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자량이 29인 1kg의 이상기체가 실린더 내부에 채워져 있다. 처음에 압력 400kPa, 체적 0.2m3인 이 기체를 가열하여 체적 0.076 m3, 온도 100℃가 되었다. 이 과정에서 받은 일(kJ)은? (단, 폴리트로픽 과정으로 가열한다.)
1.
90
2.
95
3.
100
4.
104
정답 : [
1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기체상수 R=8.314/29=0.287kJ/kg•k P2v2=mRT2 에서 P2={1×0.287×(100+273)}/0.076 =1408.57(kPa) Pv^n=일정 (n 은 플로트로픽지수) 400×0.2^n=1408.57×0.076^n n=1.3 W=(P2V2-P1V1)/(n-1) =(1408.57×0.076-400×0.2)/(1.3-1) =90.17(kJ) [해설작성자 : 그램]
n n 400×0.2 =1408.57×0.076 0.2 n 1408.57 (----- ) = --------- 0.076 400 n (2.63) = 3.5214 3.5214 n = log 2.63 = 1.3018 [해설작성자 : 아~몰라~~]
24.
임의의 과정에 대한 가역성과 비가역성을 논의하는 데 적용되는 법칙은?
1.
열역학 제0법칙
2.
열역학 제1법칙
3.
열역학 제2법칙
4.
열역학 제3법칙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열역학 제 2법칙(엔트로피 법칙)@@@ - 열은 온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른다. - 전열선에 전기를 가하면 열이 나지만 전열선을 가열하여도 전력을 얻을 수 없다. - 열기관의 효율에 대한 이론적인 한계를 결정한다. - 열은 그 자신 만으로는 저온체에서 고온체로 이동할 수 없다. - 임의 과정에서 가역송과 비가역성 논의. - 2종 영구기관 존재 부정하는 법칙 #2종영구기관 : 입력과 출력이 같은 기관
25.
100kPa, 20℃의 공기를 0.1 kg/s의 유량으로 900kPa 까지 등온 압축할 때 필요한 공기압축기의 동력(kW)은? (단, 공기의 기체상수는 0.287 kJ/kg·K 이다.)
1.
18.5
2.
64.5
3.
75.7
4.
185
정답 : [
1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등온 압축 소요동력 계산 = P1V1ln(P2/P1) =GRTln(P2/P1) = 0.1*0.287*(273+20)*ln(900/100) = 18.476kW [해설작성자 : 박진호]
동력(H)= P1V1 x ln(P2/P1) = P1 x (mRT/P1) x ln(P2/P1) = mRT x ln(P2/P1) PV=mRT 에서 V = mRT/P 로 변환 후 대입하면 위에 공식으로 정리
=0.1 x 0.287 x (273+20) x ln(900/100) =. 18.476kw [해설작성자 : 원조로미]
26.
증기 압축 냉동사이클의 증발기 출구, 증발기 입구에서 냉매의 비엔탈피가 각각 1284 kJ/kg, 122kJ/kg이면 압축기 출구측에서 냉매의 비엔탈피(kJ/kg)는? (단, 성능계수는 4.4 이다.)
그림은 공기 표준 오토 사이클이다. 효율 η에 관한 식으로 틀린 것은? (단, ε는 압축비, k는 비열비이다.)
1.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58%
28.
정상상태에서 작동하는 개방시스템에 유입되는 물질의 비엔탈피가 h1이고, 이 시스템 내에 단위질량당 열을 q만큼 전달해 주는 것과 동시에, 축을 통한 단위질량당 일을 w만큼 시스템으로 유출되는 물질의 비엔탈피 h2를 옳게 나타낸 것은? (단, 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는 무시한다.)
1.
h2 = h1 + q - w
2.
h2 = h1 - q - w
3.
h2 = h1 + q + w
4.
2 = h1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W가 유출이라서 빠져나가는것 같지만 방향이 시스템으로 라고 표현했기 때문에 + 요소 따라서 모든 요소가 + 되는게 정답 [해설작성자 : 원조로미]
29.
