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PL(Fourth Party Logistics)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ㄷ
4.
ㄱ, ㄷ, ㄹ
5.
ㄴ, ㄷ, ㄹ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제4자 물류의 특징 ① 다양한 기업이 파트너로서 참여하는 혼합조직 형태 ② 합작투자 또는 장기간 제휴상태 ③ 이익분배를 통해 공통의 목표 설정 ④ 공급체인상 전체의 관리와 운영 ⑤ 4PL 조직과의 계속적인 노하우 공유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PL 대표적인 형태 : 네트워크형 물류조직 [해설작성자 : 걍쳐볼래]
13.
물류거점 집약화의 효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장과 물류거점 간의 운송 경로가 통합되어 대형차량의 이용이 가능하다.
2.
물류거점과 고객의 배송단계에서 지점과 영업소의 수주를 통합하여 안전재고가 줄어든다.
3.
운송차량의 적재율 향상이 가능하다.
4.
물류거점의 기계화와 창고의 자동화 추진이 가능하다.
5.
물류거점에서 재고집약과 재고관리를 함으로써 재고의 편재는 해소되나 과부족 발생가능성이 높아진다.
정답 : [
5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물류거점 집약화의 효과 ① 공장과 물류거점 간의 운송 경로가 통합되어 대형차량의 이용이 가능하다. ② 물류 거점과 고객의 배송단계에서 지점과 영업소의 수주를 통합하여 안전재고가 줄어든다. ③ 운송차량의 적재율이 향상된다. ④ 물류거점의 기계화와 창고의 자동화 추진이 가능하다. ⑤ 물류거점에서 재고집약 및 재고관리를 하게 되면 재고과부족의 발생 가능성은 줄어들지만 특정 거점에 재고가 몰리는 재고의 편재 가능성은 높아진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4.
물류시스템의 기능별 분류에 해당하는 것은?
1.
도시물류시스템, 지역 및 국가 물류시스템, 국제물류시스템
2.
구매물류시스템, 제조물류시스템, 판매물류시스템, 역물류시스템
3.
운송물류시스템, 보관물류시스템, 하역물류시스템, 포장물류시스템, 유통가공물류 시스템, 물류정보시스템
<문제 해설> 운영계획 - 매일의 활동에 대한 계획을 수립한다. 예) - 주문처리, 주문품발송, 운송일정계획 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6.
물류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물류활동을 실행하기 위해 발생하는 직접 및 간접 비용을 모두 포함한다.
2.
영역별로 조달, 생산, 포장, 판매, 회수, 폐기 활동으로 구분된 비용이 포함된다.
3.
현금의 유출입보다 기업회계기준 및 원가계산준칙을 적용해야 한다.
4.
물류활동이 발생된 기간에 물류비를 배정하도록 한다.
5.
물류비의 정확한 파악을 위해서는 재무회계방식보다 관리회계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정답 : [
2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영역별 물류비에는 조달물류비, 사내물류비, 판매물류비. 리버스물류비(반품,회수,폐기) 가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영역별 물류비: 조달·생산(사내)·판매·리버스물류비(반품,회수,폐기) 포장은 영역별 물류비가 아니다. [해설작성자 : Yadon_]
17.
역물류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반품물류비는 판매된 상품에 대한 환불과 위약금을 포함한 모든 직접 및 간접 비용이다.
2.
반품물류비에는 운송, 검수, 분류, 보관, 폐기 비용이 포함된다.
3.
회수물류비는 판매된 제품과 물류용기의 회수 및 재사용에 들어가는 비용이다.
4.
회수물류비에는 파렛트, 컨테이너, 포장용기의 회수비용이 포함된다.
5.
제품이 정상적으로 사용된 후 소멸 처리하는 것은 폐기비용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1. 환불,위약금은 제외(순수 물적비용만 반품물류비에 해당됨) 2. 폐기 비용은 제외(폐기 비용은 별도 폐기물류비에 분류함) 3. 회수물류비는 재사용에 들어가는 비용은 제외! 5. 폐기비용으로 간주함! [해설작성자 : 광명케이]
18.
A기업의 작년 매출액은 500억원, 물류비는 매출액의 10 %, 영업이익률은 매출액의 15 %이었다. 올해는 물류비 절감을 통해 영업이익률을 20 %로 올리려고 한다면, 작년에 비해 추가로 절감해야할 물류비는? (단, 매출액과 다른 비용 및 조건은 작년과 동일한 것으로 가정한다.)
1.
10억원
2.
15억원
3.
20억원
4.
25억원
5.
30억원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매출액 500억 물류비 50억 영업이익 75억 물류비 절감을 통해 영업이익률을 매출액의 20%까지 끌어올린다. 20%=100억 영업이익 75억 > 100억 // 25억 필요 물류비를 5% 선으로 내리면 가능 =25억 [해설작성자 : ㅇ]
19.
A기업은 공급업체로부터 부품을 운송해서 하역하는데 40만원, 창고 입고를 위한 검수에 10만원, 생산공정에 투입하여 제조 및 가공하는데 60만원, 출고 검사 및 포장에 20만원, 트럭에 상차하여 고객에게 배송하는데 30만원, 제품 홍보와 광고에 50만원을 지출하였다. A기업의 조달물류비는?
1.
50만원
2.
110만원
3.
130만원
4.
160만원
5.
210만원
정답 : [
1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조달물류비는 물자(원자재, 부품, 제품 등을 포함하며 이하 동일하다)의 조달처로부터 운송되어 매입자의 보관창고에 입고, 관리되어 생산공정(또는 공장)에 투입되기 직전까지의 물류활동에 따른 물류비를 말한다. 생산공정에 투입되기까지의 비용은 운송해서 하역하는 비용 40만원과 검수비 10만원으로 총 합계 50만원이다.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 행인]
20.
수직적 유통경로시스템(VMS: Vertical Marketing System)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유통경로상의 한 주체에서 계획된 프로그램에 의해 경로구성원들을 전문적으로 관리ㆍ통제하는 시스템이다.
2.
기업형 VMS는 한 경로구성원이 다른 경로구성원들을 법적으로 소유ㆍ관리하는 시스템이다.
3.
계약형 VMS는 경로구성원들이 각자가 수행해야 할 유통기능들을 계약에 의해 합의함으로써 공식적 경로관계를 형성하는 시스템이다.
4.
계약형 VMS에는 도매상 후원의 임의 연쇄점, 소매상 협동조합, 프랜차이즈 조직이 있다.
5.
관리형 VMS는 수직적 유통경로시스템 중에서 통합 또는 통제 정도가 가장 강한 시스템이다.
정답 : [
5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통제 정도가 강한 순서
기업>계약>관리 [해설작성자 : 만두]
21.
도매물류사업의 기대효과 중 제조업자(생산자)를 위한 기능이 아닌 것은?
1.
구색편의 기능
2.
주문처리 기능
3.
물류의 대형집약화 센터설립 기능
4.
판매의 집약광역화 대응 기능
5.
시장동향정보의 파악(생산조절) 기능
정답 : [
1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구색편의 기능 : 다양한 제품을 가진 도매상으로 부터 소매상은 손쉽게 상품 구색을 제공 받음 [해설작성자 : 돌감자]
22.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가맹점 사업의 종류는?
1.
볼런터리 체인(Voluntary Chain)
2.
레귤러 체인(Regular Chain)
3.
프랜차이즈 체인(Franchise Chain)
4.
협동형 체인(Cooperative Chain)
5.
스페셜 체인(Special Chain)
정답 : [
1
] 정답률 : 50%
23.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정보기술은?
1.
EDI
2.
POS
3.
SIS
4.
EOS
5.
RFID
정답 : [
1
] 정답률 : 75%
24.
EAN 13형 바코드에 포함되지 않는 코드는?
1.
국가식별 코드
2.
제조업체 코드
3.
공급업체 코드
4.
상품품목 코드
5.
체크 디지트
정답 : [
3
] 정답률 : 64%
25.
QR코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코드 모양이 정사각형이다.
2.
1차원 바코드에 비하여 오류복원 기능이 낮아 데이터 복원이 어렵다.
3.
1차원 바코드에 비하여 많은 양의 정보를 수용할 수 있다.
4.
흑백 격자무늬 패턴으로 정보를 나타내는 2차원 형태의 바코드이다.
5.
