물리해양학


1. 세계에서 수송량이 가장 많은 해류는?
     1. 남극순환류
     2. 북적도 해류
     3. 오야시오 해류
     4. 멕시코 만류(Gulf Stream)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세계에서 수송량이 가장 많은 해류는 바로 남적도 해류(ACC , Antarctic Circumpolar Current, 남극순환해류)이다
*지구에서 가장 강력한 해류 *모든 해류 중 수송량이 가장 많다 *남극 대륙을 중심으로 서쪽에서 동쪽으로 흐른다
*남대서양,인도양,남태평양을 모두 연결한다 *해류의 수송량은 약 130 Sverdrup(sv) 이상이다 (1 Sverdrup = 초당 100만톤의 물이 흐르는 양)

WHY?
*ACC는 육지에 막히지 않고 전 지구적으로 순환하는 유일한 해류
*강한 편서풍에 의해서 끊임없이 동쪽으로 흐른다
*차가운 극지 해수와 비교적 따뜻한 중위도 해수가 섞이면서 에너지와 질량이 큰 규모로 이동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 소파층(SOFAR layer)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가, 나
     2. 가, 다
     3. 나, 라
     4. 다, 라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가. 소파층은 해양에서 음속이 가장 느린 층이다 (x)
나. 음파는 음속이 더 느린방향으로 굴절하는 성질이 있어서, 위나 아래로 벗어나려는 음파가 다시 소파층으로 반사 또는 굴절되어 되돌아오게 된다 *소파층이 해양에서 음속이 가장 느린층이기 때문 (o)
다. 소파층의 윗부분은 얕은 수심인 수온약층으로 수온이 급격하게 낮아지는 층이다
수온이 낮아지면 음속도 감소한다 수압은 얕은 수심에서는 크게 증가하지 않기 때문에 영향이 적다
즉, 소파층의 윗부분에서는 수온이 음속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준다 (x)
라. 소파층은 수온약층과 심해층 사이에 존재하는 층이다(o)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세계 대양의 저층수 분포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해류는?
     1. 남극순환류
     2. 남적도 해류
     3. 브라질 해류
     4. 쿠로시오 해류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세계 대양의 저층수 분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해류는 남극 저층수(AABW, Antarctic Bottom water)이다
AABW는 남극 대륙 주변, 특히 웨델해나 로스해 부근에서 생성된다
매우 차갑고 염분이 높아서 밀도가 크기 때문에 생성 후에 전 세계 대양의 바닥층으로 가라앉아 흐른다
이 해류는 수심 4000m 이하의 해저를 따라 전 지구적으로 퍼지고 저층수 분포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 해양에서 적외선 파장을 이용하여 수온을 측정하는 위성 장치는?
     1. CZCS
     2. NDVI
     3. AQUA
     4. AVHRR

     정답 : []
     정답률 : 78%

5. 온위(potential temperatur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대기압 상태의 온도
     2. 해수가 가질 수 있는 잠재적 온도
     3. 어떤 수심의 물을 단열적으로 기준이 되는 깊이로 가져왔을 때 그 물이 가지는 온도
     4. 어떤 수심의 물을 천천히 일정 깊이로 가져 왔을 때 처음 온도에 비해 증감된 온도

     정답 : []
     정답률 : 80%

6. 다음 중 해양표면에서 대기로의 열 전달이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는 경우는? (단, Ta : 기온, Tb : 표층수온이며, 풍속은 일정하다.)
     1. Ta > Tb
     2. Ta = Tb
     3. Ta < Tb
     4. Ta와 Tb에 무관