다음 중 오존층을 파괴하며 국제협약에 의해 사용이 금지된 CFC 냉매는?
1.
R-12
2.
HFO1234jf
3.
NH3
4.
CO2
정답 : [
1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프레온가스 = r12 [해설작성자 : 장롱]
30.
2kg, 30℃인 이상기체가 100kPa에서 300kPa 까지 가역 단열과정으로 압축되었다며 최종온도(℃)는? (단, 이 기체의 정적비열은 750 J/kg·K, 정압비열은 1000 J/kg·K 이다.)
재열 사이클은 팽창일을 증대시키고 터빈 출구의 증기의 건도를 떨어뜨리지 않는 수단으로서 팽창 도중의 증기를 뽑아내어 가열장치로 보내 재가열한 후 다시 터빈에 보내는 사이클이다. [해설작성자 : 같은비증]
33.
다음 중 강도성 상태량이 아닌 것은?
1.
압력
2.
온도
3.
비체적
4.
체적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상태함수 = 계의 상태에 이르는 과정과 경로에 무관한것으로 상태량이라 한다 1. 강도성삼태량 = 물질의 양(질량)에 관계없이 강도(세기)만을 고려한것으로 P T 전압 높이 점도 등으로 시강변수, 강도변수라 한다 2. 체적, 내부에너지, 엔탈피, 엔트로피, 전기저항 등으로 종량성 상태량, 시량성 성질이라한다 비상태함수 = 상태가 변화할때 과정과 경로에 따라 그 변화량이 변화하는 것으로 열량, 일량 등으로 경로함수, 도정함수라 한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
강도성 상태량이란 물질의 질량과 관계없이 그 크기 값이 결정되는 상태량 예를 들어, 질량이 10g 또는 1kg에 무관하게 압력은 일정합니다. 절반으로 잘라도 그 값은 변하지 않는 상태량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온도, 압력, 밀도, 비체적, 농도, 끓는점, 녹는점, 어는점, 전기저항이 있습니다.
종량성 상태량이란 물질을 잘랐을때, 그 상태량이 같이 잘라지는것을 말합니다. 10cm의 물체의 절반을 자르면, 각각 5cm의 물체가 2개 생깁니다. 내부에너지, 엔탈피, 엔트로피, 길이, 체적, 질량, 열용량 등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대향 1406]
34.
97℃로 유지되고 있는 항온조가 실내 온도 27℃인 방에 놓여 있다. 어떤 시간에 1000kJ의 열이 항온조에서 실내로 방출되었다면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문제 해설> 액면계의 분류 및 종류 1. 직접법 = 직관식, 플로트식(부자식), 검첨식 2. 간접법 = 압력식, 초음파식, 정전용량식, 방사선식, 차압식, 다이어프램식, 편위식, 기포식, 슬립튜브식 등 [해설작성자 : 박진호]
플로트식 액면계는 직접식 액면측정 방법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이수]
55.
액체와 고체연료의 열량을 측정하는 열량계는?
1.
봄브식
2.
융커스식
3.
클리브랜드식
4.
타그식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봄브(bomb)열량계 = 고체 및 고점도인 액체 연료의 발열량 측정에 사용되며 단열식과 비단열식으로 구분된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
56.
분동식 압력계에서 300MPa 이상 측정할 수 있는 것에 사용되는 액체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경유
2.
스핀들유
3.
피마자유
4.
모빌유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분동식 압력계의 사용유체에 따른 측정범위 1. 경유 = 4~10MPa 2. 스핀들유, 피마자유 = 10~100MPa 3. 모빌유 = 300MPa 이상 4. 점도가 큰 오일을 사용하며 500MPa까지도 측정이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
57.
물을 함유한 공기와 건조공기의 열전도율 차이를 이용하여 습도를 측정하는 것은?
1.
고분자 습도센서
2.