1994년 일본의 덴소웨이브 사(社)가 개발하였다.
정답 : [
2
] 정답률 : 76%
26.
물류정보기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태그 데이터의 변경 및 추가는 불가능 하나, 능동형 및 수동형 여부에 따라 메모리의 양을 다르게 정의할 수 있다.
2.
USN(Ubiquitous Sensor Network)는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유비쿼터스 환경을 구현하는 기술이며, 사물에 QR코드를 부착하여 정보를 인식하고 관리하는 정보기술을 말한다.
3.
CALS의 개념은 Commerce At Light Speed로부터 Computer Aided Logistics Support로 발전되었다.
4.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란 응용소프트웨어 공급서비스를 뜻하며 사용자 입장에서는 시스템의 자체 개발에 비하여 초기 투자비용이 더 많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5.
IoT(Internet of Things)란 사람, 사물, 공간, 데이터 등이 인터넷으로 서로 연결되어 정보가 생성ㆍ수집ㆍ활용되게 하는 사물인터넷 기술이다.
정답 : [
5
] 정답률 : 73%
27.
물류정보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CVO는 Carrier Vehicle Operations의 약어로서, 화물차량에 부착된 단말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차량 및 화물을 추적ㆍ관리하는 방식이다.
2.
KL-NET는 무역정보망으로서, 무역정보화를 통한 국가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3.
KT-NET는 물류정보망으로서, 물류업무의 온라인화를 위해 개발된 정보망이다.
4.
PORT-MIS는 항만운영관리 시스템으로서, 한국물류협회가 개발 및 운영하는 시스템이다.
5.
VAN은 Value Added Network의 약어로서, 제3자(데이터 통신업자)를 매개로 하여 기업 간 자료를 교환하는 부가가치통신망이다.
정답 : [
5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 Commercial Vehicle Operation System의 약어. 2/3. 서로 설명이 뒤바뀜. L: Logistics / T: Trade 4. 해양수산부에서 개발. [해설작성자 : fff]
28.
A기업은 4개의 지역에 제품 공급을 위해 지역별로 1개의 물류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물류센터에서 필요한 안전재고는 목표 서비스수준과 수요변동성을 반영한 확률 기반의 안전재고 계산공식인 z × σ를 적용하여 계산하였으며, 현재 필요한 안전재고는 각 물류센터 당 100개로 파악되고 있다. 물류센터를 중앙집중화하여 1개로 통합한다면 유지해야 할 안전재고는 몇 개인가? (단, 수요는 정규분포를 따르며, 4개 지역의 조건은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순물류(Forward Logistics)와 역물류(Reverse Logistics)의 차이점을 비교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ㄱ
2.
ㄴ
3.
ㄷ
4.
ㄹ
5.
ㅁ
정답 : [
5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구성원 측면에서 순물류도 역물류도 구성원 측면으로 오히려 복잡함. -> 회수 주체, 책임 소재, 수거 기준, 보상 방식 등 역물류의 거래 조건은 복잡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8.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물류보안제도는?
1.
AEO(Authorized Economic Operator)
2.
CSI(Container Security Initiative)
3.
C-TPAT(Customs Trade Partnership Against Terrorism)
4.
ISF(Importer Security Filing)
5.
ISPS(International Ship and Port Facility Security) Code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1. AEO : 통관혜택 2. CSI : 미국 세관 직원을 주요 항만에 파견하여 보안검색 수행 3. C-TPAT : 911테러 이후 테러수단 국내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민관협력 제도 4. ISF : 보안을 위해 선적지에서 출항 24시간 전, 미국 세관에 온라인으로 신고하는 제도 *수출자 10가지 정보, 운송사(선사) 2가지 정보 총 12가지 정보를 작성해야 함. 그래서 "10+2RULE"이라고 함. 5. ISPS CODE : 테러로부터 항만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로 국제 보안 규칙에 맞게 보안이 지켜지지 않는 선박은 접안이 금지됨. [해설작성자 : ㅇ]
39.
녹색물류 추진방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동 수ㆍ배송 추진
2.
소량 다빈도 수송 추진
3.
모달 쉬프트(modal shift) 추진
4.
회수물류 활성화
5.
저공해 운송수단 도입
정답 : [
2
] 정답률 : 77%
40.
블록체인(Block Chain)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분산원장 또는 공공거래장부라고 불리며, 암호화폐로 거래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해킹을 막는 기술에서 출발했다.
2.
다수의 상대방과 거래를 할 때 데이터를 개인 사용자들의 디지털 장비에 저장하여 공동으로 관리하는 분산형 정보기술이다.
3.
비트코인은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전자화폐이다.
4.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 Chain)과 프라이빗 블록체인(Private Block Chain)은 누구나 접근이 가능하다.
5.
컨소시엄 블록체인(Consortium Block Chain)은 허가받은 사용자만 접근이 가능하다.
적재율은 차량의 적재정량 대비 실제 화물을 얼마나 적재하고 운행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공차율에 관한 설명 [해설작성자 : 똘딴]
43.
화물운송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운송은 재화에 대한 생산과 소비가 이루어지는 장소적 격차를 해소해 준다.
2.
운송방식에 따라 재화의 흐름을 빠르게 또는 느리게 하여 운송비용, 재고수준, 리드타임 및 고객서비스 수준을 합리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3.
운송은 지역 간, 국가 간 경쟁을 유발하고 재화의 시장가격과 상품의 재고수준을 높인다.
4.
운송은 분업을 촉진하여 국제무역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5.
운송은 재화의 효용가치를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이동시키는 속성을 갖고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57%
44.
대형 목재, 대형 파이프, H형강 등의 장척화물 운송에 적합한 화물자동차는?
1.
모터 트럭(Motor Truck)
2.
세미 트레일러 트럭(Semi-trailer Truck)
3.
폴 트레일러 트럭(Pole-trailer Truck)
4.
풀 트레일러 트럭(Full-trailer Truck)
5.
더블 트레일러 트럭(Double-trailer Truck)
정답 : [
3
] 정답률 : 66%
45.
TMS(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화물운송 시 수반되는 자료와 정보를 수집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수주과정에서 입력한 정보를 기초로 비용이 저렴한 수송경로와 수송수단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2.
화물이 입고되어 출고되기까지의 물류데이터를 자동 처리하는 시스템으로 입고와 피킹, 재고관리, 창고 공간 효율의 최적화 등을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3.
최적의 운송계획 및 차량의 일정을 관리하며 화물 추적, 운임 계산 자동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4.
고객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면서 수ㆍ배송비용, 재고비용 등 총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5.
공급배송망 전반에 걸쳐 재고 및 운반비 절감, 대응력 개선, 공급업체와 필요부서 간의 적기 납품을 실현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화물의 입출고·창고 공간 효율 등은 WMS에 관한 설명이다. [해설작성자 : Yadon_]
46.
컨테이너 화물의 총중량 검증(Verified Gross Mass of Container)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출을 위하여 화물이 적재된 개별 컨테이너, 환적 컨테이너 및 공 컨테이너를 대상으로 한다.
2.
‘해상에서의 인명안전을 위한 국제협약(SOLAS)’에 따라 수출컨테이너의 총중량 검증 및 검증된 정보의 제공을 의무화하면서 도입되었다.
3.
화주는 수출하려는 컨테이너의 검증된 총중량 정보를 선장에게 제공하여야 한다.
4.
검증된 컨테이너 총중량 정보의 오차는 해당 컨테이너 총 중량의 ± 5 % 이내에서 인정된다.
5.
컨테이너 총 중량은 컨테이너에 적재되는 화물, 해당 화물을 고정 및 보호하기위한 장비, 컨테이너 자체 무게 등을 모두 합산한 중량을 의미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1. "공"컨테이너 대상이 아니라 "영" 컨테이너 입니다. 선박은 중량에 예민하기 때문에 그 부분을 생각하시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ㅇ]
47.
운송수단별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ㄹ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해상운송은 대량운송에 적합하지만, 파손·분실·사고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고, 안전성은 항공이나 철도에 비해 낮은 편입니다. 항공운송은 중량에 매우 민감합니다. 중량이 늘어나면 운임이 급격히 증가하고, 적재 한계도 엄격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8.
운임결정의 영향요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화물의 파손, 분실 등 사고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면 운임도 높아진다.
2.
