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용 소모품 등 금액이 크지 않은 것에 대하여 자산계상 또는 구입즉시 비용으로 처리할 수도 있다. 이렇게 회계처리할 수 있는 근거는 재무정보의 질적특성 중 어디에 해당하는가?
1.
중요성
2.
수익비용대응
3.
계속성
4.
비교가능성
정답 : [
1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중요성 : 정보가 누락되거나 잘못 기재된 경우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친다면 중요하다. 라는 재무적 질적특성은 소모품과 같은 금액이 작은 것은 자산이지만 비용으로도 처리할수 있다는 것은 "중요성"의 근거로 회계처리 할수 있다. [해설작성자 : 동일여상최강혜린]
2.
다음 회계정보의 순환과정과 관련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
1.
거래의 인식에서부터 출발하여, 분개, 전기, 결산 등의 과정을 통해 재무제표가 작성된다.
2.
거래의 이중성이란 모든 거래는 자산/부채/자본에 변화를 초래하는 원인과 결과라는 두 가지 속성이 함께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해외사업환산손익> 자산과 부채의 항목은 모회사의 재무상태표일 현재의 환율, 자본은 매수 당시의 환율, 종속기업을 매수한 뒤 증가한 이익잉여금 이외의 자본은 거래발생 당시의 환율, 손익 항목은 거래 발생 당시의 환율이나 당해 회계기간의 평균환율을 적용한다. 따라서 원화로 환산한 재무제표는 자산-부채=자본이 일치하지 않으므로 그 차이를 해외사업환산손익으로 환산함. 출처 : https://steemit.com/kr/@cpalee/1vyrs
4.
다음은 포괄손익계산서의 비용을 기능별로 분류한 것이다. (가)에 해당하는 비용계정으로 옳은 것은?
포괄손익계산서의 순서에 따른 기능별 분류 순서를 보면 매출원가와 관리비 사이에는 매출총이익이 있지만 매출총이익은 비용이랑 수익이 아니니깐 "판매비와 관리비" 이름중에서 판매비 는 비용이므로 관리비 윗단게는 관리비 글자 앞에 있는 판매비 이다. 1번 2번 3번은 영업외 수익이고 4번 광고선전비는 판매비(판매비와 관리비)에 해당 [해설작성자 : 동일여상최강혜린]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해설에서 1번 2번 3번은 영업외 수익이 아니라 영업외 비용입니다. [해설작성자 : 혜영이는 합격할꾸얌 ㅋ]
대손(貸損, Bad Debts) 이란? 기업이 외상으로 판매하거나 돈을 빌려주었을 때, 거래처의 파산, 부도 등의 사유로 인해 회수할 수 없게 된 채권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떼인 돈입니다. [해설작성자 : 삼다수]
9.
(주)상공은 20×1년 초에 장기적인 임대수익을 얻을 목적으로 건물을 ₩400,000에 구입하였다. 동 건물의 내용연수 10년이고, 잔존가치는 없다. 감가상각은 정액법으로 한다. 20×1년 12월 31일과 20×2년 12월 31일 현재의 공정가치는 각각 720,000원과 600,000원이다. 동 건물에 대하여 원가모형을 적용할 경우 20×2년도 당기손익에 영향을 미치는 금액은 얼마인가?
원가모형 (Cost Model): 취득원가로 인식한 후, 다른 유형자산과 동일하게 감가상각을 수행합니다. 공정가치 변동은 재무제표에 인식하지 않습니다. (주석으로 공시만 함) 따라서 당기손익에는 감가상각비만 영향을 미칩니다.
공정가치모형 (Fair Value Model): 취득원가로 인식한 후, 감가상각을 하지 않습니다. 매 기말 공정가치로 재측정하며, 공정가치 변동으로 인한 평가손익은 당기손익에 반영합니다. [해설작성자 : 삼다수]
10.
다음은 ㈜상공이 투자부동산으로 분류하여 보유하고 있는 건물에 대한 자료이다. ㈜상공의 20×1년 당기손익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은 것은? (단, 회계기간은 20×1년 1월 1일~12월 31일이며, 법인세 비용은 고려하지 않는다.)
1.
손실 ₩90,000
2.
손실 ₩200,000
3.
이익 ₩90,000
4.
이익 ₩200,000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공정가치모형으로 평가시 감가상각비 계상 X
취득원가 - 공정가치 = 이익/손실
4,000,000 - 4,200,000 = 이익 200,000 [해설작성자 : 쩝쩝]
11.