     정답 : []
     정답률 : 81%

7. 에크만 수송에 작용하는 힘은?
     1. 마찰력, 중력
     2. 수압경도력, 중력
     3. 전향력, 수압경도력
     4. 전향력, 바람의 응력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에크만 수송(Ekman transport)
표층 바다에서 바람이 해수면을 밀어 해수가 움직일 때 지구의 자전 때문에 해수가 점점 방향을 틀면서 아래로 전달되어서 전체적으로 평균적인 수송 방향이 바람과 90도 각도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즉, 에크만 수송에 작용하는 힘은 바람이 해수면을 미는 힘인 바람의 응력과 지구 자전에 의해 유체가 휘는 힘인 전향력 두가지 작용하게 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 직접 해류 측정이 가능한 기기는?
     1. CTD
     2. ADCP
     3. NOAA-11
     4. Echo-Sounder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2.ADCP(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
ADCP는 음파(Doppler 효과)를 이용해서 수직 수층을 따라 해류의 속도와 방향을 직접 측정하는 대표적인 장비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파고 2m, 주기 10초인 심해파에서 표면 물입자의 이동속도는?
     1. 약 0.1m/s
     2. 약 0.6m/s
     3. 약 1m/s
     4. 약 2m/s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심해파에서 표면 물입자의 속도
u = H * pie / T (H=파고 T=주기)
u = 2m * pie / 10 sec
u = 0.628 m/sec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 밀도와 비용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밀도가 증가하면 비용도 증가한다.
     2. 밀도가 증가하면 비용은 감소한다.
     3. 수온이 증가하면 밀도가 증가한다.
     4. 염분이 감소하면 밀도가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11. 어느 항구의 4대 분조의 반조차가 다음과 같다면 이 항구의 조석 형태는?

    

     1. 일주조형
     2. 혼합조형
     3. 반일주조형
     4. 태음분조형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반일주조형 - 하루에 두 번의 고조 혹은 저조가 있는 경우 1일 2회조 평균 주기는 약 12시간 25분(반태음일) F=(HK+HO)/(HM/HS)
[해설작성자 : 다이버]

12. 다음 중 다른 해역에 비해 조류가 강한 이유가 다른 해역은?
     1. 인천
     2. 울돌목
     3. 노량해협
     4. 맹골수도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234: 좁은 수로(협수로)로 인해서 물이 빠르게 좁은 통로를 지나가며 조류가 매우 강하다
특히 울돌목은 조류가 시속 10노트(약 18km/h)가 넘을 정도로 빠르기로 유명하다
반면에 인천은 조차(만조-간조 차이)가 매우 크고
갯벌이 발달한 해역이라서 조류보다는 조석(수위의 높낮이)현상이 두드러지는 지역이다
조류는 위 해역들보다 상대적으로 약하긴 하다
[해설작성자 : 다람쥐 대통령]

13. 대양에서 발생한 태풍 반경 내에서 주기 10초, 파고 12m의 매우 발달된 파랑이 관측되었다. 이 파의 파속은?
     1. 약 9.9m/s
     2. 약 10.8m/s
     3. 약 13.0m/s
     4. 약 15.6m/s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이 문제는 파랑의 주기를 알고 있을 때 파속을 계산하는 문제이다
태풍 해역처럼 깊은 바다(대양)에서는 심해파 조건을 적용해서 풀어야한다

심해파에서의 파속 공식
C = gT/2pie (C:파속 g:중력가속도 T:파의 주기)
T = 10 sec

C = 9.8*10/2pie
    = 15.6 m/s
[해설작성자 : 다람쥐 대통령]

14. 다음 중 대량의 표층수가 냉각, 침강하여 심층수로 변하는 해역은?
     1. 인도양 북부 해역
     2. 북태평양 북부 해역
     3. 북대서양 북부 해역
     4. 알래스카 북부 해역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북대서양 북부 해역은 전 지구 해류 순환(Global Thermohaline Circulation)의 출발점으로 차가운 공기와 접촉해 표층수가 심하게 냉각되면 염분도가 높아지고 그 결과 밀도가 높아져서 침강하며 북대서양 심층수 (NADW,North Atlantic Deep Water)을 형성한다
[해설작성자 : 다람쥐 대통령]

15. 다음 중 해수의 연직 안정도가 가장 높은 경우는? (단, p1: 상층해수 밀도, p2: 하층해수 밀도)
     1. p1 >p2
     2. p1= p2
     3. p1< p2
     4. 밀도에 관계 없음

     정답 : []
     정답률 : 81%

16. 지형류(geostrophic current)의 방향은?
     1. 해안선에 평행
     2. 등고선에 수직
     3. 등압선에 평행
     4. 등압선에 수직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지형류 (Geostrophic current)는 바다에서 기압경도력(pressure gradient force)와 코리올리 힘(Coriolis force)가
균형을 이루는 흐름이다 이때 흐름은 기압경도력 방향으로 흐르지 않고, 코리올리 힘과 균형을 이루며 등압선에 평행하게 흐르게 된다
[해설작성자 : 다람쥐 대통령]