적재작업이 어렵고 적재성이 떨어질수록 운임은 높아진다.
3.
운송거리가 길어질수록 총 운송원가는 증가하고 운임이 높아진다.
4.
화물의 밀도가 높을수록 동일한 적재용기에 많이 적재할 수 있으며 운임이 높아진다.
5.
운송되는 화물의 취급단위가 클수록 운송단위당 고정비는 낮아진다.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화물의 밀도 : 밀도가 높은 화물은 동일한 용적을 갖는 적재용기에 많이 적재하고 운송할 수 있게 되어, 밀도가 높을수록 단위당 운송비는 낮아진다. [해설작성자 : 쭈오]
49.
운송방식의 선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량이 적은 고가화물의 경우에는 항공운송이 적합하다.
2.
장기운송 시 가치가 하락하는 화물의 경우에는 항공운송이 적합하다.
3.
근거리운송이나 중ㆍ소량 화물의 경우에는 도로운송이 적합하다.
4.
대량화물 장거리 운송의 경우에는 해상운송이 적합하다.
5.
전천후 운송의 경우에는 도로운송이 적합하다.
정답 : [
5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5. 전천후 운송은 철도운송이 적합하다. [해설작성자 : 광명케이]
50.
전용특장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덤프차량은 모래, 자갈 등의 적재물을 운송하고 적재함 높이를 경사지게 하여 양하하는 차량이다.
2.
분립체수송차는 반도체 등을 진동 없이 운송하는 차량이다.
3.
액체수송차는 각종 액체를 수송하기 위해 탱크형식의 적재함을 장착한 차량이다.
4.
냉동차는 야채 등 온도관리가 필요한 화물운송에 사용된다.
5.
레미콘 믹서트럭은 적재함 위에 회전하는 드럼을 부착하고 드럼 속에 생 콘크리트를 뒤섞으면서 운송하는 차량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분립체 수송차:시멘트, 사료, 곡물, 화학제품, 식품 등 분립체를 자루에 담지 않고 살물(撒物)상태로 운반하는 차량이로 일반적으로 벌크(bulk)차라고 부른다 [해설작성자 : 김문악]
51.
화물자동차의 중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차는 화물을 적재하지 않고 연료, 냉각수, 윤활유 등을 채우지 않은 상태의 화물차량 중량을 말한다.
2.
최대적재량은 화물자동차 허용 최대 적재상태의 중량을 말한다.
3.
자동차 연결 총중량은 화물이 최대 적재된 상태의 트레일러와 트랙터의 무게를 합한 중량을 말한다.
4.
최대접지압력은 화물의 최대 적재상태에서 도로 지면 접지부에 미치는 단위면적당 중량을 말한다.
5.
차량의 총중량은 차량중량, 화물적재량 및 승차중량을 모두 합한 중량을 말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 화물을 적재하지 않고, 연료, 냉각수, 윤활유 등을 채운 상태 [해설작성자 : fff]
52.
화물운송의 3대 구성요소로 옳은 것은?
1.
운송경로(Link), 운송연결점(Node), 운송인(Carrier)
2.
운송방식(Mode), 운송인(Carrier), 화물(Cargo)
3.
운송방식(Mode), 운송인(Carrier), 운송연결점(Node)
4.
운송방식(Mode), 운송경로(Link), 운송연결점(Node)
5.
운송방식(Mode), 운송인(Carrier), 운송경로(Link)
정답 : [
4
] 정답률 : 71%
53.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2020년 적용 화물자동차 안전운임 고시)에 규정된 컨테이너 품목 안전운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5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문제는 20년 기준이지만 22년 기준으로 외우시면 되겠습니다. 위험물이 아닌 탱크 30% 가산 [해설작성자 : 권영현]
54.
화물차량을 이용하여 운송할 때 발생되는 원가항목 중 고정비 성격의 항목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ㅂ
2.
ㄱ, ㄷ, ㅁ
3.
ㄴ, ㄷ, ㅂ
4.
ㄴ, ㄹ, ㅁ
5.
ㄷ, ㄹ, ㅂ
정답 : [
2
] 정답률 : 65%
55.
도로운송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육ㆍ해ㆍ공을 연계한 도로운송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2.
철도운송, 연안운송, 항공운송 등이 적절한 역할분담을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3.
운송업체의 소형화, 독점화 등을 통해 경쟁체제의 확립을 위한 기반을 조성해 주어야 한다.
4.
비현실적인 규제를 탈피하여 시장경제원리에 입각한 자율경영 기반을 조성하여야한다.
5.
도로시설의 확충 및 산업도로와 같은 화물자동차전용도로의 확충이 필요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71%
56.
화물자동차 운송의 단점이 아닌 것은?
1.
대량화물의 운송에 불리하다.
2.
철도운송에 비해 운송단가가 높다.
3.
에너지 효율성이 낮다.
4.
화물의 중량에 제한을 받는다.
5.
배차의 탄력성이 낮다.
정답 : [
5
] 정답률 : 71%
57.
화차에 컨테이너만 적재하는 운송방식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ㄱ, ㄹ
4.
ㄴ, ㄷ
5.
ㄴ, ㄹ
정답 : [
5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TOFC(Trailer On Flat Car) : 컨테이너를 철도로 운송하기 위하여 컨테이너를 적재한 트레일러를 따로 분리시키지 않고 트레일러와 결합된 상태로 화차에 직접 적재.양륙되어 운송하는 것 - 피기백 : 화물열차의 대차 위에 트레일러나 트럭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올림 - 캥거루 : 피기백과 유사하지만 트레일러 바퀴가 화차에 접지되는 부분을 경사진 요철상태로 만들어 화물의 적재높이가 낮아지는 점이 다름 - 프레이트 라이너 : 철도의 일정구간을 정기적으로 고속운행하는 열차를 편성하여 문전에서 문전으로 수송하는 운송방식, 공로운송&철도를 포함한 일관요율 적용 COFC(Container On Flat Car) : 컨테이너만을 화차에 싣는 방식으로 데포에서 크레인 및 지게차 등 별도의 하역장비를 사용해야 함 - 가로-세로 이동방식 : 스프레드 지게차(평행이동), 리치스태커(수직이동)를 이용하여 처리하는 방식, 화물취급량이 적은 경우 사용 - 매달아 싣는 방식 : 트랜스퍼 크레인, 일반크레인을 이용. 가로-세로에 비해 시간당 처리하는 컨테이너 물동량이 많으므로 신속처리가 필요할 때 사용. - 플렉시 밴 방식 : 화차에 달린 회전판을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90도 회전시켜 고정 [해설작성자 : 쭈오]
- 트랜스테이너(이동식 갠트리크레인)는 야드 전체를 이동하며 컨테이너를 처리합니다. 자동차 진입이 자유롭고, 야드면적과 자본투자가 적게 듭니다. - 스트래들캐리어는 컨테이너를 들어서 운반하는 장비로, 유지비용이 크고, 자동차 진입은 제한적입니다. - 샤시(컨테이너 전용 트레일러)방식은 트레일러가 직접 컨테이너를 싣고 이동하는 방식으로, 자동차 진입이 어렵고, 대규모 야드와 자본투자가 필요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9.
정박기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박기간은 Notice of Readiness 통지 후 일정기간이 경과되면 개시한다.
2.
SHEX는 일요일과 공휴일을 정박일수에 산입하지 않는 조건이다.
3.
WWD는 하역 가능한 기상조건의 날짜만 정박기간에 산입하는 조건이다.
4.
CQD는 해당 항구의 관습적 하역방법과 하역능력에 따라 할 수 있는 한 빨리 하역하는 조건이다.
5.
Running Laydays는 불가항력을 제외한 하역 개시일부터 끝날 때까지의 모든 기간을 정박기간으로 계산하는 조건이다.
정답 : [
5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Running Laydays 는 불가항력도 정박기간에 포함하여 계산한다. [해설작성자 : 5주의기적]
SHEX(Sundays and Holidays Excepted), WWD(Weather Working Day), CQD(Customary Quick Despatch)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0.
철도운송의 장점이 아닌 것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2, 4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환경 친화적인 운송이다.
2.
적재 중량당 용적이 작다.
3.
계획적인 운행이 가능하다.
4.
적기 배차가 용이하다.
5.
다양한 운임할인 제도를 운영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8%
61.