염화리튬 습도센서
3.
서미스터 습도센서
4.
수정진동자 습도센서
정답 : [
3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서미스터 습도센서 = 2개의 서미스터와 저항으로 브리지 회로를 구성하여 서미스터 하나는 건조한 공기로 밀봉하고, 다른서미스터는 측정하는 기체에 노출하여 건조한 공기와 수증기의 열전도차로 불평형 전압이 브리지 회로에 발생하고 이 출력전압으로부터 절대습도를 측정한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
58.
측정량과 크기가 거의 같은 미리 알고 있는 양의 분동을 준비하여 분동과 측정량의 차이로부터 측정량을 구하는 방식은?
1.
편위법
2.
보상법
3.
치환법
4.
영위법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1. 편위법 = 부르동관 압력계와 같이 측정량과 관계있는 다른 양으로 변환시켜 측정하는 방법으로 정도는 낮지만 측정이 가능 2. 영위법 = 기준량과 측정하고자 하는 상태량을 비교평형 시켜 측정하는 것으로 천칭을 이용하여 질량을 측정하는 것이 해당 3. 치환법 = 지시량과 미리 알고있는 다른양으로부터 측정량을 나타내는 방법으로 다이얼게이지를 이용하여 두께를 측정하는것이 해당된다 4. 보상법 = 측정량과 거의 같은 미리알고있는 양을 준비하여 측정량과 그 미리알고있는 양의 차이로써 측정량을 알아내는 방법 [해설작성자 : 박진호]
59.
다음 중 그림과 같은 조작량 변화 동작은?
1.
P.I 동작
2.
ON-OFF 동작
3.
P.I.D 동작
4.
P.D 동작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PID동작(비례적분미분동작) = 조절효과가 좋고 조절속도가 빨라 널리 이용된다 반응속도가 느리거나 빠름, 쓸모없는 시간이나 전달느림이 있는 경우에 적용되며, 제어계의 난이도가 큰 경우에 적합한 제어동작이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
60.
오리피스 유량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베르누이의 정리를 응용한 계기이다.
2.
기체와 액체에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3.
유량계수 C는 유체의 흐름이 층류이거나 와류의 경우 모두 같고 일정하며 레이놀즈수와 무관하다.
4.
제작과 설치가 쉬우며, 경제적인 교축기구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오리피스 유량계의 특징 ↑신뢰도 손실 변형 ↓비용 면적 1.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쉬워 가격저렴 2. 협소한 장소에 설치가능 3. 유량계수의 신뢰도가 크다 4. 오리피스교환 용이 5. 차압식유량계에서 압력손실이 제일크다 6. 침전물의 생성우려가많다 7. 동심 오리피스와 편심 오리피스가 있다 8. 유량계 전후에 동일한 지름의 직관이 필요하다 *유량계수 C는 층류, 와류 등의 영향을 받고, 레이놀즈수와 직접관계가 있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
4과목 : 열설비재료 및 관계법규
61.
용선로(culpola)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2.
용해 특성상 용탕에 탄소, 황, 인 등의 불순물이 들어가기 쉽다.
3.
다른 용해로에 비해 열효율이 좋고 용해시간이 빠르다.
4.
동합금, 경합금 등 비철금속 용해로로 주로 사용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큐폴라(용선로) = 용선로라하며 주물을 용해하기 위한 것으로 강판으로 만든 원형내부를 내화벽돌로 쌓고 내화점토로 만든 직접형 노로 가장많이사용 1. 대량의 쇳물을 얻을수있다 2. 다른 용해로 보다 열효율이 좋다 3. 용해시간이 빠르다 4. 주철이 탄소 황 인 의 성분을 흡수하면 품질이 저하된다 5. 용량은 1시간당 용해량을 톤(ton)으로 표시 [해설작성자 : 박진호]
용선은 철금속 생산의 중간 단계에서 얻어지는 쇳물이며, 용선로에서 철금속으로 변환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해설작성자 : 차이보상]
62.