17. 우리나라 근해의 해류에 있어서 전향력(Coriolis force)이 작용하는 방향은?
     1. 진행방향의 뒤쪽
     2. 진행방향의 앞쪽
     3. 진행방향의 왼쪽
     4. 진행방향의 오른쪽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코리올리력은 지구의 자전에 의해 발생하는 관성력으로
실제로 힘이 작용하는 건 아니지만,회전 좌표계(지구 위)에서 물체가 휘는 것 처럼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코리올리 가속도 = - 2*m(각속도벡터 * 물체의 속도벡터) (m = 물체의 질량)

코리올리 힘은 항상 각속도벡터와 물체의 속도벡터의 외적 방향으로 작용한다
북반구에서는 지구 자전축 각속도벡터가 위쪽 (북쪽)이다
즉, 북반구에서는 물체의 속도벡터가 어느 방향이든 코리올리 힘은 그 진행방향의 오른쪽으로 작용하게 된다
[해설작성자 : 다람쥐 대통령]

18. 유의파고(significant wave height)란 파고가 큰 것부터 얼마까지의 평균에 해당되는 파고인가?
     1. 1/2
     2. 1/3
     3. 1/5
     4. 1/10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유의파고(significant wave height,Hs)는 바다의 파도를 통계적으로 대표하기 위한 지표
관측된 파고 중에서 큰 순서대로 정렬했을 때 상위 1/3에 해당되는 파고들의 평균값을 말한다
즉, Hs = 1/3

Why 1/3 인가?
해상에서 선원들이 시각적으로 인지하는 대표적인 파고 높이가 실제로는 상위 1/3 파고의 평균과 가장 유사하다는 연구결과에 따라
유의파고는 "인간이 체감하는 대표 파고"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이 개념은 해양예보,해상구조설계,선박 안정성 평가 등에서 매우 중요하게 쓰인다
[해설작성자 : 다람쥐 대통령]

19. 수온약층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온약층은 수직안정도가 대단히 크다.
     2. 계절수온약층은 온대해양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다.
     3. 영구수온약층은 한 대해양과 열대해양에서만 볼 수 있다.
     4. 깊이에 따라 수직온도의 경도가 급격한 층을 수온약층이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20. 조석조화상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우리나라 조화상수의 기준은 인천항이다.
     2. 조화상수를 이용하여 조석예보를 할 수 있다.
     3. 조화상수는 반조차(진폭)와 지각으로 구성된다.
     4. 조화상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조석관측 자료가 필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70%

2과목 : 화학해양학


21. 해수중 화학적산소요구량(COD)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다음 중 가장 적합한 것은?
     1. 윙클러법
     2. 티오황산나트륨법
     3. 산성 100℃ 과망간산칼륨법
     4. 알칼리성 100℃ 과망간산칼륨법

     정답 : []
     정답률 : 68%

22. 다음 원수 중 해수중 농도가 가장 높은 원소는?
     1. Ca2+
     2. K+
     3. Mg2+
     4. Na+

     정답 : []
     정답률 : 82%

23. 비색법에 있어서 발색반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시약의 첨가량과 관계없다.
     2. 발색 시 용액의 pH와는 관계없다.
     3. 발색 시 온도에 따른 영향이 크다.
     4. 시약의 첨가순서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77%

24. 적조생물의 구제 또는 제거방법이 아닌 것은?
     1. 점토살포법
     2. Bio-control법
     3. 영양물질제어법
     4. 화학약품살포법

     정답 : []
     정답률 : 64%

25. 윙클러(winkler)법에 의하여 해수중에 있는 용존산소량을 측정하고자 시료를 처리할 때 오차의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시료의 염분
     2. 채수 시 발생하는 기포
     3. 시료 속에 존재하는 산화환원 물질
     4. 티오황산나트륨으로 적정 시 유리된 요오드의 증발

     정답 : []
     정답률 : 64%

26. 다음 중 편모조류로 인한 적조 발생의 주 요인이 되는 물질은?
     1. 규산염
     2. 중금속
     3. 염화탄화수소
     4. 유리성 생활 오폐수

     정답 : []
     정답률 : 70%

27. 해수중 입자성물질과 용존성물질을 나누는 여과지의 공경은?
     1. 0.20nm
     2. 0.20um
     3. 0.45nm
     4. 0.45um

     정답 : []
     정답률 : 70%

28. 해수에서 다음 질소원소 중 식물플랑크톤에 의해 가장 우선적으로 취해지는 것은?
     1. N2
     2. NO2-
     3. No3-
     4. NH4+