선적 시 양하항을 복수로 선정하고 양하항 도착 전에 최종 양하항을 지정하는 경우 발생하는 비용은?
1.
항구변경할증료
2.
외항추가할증료
3.
환적할증료
4.
양하항선택할증료
5.
혼잡할증료
정답 : [
4
] 정답률 : 67%
62.
용선계약 시 묵시적 확약이 아닌 것은?
1.
휴항의 내용
2.
신속한 항해 이행
3.
부당한 이로 불가
4.
위험물의 미 적재
5.
내항성 있는 선박 제공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용선계약의 묵시적확약 - 용선계약시 계약서상에 명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당사자가 상대방에게 묵시적 확약으로서 인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 선주 측 : 내항성 선박의 제공, 신속한 항해 이행, 부당한 이로의 불가 등 * 화주 측 : 위험물을 적재하지 않도록 하는 것 등 [해설작성자 : 쭈오]
휴항(休航)이란 정기적으로 운항되는 선박(정기선 등)이 특정 항차(항해) 또는 일정 기간 동안 운항을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것, 내항성(耐航性, Seaworthiness)이란 선박이 항해를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성능과 상태를 갖추고 있는지를 의미합니다. 이로(利勞)라는 단어는 법률 용어에서 “이익(利益)”의 의미로 쓰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3.
헤이그 규칙과 함부르크 규칙을 비교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헤이그 규칙에서는 운송인 면책이었던 항해 과실을 함부르크 규칙에서는 운송인 책임으로 규정하고 있다.
2.
헤이그 규칙에서는 지연손해에 대한 명문 규정이 없으나 함부르크 규칙에서는 이를 명확히 규정하고 있다.
3.
헤이그 규칙에서는 운송책임 구간이 ‘from Receipt to Delivery’였으나 함부르크 규칙에서는 ‘from Tackle to Tackle’로 축소하였다.
4.
헤이그 규칙에서는 운송인의 책임 한도가 1포장당 또는 단위당 100파운드였으나 함부르크 규칙에서는 SDR을 사용하여 책임한도액을 인상하였다.
5.
헤이그 규칙에서는 선박화재가 면책이었으나 함부르크 규칙에서는 면책으로 규정하지 않았다.
정답 : [
3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헤이그 규칙 & 헤이그-비스비 규칙 - 선적~양하 (from Tackle to Tackle) 함부르크 규칙 - 수취~운송 (from Receipt to Delivery) **(3) 헤이그 규칙에서는 운송책임 구간이 from Tackle to Tackle 였으나, 함부르크 규칙에서는 from Receipt to Delivery 로 확대하였다. [해설작성자 : 쭈오]
64.
철도화물 운송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차급운송이란 화물을 화차단위로 탁송하는 것을 말한다.
2.
화차의 봉인은 내용물의 이상 유무를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철도운송인의 책임으로 하여야 한다.
3.
화약류 및 컨테이너 화물의 적하시간은 3시간이다.
4.
전세열차란 고객이 특정 열차를 전용으로 사용하는 열차를 말한다.
5.
열차ㆍ경로지정이란 고객이 특정열차나 수송경로로 운송을 요구하거나 철도공사가 안전수송을 위해 위험물 및 특대화물 등에 특정열차와 경로를 지정하는 경우를 말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화차의 봉인은 내용물의 이상 유무를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송화인이 책임진다. [해설작성자 : Yadon_]
65.
국제항공 협약과 협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항공협정이란 항공협상의 산출물로서 항공운송협정 또는 항공서비스협정이라고한다.
2.
국제항공에 대한 규제 체계는 양자 간 규제와 다자 간 규제로 나누어진다.
3.
항공협정은 ‘바젤 협정’을 표준으로 하여 정의 규정, 국내법 적용, 운임, 협정의 개정, 폐기에 관한 사항 등을 포함한다.
4.
상무협정은 항공사 간 체결한 협정으로 공동운항 협정, 수입금 공동배분 협정, 좌석 임대 협정, 보상금 지불 협정 등이 있다.
5.
하늘의 자유(Freedom of the Air)는 ‘시카고 조약’에서 처음으로 명시되어 국제항공 문제를 다루는 기틀이 되었다.
정답 : [
3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바젤 협정은 1989년 유엔 환경계획에 의해 스위스 바젤에서 채택된 유해폐기물의 국가 간 이동 및 교역을 규제하는 협약이다. [해설작성자 : 나도 틀렷엉..]
택배 표준약관(공정거래위원회 표준약관 제10026호)의 운송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업자의 상호, 대표자명, 주소 및 전화번호, 담당자(집화자)이름, 운송장 번호를 사업자는 고객(송화인)에게 교부한다.
2.
운임 기타 운송에 관한 비용 및 지급 방법을 사업자는 고객(송화인)에게 교부한다.
3.
고객(송화인)이 운송장에 운송물의 가액을 기재하지 아니하면 제22조 제3항에 따라 사업자가 손해배상을 할 경우 손해배상한도액은 50만원이 적용된다.
4.
고객(송화인)이 운송물의 가액에 따라 할증요금을 지급하는 경우에는 각 운송가액 구간별 최저가액이 적용됨을 명시해 놓는다.
5.
고객(송화인)은 운송물의 인도예정장소 및 인도예정일을 기재하여 사업자에게 교부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할증요금은 각 운송가액 구간별 최고가액이 적용 [해설작성자 : 똘딴]
67.
운송주선인의 기능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운송주선인은 복합운송에서 전 운송 구간에 운송책임을 지지만 구간별 운송인과는 직접 계약을 체결하지 않는다.
2.
운송주선인은 혼재운송 보다 단일 화주의 FCL화물을 주로 취급한다.
3.
운송주선인은 화주를 대신하여 운송인과 운송계약을 체결하고, 화물 운송에 따른 보험 업무를 대리하지 않는다.
4.
운송주선인이 작성하는 서류는 선하증권, 항공화물운송장으로 제한된다.
5.
운송주선인은 화주를 대신하여 수출입화물의 통관절차를 대행할 수 있지만, 국가에 따라서 관세사 등 통관허가를 받은 자만이 할 수 있다.
정답 : [
5
] 정답률 : 58%
68.
항공화물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취급과 보관비용이 낮은 화물
2.
긴급한 수요와 납기가 임박한 화물
3.
중량이나 부피에 비해 고가인 화물
4.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가치가 변동되는 화물
5.
제품의 시장경쟁력 확보가 필요한 화물
정답 : [
1
] 정답률 : 69%
69.
다음과 같은 요율 체계를 가지고 있는 A항공사는 중량과 용적중량 중 높은 중량 단계를 요율로 적용하고 있다. B사가 A항공사를 통해 서울에서 LA까지 항공운송할 경우 중량 40 kg, 최대길이(L) = 100 cm, 최대폭(W) = 45 cm, 최대높이(H) = 60 cm인 화물에 적용되는 운임은? (단, 용적중량은 1 kg = 6,000cm3를 적용하여 계산함)
1.
70,000원
2.
320,000원
3.
400,000원
4.
405,000원
5.
450,000원
정답 : [
4
] 정답률 : 53%
70.
택배 표준약관(공정거래위원회 표준약관 제10026호)의 운송물 수탁거절 사유를 모두 고른 것은?
ㄱ: Dolly, ㄴ: High Loader, ㄷ: Tug Car, ㄹ: Hand Lift Jack
2.
ㄱ: Dolly, ㄴ: Hand Lift Jack, ㄷ: Tug Car, ㄹ: High Loader
3.
ㄱ: Dolly, ㄴ: Tug Car, ㄷ: High Loader, ㄹ: Hand Lift Jack
4.
ㄱ: Tug Car, ㄴ: Hand Lift Jack, ㄷ: Dolly, ㄹ: High Loader
5.
ㄱ: Tug Car, ㄴ: High Loader, ㄷ: Dolly, ㄹ: Hand Lift Jack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항공화물 조업 장비 키워드] 무동력 -> Dolly 높게 적재 -> High Loader 탑재용기에 적재된 화물 운반 -> Tug Car 운반 또는 보관 -> Hand Lift Jack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3.
다음과 같은 운송조건이 주어졌을 때 공급지 C의 공급량 20톤의 운송비용은? (단, 공급지와 수요지 간 비용은 톤당 단위운송비용이며, 운송비용은 보겔의 추정법을 사용하여 산출함)
1.