다음 중 터널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예열, 소성, 냉각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며 대차의 진행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소가스가 진행된다.
2.
소성기간이 길기 때문에 소량생산에 적합하다.
3.
인건비, 유지비가 많이 든다.
4.
온도조절의 자동화가 쉽지만 제품의 품질, 크기, 형상 등에 제한을 받는다.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터널요(tunnel kiln)의 특징 ↑품질 효율 양 비용 ↓연료비 면적 시간
1. 예열, 소성, 냉각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며 대차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소가스가 진행 2. 소성이 균일하여 제품의 품질이좋다 3. 온도조절과 자동화 용이 4. 열효율이 좋아 연료비절감 5. 배기가스 현열을 이용하여 제품을 예열한다 6. 제품의 현열을 이용하여 연소용 공기를 예열한다 7. 능력에 비해 설비면적이 ㅈ가다 8. 능력에 비해 건설비가 비싸다 9. 생산량 조정이 곤란하다 10. 제품구성에 제한이 있고, 다종 소량생산에는 부적당하다 11. 제품을 연속적으로 처리할수있는 시설이 있어야한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
터널요는 온도조절 및 자동화가 쉽지만 제품 구성에 제한이 있다. [해설작성자 : 건환산회]
1. 반대 방향 2. 소성시간이 단축되며 대량생산 적합 3. 열효율이 좋아 연료비 절감 [해설작성자 : 차이보상]
63.
에너지이용 합리화법령상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또는 시·도지사가 한국에너지공단 이사장에게 권한을 위탁한 업무가 아닌 것은?
1.
에너지관리지도
2.
에너지사용계획의 검토
3.
열사용기자재 제조업의 등록
4.
효율관리기자재의 측정 결과 신고의 접수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에너지관리지도 에너지사용계획의 검토 및 승인 에너지절감형기자재의 측정 결과 신고의 접수 및 관리 에너지절감형기자재의 성능인증 에너지절감형기자재의 표시·광고 관리 [해설작성자 : 모닝본드]
열사용기자재 제조업 등록제도는 기업규제완화 차원에서 폐지되었고 검사대상기기의 검사규정에 따라 한국에너지공단에 업체등록 및 기기별로 검사를 받아야 한다. [해설작성자 : 이키로이륙]
64.
에너지이용 합리화법령상 최고사용압력(MPa)과 내부 부피(m3)을 곱한 수치가 0.004를 초과하는 압력용기 중 1종 압력용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증기를 발생시켜 액체를 가열하며 용기안의 압력이 대기압을 초과하는 압력용기
2.
용기안의 화학반응에 의하여 증기를 발생하는 것으로 용기안의 압력이 대기압을 초과하는 압력용기
3.
용기안의 액체의 성분을 분리하기 위하여 해당 액체를 가열하는 것으로 용기안의 압력이 대기압을 초과하는 압력용기
제20조(에너지사용계획의 제출 등) ① 법 제10조제1항에 따라 에너지사용계획을 수립하여 산업통상자원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하는 사업주관자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업을 실시하려는 자로 한다. <개정 2013. 3. 23.> - 항만건설사업 - 철도건설사업 - 공항건설사업 [해설작성자 : 항철공]
67.
에너지이용 합리화법에서 정한 에너지절약전문기업 등록의 취소요건이 아닌 것은?
1.
규정에 의한 등록기준에 미달하게 된 경우
2.
사업수행과 관련하여 다수의 민원을 일으킨 경우
3.
동법에 따른 에너지절약전문기업에 대한 업무에 관한 보고를 하지 아니하거나 거짓으로 보고한 경우
4.
정당한 사유 없이 등록 후 3년 이상 계속하여 사업수행실적이 없는 경우
정답 : [
2
] 정답률 : 75%
68.
에너지이용 합리화법령상 열사용기자재에 해당하는 것은?
1.
금속요로
2.
선박용 보일러
3.