     정답 : []
     정답률 : 65%

29. 해수중의 Na(분자량 23) 농도 표시 중 몰농도값이 가장 큰 것은?
     1. 20ppm
     2. 20mg/L
     3. 20mM
     4. 0.2g/L

     정답 : []
     정답률 : 68%

30. 질소는 비교적 불활성 기체로, 해수중에 대략 몇 ppm 정도가 존재하는가?
     1. 0-2ppm
     2. 3-9ppm
     3. 10-18ppm
     4. 64-107ppm

     정답 : []
     정답률 : 70%

31. 대양에서 수괴의 기원을 파악하는데 가장 유용한 동위원소 추적자는?
     1. 234U
     2. 228Ra
     3. 137Cs
     4. 18C/16O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4. 18C/16O
18O/16O 가 맞는 문제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다람쥐 대통령]

32. 적조(Red tide)는 수중의 적조원인 생물이 환경 변화에 의해 돌발적으로 이상 대번식을 일으켜 수색을 변화시키는 일종의 부영양화 현상이다. 적조가 환경에 끼치는 영향이 아닌 것은?
     1. 생물농축에 의한 중독현상
     2. 편모조류의 독성물질에 의한 치사효과
     3. 대량 번식 후 분해과정에서의 산소고갈
     4. 적조원인 생물이 분비하는 점액질에 의한 호흡방해

     정답 : []
     정답률 : 69%

33. pH 5인 해수를 pH 7로 증가시키면 수소이온농도(H+)는 어떻게 변하는가?
     1. 2배 증가
     2. 2배 감소
     3. 100배 증가
     4. 100배 감소

     정답 : []
     정답률 : 74%

34. 일반 해양에서 탄소의 순환에 영향을 가장 적게 미치는 것은?
     1. 유기물의 침강
     2. 유기물의 분해
     3. 해양생물의 성장
     4. 표층 산소의 대기 방출

     정답 : []
     정답률 : 65%

35. 다음 금속원소 중 환원환경하에서 퇴적물로부터 저층수 중으로 용출되는 원소는?
     1. 크롬
     2. 망간
     3. 토륨
     4. 알루미늄

     정답 : []
     정답률 : 63%

36. 물이 든 비커에 소금을 넣고 잘 저어서 완전히 녹였을 때 관측되는 현상으로 맞는 것은?
     1. 비커 안 용액의 부피는 줄어든다.
     2. 비커 안 용액의 부피는 늘어난다.
     3. 비커 안 용액의 부피는 변화가 없다.
     4. 비커 안 용액의 부피는 줄었다가 늘어나는 것을 불규칙하게 반복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37. 해수중의 탄산가스 공급원이 아닌 것은?
     1. 대기
     2. 해산동물의 호흡작용
     3. 해산식물의 동화작용
     4. 유기물질의 부패분해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해산 식물의 동화작용 = 광합성
해산식물(주로 식물성 플랑크톤)은 동화 작용, 즉 광합성을 통해 해수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유기물을 생성한다
이는 해수 중 탄산가스를 소비하는 과정이며, 해수 중 탄산가스의 공급원이 아니라 제거원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8. 해양화학에서 추적자(tracer)로 흔히 사용하는 방사선 원소인 가 현재 1mg 존재한다면, 57300 후에는 대략 얼마만큼 존재하겠는가? (단, 방사능 붕괴 법칙인 N=NOe-λt식을 이용할 것 e6.93=1022)
     1. 1mg
     2. 0.1mg
     3. 0.5mg
     4. 1ug

     정답 : []
     정답률 : 58%

39. 해수에 녹아 있는 성분 중 생물비제한(bio-unlimited) 성분은?
     1. SO42-
     2. NO3-
     3. PO43-
     4. Ca2+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생물제한 성분
생물이 성장에 필요로 해서 소모된에 따라 농도가 줄어드는 물질

생물비제한 성분
생물이 잘 사용하지 않거나,사용하더라도 해수 중 농도가 충분히 많아서 고갈되지 않는 물질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0. 해수중 생물체의 질소와 인의 구성비(N/P)는?
     1. 1
     2. 15
     3. 60
     4. 106

     정답 : []
     정답률 : 72%

3과목 : 생물해양학


41. 동물 플랑크톤의 수직 회유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식물 플랑크톤을 먹기 위해 표면으로 올라온다.
     2. 표층의 강한 태양광선을 피하여 심층으로 내려간다.
     3. 적정 조도의 수층(水層)을 따라 수직이동 한다.
     4. 적정 온도의 수층을 따라 수직 이동한다.