(주)상공은 20X1년 10월 1일 상품판매대금으로 3개월 만기 이자부약속어음 ₩5,000,000(연이자율 10%)을 받았다. 회사는 이 약속어음을 1개월간 보유한 후 거래은행에 연 15%의 할인율로 할인하고 할인료를 제외한 금액을 현금으로 수령하였다. 현금 수령액은 얼마인가? (단, 이자 및 할인료 계산은 월할계산한다.)
(주)대한의 제조부문은 A부문과 B부문으로 구성되어 있고, 보조부문은 전력부와 공장관리부로 구성되어 있다. 공장관리부는 A부문, B부문, 전력부에 각각 20%, 60%, 20%의 용역을 제공하고 있다. 공장관리부가 제공하는 용역은 총 2,000시간이며, 총원가는 ₩1,500,000(고정원가 ₩1,000,000, 변동원가 ₩500,000)이다. 회사는 전력부를 폐쇄하고 해당 용역을 외부에서 구입하기로 결정하였다. 외부구입을 실행할 경우에는 공장관리부가 전력부에 용역을 제공하지 않아도 된다. 전력부가 제공하던 용역을 외부에서 구입한다면 B부문에 배부될 공장관리부원가는 얼마인가? (단, 직접배부법을 가정하시오.)
1.
₩1,050,000
2.
₩1,000,000
3.
₩900,000
4.
₩840,000
정답 : [
1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회사가 전력부를 폐쇄하면 공장관리부의 총원가가 줄어든다. 고정원가 변동X, 변동원가에서 줄어듦. A부문에 드는 변동원가:B부문 변동원가:전력부 변동원가=20%:60%:20%=100,000:300,000:100,000. 그러므로 전력부 폐쇄로 총원가는 100,000이 줄어 1,400,000이 된다. 직접 배분법이므로 1,400,000*60%/(20%+60%)=1,050,000 [해설작성자 : chaechae]
30.
다음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원가계산기간은 회사의 회계연도와 일치하여야 한다. 다만, 필요한 경우에는 월별 또는 분기별 등으로 세분하여 원가계산을 실시할 수 있다.
2.
외주가공비는 그 성격에 따라 재료비 또는 노무비에 포함하여 계상할 수 있으며, 그 금액이 중요한 경우에는 별도의 과목으로 기재할 수 있다.
3.
주요 재료와 부분품의 소비는 직접재료비를 구성한다.
4.
소모품, 수선용 부분품, 반제품도 재고자산에 포함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성격에 따라 재료비와 제조경비에 포함하여 계상할수있으며, 그 금액이 중요한 경우에는 별도의 과목으로 기재할수 있다. 노무비x [해설작성자 : 지쁘]
31.
다음 자료에 의하여 월말재공품 원가를 계산한 것으로 옳은 것은? (단, 직접재료원가는 제조 착수시에 전부 투입되고, 가공비는 균등하게 발생한다고 가정한다. 월말재공품 평가는 평균법에 의한다.)
1.
₩150,000
2.
₩200,000
3.
₩250,000
4.
₩300,000
정답 : [
3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평균법은 기초재공품의 기완성도를 무시함. 즉, 기초재공품을 당기 이전에 착수하였음에도 이를 당기에 착수한 것과 동일한 것으로 간주함.
원가회계는 기업회계기준서에 의하여 작성하여 외부정보 이용자의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회계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4. 재무회계 [해설작성자 : 지쁘]
33.
결합원가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연산품은 분리점에서 상대적으로 판매가치가 낮다.
2.
판매가치가 증가할 때 부산물이 연산품으로 바뀔 수 있다.
3.
연산품이 부산물로 바뀔 수는 어떠한 경우에도 없다.
4.
결합원가를 배분하는 목적은 단지 이익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다.
정답 : [
2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결합원가는 공통원가로서 각 개별 제품으로 나누어지기 전까지의 모든 원가를 말한다. 공통재료가 분리되어 각각 개별적으로 제품이 판매되거나 가공되기 시작하는 시점을 분리점이라고 한다. 동일한 재료를 통해 2가지 이상의 제품이 만들어지는 경우 , 이들 제품을 연산품이라고 한다. 부산물이 가치가 상승해서 연산품이 될수있고, 연산품이 가치가 낮아져서 부산품이 될수도있다. [해설작성자 : 지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