고압가스 압력용기
4.
철도차량용 보일러
정답 : [
1
] 정답률 : 65%
69.
에너지이용 합리화법령에 따라 인정검사대상기기 관리자의 교육을 이수한 사람의 관리범위 기준은 증기보일러로서 최고사용 압력이 1MPa 이하이고 전열면적이 최대 얼마 이하일 때 인가?
1.
1m2
2.
2m2
3.
5m2
4.
10m2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인정검사대상기기 관리자의 교육을 이수한 사람의 관리범위 = 에너지이용 합리화법 시행규칙 제31조의 26, 별표3의9 1. 증기보일러로서 최고사용압력이 1MPa이하이고 전열면적이 10m^2이하인 것 2. 온수발생 또는 열매체를 가열하는 보일러로서 출력이 581.5kW이하인 것 3. 압력용기 [해설작성자 : 박진호]
에너지이용 합리화법상 에너지이용 합리화 기본계획에 따라 실시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하여야 하는 대상이 아닌 자는?
1.
기초지방자치단체 시장
2.
관계 행정기관의 장
3.
특별자치도지사
4.
도지사
정답 : [
1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에너지이용 합리화 기본계획 등 = 에너지이용 합리화법 시행령 제3조 1.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5년마다 에너지이용 합리화에 관한 기본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2. 관계 행정기관의 장과 특별시장 광역시장 도지사 또는 특별자치도지사는 매년 실시계획을 수립하고 그 계획을 해당 연도 1월31일까지, 그 시행결과를 다음연도 2월말일까지 각각 산업통상자원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3.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받은 시행결과를 평가하고, 해당 관계 행정기관의 장과 시도지사에게 그 평가 내용을 통보하여야한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
72.
에너지이용 합리화법에 따라 에너지다소비 사업자가 그 에너지사용시설이 있는 지역을 관할하는 시·도지사에게 신고하여야 할 사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문제 해설> 지르콘(ZrSiO4)내화물의 특징 1. 지르콘 원광을 1800도 정도에 SiO2를 휘발시키고 정제시켜 강하게 굽고 가루에 물, 유리, 기타 결합제를 가하여 성형소성한것이다 2. 특수내화물로 산화성 용재에 강하다 3. 열팽창률이 작다 4. 내스폴링성이 크다 5. 내화도는 일반적으로 SK37~38정도이다 6. 실험용 도가니, 연소관 등에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
74.
요로의 정의가 아닌 것은?
1.
전열을 이용한 가열장치
2.
원재료의 산화반응을 이용한 장치
3.
연료의 환원반응을 이용한 장치
4.
열원에 따라 연료의 발열반응을 이용한 장치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1. 요(kiln) = 물체를 가열하여 소성하는 것을 목적으로하는것 으로 가마라 불리운다 2. 로(furnace) = 물체를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주로 금속류를 취급한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
75.
견요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석회석 클링커 제조에 널리 사용된다.
2.
하부에서 연료를 장입하는 형식이다.
3.
제품의 예열을 이용하여 연소용 공기를 예열한다.
4.
이동 화상식이며 연속요에 속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견요(shaft kiln,선가마)의 특징
1. 석회석 클링커 제조에 이용 2. 상부에서 연료를 장입 3. 연소용 공기를 예열한다. 4. 이동 화상식이며 연속요다.
또한 화염은 아래서 위로 올라가는 방식이며 직화식으로 작동한다. [해설작성자 : omandu5128]
76.
전기와 열의 양도체로서 내식성, 굴곡성이 우수하고 내압성도 있어 열교환기의 내관 및 화학공업용으로 사용되는 관은?
1.
동관
2.
강관
3.
주철관
4.
알루미늄관
정답 : [
1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동관의 특징 ↑열전도 비용 ↓저항 내충격 1. 담수에 대한 내식성이 우수 2. 열전도율이 좋고 가공성이 좋아 배관시공이 용이 3. 아세톤, 프레온 가스 등 유기약품에 침식되지 않는다 4. 관내부에서 마찰저항이 크다 5. 연수에는 부식 6. 외부의 기계적 충격에 약하다 7. 비싸다 8. 암모니아, 초산, 진한황산에는 심하게 부식된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
77.