     정답 : []
     정답률 : 71%

42. 보상심도(Compensation depth)에서 광합성에 의하여 생산된 O2의 양과 호흡에 의하여 소비되는 O2양의 관계는?
     1. 생산된 O2의 양과 소비된 O2의 양이 같다.
     2. 광합성으로 생산된 O2의 양이 많다.
     3. 호흡에 소비되는 O2의 양이 많다.
     4. O2의 양과는 관계가 없다.

     정답 : []
     정답률 : 80%

43. 다음 중 어류의 연령을 사정하기 위하여 가장 많이 사용되는 형질은?
     1. 항문
     2.
     3. 이빨
     4. 이석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이석은 어류의 내이에 있는 석회질 구조물로,청각 및 평형감각을 담당한다
나무의 나이테처럼 연륜 구조가 생기며 계절에 따라 성장 속도의 차이로 층이 형성된다
이 층을 현미경으로 분석하여 어류의 나이(연령)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다람쥐 대통령]

44. 해조류 생식방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포자체와 배우체의 형태가 다른 세대교번을 이형세대교번이라고 한다.
     2. 다시마는 이형세대교번을 하는 대표적인 해조류이다.
     3. 우리가 즐겨 먹는 김은 일반적으로 동형세대교번을 하는 해조류이다.
     4. 핵상이 단상인 세대를 무성세대, 복상인 세대를 유성세대라고 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45. 조간대 식물의 질소고정 작용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녹조류
     2. 규조류
     3. 무절산호조류
     4. 남조류

     정답 : []
     정답률 : 65%

46. 다음 부유생물 중 자웅동체인 것은?
     1. 갑각류
     2. 모악류
     3. 연체류
     4. 단각류

     정답 : []
     정답률 : 72%

47. 하구역의 환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형성요인에 따라 그 지형의 특성을 크게 해안평원하구역, 구조하구역, 협만하구역, 반폐쇄석호하구역의 4가지로 구분한다.
     2. 하구역에서는 강으로부터 유입된 퇴적물입자 및 유기입자 등이 쌓여 조립질의 퇴적층을 형성된다.
     3. 연악역 중 담수와 해수가 만나는 강하구 수역이다.
     4. 하구역의 생물들은 대부분 광염성, 광온성 종들이다.

     정답 : []
     정답률 : 69%

48. 다음 중 생물 두 종간의 편리공생을 가장 잘 설명하는 것은?
     1. 한 종은 이익을 보고 한 종은 손해를 본다.
     2. 한 종은 이익을 보고 한 종은 이익도 손해도 없다.
     3. 두 종 모두 이익을 본다.
     4. 두 종 모두 손해를 본다.

     정답 : []
     정답률 : 82%

49. 해산 포유류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온도가 낮은 해수에 의한 열 손실을 줄이기 위해 체표면 체중의 비를 증가시킨다.
     2. 잠수병을 일으키지 않기 위하여 잠수할 동안 폐에서의 공기교환이 일시 중단된다.
     3. 장시간 수중에서 지내기 위하여 혈액 속 산소 저장 능력이 탁월하다.
     4. 고래는 체온을 유지하기 위하여 피하지방을 발달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73%

50. 연체동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따개비
     2. 전복
     3.
     4. 담치

     정답 : []
     정답률 : 74%

51. 썰물 대 대기에 노출되기도 하며, 광, 수온, 염분 등에 의한 환경변화가 심한 곳은?
     1. 조간대
     2. 조하대
     3. 대륙붕
     4. 심해

     정답 : []
     정답률 : 86%

52. 다음 어류 중 알을 낳지 않는 것은?
     1. 갈치
     2. 망상어
     3. 가물치
     4. 연어

     정답 : []
     정답률 : 81%

53. 다음 중 해양생태게의 에너지 흐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동물 플랑크톤은?
     1. 물벼룩류
     2. 갯지렁이류
     3. 요각류
     4. 만각류

     정답 : []
     정답률 : 74%

54. 해양동물에게 강한 독성을 지니고 기형적인 성장과 생식불능이 되는 임포섹스(imposex)현상을 유발하는 해양오염물은?
     1. 유기주석(TBT)
     2. 염화 탄화수소(PCBs)
     3. DDT
     4. 석유탄화수소