100원
2.
135원
3.
240원
4.
260원
5.
500원
정답 : [
2
] 정답률 : 52%
74.
항공화물운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동물, 화폐, 보석류, 무기, 고가 예술품 등은 일반요율 보다 높은 운송요율을 책정할 수 있다.
2.
할인요율은 특정한 구간과 화물에 적용되는 요율로 일반요율보다 낮게 적용된다.
3.
표준 컨테이너요율은 대체로 일반요율보다 낮은 수준의 요율이 적용된다.
4.
화물의 특성상 특별한 취급과 주의를 필요로 하거나 우선적으로 운송되어야 하는 화물에는 별도의 요율을 부과할 수 있다.
5.
일반요율은 일반화물에 적용하는 요율로 중량만을 기준으로 운송요율을 책정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중량이나 부피중에 큰걸로 [해설작성자 : 똘딴]
75.
수ㆍ배송 계획 수립의 원칙으로 옳은 것은?
1.
집화와 배송은 따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2.
효율적인 수송경로는 대형 차량보다 소형 차량을 우선 배차한다.
3.
배송지역의 범위가 넓을 경우, 운행 경로 계획은 물류센터에서 가까운 지역부터 수립한다.
4.
배송날짜가 상이한 경우에는 경유지를 구분한다.
5.
배송경로는 상호 교차되도록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1. 집하와 배송은 같이 작업 2. 대형 차량 우선 배차 4. 물류센터에서 먼 지역부터 수립 5. 상호 교차가 안되게 한다. [해설작성자 : 광명케이]
76.
3개의 수요지와 공급지가 있는 운송문제에서 최소비용법(Least-cost Method)을 적용하여 산출한 최초 가능해의 총운송비용은? (단, 공급지와 수요지 간 비용은 톤당 단위운송비용임)
1.
17,100원
2.
20,000원
3.
20,700원
4.
21,700원
5.
22,100원
정답 : [
2
] 정답률 : 53%
77.
다음 그림과 같이 각 구간별 운송거리가 주어졌을 때, 물류센터 S에서 최종 목적지 G까지의 최단 경로 산출거리는? (단, 구간별 운송거리는 km임)
1.
12 km
2.
13 km
3.
14 km
4.
15 km
5.
16 km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s->a->b->e->g 4+1+4+5=14 [해설작성자 : 촠콬촠콬]
78.
물류센터에서 배송처 A와 B를 순회 배송하는 방법(물류센터 → 배송처 A → 배송처 B → 물류센터)과 배송처 A와 B를 개별 배송하는 방법(물류센터 → 배송처 A → 물류센터, 물류센터 → 배송처 B → 물류센터) 간의 운송거리 차이는?
1.
6 km
2.
8 km
3.
10 km
4.
12 km
5.
14 km
정답 : [
5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순회 배송(물류센터 → 배송처 A → 배송처 B → 물류센터) 거리 = 10km + 8km + 12km = 30km
개별 배송(물류센터 → 배송처 A → 물류센터) + (물류센터 → 배송처 B → 물류센터) 거리 = (10km + 10km) + (12km + 12km) = 20km + 24km =44km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9.
공동 수ㆍ배송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배송, 화물의 보관 및 집화 업무까지 공동화하는 방식을 공동납품대행형이라 한다.
2.
크로스도킹은 하나의 차량에 여러 화주들의 화물을 혼재하는 것이다.
3.
참여기업은 물류비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4.
소량 다빈도 화물에 대한 운송요구가 감소함에 따라 그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감소 하고 있다.
5.
노선집화공동형은 백화점, 할인점 등에서 공동화하는 방식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1. 공동납품대행형은 주로 배송(운송) 업무의 공동화에 초점을 두며, 보관 및 집화까지 모두 포함하는 것은 아닙니다. 2. 크로스도킹(Cross-docking)은 물류센터에서 입고된 상품을 보관하지 않고 바로 분류하여 출고하는 방식입니다. 여러 화주의 화물을 한 차량에 혼재하는 것은 '혼적운송'에 해당합니다. 4. 소량 다빈도(자주, 조금씩) 운송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공동 수·배송의 필요성은 커지고 있습니다. 5. 노선집화공동형은 주로 동일 노선상의 여러 업체가 공동으로 집화하는 방식이며, 백화점·할인점 등에서 공동화하는 방식은 '공동납품대행형'에 가깝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0.
화물을 공급지 A, B, C에서 수요지 X, Y, Z까지 운송하려고 할 때 북서코너법에 의한 총운송비용은? (단, 공급지와 수요지 간 비용은 톤당 단위운송비용임)
1.
234원
2.
244원
3.
254원
4.
264원
5.
274원
정답 : [
1
] 정답률 : 56%
81.
국제물류의 기능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ㅁ
5.
ㄷ, ㄹ, ㅁ
정답 : [
1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시간적기능 : 재화의 생산시기와 소비시기의 불일치를 조정 장소적기능 : 생산과 장소적 거리를 조정하는 기능 인격적기능 : 생산자와 소비자 간에 물류활동을 통해 대고객 서비스 향상을 위한 기능 [해설작성자 : 허성]
82.
다음에서 설명하는 국제운송의 형태는?
1.
도로운송
2.
철도운송
3.
항공운송
4.
해상운송
5.
파이프라인운송
정답 : [
5
] 정답률 : 73%
83.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국제물류시스템은?
1.
ㄱ: 통과 시스템 ㄴ: 다국적(행) 창고 시스템
2.
ㄱ: 고전적 시스템 ㄴ: 직송 시스템
3.
ㄱ: 통과 시스템 ㄴ: 고전적 시스템
4.
ㄱ: 고전적 시스템 ㄴ: 다국적(행) 창고 시스템
5.
ㄱ: 통과 시스템 ㄴ: 직송 시스템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통과 시스템은 고전적 시스템과 유사하지만 자회사에서 단시간 내 다음 유통단계로 운송하는 형태 [해설작성자 : 나도 틀렷엉..]
84.
최근 국제물류의 환경변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국내외 물류기업 활동의 글로벌화로 국제물류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2.
IoT 등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국내외 물류기업들은 국제물류체계를 플랫폼화 및 고도화하고 있다.
3.
컨테이너 선박이 대형화됨에 따라 항만도 점차 대형화되고 있다.
4.
국제물류시장의 치열한 경쟁상황은 국내외 물류기업들 간 전략적 제휴나 인수ㆍ합병을 가속화시키고 있다.
5.
국내외 화주기업들은 물류비 절감과 서비스 향상을 위해 물류전문업체를 활용하지 않고 있다.
정답 : [
5
] 정답률 : 69%
85.
글로벌 공급사슬관리시스템의 효율적 설계 및 운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구성원들이 시스템에 관한 목표를 명확히 정의하여 시스템의 목표를 달성하는 방향으로 의사결정을 내리게 유도한다.
2.
소비자에 대한 서비스수준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성과측정 장치를 개발하도록한다.
3.
정보 공유를 통한 의사결정을 이루기 위해서는 부서 간의 협동은 중요하지 않다.
4.
물류기업의 물류 하부구조 등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를 수행하며 이를 통해 미래 확장가능성에 대비할 수 있어야 한다.
5.
아웃소싱을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비용과 시간을 절감하며 물류기업의 경쟁력을 최대화하는 방향으로 물류기업의 자원을 서로 결합하여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8%
86.
컨테이너 운송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선박의 속력이 빠르고 신속한 화물조작이 가능하다.
2.
운송기간의 단축으로 수출대금의 회수가 빨라져 교역촉진이 가능하다.
3.
특수 컨테이너가 개발되고 있지만, 모든 화물을 컨테이너화 할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4.
컨테이너화에는 거액의 자본이 필요하며, 선사 및 항만 직원의 교육ㆍ훈련, 관련제도 개선, 기존 설비의 교체 등에 장기간의 노력과 투자가 필요하다.
5.
왕항복항(往航復航)간 물동량의 불균형이 발생해도 컨테이너선의 경우 공(空)컨테이너 회수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정답 : [
5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왕복 항로 간 물동량의 불균형이 발생하면 공컨테이너 회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7.
다음에서 설명하는 컨테이너 종류로 옳은 것은?
1.
Liquid Bulk Container
2.
Hard Top Container
3.
Side Open Container
4.