옥내온도는 15℃, 외기온도가 5℃일 때 콘크리트 벽(두께 10cm, 길이 10m 및 높이 5m)을 통한 열손실이 1700W이라면 외부 표면 열전달계수(W/m2·℃)는? (단, 내부표면 열전달계수는 9.0 W/m2·℃ 이고, 콘크리트 열전도율은 0.87 W/m·℃ 이다.)
크롬이나 크롬마그네시아 벽돌이 고온에서 산화철을 흡수하여 표면이 부풀어 오르고 떨어져 나가는 현상은?
1.
버스팅(bursting)
2.
스폴링(spalling)
3.
슬래킹(slaking)
4.
큐어링(curing)
정답 : [
1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크롬 - 버스팅 [해설작성자 : 장롱]
81.
보일러의 노통이나 화실과 같은 원통 부분이 외측으로부터의 압력에 견딜 수 없게 되어 눌려 찌그러져 찢어지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블리스터
2.
압궤
3.
팽출
4.
라미네이션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1. 팽충(bulge) = 동체, 수관, 겔로웨이관 등과 같이 인장응력을 받는 부분이 압력에 견디지못하고 바깥쪽으로 부풀어나오는현상 2. 압궤(collapse) = 노통, 연소실, 연관, 관판 등과 같이 압축응력을 받는 부분이 압력에 견디지 못하고 안쪽으로 들어가는현상 3. 라미네이션 = 압연 강판이나 관의 두께 내부에 가스가 존재한상태로 가공을 하였을때 판이나 관이 2장의 층을 형성하며 분리되는 현상이다 4. 블리스터(blister) = 라미네이션 부분이 가열로 인하여 부풀어 오르는현상 5. 응력부식균열 = 특수한 부식환경에 있는 금속재료가 정적 인장응력인 부하응력, 잔류응력 등이 지속적으로 작용할때 나타나는 균열발생 및 부식현상이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
82.
두께 150mm인 적벽돌과 100mm인 단열벽돌로 구성되어 있는 내화벽돌의 노벽이 있다. 적벽돌과 단열벽돌의 열전도율은 각각 1.4 W/m·℃, 0.07 W/m·℃일 때 단위면적당 손실열량은 약 몇 W/m2 인가? (단, 노 내 벽면의 온도는 800℃이고, 외벽면의 온도는 100℃ 이다.)
Q = K X F(1) X ΔT 1 = ------------- X 1 X ΔT b1 b2 --- + --- λ1 λ2
1 = ------------- X 1 X (800-100) = 455.813(W/m2)
0.151 0.1 ----- + ----- 1.4 0.07 [해설작성자 : 아~몰라~~]
83.
보일러의 성능계산 시 사용되는 증발률(kg/m2·h)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실제 증발량에 대한 발생증기 엔탈피와의 비
2.
연료 소비량에 대한 상당증발량과의 비
3.
상당 증발량에 대한 실제증발량과의 비
4.
전열 면적에 대한 실제증발량과의 비
정답 : [
4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전열면증발률 = 1시간 동안 보일러 전열면적 1m^2에 대한 실제발생 증기량과의 비로 단위는 kg/m^2*h이다 전열면증발률 = 실제증기발생량/전열면적 [해설작성자 : 박진호]
84.
수관보일러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최대 압력이 1MPa 이하인 중소형 보일러에 작용이 일반적이다.
2.
연소실 주위에 수관을 배치하여 구성한 수냉벽을 노에 구성한다.
3.
수관의 특성상 기수분리의 필요가 없는 드럼리스 보일러의 특징을 갖는다.
4.