     정답 : []
     정답률 : 71%

55. 다음 중 적조를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화학물질에 의한 바다의 색깔변화
     2. 공장에서 나오는 염료에 의하여 바닷물의 색깔이 변하는 현상
     3. 강우나 준설 같은 것으로 인하여 바닷물의 색깔이 변하는 현상
     4. 환경조건이 좋아서 물에 플랑크톤이 단시간 내에 과다하게 번식하여 바다의 색깔이 변하는 현상

     정답 : []
     정답률 : 87%

56. 다음 중 홍수림(맹그로브 숲)이 번성하는 환경은?
     1. 극지고산대
     2. 온대연안
     3. 열대연안
     4. 대양중앙부

     정답 : []
     정답률 : 84%

57. 육상생물과 비교할 때 해양생물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단단한 지지조직이 필요하다
     2. 대부분 항온동물이다
     3. 초식동물의 크기가 작다
     4. 체내에 많은 에너지를 저장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58. 광합성 임계 수심(critical depth)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순생산율이 최대가 되는 깊이
     2. 광합성률과 호흡률이 같은 깊이
     3. 수층 총 생산량과 수층 총 호흡량이 같아지는 깊이
     4. 일반적으로 임계 깊이는 보상 깊이보다 얕다.

     정답 : []
     정답률 : 63%

59. 산호의 몸속에 있는 공생 단세포 식물 세포를 일컫는 말은?
     1. zooxanthellae
     2. zooplankton
     3. phytocell
     4. parasite

     정답 : []
     정답률 : 74%

60. 해양에서 탈질화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산소가 풍부한 환경에서 일어난다
     2. 결과적으로 해양에서 질소 가스의 증가 요인이다.
     3. 최종적으로 질산염이 만들어진다.
     4. 일종의 산화과정이다.

     정답 : []
     정답률 : 57%

61. 전형적인 해양 지각(oceanic crust)을 이루는 암석은?
     1. 변성암
     2. 퇴적암
     3. 현무암
     4. 화강암

     정답 : []
     정답률 : 74%

62. 연흔(ripple mark)과 관계없는 사항은?
     1. 조류가 흐르고 있다.
     2. 심해저에서도 나타난다.
     3. 해류의 방향을 지시해 준다.
     4. 자갈 크기의 입자로 구성된 퇴적층에서만 볼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80%

63. 우리나라 해안 중 해침에 의해 리아스식(ria type) 해안선을 이루고 조간대가 가장 넓게 발달한 곳은?
     1. 남해안
     2. 서해안
     3. 동해북부해안
     4. 동해남부해안

     정답 : []
     정답률 : 78%

64. 해양퇴적물의 입도분석 과정에서 모래입자와 이토(mud)입자를 구분하기 위하여 습식체질을 할 때 사용되는 체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3%

65. 해양퇴적물의 일반적인 내용 중 틀린 것은?
     1. 해저에는 예외 없이 퇴적물이 발달되어 있다.
     2. 퇴적물은 주로 성분과 조직을 기초로 하여 분류한다.
     3. 퇴적물의 성분과 조직은 퇴적물의 근원과 퇴적환경을 지시한다.
     4. 퇴적물의 조직은 주로 퇴적물과 물운동과의 관계를 지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76%

66. 태평양 심해저 표층에서 발견되는 광물자원 중 가장 많이 분포하는 광물은?
     1. 석유
     2. 망간단괴
     3. 인광단괴
     4. 천연가스

     정답 : []
     정답률 : 83%

67. 퇴적물의 운반과정에 관한 설명 줄 틀린 것은?
     1. 퇴적물 운반은 해빈과 쇄파대에서 가장 크게 일어난다.
     2. 퇴적물의 조직과 배열은 운반의 요인인 동시에 결과이다.
     3. 연안류나 조류는 퇴적물을 연안에 평행한 방향으로 운반한다.
     4. 점토는 입자 크기가 작으므로 재운반시에는 실트보다 작은 유속이 필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72%

68. 대륙대(continental rise)와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단층에 의한 것이다.
     2. 해저 확장이론과 관련된다.
     3. 해저 저탁류와 관계가 깊다.
     4. 해저 화산활동에 의한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59%

69. 해저하부 30m 정도의 깊이에 있는 퇴적물과 암층을 종단면도로 나타낼 때 가장 정확한 지구물리학적 탐사방법은?
     1. 자력탐사법
     2. 탄성파탐사법
     3. 열류량 측정법
     4. 해양중력탐사법