Insulated Container
5.
Skeleton Container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insulated- 절연, 단열 insulated container - 단열 구조를 갖춘 컨테이너 [해설작성자 : 태산]
88.
다음은 CSC(1972) Annex 1 SERIOUS STRUCTURAL DEFICIENCIES IN CONTAINERS 내용의 일부이다. ( )에 들어갈 용어로 옳은 것은?
1.
Top Rail
2.
Bottom Rail
3.
Corner Posts
4.
Corner and intermediate Fittings
5.
Understructure
정답 : [
2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구 분 : 구성요소 - 심각한 구조적 결함 내 용 : 하부 레일 (Bottom Rail) - 레일에 수직인 방향으로 100mm를 초과하는 국부 변형 또는 레일 재질에서 75mm를 초과하는 변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9.
정기선사들의 전략적 제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동운항을 통해 선복을 공유한다.
2.
화주에게 안정된 수송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3.
광석, 석탄 등 벌크 화물 운송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4.
제휴선사간 상호 이해관계를 조정하기 위해 협정을 맺고 있다.
5.
제휴선사간 불필요한 경쟁을 회피하는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정기선사들의 전략적 제휴는 주로 컨테이너 화물 운송을 중심으로 이루어집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0.
해상운송화물의 선적절차를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ㄱ → ㄴ → ㄷ → ㄹ → ㅁ
2.
ㄱ → ㄴ → ㄹ → ㄷ → ㅁ
3.
ㄱ → ㄷ → ㅁ → ㄴ → ㄹ
4.
ㄴ → ㄱ → ㄷ → ㄹ → ㅁ
5.
ㄴ → ㄱ → ㅁ → ㄷ → ㄹ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Shipping Request (선적 요청) : 화주가 선사에 화물의 선적을 요청 Booking Note (부킹 노트) : 선사가 화주의 선적 요청을 수락하고, 선적 공간을 예약 Shipping Order (선적 지시서) : 선사가 화물의 선적을 지시하는 문서로, 화물이 선박에 적재될 수 있도록 허가 Mate's Receipt (본선 수취증) : 화물이 선박에 적재된 후, 선박의 일등 항해사가 발행하는 수취증입 Shipped B/L (선적 선하증권) : 화물이 선박에 적재된 후 발행되는 선하증권으로, 화물의 소유권을 증명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1.
정기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운임은 공시된 확정운임이 적용된다.
2.
개품운송계약을 체결하고 선하증권을 사용한다.
3.
다수 화주로부터 다양한 화물을 집화하여 운송한다.
4.
특정한 항구 간을 운항계획에 따라 규칙적으로 반복 운항한다.
5.
항해단위, 기간 등에 따라 계약조건이 다른 용선계약서를 사용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용선계약서는 주로 부정기선에서 사용되며, 정기선은 일반적으로 선하증권을 사용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2.
해상운송과 관련된 국제기구의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ㄷ
2.
ㄱ, ㄹ
3.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3
] 정답률 : 21%
<문제 해설> IACS는 각국 선급협회의 공통목적 달성하고자 상호 협력하고 여타 국제단체와의 협의를 위해 결성 BIMCO는 선주를 대표하는 국제해운협회로 해운 관련 현안 협의와 연구 및 공동 대처를 하기 위해 설립 ICS는 국제 해운의 기술적, 법적 문제에 대해 선주의견을 반영하여 선주들의 권익을 옹호하고 상호협조를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국제민간기구 IMO는 해상안전 및 공해방지와 관련된 국제법규 및 조약을 채택하기 위해 만들어진 유엔 산하의 국제기구 [해설작성자 : 22222]
ㄱ. FIATA에 관한 설명 - 운송주선인 민간기구 ㄴ. BIMCO(발틱국제해사협의회) - 순수민간단체(국제해운의 경제적·상업개입협조에 주력) ㄷ. ICS(국제해운회의소) - 국제민간기구(선주들의 권익옹호 및 상호협조) ㄹ. ICC에 관한 설명 - 국제연합 전문기구(국제상업회의소) * IACS(국제선급연합) - 각국의 선급에 대한 검사 IMO(국제해사기구) - 정부 간 해사기술의 상호협력, 해사안전 및 해양오염방지대책 수립 등 [해설작성자 : Yadon_]
93.
정기용선계약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선박 자체만을 빌리는 선박임대차계약이다.
2.
용선계약기간은 통상 한 개의 항해를 단위로 한다.
3.
용선자가 선장 및 선원을 고용하고 관리ㆍ감독한다.
4.
선박의 유지 및 수리비를 용선자가 부담한다.
5.
기간용선계약이라고도 하며, 선박의 보험료는 선주가 부담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선박 자체만을 빌리는 선박임대차계약 - 나용선계약(bareboat charter)에 대한 설명 * 정기용선계약(time charter)은 선박과 함께 선원도 제공받는 계약
용선계약기간은 통상 한 개의 항해를 단위로 한다 - 항해용선계약(voyage charter)에 대한 설명 * 정기용선계약은 특정 기간 동안 선박을 빌리는 계약
용선자가 선장 및 선원을 고용하고 관리ㆍ감독한다. - 나용선계약에 대한 설명 * 정기용선계약에서는 선주가 선장과 선원을 제공하고 관리
정기용선계약에서는 선주가 선박의 유지 및 수리비를 부담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4.
만재흘수선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만재흘수선 마크는 TF, F, T, S, W, WNA 등이 있다.
2.
만재흘수선 마크는 선박 중앙부의 양현 외측에 표시되어 있다.
3.
선박의 항행대역과 계절구간에 따라 적용범위가 다르다.
4.
Reserved buoyancy란 선저에서 만재흘수선까지 이르는 높이를 말한다.
5.
선박의 안전을 위하여 화물의 과적을 방지하고 선박의 감항성이 확보되도록 설정된 최대한도의 흘수이다.
만재흘수선은 선박이 물에 떠 있을 때 안전하게 실을 수 있는 최대한의 화물 무게를 나타내는 선입니다. 이 선은 선박의 외부에 표시되어 있으며, 선박이 물에 잠기는 깊이(흘수)를 제한하여 과적을 방지하고 안전한 항해를 보장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Reserved buoyancy란 만재흘수선에서 선체의 최상단(갑판 또는 상부 구조물)까지의 부분이 차지하는 부력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5.
항해용선계약의 하역비 부담조건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ㄱ, ㄴ, ㄷ
5.
ㄱ, ㄴ, ㄷ, ㄹ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Free = 선주 기준 [해설작성자 : Yadon_]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Liner = 선주 부담 Free = 화주 부담
96.
다음 ( )에 들어갈 용어로 옳은 것은?
1.
ㄱ: 총톤수 ㄴ: 재화중량톤수
2.
ㄱ: 총톤수 ㄴ: 재화용적톤수
3.
ㄱ: 순톤수 ㄴ: 재화중량톤수
4.
ㄱ: 배수톤수 ㄴ: 재화용적톤수
5.
ㄱ: 배수톤수 ㄴ: 운하톤수
정답 : [
1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 총톤수: 선박의 밀폐된 내부총용적/ 관세,등록세,도선료,계선료 산출기준이 됨. 2. 재화중량톤수 : 선박이 적재 할 수 있는 최대중량 / 선박의 매매 ,용선료 기준이됨 . 3. 재화용적톤수: 화물을 실을 수 있는 선박내부의 용적을 톤수로 나타낸것 4. 순톤수 : 여객 화물 수송에 사용되는 공간 [해설작성자 : 나개 ]
97.
복합운송인의 책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과실책임(liability for negligence)원칙은 선량한 관리자로서 복합운송인의 적절한 주의의무를 전제로 한다.
2.
엄격책임(strict liability)원칙은 과실의 유무를 묻지 않고 운송인이 결과를 책임지는 것이지만, 불가항력 등의 면책을 인정한다.
3.
무과실책임(liability without negligence)원칙은 운송인의 면책조항을 전혀 인정하지 않는다.
4.
단일책임체계(uniform liability system)에서 복합운송인이 전 운송구간의 책임을 지지만, 책임의 내용은 발생구간에 적용되는 책임체계에 의해 결정된다.
5.