열량을 전열면에서 잘 흡수시키기 위해 2-패스, 3-패스, 4-패스 등의 흐름 구성을 갖도록 설계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수관식 보일러의 트징 1. 보유수량이 적어 증기 발생시간이 빠르며 고압대용량에 적합 2. 외분식이므로 연료선택범위가 넓고 연소상태가 양호 3. 전열면적이 크고 열효율이 높다 4. 수관의 배열이 용이하고 패키지형으로 제작이 가능 5. 관수처리에 주의에 요한다 6. 구조가 복잡하여 청소 검사 수리가 어렵고 스케일부착이 쉽다 7. 부하변동에 따른 압력 및 수위변동이 심하다 8. 증기 중에 혼입된 수분을 분리하기 위한 기수분리기를 설치한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
1. 고압 대용량에 적합하다. 3. 기수분리기를 설치한다. 4. 패키지형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최수열]
85.
그림과 같이 내경과 외경이 Di, Do일 때, 온도는 각각 Ti, To, 관 길이가 L 인 중공 원관이 있다. 관 재질에 대한 열전도율을 k라 할 때, 열저항 R을 나타낸 식으로 옳은 것은? (단, 전열량(W)은 로 나타낸다.)
1.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62%
86.
입형 보일러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설치 면적이 좁다.
2.
전열면적이 적고 효율이 낮다.
3.
증발량이 적으며 습증기가 발생한다.
4.
증기실이 커서 내부 청소 및 검사가 쉽다.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입형 보일러 1. 구조 간단, 설치면적이 적어 설치가 간단 2. 전열면적이 작아 효율 낮다 3. 증기부가 적어 습증기 발생가능 4. 내부청소 및 점검 불편 [해설작성자 : 제발합격]
주위 온도가 20℃, 방사율이 0.3인 금속 표면의 온도가 150℃인 경우에 금속 표면으로부터 주위로 대류 및 복사가 발생될 때의 열유속(heat flux)은 약 몇 W/m2인가? (단, 대류 열전달계수는 h = 20 W/m2·K, 스테판-볼츠만 상수는 σ=5.7×10-8W/m2·K4 이다.)
<문제 해설> 저온부식 방지 대책 1. 연료중의 황(S)를 제거한다 2. 연료에 첨가제를 사용하여 노점온도를 낮춘다 3. 무수황산을 다른 생성물로 변경시킨다 4. 배기가스의 온도를 노점온도 이상으로 유지한다 5. 배기가스 온도가 황산증기의 노점까지 저하되기 전에 배출시킨다 6. 연료가 완전 연소할수있또록 연소방법을 개선한다 7. 과잉공기를 적게하여 배기가스 중의 산소를 감소시킨다 8. 전열면 표면에 내식재료를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
배기가스의 온도를 노점온도 이상으로 유지한다. [해설작성자 : 열유속3020]
94.
점식(pitting)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진행속도가 아주 느리다.
2.
양극반응의 독특한 형태이다.
3.
스테인리스강에서 흔히 발생한다.
4.
재료 표면의 성분이 고르지 못한 곳에 발생하기 쉽다.
정답 : [
1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점식은 진행이 빠름 [해설작성자 : 장롱]
공식(PITTING) = 보일러수가 접하는 내면에 좁쌀알, 쌀알, 콩알 크기의 점상태로 생기는 부식으로 점식 또는 점형부식이라 한다 부식의 진행속도가 빨라 위험성이 크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
95.
급수 불순물과 그에 따른 보일러 장해와의 연결이 틀린 것은?
1.
철 - 수지산화
2.
용존산소 - 부식
3.
실리카 - 캐리오버
4.
경도성분 – 스케일 부착
정답 : [
1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불순물에 따른 보일러 장해 1. 용존산소 = 부식 2. 실리카 = 캐리오버, 스케일 생성 3. 염류(경도성분) = 스케일생성(부착) 4. 고형 협잡물 = 프라이밍, 포밍 발생 [해설작성자 : 박진호]
철은 수지산화가 아니고 부식 [해설작성자 : 원조로미]
이온 교환 수지 - 수지산화 철 - 부식 또는 과열 [해설작성자 : 용실경]
96.