     정답 : []
     정답률 : 81%

70. 해양지각의 평균밀도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약 2.9g/cm3
     2. 약 4.5g/cm3
     3. 약 11.8g/cm3
     4. 약 16.0g/cm3

     정답 : []
     정답률 : 57%

71. 심해저 퇴적물의 특성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퇴적물은 대부분 두껍게 발달된다.
     2. 다른 해양환경에 비해 비교적 단조롭다.
     3. 층서학적으로 볼 때 균질한 퇴적환경이다.
     4. 대륙 주변부의 육지기원 퇴적물도 저탁류에 의해 심해저에 도달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72. 해빈(beach) 퇴적물을 이루는 광물 중 가장 흔한 것은?
     1. 석영
     2. 감람석
     3. 각섬석
     4. 에피도르

     정답 : []
     정답률 : 76%

73. 다음 중 해저 선상지에서 주로 발견되는 퇴적물(암)은?
     1. 산호초
     2. 암염층
     3. 저탁암
     4. 적색점토

     정답 : []
     정답률 : 64%

74. 어떤 해저퇴적물의 입도분포 히스토그램에 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퇴적물의 분급도가 비교적 양호하다.
     2. 모래(Sand)퇴적물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3. 퇴적물의 평균입도(Mean) 값은 약 9~10Φ정도이다.
     4. 전체적으로 자갈(Gravel)이 우세한 퇴적환경이다.

     정답 : []
     정답률 : 65%

75. 다음 중 열류량이 가장 낮은 곳은?
     1. 열점
     2. 해구
     3. 해저산맥
     4. 심해저평원

     정답 : []
     정답률 : 60%

76. 일반적으로 쐐기모양을 하며 육성퇴적물로 구성되고 상부층(topset beds), 전면층(foreset beds), 하부층(bottomset beds)으로 구분될 수 있는 연안환경은?
     1.
     2. 초호
     3. 하구
     4. 삼각주

     정답 : []
     정답률 : 76%

77. 초호를 둘러싸는 원형 또는 거의 원형에 가까운 모양을 가진 초는?
     1. 환초(atoll)
     2. 보초(barrier reef)
     3. 판상초(table reef)
     4. 거초(fringing reef)

     정답 : []
     정답률 : 77%

78. 퇴적물의 조직 성숙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일반적으로 해빈퇴적층은 성숙의 범주에 속한다.
     2. 미성숙은 분급은 양호하나 원마도가 불량하다.
     3. 퇴적환경에 있어서의 물리적 에너지 측정은 성숙도의 비교로 가능하다.
     4. 퇴적물은 세립질 물질이 제거되고 분급도가 좋아지며 입자가 원마되면서 조직이 성숙해진다.

     정답 : []
     정답률 : 63%

79. 망간단괴(manganese nodule)가 가장 많이 발달하는 곳은?
     1. 수심 30-70m의 해저
     2. 수심 100-200m의 해저
     3. 수심 1000-1500m의 해저
     4. 수심 4000-5000m의 해저

     정답 : []
     정답률 : 73%

80. 해저표면의 지형적인 특성을 조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탐사방법이 아닌 것은?
     1. 인공위성
     2. 탄성파 굴절법
     3. 다중빔 음향탐사기(multi-beam sonar)
     4. 측면주사 음향탐사기(side-scan sonar)

     정답 : []
     정답률 : 54%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해양조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27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458 산업보건지도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4월12일(13232)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2457 수질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8월22일(13231)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2456 식품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8월22일(13230)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2455 유통관리사 3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11월04일(13229)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2454 유통관리사 3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7월01일(13228)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2453 유통관리사 3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4월15일(13227)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2452 전기공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8월22일(13226)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2451 일반기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8월22일(13224)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2450 대기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8월22일(13223)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2449 산업보건지도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4월20일(13222)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2448 9급 지방직 공무원 행정법총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12월16일(13221)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 해양조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27일(13220)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2446 해양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06일(13219)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2445 해양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27일(13218)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2444 해양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4월28일(13217)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2443 조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8월22일(13216)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2442 조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8월22일(13215)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2441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8월22일(13214)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2440 전기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8월22일(13212)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2439 건축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8월22일(13211)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Board Pagination Prev 1 ...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783 Next
/ 7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