이종책임체계(network liability system)는 UN국제복합운송조약이 채택하고 있는 체계로 단일변형책임체계라고도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2. 엄격책임: 운송인의 면책조항 인정하지 않음 3. 무과실책임: 과실의 유무 묻지않고 운송인 책임. 예외적으로 불가항력 등은 면책 인정 4. 복합운송인이 전 운송구간에 걸쳐 전적으로 동일 내용의 책임을 부담 5. 변형통합책임체계: UN국제복합운송조약이 채택하고 있는 체계, 단일변형책임체계라고도 함 [해설작성자 : Yadon_]
단일책임체계(Uniform Liability System) : 복합운송인이 전 운송구간에 걸쳐 전적으로 동일 내용의 책임을 부담하는 체계 이종책임체계(network liability system) : 복합운송인이 전 운송구간의 책임을 지지만, 책임의 내용은 발생구간에 적용되는 책임체계에 의해 결정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8.
다음에서 설명하는 국제항공기구를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ㄱ: IATA ㄴ: ICAO
2.
ㄱ: ICAO ㄴ: IATA
3.
ㄱ: IATA ㄴ: FAI
4.
ㄱ: ICAO ㄴ: FAI
5.
ㄱ: FAI ㄴ: IATA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ICAO: UN 산하, 시카고조약, 안전·질서·감시 등 공공적 목적 IATA: 민간항공사 협회, 운임·정비 등 상업·기술적 목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9.
항공운송인의 책임을 규정한 국제조약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1929년 체결된 Warsaw Convention은 국제항공운송인의 책임과 의무를 규정한 최초의 조약이다.
2.
1955년 채택된 Hague Protocol에서는 여객에 대한 운송인의 보상 책임한도액을 인상했다.
3.
1966년 발효된 Montreal Agreement에서는 화물에 대한 운송인의 보상 책임한도액을 인상했다.
4.
1971년 채택된 Guatemala Protocol에서는 운송인의 절대책임이 강조되었다.
5.
Montreal 추가 의정서에서는 IMF의 SDR이 통화의 환산단위로 도입되었다.
정답 : [
3
] 정답률 : 24%
<문제 해설> 몬트리올 협정 = 헤이그 의정서 업데이트 위탁수화물, 화물의 책임한도액은 변경 X 여객의 경우 헤이그 US$ 20,000 -> 몬트리올 US$ 75,000(소송비용 포함) [해설작성자 : Yadon_]
항공운송인 책임 규정 국제조약 : 바르샤바 최초, 헤이그·몬트리올은 여객한도↑, 과테말라는 절대책임, 몬트리올 추가는 SDR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0.
항공화물운송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해상화물운송에 비해 신속하고 화물의 파손율도 낮은 편이다.
2.
항공여객운송에 비해 계절적 변동이 적은 편이다.
3.
해상화물운송에 비해 운송비용이 높은 편이다.
4.
항공여객운송에 비해 왕복운송의 비중이 높다.
5.
해상화물운송에 비해 고가의 소형화물 운송에 적합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항공여객운송은 여행을 갔다가 돌아와야하기 때문에 왕복운송의 비중이 높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항공화물운송은 여객운송에 비해 왕복운송의 비중이 낮을 수 있습니다. 여객운송은 왕복 티켓이 일반적이지만, 화물운송은 편도 운송이 많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1.
국제복합운송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국제복합운송은 국가 간 운송으로 2가지 이상의 운송수단이 연계되어야 한다.
2.
일관운임(through rate)은 국제복합운송의 기본요건이 아니다.
3.
NVOCC는 선박을 직접 보유하지는 않지만, 화주와 운송계약을 체결하고 복합운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4.
Containerization으로 인한 일관운송의 발전은 해륙복합운송을 비약적으로 발전시켰다.
<문제 해설> Co-loading service: 포워더 상호 간에 이루어지는 소량화물 공동집화 [해설작성자 : Yadon_]
103.
다음에서 설명하는 복합운송경로는?
1.
Canada Land Bridge
2.
America Land Bridge
3.
Mini Land Bridge
4.
Micro Land Bridge
5.
Siberia Land Bridge
정답 : [
5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동지역과 유럽대륙을 연결하는 경로로, TSR(Trans-Siberian Railway) 구간을 포함하는 복합운송경로를 묻고 있습니다. 이는 시베리아 횡단 철도를 이용하는 경로로, "Siberia Land Bridge"에 해당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4.
다음은 부산항에서 미국 내륙의 시카고로 향하는 화물의 복합운송경로이다. 각각의 설명에 해당하는 것을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ㄱ: IPI ㄴ: RIPI
2.
ㄱ: MLB ㄴ: OCP
3.
ㄱ: IPI ㄴ: OCP
4.
ㄱ: OCP ㄴ: MLB
5.
ㄱ: RIPI ㄴ: IPI
정답 : [
1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IPI (Interior Point Intermodal): 아시아에서 미국 서부 해안까지 해상 운송을 한 후, 미국 내륙의 특정 내륙 지점까지 철도로 운송하는 방식 (미국 내륙의 특정 도시나 지역이 최종 목적지) RIPI (Reverse Interior Point Intermodal) : 극동지역의 항만에서 북미의 동해안 또는 멕시코만의 항만까지 해상운송한 후, 철도운송을 이용하여 화물을 인도하는 경로 MLB(Mini Land Bridge): 아시아에서 미국 서부 해안까지 해상 운송을 한 후, 미국 내륙을 가로질러 철도로 운송하여 미국 동부 해안이나 걸프 지역의 항만까지 운송하는 방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5.
신용장통일규칙(UCP 600) 제20조의 선하증권 수리요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운송인의 명칭이 표시되어 있고, 지정된 운송인 뿐만 아니라 선장 또는 그 지정대리인이 발행하고 서명 또는 확인된 것
2.
물품이 신용장에서 명기된 선적항에서 지정된 선박에 본선적재 되었다는 것을 인쇄된 문언이나 본선적재필 부기로 명시한 것
3.
운송조건을 포함하거나 또는 운송조건을 포함하는 다른 자료를 참조하고 있는 것
4.
용선계약에 따른다는 표시를 포함하고 있는 것
5.
단일의 선하증권 원본 또는 2통 이상의 원본으로 발행된 경우에는, 선하증권 상에 표시된 대로 전통인 것
<문제 해설> < 미국에 수출할 때 보안 절차> C-TPAT: (수출 전) 수출하려는 기업이 보안 인증을 미리 준비 24-Hour Rule: (선적 24시간 전) 선적 정보를 미국 세관에 제출 ISF (10+2 Rule): (선적 전) 미국 수입자가 10+2 정보를 미국 세관에 제출 CSI: (선적 전) 해외 항구에서 미국 세관이 컨테이너 검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9.
다음은 해상화물운송장을 위한 CMI통일규칙(1990)의 일부이다. ( )에 공통으로 들어갈 내용을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송화인(shipper)은 운송 계약을 체결할 때 자신의 이름뿐만 아니라 수하인(consignee)의 대리인(agent)으로서도 계약을 체결하며, 운송인(carrier)에게 그러한 권한이 있음을 보증합니다. 송화인(shipper)은 화물과 관련하여 제공한 세부 사항의 정확성을 보증하며, 부정확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손실, 손상 또는 비용에 대해 운송인(carrier)을 면책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0.
다음은 신용장통일규칙(UCP 600) 제3조 내용의 일부이다. ( )에 들어갈 내용을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ㄱ: include, ㄴ: exclude, ㄷ: exclude
2.
ㄱ: include, ㄴ: exclude, ㄷ: include
3.
ㄱ: include, ㄴ: include, ㄷ: exclude
4.
ㄱ: exclude, ㄴ: include, ㄷ: include
5.
ㄱ: exclude, ㄴ: include, ㄷ: exclude
정답 : [
1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to", "until", "till", "from" 및 "between"이라는 단어는 선적 기간을 결정할 때 언급된 날짜를 포함(include)하며, "before" 및 "after"라는 단어는 언급된 날짜를 제외(exclude) 합니다. "from" 및 "after"라는 단어는 만기일을 결정할 때 언급된 날짜를 제외(exclude) 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1.
비엔나협약(CISG, 1980)의 적용 제외 대상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경매에 의한 매매
2.
강제집행 또는 기타 법률상의 권한에 의한 매매
3.
주식, 지분, 투자증권, 유통증권 또는 통화의 매매
4.
선박, 항공기의 매매
5.