보일러수의 분출시기가 아닌 것은?
1.
보일러 가동 전 관수가 정지되었을 때
2.
연속운전일 경우 부하가 가벼울 때
3.
수위가 지나치게 낮아졌을 때
4.
프라이밍 및 포밍이 발생할 때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보일러 수 분출시키 1. 부하가 가장 가벼울때 2. 보일러 가동 전 3, 프라이밍, 포밍 현상이 발생할때 4. 고수위 일 때 [해설작성자 : 박진호]
97.
두께 10mm의 판을 지름 18mm의 리벳으로 1열 리벳 겹치기 이음 할 때, 피치는 최소 몇 mm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리벳구멍의 지름은 21.5mm 이고, 리벳의 허용 인장응력은 40N/mm2, 허용 전단응력은 36 N/mm2 으로 하며, 강판의 인장응력과 전단응력은 같다.)
1.
40.4
2.
42.4
3.
44.4
4.
46.4
정답 : [
3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전단응력 τ= W / (pi* d^2/4) -> 하중을 면적으로 나눔 (N/mm^2) 36N/mm^2 = W / (pi* d^2/4) 따라서 하중 W = 36*pi*18^/4 = 9,160[N] 인장응력 σ = 하중/면적 = W / (p-d)t 40 = 9160/[(P-21.5)*10] 따라서 피치 p=44.4 [mm] [해설작성자 : 라둥파파]
리벳에 가해지는 하중 τ: 허용전단응력 4W τ = ------------- πD^2
πD^2 τ 3.14 X 18^2 X 36 W = --------------- = --------------------- = 9160.884 N 4 4
피치계산 d : 리벳구멍지름 σ: 허용인장응력 t : 두께
W 9160.884 P = d + ------------ = 21.5 + -------------- = 44.402mm σX t 40 X 10 [해설작성자 : 아~몰라~~]
98.
과열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포화증기를 과열증기로 만드는 장치이다.
2.
포화증기의 온도를 높이는 장치이다.
3.
고온부식이 발생하지 않는다.
4.
연소가스의 저항으로 압력손실이 크다.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과열기(super ehater)의 역할 = 보일러에서 발생한 습포화증기를 연소가스 여열등을 이용하여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온도만을 높여 과열증기를 만드는 장치
과열기 사용시 특징 1. 열효율증가 2. 수격작용 방지 3. 관내 마찰저항 감소 4. 장치 내 부식 방지 5. 적은 증기로 많은열을 얻는다 6. 가열 표면의 일정온도 유지 곤란 7. 가열장치에 큰 열응력 발생 8. 직접가열 시 열손실 증가 9. 제품의 손상우려 10. 과열기 표면에 고온부식 발생 [해설작성자 : 박진호]
99.
열정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원칙적으로 정격부하 이상에서 정상상태로 적어도 2시간 이상의 운전결과에 따른다.
2.
발열량은 원칙적으로 사용 시 연료의 총발열량으로 한다.
3.
최대 출열량을 시험할 경우에는 반드시 최대부하에서 시험을 한다.
4.
증기의 건도는 98% 이상인 경우에 시험함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최대 출열량을 시험할 경우에는 반드시 정격부하에서 시험을 한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
100.
외경 76mm, 내경 68mm, 유효길이 4800mm의 수관 96개로 된 수관식 보일러가 있다. 이 보일러의 시간당 증발량은 약 몇 kg/h 인가? (단, 수관이외 부분의 전열면적은 무시하며, 전열면적 1m2 당 증발량은 26.9 kg/h 이다.)
1.
2660
2.
2760
3.
2860
4.
2960
정답 : [
4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1. 수관식 보일러 전열면적 계산 A = 파이DLn = 파이 * (76/1000) * (4800/1000) * 96 = 110.021m^2