원유, 석탄, 가스, 우라늄 등의 매매
정답 : [
5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비엔나협약(CISG, 1980)의 적용 제외 대상은 특수한 거래 방식(경매나 강제집행 등 특수한 방식), 금융 상품(물리적 물품이 아닌 주식, 통화 등), 특수한 물품(선박, 항공기 등 고가의 특수 자산) 관련 된 것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참고)비엔나협약(CISG)은 국제물품매매계약의 “법적 틀”, Incoterms는 “운송·인도조건”에 관한 표준 약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2.
무역계약의 주요 조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D/P(Documents against Payment)는 관련 서류가 첨부된 기한부(Usance) 환어음을 통해 결제하는 방식이다.
2.
표준품 매매(Sales by Standard)란 공산품과 같이 생산될 물품의 정확한 견본의 제공이 용이한 물품의 거래에 주로 사용된다.
3.
신용장 방식에 의한 거래에서 벌크 화물(bulk cargo)에 관하여 과부족을 금지하는 문언이 없는 한, 5 %까지의 과부족이 용인된다.
4.
CAD(Cash Against Document)는 추심에 관한 통일규칙에 의거하여 환어음을 추심하여 대금을 영수한다.
5.
FAQ(Fair Average Quality)는 양륙항에서 물품의 품질에 의하여 품질을 결정하는 방법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D/P(Documents against Payment)는 즉시 결제 방식으로, 서류가 지급과 동시에 인도됩니다. 기한부 환어음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표준품 매매는 일반적으로 농산물이나 원자재와 같이 일정한 품질 기준에 따라 거래되는 물품에 사용됩니다. 공산품과는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CAD(Cash Against Document)는 대금이 지급된 후에 서류가 인도되는 방식으로, 환어음 추심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FAQ(Fair Average Quality)는 일반적으로 농산물 거래에서 사용되며, 평균적인 품질 기준에 따라 거래됩니다. 양륙항에서 품질을 결정하는 방식은 아닙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3.
다음은 MIA(1906) 내용의 일부이다. ( )에 들어갈 용어가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
1.
ㄱ: an actual total loss ㄴ: a particular average act
2.
ㄱ: a constructive total loss ㄴ: a general average act
3.
ㄱ: an actual total loss ㄴ: a general average act
4.
ㄱ: a particular average act ㄴ: a subrogation
5.
ㄱ: a constructive total loss ㄴ: a salvage charge
정답 : [
3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ㄱ. 피보험이익의 전멸=현실전손 ㄴ. 공동항해 중 공동위험에 처한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합리적인 희생 및 비용 발생 =공동해손 [해설작성자 : Yadon_]
보험의 목적물이 파괴되거나, 보험된 종류의 물건으로서의 성질을 잃을 정도로 손상되거나, 피보험자가 그것을 회복할 수 없게 된 경우, 이는 실제 전손(actual total loss)이다.
공동의 모험에서 위험에 처한 재산을 보존하기 위해 위험 시기에 자발적이고 합리적으로 이루어진 어떠한 특별한 희생이나 지출이 있는 경우, 이는 공동해손 행위(general average act)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다음은 IncotermsⓇ 2020 소개문(introduction)의 일부이다. ( )에 들어갈 용어가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
1.
ㄱ: DAP ㄴ: DDP
2.
ㄱ: CPT ㄴ: DAP
3.
ㄱ: DAT ㄴ: DPU
4.
ㄱ: DAP ㄴ: DPU
5.
ㄱ: CIP ㄴ: DAT
정답 : [
4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마찬가지로, DDP 조건에서는 판매자가 구매자에게 구매자의 국가 내에서만 수행할 수 있는 몇 가지 의무를 지게 됩니다. 예를 들어, 수입 통관을 받는 것이 이에 해당합니다. 판매자가 구매자의 국가 내에서 이러한 의무를 수행하는 것이 물리적 또는 법적으로 어려울 수 있으며, 따라서 판매자는 이러한 상황에서 DAP (ㄱ) 또는 DPU (ㄴ) 규칙에 따라 상품을 판매하는 것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6.
IncotermsⓇ 2020의 CIF 규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물품의 멸실 및 손상의 위험은 물품이 선박에 적재된 때 이전된다.
2.
매수인은 자신의 운송계약 상 목적항 내의 명시된 지점에서 양하에 관하여 비용이 발생한 경우에 당사자 간에 달리 합의되지 않는 한, 그러한 비용을 매도인으로부터 별도로 상환받을 권리가 없다.
3.
해상운송이나 내수로운송에만 사용된다.
4.
해당되는 경우에 매도인이 물품의 수출통관을 해야 한다.
5.
매수인은 매도인에 대하여 운송계약을 체결할 의무가 없다.
정답 : [
2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Cost insurance and freight는 매도인은 양하비용이 발생할 경우 그 비용을 매수인으로부터 별도로 상환받을 권리가 없다. 양하비용이 명시된 조건은 Delivered at Place Unlaoded가 유일하다. [해설작성자 : Yadon_]
117.
다음은 IncotermsⓇ 2020의 DPU 규칙에 관한 내용이다. 밑줄 친 부분 중 옳지 않은 것은?
1.
㉠
2.
㉡
3.
㉢
4.
㉣
5.
㉤
정답 : [
2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DPU = 양하조건 Delivered at Place Unloaded ㉡ and loading -> and unloading [해설작성자 : Yadon_]
118.
무역분쟁의 해결에 이용되는 ADR(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로 옳은 것은?
1.
알선, 중재, 소송
2.
소송, 중재, 조정
3.
중재, 소송, 화해
4.
알선, 조정, 중재
5.
소송, 화해, 조정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소송은 ADR에 포함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Yadon_]
119.
수출입통관과 관련하여 관세법상 내국물품이 아닌 것은?
1.
우리나라에 있는 물품으로서 외국물품이 아닌 것
2.
우리나라의 선박 등이 공해에서 채집하거나 포획한 수산물 등
3.
입항전수입신고가 수리된 물품
4.
수입신고수리전 반출승인을 받아 반출된 물품
5.
외국으로부터 우리나라에 도착한 물품으로서 수입신고가 수리되기 전의 물품
정답 : [
5
] 정답률 : 60%
120.
IncotermsⓇ 2020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Incoterms는 이미 존재하는 매매계약에 편입된(incorporated) 때 그 매매계약의 일부가 된다.
2.
대금지급의 시기, 장소, 방법과 관세부과, 불가항력, 매매물품의 소유권 이전 문제를 다루고 있다.
3.
양극단(two extremes)의 E규칙과 D규칙 사이에, 3개의 F규칙과 4개의 C규칙이 있다.
4.
CPT와 CIP매매에서 위험은 물품이 최초운송인에게 교부된 때 매도인으로부터 매수인에게 이전된다.
5.
A1/B1에서 당사자의 기본적인 물품제공/대금지급의무를 규정하고, 이어 인도 조항과 위험이전조항을 보다 두드러진 위치인 A2와 A3으로 각각 옮겼다.
정답 : [
2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2. 인코텀즈는 대금지금의 시기, 장소, 방법, 관세부과, 불가항력, 매매물품의 소유권 이전 문제를 다루고 있지 않다. [해설작성자 : Yadon_]
Incoterms는 주로 물품의 인도, 위험의 이전, 비용 분담에 관한 사항을 규정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양극단(two extremes)의 E규칙과 D규칙 사이에, 3개의 F규칙과 4개의 C규칙이 있다. → 맞는 설명 (E: EXW, F: FCA/FAS/FOB, C: CFR/CIF/CPT/CIP, D: DAP/DPU/DDP)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②
①
②
③
②
①
③
⑤
④
③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③
③
⑤
③
③
②
④
④
①
⑤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①
①
①
③
②
⑤
⑤
②
④
④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②
④
⑤
⑤
①
④
⑤
①
②
④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④
①
③
③
②
①
②
④
⑤
②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①
④
⑤
②
③
⑤
⑤
③
⑤
②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④
①
③
②
③
④
⑤
①
④
②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③
①
②
⑤
④
②
③
⑤
③
①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①
⑤
②
⑤
③
⑤
④
②
③
①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⑤
③
⑤
④
①
①
①
②
③
④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②
④
⑤
①
④
②
①
③
③
①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⑤
③
③
①
④
②
②
④
⑤
②
물류관리사 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7월18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